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958B1 - 밀대 청소기 - Google Patents

밀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958B1
KR102099958B1 KR1020180143595A KR20180143595A KR102099958B1 KR 102099958 B1 KR102099958 B1 KR 102099958B1 KR 1020180143595 A KR1020180143595 A KR 1020180143595A KR 20180143595 A KR20180143595 A KR 20180143595A KR 102099958 B1 KR102099958 B1 KR 10209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wer plate
cleaning sheet
upper plat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철
정성미
조영임
정헌주
Original Assignee
(주)광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상사 filed Critical (주)광진상사
Priority to KR102018014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Abstract

청소시트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 고정함으로써, 청소시트 교체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고, 청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청소시트를 바닥에 부착 고정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자루가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청소시트와 접하는 바닥면을 이루는 하판, 상기 하판에 끼워져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하판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하판의 선단을 상판에 가압 밀착하는 내부판, 및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청소시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대 청소기{MOP CLEANER}
본 개시내용은 밀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청소기는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도 걸레로 마루나 거실 등의 바닥을 닦을 수 있는 구조로 된 청소 기구이다. 밀대 청소기는, 청소용 시트를 고정하는 본체와, 본체에 연결되어 길게 연장되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선 상태에서 로드를 잡고 바닥을 따라 본체를 밀거나 당겨 줌으로써, 본체에 고정된 청소용 시트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밀대 청소기에는 부직포를 이용한 일회용 시트에서 극세사 천과 같이 반복적으로 세척해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시트 등 다양한 재질의 청소용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시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밀대 청소기는 시트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청소가 진행되어 시트가 더러워지게 되면, 본체에서 사용된 시트를 분리 제거하고 새로운 시트를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밀대 청소기는 청소 과정에서 시트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본체에 대한 시트의 교체 및 고정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최근 들어, 입식 문화의 발달로 인해 서서 사용할 수 있는 밀대 청소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체에 시트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하여 고정함으로써, 밀대 청소기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과제는 청소시트를 보다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 고정함으로써, 청소시트 교체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청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된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밀대 청소기는, 청소시트를 바닥에 부착 고정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자루가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청소시트와 접하는 바닥면을 이루는 하판, 상기 하판에 끼워져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하판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하판의 선단을 상판에 가압 밀착하는 내부판, 및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청소시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하판에 쿠션력을 인가하는 쿠션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판의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판에 대해 개폐되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서 청소시트를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홀더부, 및 상기 누름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누름판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 및 상기 상판 상에 상기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내부판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결합부 대응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의 리브가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판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누름판에 설치되어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고무,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판은 중앙부에 상기 하판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을 가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판은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부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는 표면에 복수개의 핀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판은 내면의 상기 스파이크 대응 위치에 상기 스파이크가 놓여 지지되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살부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청소시트의 분리 및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청소시트 교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에 청소시트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소시트가 탄력적으로 바닥에 밀착되어 청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청소시트 고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내부판 및 하판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하판 표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밀대 청소기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밀대 청소기는 청소시트(도 2의 S 참조)를 부착 고정하는 본체(100), 및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200)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시트(S)는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을 닦아내기 위한 걸레로 사용되는 천으로, 본 실시예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청소시트(S)는 부직포 재질의 시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재질의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청소시트(S)는 크기나 두께 등의 사양이 일정하게 규격화되어 시중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별도로 제공된 청소시트(S)를 준비하여 본 실시예의 청소기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루(200)는 본체(100) 상단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본체(100)는 자루(200)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자루(200)는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자루는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바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자루(200)는 다양한 길이와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는 직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체(100)는 직사각형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가능하다. 이하 설명에서, 직사각 형태의 본체(100)에 대해 x축 방향을 단축 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장축방향이라 한다. 또한, 상이나 상부라 함은 자루(200)가 위쪽으로 가도록 하여 청소기를 세웠을 때 z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지칭하고, 하 또는 하부라 함은 그 반대인 아래쪽을 지칭할 수 있다.
