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7288B1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7288B1
KR100687288B1 KR1020040086245A KR20040086245A KR100687288B1 KR 100687288 B1 KR100687288 B1 KR 100687288B1 KR 1020040086245 A KR1020040086245 A KR 1020040086245A KR 20040086245 A KR20040086245 A KR 20040086245A KR 100687288 B1 KR100687288 B1 KR 10068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grip members
rod
lower housing
m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101A (ko
Inventor
심우석
Original Assignee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크린마스터(주) filed Critical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to KR102004008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72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 형상으로서 일정간격 이격된 제1 로드에 그 양측 단부가 결합 고정되며 그 전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돌출되어 하부하우징의 스토퍼리브에 관통 결합되고 그 후단에는 일정각도의 밀림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후방에 축 결합되어지되, 하부절곡면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밀림경사면에 밀착되며 상부절곡면은 상부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그 하측의 원터치록에 의해 잠김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 발판; 코일 형태로서 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리브에 지지된 상태로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와 축 결합된 제1,2 로드의 각 끝단에 결합 고정되어 제1,2 로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일정길이의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와이어가 삽입되어 설정거리 만큼 일정하게 안내되도록 형성하되, 그 양측 끝단은 제1 로드의 끝단 일측과 제2 로드의 후방에 위치된 제1,2 고정구에 의해 결합 고정된 케이블피복; 및 상기 제2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록킹이 해제시 상기 제2 외측그립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져 보다 원활하고 안전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Wet mop}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도시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하우징 12a, 12b:지지리브
20: 상부하우징 30: 손잡이
40a, 40b: 제1,2 내측그립부재 50a, 50b: 제1,2 외측그립부재
60a, 69b: 제1,2 로드 70: 원터치록
100: 슬라이딩부재 110: 가이드바
120: 밀림경사면 130: 스토퍼리브
200: 발판 210: 상부절곡면
220: 하부절곡면 300: 탄성스프링
400a: 연결와이어 400b: 케이블피복
500a, 500b: 제1,2 고정구 600: 코일스프링
700a, 700b: 제1,2 토션스프링 710a, 710b: 외부경사면
720a, 720b: 내부경사면 730a, 730b: 눌림경사면
800a, 800b: 제1,2 가이드판 810a, 810b:가이드돌기
820a, 820b: 가이드홈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바닥을 닦기 위한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의 상부하우징에 노출된 발판을 눌러 하부하우징의 전후에 설치된 제1,2 외측그립부재를 작동시킴으로서 물걸레를 간편하게 탈착시키도록 하되,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작동부의 구성을 개선하여 보다 원활하고 안전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걸레 청소기는 상·하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바닥에 물걸레를 간편하게 부착한 상태에서 상부하우징에 결합된 회전 손잡이를 잡고 바닥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상기 물걸레를 본체의 바닥에 간편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체의 전·후단에 내·외측그립부재가 형성되는 바, 이중 외측그립부재는 본체의 상부하우징을 눌러 전·후 작동되도록 구성됨으로서 내측그립부재 사이에 물걸레의 양측 선단이 물리거나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물걸레 청소기는 상부하우징을 눌러 전·후단에 설치된 외측그립부재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는 다양한 작동부의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종래에 제공된 작동부의 각 구성들은 그 조합 및 작동에 있어서 다소 취약한 문제점이 내재됨으로서 잦은 오작동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각 구성간의 불합리한 조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물걸레 청소기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물걸레를 탈착시키기 위한 제1,2 외측그립부재의 작동 관계를 개선하여 보다 원활하고 안전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그 저면에 물걸레가 밀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한 상태에서 그 중앙에 일정길이의 손잡이자루가 축 결합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에 결합되어 전·후 이정거리 작동되도록 형성된 제1,2 내측그립부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제1,2 로드에 연결되어 제1,2 내측그립부재와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2 외 측그립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와 제1,2 외측그립부재 사이에 물걸레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 형상으로서 상기 일정간격 이격된 제1 로드에 그 양측 단부가 결합 고정되며 그 전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돌출되어 하부하우징의 스토퍼리브에 관통 결합되고 그 후단에는 일정각도의 밀림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후방에 축 결합되어지되, 하부절곡면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밀림경사면에 밀착되며 상부절곡면은 상부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그 하측의 원터치록에 의해 잠김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 발판; 코일 형태로서 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리브에 지지된 상태로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와 축 결합된 제1,2 로드의 각 끝단에 결합 고정되어 제1,2 