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21B1 - 청소 도구 - Google Patents

청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21B1
KR102359221B1 KR1020190144130A KR20190144130A KR102359221B1 KR 102359221 B1 KR102359221 B1 KR 102359221B1 KR 1020190144130 A KR1020190144130 A KR 1020190144130A KR 20190144130 A KR20190144130 A KR 20190144130A KR 102359221 B1 KR102359221 B1 KR 10235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fixing part
tissue
fix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403A (ko
Inventor
구현우
Original Assignee
구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현우 filed Critical 구현우
Priority to KR102019014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21B1/ko
Priority to PCT/KR2020/015577 priority patent/WO2021096171A1/ko
Publication of KR2021005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도구는, 티슈가 착탈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와, 본체에 수평 및/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그 일 면에 티슈가 위치하여 고정되는 청소영역과, 본체에 결합 및/또는 형성되고 티슈가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안착영역을 구비하며, 고정부는 본체에 대해 수평 및/또는 상하 이동하여 청소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티슈와 밀착 및/또는 걸어 잡아 당겨서 안착영역에 위치시켜 고정한다.

Description

청소 도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티슈를 용이하게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청소 도구는 빗자루 및 쓰레받기, 막대 걸레 등과 같은 저가이면서 간단한 구성을 갖는 것에서부터 전자식 자동 청소기 또는 자동 물걸레 청소기 등과 같은 고가이면서 복잡한 구성을 갖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격 및 성능을 갖는 제품들을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1인 가구 및 자동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물티슈 등을 간편하게 삽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밀대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밀대봉에 전용 걸레를 부착한 후 사용하는 막대 걸레 등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물티슈를 이용하는 밀대봉 또는 막대 걸레 등은 사용 과정에서 물티슈 또는 부착된 걸레가 빠지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청소를 중단하고 다시 물티슈 또는 걸레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초래된다. 그리고 종래의 밀대봉은 부피가 크고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일본 등록특허 제650451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제작이 용이한 청소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청소 도구는, 티슈가 착탈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와, 본체에 수평 및/또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본체는 그 일 면에 티슈가 위치하여 고정되는 청소영역과, 본체에 결합 및/또는 형성되고 티슈가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안착영역을 구비하며, 고정부는 본체에 대해 수평 및/또는 상하 이동하여 청소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티슈와 밀착 및/또는 걸어 잡아 당겨서 안착영역에 위치시켜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고정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티슈와 밀착 및/또는 걸어 잡아 당길 수 있다.
본체는 이동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고정부는 이동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이동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걸림돌기가 이동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이동가이드홈은 고정부의 측면에 구비된 측면돌기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는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수평 및 상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체는 본체돌기를 구비하고, 고정부는 본체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는 스토퍼돌기를 구비하고, 스토퍼돌기는 본체돌기에 걸릴 수 있다.
안착영역에는 티슈의 이탈 방지를 위해서 안착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에 결합하는 손잡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청소영역은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곡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영역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는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걸림면을 구비하고, 걸림면의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하고 구성이 간단한 청소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를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의 본체를 예시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의 고정부를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상태에 대한 청소 도구의 정면도.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청소 도구의 단면도.
도 8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청소 도구의 단면도.
도 9는 도 2에서 고정부가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부재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상태에 대한 청소 부재의 정면도.
도 1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청소 도구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은 고정부(130)의 잠금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고정부(130)의 확장 상태를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티슈(170)가 결합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연결되는 손잡이(16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바닥면에 놓여진 티슈(170)의 상부에 본체(110)를 올려 놓고 한 쌍의 고정부(1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즉, 도 2의 상태에서 도1의 상태로 고정부(130) 이동), 티슈(170)의 양 단부가 본체(110)의 안착영역(128)으로 끌려 오면서 고정부(130)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로 인해, 본체(110)의 청소영역(126)에 티슈(170)가 위치하여 고정되고, 사용자는 손잡이(160)를 파지하면서 티슈(170)를 이용하여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티슈(170)는 종이, 섬유 및 