본체(100)는 자루(200)가 설치되는 상판(10), 상판(10) 하부에 설치되어 청소시트(S)와 접하는 바닥면을 이루는 하판(20), 하판(20)에 끼워져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서 하판(20)을 받쳐 지지하며 하판(20)의 선단을 상판(10)에 가압 밀착하는 내부판(30), 및 상판(10)에 구비되어 청소시트(S)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10)과 내부판(30) 및 하판(20)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판(10)과 내부판(30)은 볼트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하판(20)은 내부판(30) 위쪽으로 감싸여진 선단부가 상판(10)과 하판(2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판(10)은 상부 중앙에 자루(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단축방향을 따라 상판(10)의 양 선단부에는 청소시트(S) 고정을 위한 누름판(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내부판(30)은 상판(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판(30)과 상판(1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판(10)과 내부판(30)의 마주하는 접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돌출핀과 돌출핀이 끼워지는 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판(10)에 형성된 돌출핀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내부판(30)의 홈에 끼워지면서 상판(10)과 내부판(30)이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판(10)과 내부판(30)은 틈새가 없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에는 선단부를 따라 단일폐곡선 구조의 철부(11)가 돌출 형성되고, 내부판(30)에는 철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11)가 끼워지는 단일폐곡선 구조의 요홈(31)이 형성된다. 이에, 상판(10)의 철부(11)가 내부판(30)의 요홈(31)에 끼워지면 상판(10)과 내부판(30)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선단부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소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상판(10)과 내부판(30) 사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시트(S)를 견고히 고정해서 청소 중에 시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판(20)은 내부판(30)의 선단부를 감싸며 결합되어 본체(100)의 하단을 이룬다. 하판(20)의 외측 선단은 안쪽으로 오므려져 내부판(30) 선단을 감싸는 끼움부(21)를 형성한다. 내부판(30)은 끼움부(21)에 끼워져 하판(20)과 결합된다.
하판(20)은 미끄러움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판(20)은 고무,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판(20)은 청소시트(S)와 긴밀하게 밀착되어 청소 과정에서 청소시트(S)가 하판(20)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판(20)의 미끄럼 방지 구조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하판(20)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끼움부(21)가 탄성적으로 신축되면서 내부판(30)을 끼움부(21)에 용이하게 끼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판(10)과 내부판(30) 결합시 하판(20)의 끼움부(21)가 상판(10)과 내부판(30)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기밀성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판(20)의 끼움부(21)와 이에 접하는 상판(10) 사이에는 홈부(22)와 격벽(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의 외측 선단을 따라 하판(20)의 끼움부(21)를 향해 단일폐곡선 구조의 격벽(12)이 돌출 형성된다. 하판(20)의 끼움부(21)에는 격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12)이 끼워지는 단일폐곡선 구조의 홈부(22)가 형성된다. 이에, 상판(10)의 격벽(12)이 하판(20) 끼움부(21)의 홈부(22)에 맞물리면서 상판(10)과 하판(20) 사이가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고 선단부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소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상판(10)과 하판(20) 사이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소시트(S)를 견고히 고정해서 청소 중에 시트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본체(100)의 내부판(30)과 하판(20) 사이에 설치되어 하판(20)에 쿠션력을 인가하는 쿠션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재(50)에 의해 하판(20)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부푼 형태를 이루어, 힘을 가해 본체(100)를 바닥에 눌러주었을 때, 쿠션재(50)가 눌리면서 하판(20)에 쿠션력을 가하게 된다. 이에, 쿠션재(50)에 의해 하판(20)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청소시트(S)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판(20) 밑에 밀착되어 있는 청소시트(S)를 바닥에 고르게 밀착시켜 효과적으로 바닥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쿠션재(50)는 예를 들어, 스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재(50)의 두께나 크기, 쿠션력 등은 청소용도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쿠션재(50)는 하판(20)의 중심 위치에 놓여질 수 있다. 하판(20) 내면에는 쿠션재(50)의 크기에 맞춰 쿠션재(50)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도 5의 23 참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23)는 직각으로 굽어진 구조로, 4개의 스토퍼(23)가 쿠션재(50)의 모서리 위치에 맞춰 하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쿠션재(50)는 스토퍼(23)에 걸려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중심부에 계속 정위치하여 하판(20)의 전체에 고르게 쿠션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청소 과정에서 청소시트(S)를 바닥에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부는 청소시트(S)를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이에, 필요시 청소시트(S)를 본체(100)에 고정하거나, 사용된 청소시트(S)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상판(10)의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판(10)에 대해 개폐되는 누름판(40), 누름판(40)과 상판(10) 사이에서 청소시트(S)를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홀더부, 및 누름판(40)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누름판(40)은 두 개가 상판(10)의 단축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다. 