KR20110000200U -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 Google Patents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200U
KR20110000200U KR2020090008504U KR20090008504U KR20110000200U KR 20110000200 U KR20110000200 U KR 20110000200U KR 2020090008504 U KR2020090008504 U KR 2020090008504U KR 20090008504 U KR20090008504 U KR 20090008504U KR 20110000200 U KR20110000200 U KR 20110000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hanger
support
extension
ro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호
Original Assignee
안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호 filed Critical 안진호
Priority to KR2020090008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200U/ko
Publication of KR20110000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2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가 개시된다. 봉걸레를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봉걸레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는, 보다 편리하게 봉걸레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다.
봉걸레, 걸이, 거치

Description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Mop Hanger and Sets for Hanging and Supporting Mop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과 같이 많은 사람이 활동하는 장소 등의 큰 건물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각종 청소도구를 사용한 후에 건물의 구석이나 공간에 그대로 방치하거나 상부가 개방된 통의 내부에 청소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청소용품 보관함은 몸체가 작고 길이가 짧은 청소용구는 보관이 가능하나, 자루의 길이가 긴 봉걸레 등은 내부에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 별도로 보관하고 있어 외관상 불결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봉걸레와 같이 청소 시에 젖은 상태로 있다가, 보관 시에 건조되어야 하는 청소도구의 경우, 통풍 등의 문제로 인해 건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봉걸레가 보관 시에 건조되지 않는 경우, 악취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 다.
더욱이, 봉걸레의 경우, 봉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레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야 건조에 보다 용이하나, 그 구조적인 특성 상 봉걸레 단독으로 세워서 보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어, 봉걸레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봉걸레의 보관 또는 건조가 용이하도록 봉걸레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봉걸레 걸이,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봉걸레를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봉걸레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가 제공된다.
여기서, 연장부는 삽입부의 양측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봉걸레 걸이는 연장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부재 및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는 봉부재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삽입부 는 내부에 봉부재가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봉걸레 걸이 가운데 어느 하나의 봉걸레 걸이와 봉걸레 걸이에 의해 거치되는 봉걸레를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봉걸레 걸이 가운데 어느 하나의 봉걸레 걸이와 봉걸레 걸이에 의해 봉걸레가 거치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봉걸레 거치 세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스탠드는 봉걸레 걸이의 연장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부 및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는 연장부를 지지하도록 실린더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봉걸레의 봉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제1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편리하게 봉걸레를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보관 또는 건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봉걸레를 보관하는데 있어서 봉걸레의 걸레 부분이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봉걸레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를 이용하여 한 곳에 여러 개의 봉걸레를 보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과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4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4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걸레 거치 세트(400)는 봉걸레 걸이(100)와 스탠드(300)를 포함하다. 이 때, 봉걸레(2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부재(210)와, 봉부재(2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레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400)의 봉걸레 걸이(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걸레 걸이(100)는 봉걸레(200)를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삽입부(110), 연장부(120) 및 마찰부재(140)를 포함한다.
삽입부(110)는 그 내부에 봉걸레(200)의 봉부재(21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삽입부(1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0)의 내경은 봉부재(210)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부(110)에 봉부재(210)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110)가 예를 들어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삽입부(110)의 내경은 봉부재(210)의 외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 때, 삽입부(110)는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봉부재(2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봉걸레(200)가 봉걸레 걸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걸이 세트(250)의 사용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봉걸레 걸이 세트(250)는 봉걸레(200)와 봉걸레 걸이(10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20)는 삽입부(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봉걸레 걸이(100)가 선반과 같이 평평한 면을 가지는 곳에 걸쳐져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부(120)는 삽입부(110)의 양측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연장부(120)는 봉걸레 걸이(100)가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봉걸레 걸이(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110)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연장부(120)는 압축코일스프링의 양 말단이 삽입부(110)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연장부(120)를 가압하여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삽입부(110)의 내경을 변화시켜 봉걸레(200)의 봉부재(210)에 삽입부(110)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걸레 걸이(100) 세트는 봉걸레(200)와 봉걸레 걸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봉걸레 걸이(100) 세트는 사용자가 봉걸레(200)를 일 정한 장소에서 바닥과 걸레 부분(220)이 이격된 상태로 건조시키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 용이하게 봉걸레(200)를 거치시키게 할 수 있다.