합성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티슈(170)는 걸레, 휴지 및 융 등 그 형태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티슈(170)에 물을 흡수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손잡이(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100)의 본체(11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본체(110)는 티슈(170)의 일면(청소면의 반대면)을 지지하고 그 양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10)는 플라스틱 사출 등에 의해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본체(110)와 손잡이(16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본체(110)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본체(110)의 형상에 의해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의 본체는 타원형,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상면(112)과 하면에 해당하는 청소영역(126)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상면(112)에는 티슈(170)의 양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부(13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고정부(130)는 본체상면(112)에 형성된 이동가이드부재(114)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티슈(170)를 본체상면(112)에 형성된 안착영역(128)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상면(112)에는 이동가이드부재(114)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114)는 고정부(130)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동가이드부재(114)는 본체상면(112)에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114)는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그 상단부에서 수직 돌출된 부분은 걸림돌기(116)에 해당한다. 걸림돌기(116)는 고정부(130)의 측면(146)에 형성된 이동가이드홈(148)에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130)가 이동가이드부재(114)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16)는 본체상면(112)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상면(112)에는 본체돌기(118)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돌기(118)는 고정부(13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그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상면(112)의 양 단부에는 안착단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단턱(120)은 본체상면(112)의 양 단부에 홈 또는 돌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130)가 잠금 상태에서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착단턱(120)의 외측면에는 본체경사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경사면(122)은 고정부(130)가 안착단턱(120)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본체상면(112)에서 안착단턱(120)과 이동가이드부재(114)의 사이는 티슈(170)의 단부가 위치하는 안착영역(128)에 해당한다. 티슈(170)의 단부는 안착영역(128)에 위치하면서 고정부(130)의 고정돌기(142)에 의해서 하향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안착영역(128)은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체(11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청소영역(126)은 본체(110)의 하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청소영역(126)은 티슈(170)의 상면과 접촉하면서 티슈(170)가 청소 영역에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청소 영역을 정사각 형상을 갖고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곡면 형상의 청소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청소영역이 본체(11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본체(110)의 일 측에는 연결부재(124)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재(124)에는 손잡이(16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예시된 청소 도구(100)의 고정부(13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한 쌍의 고정부(130)를 구비하고, 고정부(130)는 본체상면(112)에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고정부(130)는 본체상면(112)에서 외측으로 확장하거나(도 2 참고) 또는 내측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130)는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티슈(170)를 끌어 당겨서 안착영역(128)에 안착되도록 한다.
고정부(130)는 편평하게 형성된 고정부상면(132)을 구비한다. 고정부상면(132)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청소 도구(100)의 상부로 노출되는 면에 해당한다. 고정부상면(132)에는 슬롯(134)이 형성되고, 슬롯(134)의 사이에는 스토퍼돌기(136)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슬롯(134)에 의해서 스토퍼돌기(136)가 탄성력을 갖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130)를 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돌기(136)는 본체상면(112)에 형성된 본체돌기(118)에 걸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고정부(130)의 수평 이동이 제한된다(도 7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30)는 스토퍼돌기(136)가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도구의 고정부는 스토퍼돌기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두 개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고정부(130)는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면(140)을 구비한다. 걸림면(140)은 본체(110)의 테두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 경사각도는 본체(110)에 형성된 본체경사면(12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면(140)의 단부에는 톱니 형상의 고정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42)는 끝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고정돌기(142)는 티슈(17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끌어 당길 수 있게 된다.
고정부(13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144)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어 있다. 고정가이드(144)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그 사이에는 본체상면(112)에 형성된 본체돌기(118)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고정가이드(144)는 고정부(130)의 이동시 유격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돌기(136)는 고정가이드(144)의 단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위치한다.