각각의 누름판(4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 구동될 수 있다. 누름판(40)은 장축방향으로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상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판(40)은 선단 일측이 상판(10)에서 간격을 두고 위쪽으로 굽어져 형성되어 손잡이(41)를 이룬다. 이에, 사용자는 상판(10)과 이격된 손잡이(41)를 이용하여 누름판(4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홀더부는 누름판(4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60), 및 상판(10) 상에 리브(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리브(60)가 삽입되는 결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홀더부는 내부판(30)에 결합부(62)가 형성되고, 상판(10)은 결합부(62) 대응위치에 홀(61)이 형성되어, 누름판(40)의 리브(60)가 홀(61)을 관통하여 내부판(30)의 결합부(62)에 끼워지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판(10) 상에 결합부(62)를 형성하지 않고 단지 홀(61)만을 형성할 수 있어, 상판(1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재질의 내부판(30)에 결합부(62)를 형성함으로써, 결합부(62)가 리브(60)에 탄성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리브(60) 고정 및 청소시트(S)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60)는 두 개가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브(60)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상판(10)에 두 개의 홀(61)이 형성되고, 내부판(30)에 두 개의 결합부(62)가 형성된다. 리브(60)는 장축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리브(60)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60)의 선단에는 리브(60)의 단면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원형 단면 형태의 머리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62)는 내부판(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62)는 리브(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격된 틈새를 갖는 한 쌍의 지지판(64)과, 각 지지판(64)의 하단과 내부판(30) 사이를 연결하며 원호형태로 굽어져 탄성력을 발생하는 탄성절곡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지지판(64)은 단축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되며, 리브(60)의 길이에 대응하여 장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두 지지판(64)은 마주하는 내측 상단을 따라 리브(60)의 머리부(61)가 걸리도록 된 걸림부(6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두 지지판(64)의 걸림부(66) 사이 간격은 리브(60)의 머리부(61) 직경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누름판(40)이 닫히면서 리브(60)가 결합부(62)에 맞물리게 되면, 리브(60)에 형성된 머리부(61)가 결합부(62)의 두 지지판(64)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66)에 걸려 보다 견고하게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시트(S)가 서로 맞물려 있는 리브(60)와 결합부(62)에 의해 본체(100)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다.
잠금부는 자력을 이용하여 누름판(40)을 상판(10)에 닫힌 상태로 고정한다. 본 실시예의 잠금부는 상판(10) 안쪽에 설치되어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70), 및 자석(7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누름판(40)에 설치되어 자석(70)에 부착되는 자성체(71)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71)는 예를 들어, 자석(70)에 부착되는 철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70)은 내부판(30)에 설치되어 상판(1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자석(70)이 본체(100)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되며 사용 중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내부판(30)의 상부 또는 상판(10)의 하부에는 자석(7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72)가 자석(70)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72)에 자석(7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내부판(30)을 상판(10)에 조립함으로써, 자석(70)이 상판(10)과 내부판(30) 사이에서 고정 설치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청소시트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0)을 상판(10)에서 회전시켜 위로 들어 올려주게 되면 누름판(40)이 개방된다. 누름판(40)이 개방되면 청소시트(S)의 선단을 상판(10)쪽으로 이동시켜 개방된 누름판(40)과 상판(10) 사이로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누름판(40)을 아래로 회전시켜 닫아주게 되면 누름판(40)에 형성된 리브(60)가 결합부(62)에 맞물리면서 청소시트(S)가 리브(60)와 결합부(62)의 지지판(6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누름판(40)이 닫힘에 따라 리브(60)의 선단에 형성된 머리부(61)는 결합부(62)의 두 지지판(64) 사이로 삽입되고, 결합부(62)에 의해 청소시트(S) 역시 눌려져 결합부(62)의 지지판(64) 사이로 끼워진다. 리브(60)의 머리부(61)가 두 지지판(64) 선단 사이를 지나면서 지지판(64)이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진다. 지지판(64) 하단에 만곡 형성된 탄성절곡부(65)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지지판(64)이 벌어지고 리브(60)의 머리부(61)와 청소시트(S)가 지지판(64) 사이로 삽입된다.