로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일정길이의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와이어가 삽입되어 설정거리 만큼 일정하게 안내되도록 형성하되, 그 양측 끝단은 제1 로드의 끝단 일측과 제2 로드의 후방에 위치된 제1,2 고정구에 의해 결합 고정된 케이블피복; 및 상기 제2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록킹이 해제시 상기 제2 외측그립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코일스프링;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의 양측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바는 하부하우징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에 관통 결합되어지되, 관통된 가이드바의 끝단에는 하부하우징 상에 결합된 제1,2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어 탄력 지 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후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외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외부경사면에 대응되어 그 경사면을 따라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요입 형성된 내부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의 양측 후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1,2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각 연결로드 상에는 상부하우징을 출입시 그 하단과 밀착되며서 제1,2 외측그립부재의 전단이 하측으로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후방이 돌출된 눌림경사면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 상에는 상기 제1,2 로드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하여 각 로드의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가이드판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제1,2 로드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가 도시된 요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물걸레 청소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슬라이딩부재(100), 발판(200), 탄성스프링(300), 연결와이어(400a), 케이블피복(400b) 제1,2 고정구(500a, 500b) 및 코일스프링(60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하부하우징(10)은 일정한 넓이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그 저면에 물걸레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부하우징(10)의 전·후단에는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가 설치되는 바,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는 각각 그 후단 양측에 가이드바가 돌출되어 하부하우징(10) 상의 지지리브(12a, 12b)와 결합된 상태로 소정거리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는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밀착 또는 이격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거리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는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의 외측에서 물걸레를 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는 각각 그 후단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제1,2 로드(60a, 60b)가 축 결합되어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후단에 연결된 제1,2 로드(60a, 60b)는 하부하우징(10)의 내부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제1 외측그립부(50a)재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로드(60a)가 제2 외측그립부재(50b)에 연결된 한 쌍의 제2 로드(60b)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10)을 커버하여 내부에 결합된 각 구성을 보호하도록 하되, 그 상측 중앙에는 일정길이의 손잡이자루(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후방에 상기 발판(200)이 노출되도록 일정 크기로 절개된 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부하우징(20)은 하부하우징(10) 상에 볼트로서 완전히 고정됨으로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특징인 슬라이딩부재(100)는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양측 단부가 상기 일정간격 이격된 제1 로드(60a)에 결합 고정되며 그 전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110)가 돌출되어 하부하우징(10) 상에 돌출된 스토퍼리브(130)에 관통 결합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상기 발판(200)의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일정각도 작동시 상기 제1 로드(60a)를 동시에 작동시키도록 상호 결합된 구성을 이룬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후단에는 일정각도의 밀림경사면(120)이 형성되는 바, 이는 상기 발판(200)을 누를 경우 그 하부절곡면(220) 하단이 상기 밀림경사면(120)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슬라이딩부재(100)의 전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판(200)은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하부하우징(10)의 돌출된 리브에 축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발판(200)의 하부절곡면(220)은 그 하단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밀림경사면(12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부재(100)를 전진시키도록 형성되며, 상부절곡면(210)은 상부하우징(20)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절곡면(210)의 하측과 관계된 하부 하우징(10) 상에는 발판(200)을 눌러서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원터치록(70)이 형성되는 바, 상기 원터치록(70)은 하부하우징(10)의 바닥에 축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발판(200)의 상부절곡면(210) 하단에 결합된 걸림핀과 잠김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발판(200)을 한 번 누르면 잠기고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잠김이 해제되는 통상의 잠금장치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스프링(300)은 