삽압부에 봉부재(210)가 삽입되면, 봉부재(210)의 외주면의 양측과 삽입부(110)의 내주면의 양측이 서로 접하면서, 봉걸레(200)의 자중에 의해 봉걸레 걸이(100)의 삽입부(110)는 봉걸레(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연장부(120)에는 봉걸레(200)의 자중이 실리게 되고, 이 자중에 의해 연장부(120)는 봉걸레(200)를 걸칠 수 있는 곳의 상면에 걸쳐지게 된다. 여기서, 봉걸레(200)의 하측은 벽과 같은 곳에 지지되어 보다 안정되게 봉걸레(200)가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연장부(120)의 말단에는 고리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130)는 연장부(120)의 말단에 하측을 향해 굴곡되어 고리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말한다. 고리부(130)는 연장부(120)의 말단도 봉걸레(200)가 거치되는 곳과 닿아 봉걸레 걸이(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봉걸레(200)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400)의 봉걸레 걸이(1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 예는 봉걸레 걸이(100)의 고리부(130)가 생략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봉걸레 걸이(100)의 고리부(130)가 생략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40)의 지지에 의해, 봉걸레 걸이(100')는 봉걸레(200)를 거치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봉걸레 걸이(100)를 봉걸레(200)의 봉부재(210)에 길이를 조절하여 삽입시키고, 연장부(120)를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평평한 면이 있 는 곳에 걸침으로써, 봉걸레(200)를 지면으로부터 적당한 위치에 용이하게 이격시켜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어느 곳에서나, 봉걸레(200)를 지면과 이격되게 거치시킬 수 있어, 봉걸레(200) 보관을 위해 별도의 보관함이나 보관 장소를 마련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봉걸레 걸이(100)를 봉걸레(200)에 설치한 상태로 청소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봉걸레(200)의 사용이 종료된 후, 언제든지 봉걸레(200)를 원하는 장소에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봉걸레 걸이(100)를 봉부재(210)의 적당한 위치까지 삽입시킴으로써, 봉걸레 걸이(100)를 걸칠 수 있는 곳의 높이가 낮은 곳이라도, 봉걸레(200)의 걸레 부분(220)이 지면과 이격되게 거치시킬 수 있다.
연장부(120)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러버(rubber)와 같이 표면의 마찰계수가 큰 마찰부재(14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연장부(120)의 외주면의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봉걸레 걸이(100)가 그것이 거치되는 곳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400)의 스탠드(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00)는 여러 개의 봉걸레 걸이(100) 세트를 한 곳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스탠드(300)는 지지부, 실린더부 및 받침대(310)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봉걸레 걸이(100)가 걸쳐지는 부분이다. 지지부(330)는 스탠 드(300)의 상측에 형성된다. 지지부(330)는 제1 지지부(332)와 제2 지지부(33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332)의 일측은 스탠드(300)의 제1 실린더부(322)의 상측에 결합된다. 제1 지지부(332)는 제1 실린더부(322)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1 지지부(332)의 타측은 상측으로 돌출되어 봉걸레 걸이(100)가 제1 지지부(332)의 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334)는 제1 지지부(33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판형 상을 가진다. 제2 지지부(33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부재(210)의 일측을 지지하여, 봉걸레 걸이(100)가 봉걸레(2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스탠드(300)에 걸쳐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부는 제1 실린더부(322)와 제2 실린더부(320) 및 길이 조절부(324)를 포함한다. 실린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며, 그 상측은 지지부(330)와 결합되며, 그 하측은 받침대(310)와 결합된다.
제1 실린더부(322)는 제2 실린더부(3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실린더부는 전체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실린더부(322)와 제2 실린더부(320) 사이에는 길이 조절부(324)가 개재되어, 실린더부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324)는 그 내부에 제1 실린더부(322)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바디와, 바디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나사는 바디의 일측을 관통하여 그 내부의 제1 실린더부(322)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제1 실린더부(322)가 제2 실린더부(320)에 대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 서, 사용자는 봉걸레(200)의 걸레 부분(220)이 지면이 닿지 않게 스탠드(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받침대(310)부는 제2 실린더부(320)의 하측에 결합되며, 3개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스탠드(300)가 지면에 세워지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탠드(300)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봉걸레 걸이(100) 세트 한 장소에 보관할 수 있으며,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외관상으로도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좁은 장소에 여러 개의 봉걸레(200)를 보관할 수 있어, 공간적인 절약도 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의 봉걸레 걸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걸이 세트의 사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의 봉걸레 걸이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걸레 거치 세트의 스탠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봉걸레 걸이 200: 봉걸레
250: 봉걸레 걸이 세트 300: 스탠드
400: 봉걸레 거치 세트