리브의 머리부(61)가 완전히 지지판(64) 사이로 삽입되면, 청소시트(S)는 일부분이 리브(60)에 의해 결합부(62)에 끼워져 맞물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지지판(64)은 탄성절곡부(6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두 지지판(64)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이에, 지지판(64)에 형성된 걸림부(66)에 리브(60)의 머리부(61)가 걸려 보다 강력하게 맞물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청소시트(S)는 맞물려 있는 리브(60)의 머리부(61)와 지지판(64)의 걸림부(66) 사이에 끼워져 있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누름판(40)이 완전히 회전되어 상판(10) 상에 닫혀지게 되면, 상판(10) 내측에 설치된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누름판(40)의 자성체(71)가 끌어당겨져, 상판(10)에 누름판(40)이 고정된다. 이에, 누름판(40)은 자석(70)에 자성체(71)가 부착되어 상판(10)에 대한 닫힘 상태를 게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청소시트(S)를 본체(100)에 고정하여 본체(100)의 하판(20) 바닥에 청소시트(S)를 밀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루(200)로 본체(100)를 가압하면서 바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청소시트(S)가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되면서 청소시트의 이탈 없이 바닥의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하판(20)에 부착된 청소시트(S)에 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내부판(30) 중앙부에 하판(20)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80)가 돌출 형성되어 하판(20)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판(20)은 내면의 스파이크(80) 대응 위치에 스파이크(80)가 놓여 지지되도록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살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파이크(8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파이크(80)는 장축방향으로 긴 마름모 형태로 배열 형성된다. 이에, 보다 효과적으로 하판(20)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살부(81) 역시 스파이크(8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스파이크(80)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살부(81)에 힘을 가할 수 있다.
하판(20) 내측에 구비된 쿠션재(50)에 의해 하판(20)은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력이 분산되어 청소시트(S)의 전면을 바닥에 고르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에 보다 더 누르는 힘을 가하게 되면 스파이크(80)가 형성된 위치에서는 하판(20)이 스파이크(80)와 접하면서 스파이크(80)에 의해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스파이크(80)가 하판(20)을 가압하여 청소시트(S)를 바닥에 강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스파이크(80)를 통해 작은 영역에 집중적인 힘을 가해 바닥의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스파이크(80)와 접하는 하판(20)의 내면에는 두꺼운 살부(81)가 형성되어 있어, 스파이크(80)와의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청소기는 청소시트(S) 전면에 고르게 압력을 가하거나 특정 부분에 압력을 집중시킬 수 있어, 바닥의 오염 상태에 따라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밑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0)은 청소시트(S)가 미끄러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복수의 엠보싱부(90)가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부(90)는 하편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 엠보싱부(90)는 육각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부(90)는 간격을 두고 벌집 형태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부(90)에 의해 하판(20) 표면이 전체적으로 요철 형태를 이루어 청소시트(S)와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엠보싱부(90) 표면에는 복수개의 핀(9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육각의 엠보싱부(90)는 물론, 엠보싱부(90)에 형성될 핀(91)들에 의해 하판(20)와 청소시트(S) 사이의 마찰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청소시트(S)가 하판(20)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어 청소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부판(30)의 스파이크(8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엠보싱부(90)의 경우, 즉 살부(81)에 위치한 엠보싱부(90)는 표면에 핀 대신 스트라이프 형태의 라인(92)이 연속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스파이크(80)가 하판(20)의 살부(81)를 가압함에 따라 해당 위치에 배치된 라인(92)이 형성된 엠보싱부(90)가 청소시트(S)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상판 11 : 철부
12 : 격벽 20 : 하판
21 : 끼움부 22 : 홈부
23 : 스토퍼 30 : 내부판
31 : 요홈 40 : 누름판
41 : 손잡이 50 : 쿠션재
60 : 리브 61 : 머리부
62 : 결합부 63 : 홀
64 : 지지판 65 : 탄성절곡부
66 : 걸림부 70 : 자석
71 : 자성체 72 : 안착부
80 : 스파이크 81 : 살부
90 : 엠보싱부 91 : 핀
92 : 라인 100: 본체
200: 자루

Claims (9)

  1. 청소시트를 바닥에 부착 고정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자루가 설치되는 상판,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어 청소시트와 접하는 바닥면을 이루는 하판, 상기 하판에 끼워져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하판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하판의 선단을 상판에 가압 밀착하는 내부판, 상기 상판에 구비되어 청소시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내부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하판에 쿠션력을 인가하는 쿠션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판의 적어도 일측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판에 대해 개폐되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서 청소시트를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홀더부, 및 상기 누름판을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하판 내면에는 상기 쿠션재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상기 쿠션재를 상기 하판의 중심 위치에 위치시켜, 하판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부푼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상판에는 선단부를 따라 단일 단일폐곡선 구조의 철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판에는 상기 철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철부가 끼워지는 단일폐곡선 구조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판과 내부판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고,