코일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가이드바(110)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리브의 내측에 지지되어 발판(200)의 원터치록(70)이 해제될 경우 상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00)를 후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와이어(400a)는 그 양 끝단이 상기 제1,2 로드(60a, 60b)의 후단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지되, 일정 길이를 유지하여 제1 로드(60a)의 후진시 그 타측에 결합된 제2 로드(60b)를 끌어당겨 후진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피복(400b)은 중공된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연결와이어(400a)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와이어(400a)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어지되, 그 양측 끝단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피복(400b)은 그 양측 끝단이 후술되는 제1,2 고정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결합된 연결와이어(400a)가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2 고정구(500a, 500b)는 상기 제1,2 로드(60a, 60b)의 측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바, 각각의 하부측은 하부하우징(100) 상에 일체로 성형되고 그 상부측은 상기 하부측의 상단에 볼트 결합된다. 이와 같은 제1,2 고정구(500a, 500b)는 상기 케이블피복(400a)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측의 결합면 중앙에는 케이블피복(400a)과 같은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로드(60a)의 측방에 형성된 제1 고정구(500a)의 경우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하가 경사각을 형성하여 연결와이어(400a)의 출입 및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코일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로드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일단은 상기 제2 로드(60b)를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판(800a)에 지지된 상태에서 타단은 상기 제2 로드(60b)의 타측 끝단에 돌출된 리부와 지지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2 외측그립부재(50b)를 밀어내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의 양측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바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하우징(1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12a, 12b)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전·후 일정거리 작동이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리브(12a, 12b)에 관통된 가이드바의 끝단에는 하부하우징(10) 상에 결합된 제1,2 토션스프링(700a, 700b)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며, 이에 대응되는 제1,2 토션스프링(700a, 700b)의 타단은 하부하우징(10) 상의 다른 돌기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상기 제1,2 토션스프링(700a, 700b)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10)의 전·후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외부경사면(710a, 710b)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의 하단에는 상기 외부경사면(710a, 710b)에 대응되는 내부경사면(720a, 720b)이 요입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가 전지시 상호 접하는 경사면에 의해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대향되는 내·외부경사면(710a, 710b)(720a, 72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양측 후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1,2 로드(60a, 60b)와 연결하기 위한 각 연결로드 상에는 후방이 돌출된 눌림경사면(730a, 730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상부하우징(20)을 출입시 그 후단에 결합된 연결로드 상의 눌림경사면(730a, 730b)이 상부하우징(20)의 하단과 밀착되며서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전단이 하측으로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2 로드(60a, 60b)의 보다 안전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부하우징(10) 상에 제1,2 가이드판(800a, 800b)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 가이드판(800a, 800b)은 제1,2 로드(60a, 60b)를 안내하도록 하부하우징(10)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각 제1,2 가이드판(800a, 800b)의 내측에는 가이드돌기(810a, 810b)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810a, 810b)에 대응되어 제1,2 로드(60a, 60b)의 양측에는 가이드홈(820a, 820b)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 지지된 상태로 원활한 전·후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에 의해 물걸레의 탈착이 이루어진다.
먼저, 물걸레 청소기의 물걸레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의 원터치록은 잠김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제1,2 내측 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 그립부재(50a, 50b)는 이격된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재(100)는 탄성스프링(300)의 압력에 의해 후진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물걸레를 펼쳐 하부하우징(10)의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그 전·후 선단을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 사이에 물리도록 한다.
이어, 상기 상부하우징(20)의 개구에 노출된 발판(200)의 상부절곡면(210)을 누르게 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그 하부절곡면(220)이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00)의 밀림경사면(120)을 밀어낸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부재(100)가 전진되면서 탄성스프링(300)을 압착시킴과 동시에, 그 양측에 결합 고정된 제1,2 로드(60a)를 전진시켜 그 축에 연결된 제1 외측 그립부재(50a)를 끌어당김으로서 제1 내측그립부재(40a)와 밀착된다.