Claims (10)

  1. 봉걸레를 거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봉걸레의 봉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봉부재의 외주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내부에 상기 봉부재가 삽입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걸이.
  7.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상기 봉걸레 걸이 및
    상기 봉걸레 걸이에 의해 거치되는 상기 봉걸레를 포함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8. 제1항 내지 제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상기 봉걸레 걸이; 및
    상기 봉걸레 걸이에 의해 상기 봉걸레가 거치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봉걸레 거치 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봉걸레 걸이의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거치 세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봉걸레의 상기 봉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걸레 거치 세트.
KR2020090008504U 2009-07-01 2009-07-01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KR201100002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04U KR20110000200U (ko) 2009-07-01 2009-07-01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04U KR20110000200U (ko) 2009-07-01 2009-07-01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200U true KR20110000200U (ko) 2011-01-07

Family

ID=4420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04U KR20110000200U (ko) 2009-07-01 2009-07-01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20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6259A (zh) * 2013-09-30 2014-01-29 李云峰 一种悬挂墩布夹持器
CN104799787A (zh) * 2015-05-18 2015-07-29 陈烁 靠立笤帚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6259A (zh) * 2013-09-30 2014-01-29 李云峰 一种悬挂墩布夹持器
CN104799787A (zh) * 2015-05-18 2015-07-29 陈烁 靠立笤帚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3636A1 (en) Hanger holder accessory and system
US9661959B2 (en) Toilet paper holding device
US6334593B2 (en) Bag holder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20110000200U (ko) 봉걸레 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봉걸레 걸이 세트 및 봉걸레 거치 세트
JP4415286B1 (ja) 物掛け用ポール受具
JP4692858B1 (ja) 真空掃除機用の収納方法および真空掃除機用の収納器具
KR20130021618A (ko) 수건걸이
CN209073691U (zh) 多功能积木桌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JP2016049220A (ja) システムデスク
KR20180034865A (ko) 비누홀더
JP3195399U (ja) 洗浄用ブラシセット
JP6703968B2 (ja) 洗浄用ブラシセット
KR101834126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방 걸이
KR101272204B1 (ko) 싱크대 및 서랍에 설치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200381807Y1 (ko) 대걸레 보관대
KR20110005259U (ko) 밀대걸레 걸이 및 밀대걸레 거치세트
CN216998953U (zh) 一种用于晾衣机的辅助杆结构
KR20110008762U (ko) 행주걸이대
CN213786168U (zh) 一种带有防潮机构的文件存放柜
CN216702423U (zh) 一种纸巾抽拉装置
KR200343537Y1 (ko) 흡착식 옷걸이
KR200240512Y1 (ko) 잡지꽂이 겸용 휴지걸이
JPH04151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