고정부(130)는 한 쌍의 측면(146)을 구비한다. 고정부(130)가 스토퍼돌기(136)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기 때문에, 한 쌍의 측면(146)도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측면(146)의 내부에는 측면돌기(150)가 고정부상면(132)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돌기(150)는 걸림면(140)에서 시작해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된다. 측면돌기(150)와 고정부상면(132) 사이에는 이동가이드홈(148)이 형성된다. 또한, 측면돌기(150)는 고정부상면(132)과 수평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부에는 이동가이드부재(114)의 걸림돌기(116)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이동가이드홈(148)의 폭은 걸림돌기(116)의 두께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130)는 수평 방향 이동은 물론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동가이드홈(148)의 폭은 입구에서 단부 방향(걸림면(140) 방향)으로 향할수록 감소한다.
고정부(130)의 하면 및 일 측면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100)는 동일한 크기 및 구성을 갖는 한 쌍의 고정부(130)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도구는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고정부를 갖거나 또는 하나의 고정부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의 상태에 대한 청소 도구(100)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한 쌍의 고정부(130)는 모두 확장 상태에 있는 것으로 티슈(170)가 본체(110)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한다.
티슈(170)는 바닥면에 놓여질 수 있고, 티슈(170)의 상면과 본체(110)의 청소영역(126)이 접촉한 상태로 본체(110)가 배치될 수 있다. 티슈(170)의 양 단부는 청소영역(126)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부(130)는 티슈(170)를 고정하기 위해서 청소영역(126)에서 벗어나 본체(110)의 외부로 확장된 상태에 있다. 고정부(130)의 단부에 해당하는 고정돌기(142)는 티슈(17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확장 상태에서는 고정부(130)가 양 측방향으로 최대로 이동한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스토퍼돌기(136)는 본체돌기(118)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확장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부재(114)의 걸림돌기(116)는 이동가이드홈(148)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16)과 고정부상면(132)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고정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30)의 고정부상면(132)은 본체(110)의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확장 상태에서 티슈(170)를 안착영역(128)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130)를 본체상면(112)의 중심 방향으로 수평 방향 이동하면 도 9 및 도 10과 같은 상태로 된다.
도 9는 도 2에서 고정부(13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예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이동가이드부재(114)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티슈(170)를 안착영역(128)에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1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이때, 티슈(170)의 단부는 고정부(130)의 고정돌기(142)에 의해서 안착영역(128)으로 끌려 온다. 그리고 고정부(130)의 이동 과정에서 걸림돌기(116)는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부에 더욱 진입해서 이동하는데, 이로 인해, 고정부(130)가 좌우 방향으로 유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걸림돌기(116)의 상단부와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면 사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격에 의해서 고정부(130)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추가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130)의 고정부상면(132)은 본체(110)의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위치한다.
도 9 내지 도 10의 상태에서 고정부(130)를 화살표 방향으로 추가 이동하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고정부(130)는 잠금 상태가 된다.
도 11은 도 1의 상태에 대한 청소 부재(10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청소 도구(100)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고정부(130)가 본체상면(112)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그 내부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고정부(130)가 티슈(170)를 완전히 안착영역(128)에 결합하고 있는 잠금 상태를 예시한다.
고정부(130)가 잠금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서, 걸림돌기(116)는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부로 추가적으로 진입한다. 이때, 고정부(130)의 고정돌기(142)는 안착단턱(120)을 통과한다. 이는, 걸림돌기(116)의 상면과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면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130)의 수직 방향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고정부(130)의 이동이 완료되어 잠금상태가 되면, 걸림돌기(116)는 이동가이드홈(148)의 내부에 압입되어 쐐기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즉, 이동가이드홈(148)은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축소되는 형상을 갖기 때문에, 걸림돌기(116)가 이동가이드홈(148)의 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쐐기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쐐기 효과에 의해서 고정부(130)는 티슈(170)를 안착영역(128)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고정부(130)는 본체상면(112)의 중심 방향으로는 추가 이동할 수 없고 외측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 고정부(130)의 고정부상면(132)은 본체상면(112)과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티슈(170)가 본체(110)에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160)를 잡고 청소 대상(도시하지 않음)에 티슈(170)를 밀착시켜서 청소를 할 수 있다. 손잡이(16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청소영역(126)을 청소 대상에 용이하게 밀착시켜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청소를 완료한 후 본체(110)에서 티슈(170)를 분리하기 위해서 고정부(130)를 결합 과정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즉, 도 11 및 도 12의 상태에서 고정부(130)를 외측으로 확장시켜서 안착영역(128)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청소 도구
110: 본체
130: 고정부
160: 손잡이
170: 티슈