한편, 상기 제1 로드(60a)가 전진되면 그 끝단에 결합된 연결와이어(400a)가 제1,2 고정구(500a, 500b)에 고정된 케이블피복(400b)에 안내되면서 타측에 결합된 제2 로드(60b)를 끌어당김으로서 동일한 작용에 의해 제2 외측그립부재(50b)와 제2 내측그립부재(40b)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제1,2 로드(60a, 60b)의 전·후진 작동은 제1,2 가이드판(800a, 800b)와 상호 대응되는 가이드돌기(810a, 810b) 및 가이드홈(820a, 820b)에 의해 안내됨으로서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호 유기적인 작용은 동시에 작동되므로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물걸레 선단은 동시에 물린 상태로 압착 고정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작용은 물걸레를 부착 고정하기 위한 것이며, 물걸레를 분리하기 위하여 발판(200)을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한 번 더 눌러 원터리록(70)을 해제한 경우에는 상기 탄성스프링(300)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부재(100)를 후진시키면서 전진된 제1 로드(60a)의 후진과 동시에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탄력에 의해 제2 로드를(60b)를 전진시킴으로서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상호 이격되어 물걸레를 탈리시키게 된다.
한편,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전지하여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이격될 경우에는 상기 제1,2 토션스프링(700a, 700b)의 탄성력에 의해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를 밀어내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는 그 내부경사면(720a, 720b)에 의해 하부하우징(10)의 외부경사면(710a, 710b)을 따라 일정 높이 하향 가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는 전진되면서 상기 연결로드 상의 눌림경사면(730a, 730b)이 상부하우징(20)의 하단에 간섭되어 일정 높이 하향되면서 연결로드의 하단이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의 상단을 강제로 누르게 된다.
즉,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하부하우징(10)의 내·외부경사 면(710a, 710b)(720a, 720b)에 의하고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의 눌림경사면(730a, 730b)에 의해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전진시에는 양자 일정 높이 내려앉은 상태가 된다.
이어, 사용자가 상기 이격된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 사이에 물걸레의 양측 선단을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발판(20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후진하다가 상기 내·외부경사면(710a, 710b)(720a, 720b)이 상호 밀착되면서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40a, 40b)와 제1,2 외측그립부재(50a, 50b) 사이에 물린 물걸레는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가 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물걸레 청소기의 바닥에 결합되는 물걸레는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서 제공되므로 청소시 물걸레가 접히거나 걸리는 현상 없이 원활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물걸레 청소기에 의하면 슬라이딩부재와 이를 전후진 작동시키기 위한 발판 및 탄성스프링과 제1.2 로드를 동시에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결와이어와 상기 연결와이어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는 제1,2 로울러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보다 원활하고 안전한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서 사용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5)

  1. 판상으로 형성되어 그 저면에 물걸레가 밀착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한 상태에서 그 중앙에 일정길이의 손잡이자루가 축 결합된 상부하우징,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에 결합되어 전·후 일정거리 작동되도록 형성된 제1,2 내측그립부재,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설치된 제1,2 로드에 연결되어 제1,2 내측그립부재와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1,2 외측그립부재,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블록 형상으로서 상기 일정간격 이격된 제1 로드에 그 양측 단부가 결합 고정되며 그 전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가 돌출되어 스토퍼리브에 관통 결합되고 그 후단에는 일정각도의 밀림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후방에 축 결합되어지되 하부절곡면의 하단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밀림경사면에 밀착되며 상부절곡면은 상부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그 하측의 원터치록에 의해 잠김 또는 해제되도록 형성된 발판 및 코일 형태로서 슬라이딩부재의 가이드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스토퍼리브에 지지된 상태로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판을 개폐시키는 작용을 통해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와 제1,2 외측그립부재 사이에 물걸레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물걸레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와 축 결합된 제1,2 로드의 각 끝단에 결합 고정되어 제1,2 로드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일정길이의 연결와이어;