    상기 하판의 외측 선단은 안쪽으로 오므려져 상기 내부판 선단을 감싸는 끼움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판은 상기 끼움부에 끼워져 상기 하판과 결합되고,
    상기 상판의 외측 선단을 따라 상기 하판의 끼움부를 향해 단일 폐곡선 구조의 격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판의 끼움부에는 상기 격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격벽이 끼워지는 단일폐곡선 구조의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이 홈부에 맞물리면서 상판과 하판이 긴밀하게 밀착 결합되는 밀대 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누름판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 및 상기 상판 상에 상기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리브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내부판에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결합부 대응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누름판의 리브가 홀을 관통하여 상기 내부판의 결합부에 끼워지는 밀대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자력을 인가하는 자석, 및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누름판에 설치되어 자석에 부착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판은 중앙부에 상기 하판을 향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판을 가압하는 밀대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표면에 복수의 스파이크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파이크는 표면에 복수개의 핀이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밀대 청소기.
KR1020180143595A 2018-11-20 2018-11-20 밀대 청소기 KR10209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5A KR102099958B1 (ko) 2018-11-20 2018-11-20 밀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595A KR102099958B1 (ko) 2018-11-20 2018-11-20 밀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958B1 true KR102099958B1 (ko) 2020-04-13

Family

ID=7022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595A KR102099958B1 (ko) 2018-11-20 2018-11-20 밀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30A (ko) * 2020-11-02 2022-05-10 이권 일회용 물티슈를 결합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882U (ja) * 1995-08-22 1996-04-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清掃用具
JP2005103196A (ja) * 2003-10-02 2005-04-21 Kaoru Nakatani モップ基台
KR200424529Y1 (ko) * 2006-06-02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밀걸레
KR100746080B1 (ko) * 2005-12-06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882U (ja) * 1995-08-22 1996-04-02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清掃用具
JP2005103196A (ja) * 2003-10-02 2005-04-21 Kaoru Nakatani モップ基台
KR100746080B1 (ko) * 2005-12-06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및 그 사용방법
KR200424529Y1 (ko) * 2006-06-02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밀걸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030A (ko) * 2020-11-02 2022-05-10 이권 일회용 물티슈를 결합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
KR102438338B1 (ko) * 2020-11-02 2022-08-31 이권 일회용 물티슈를 결합할 수 있는 스팀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1403B2 (en) Cleaning implement
US2269424A (en) Dust mop
KR101556351B1 (ko)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KR102099958B1 (ko) 밀대 청소기
KR200403071Y1 (ko) 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
US9072419B1 (en) Apparatus to remove a disposable cloth from a hand operated sweeping mop applicator without having to touch the disposable cloth
KR100816872B1 (ko) 멀티 청소기
US3680168A (en) Fabric brush
KR20100045803A (ko)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2099960B1 (ko) 밀대 청소기
KR102099959B1 (ko) 밀대 청소기
US983971A (en) Pneumatic cleaning implement.
US20200275820A1 (en)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Mop Material
US20090044359A1 (en) Suction brush having hair removal unit for vacuum cleaner
JP3801288B2 (ja) 清掃具
KR200463212Y1 (ko) 전면에 돌기부가 부착된 클리너
KR102148684B1 (ko) 청소용구
KR10195373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KR102361629B1 (ko) 기능성 밀대걸레
KR102123527B1 (ko) 청소용구
CN212816157U (zh) 清洁工具
JP7333237B2 (ja) 掃除具
JP2003174990A (ja) 清掃具
KR102359221B1 (ko) 청소 도구
JPH09140651A (ja) 掃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