Claims (11)

  1. 티슈가 착탈 가능하게 위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그 일 면에 티슈가 위치하여 고정되는 청소영역과, 상기 본체에 결합 또는 형성되고 티슈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되는 안착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청소영역의 외부로 노출된 티슈를 잡아 당겨서 상기 안착영역에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본체는 본체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스토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본체돌기에 걸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고정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티슈를 잡아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동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재가 삽입되는 이동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이동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가이드홈은 상기 고정부의 측면에 구비된 측면돌기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가이드홈의 내부에서 수평 및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6.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7.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 사이에서 하향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영역에는 티슈의 이탈 방지를 위해서 안착단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영역은 편평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영역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걸림면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면의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도구.
KR1020190144130A 2019-11-12 2019-11-12 청소 도구 KR10235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30A KR102359221B1 (ko) 2019-11-12 2019-11-12 청소 도구
PCT/KR2020/015577 WO2021096171A1 (ko) 2019-11-12 2020-11-09 청소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130A KR102359221B1 (ko) 2019-11-12 2019-11-12 청소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03A KR20210057403A (ko) 2021-05-21
KR102359221B1 true KR102359221B1 (ko) 2022-02-07

Family

ID=7591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130A KR102359221B1 (ko) 2019-11-12 2019-11-12 청소 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9221B1 (ko)
WO (1) WO202109617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26Y1 (ko) * 2000-12-05 2001-06-15 문재순 봉걸레용 걸레 고정판
KR100687288B1 (ko) * 2004-10-27 2007-02-27 삼정크린마스터(주) 물걸레 청소기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519U (ja) 1983-02-18 1984-12-03 株式会社フジ電科 気密端子用リ−ド線
US9226638B2 (en) * 2010-11-04 2016-0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p
GB2504674B (en) * 2012-08-03 2014-11-26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726Y1 (ko) * 2000-12-05 2001-06-15 문재순 봉걸레용 걸레 고정판
KR100687288B1 (ko) * 2004-10-27 2007-02-27 삼정크린마스터(주) 물걸레 청소기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403A (ko) 2021-05-21
WO2021096171A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584B1 (ko) 청소기 거치대
US8028966B2 (en) Hanger device
US10016054B1 (en) Broom and dustpan
CN105011858A (zh) 用于真空吸尘器的清洁工具和清洁装置
JP5424690B2 (ja) 押込スライド着脱型清掃具
KR102359221B1 (ko) 청소 도구
CN203335555U (zh) 一种连接结构
KR101374503B1 (ko) 마포걸레용 홀더
US8914937B2 (en) Hinge assembly for steam cleaner
EP2774525A2 (en) Mop
KR101740063B1 (ko) 청소 도구
US1993571A (en) Holder for sheet material
US2559722A (en) Mop head holder
KR20190091418A (ko) 청소 도구
US10890207B2 (en) Connection to a suction disc
CA3010189C (en) Connection to a suction disc
KR101304606B1 (ko) 진공청소기의 텔레스코픽 연장관
US20030145425A1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accessory
US2079367A (en) Mop attachment
KR102099958B1 (ko) 밀대 청소기
KR102246694B1 (ko) 청소 도구
JP3805856B2 (ja) モップ
CN210386661U (zh) 除尘棒
CN218338400U (zh) 一种拖把胶绵头连接结构
CN112272531B (zh) 包括防脱装置的拖把底座和清洁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