    상기 연결와이어가 삽입되어 설정거리 만큼 일정하게 안내되도록 형성하되, 그 양측 끝단은 제1 로드의 끝단 일측과 제2 로드의 후방에 위치된 제1,2 고정구에 의해 결합 고정된 케이블피복; 및
    상기 제2 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발판의 록킹이 해제시 상기 제2 외측그립부재를 외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코일스프링; 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의 양측 후단에 형성된 가이드바는 하부하우징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지지리브에 관통 결합되어지되, 관통된 가이드바의 끝단에는 하부하우징 상에 결합된 제1,2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결합 고정되어 탄력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전·후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외부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내측그립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외부경사면에 대응되어 그 경사면을 따라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요입 형성된 내부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외측그립부재의 양측 후단에 돌출되어 상기 제1,2 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각 연결로드 상에는 상부하우징을 출입시 그 하단과 밀착되며서 제1,2 외측그립부재의 전단이 하측으로 일정 높이 미끄러져 내리도록 후방이 돌출된 눌림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 상에는 상기 제1,2 로드를 가이드 지지하기 위하여 각 로드의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돌출된 가이드판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제1,2 로드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호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KR1020040086245A 2004-10-27 2004-10-27 물걸레 청소기 KR10068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45A KR100687288B1 (ko) 2004-10-27 2004-10-27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245A KR100687288B1 (ko) 2004-10-27 2004-10-27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101A KR20040097101A (ko) 2004-11-17
KR100687288B1 true KR100687288B1 (ko) 2007-02-27

Family

ID=37375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245A KR100687288B1 (ko) 2004-10-27 2004-10-27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7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1A1 (ko) * 2019-11-12 2021-05-20 구현우 청소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723B1 (ko) * 2005-07-25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KR101143701B1 (ko) * 2005-07-25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겸용 진공 청소기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915A (ja) * 1994-11-18 1996-06-04 Hyun Sukku Park 雑巾の交換しやすいウェットモップ掃除機
KR20030036719A (ko) * 2000-08-23 2003-05-09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주조용 냉각식 연속 주조 주형
KR200336719Y1 (ko) 2003-09-23 2003-12-18 박현수 물걸레 청소기
KR200336555Y1 (ko) 2003-08-23 2003-12-18 박상훈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6294A (ko) * 2002-09-24 2004-03-31 박현숙 면포걸레 청소기
KR20040097068A (ko) * 2004-10-22 2004-11-17 삼정크린마스터(주) 물걸레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915A (ja) * 1994-11-18 1996-06-04 Hyun Sukku Park 雑巾の交換しやすいウェットモップ掃除機
KR20030036719A (ko) * 2000-08-23 2003-05-09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금속 주조용 냉각식 연속 주조 주형
KR20040026294A (ko) * 2002-09-24 2004-03-31 박현숙 면포걸레 청소기
KR200336555Y1 (ko) 2003-08-23 2003-12-18 박상훈 물걸레 청소기
KR200336719Y1 (ko) 2003-09-23 2003-12-18 박현수 물걸레 청소기
KR20040097068A (ko) * 2004-10-22 2004-11-17 삼정크린마스터(주) 물걸레 청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36719000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71A1 (ko) * 2019-11-12 2021-05-20 구현우 청소 도구
KR20210057403A (ko) * 2019-11-12 2021-05-21 구현우 청소 도구
KR102359221B1 (ko) * 2019-11-12 2022-02-07 구현우 청소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101A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1318T2 (de) Batteriebetriebene Handwerkzeugmaschine
DE60223452T2 (de) Senkrechter Staubsauger mit vertikal stehendem, abnehmbarem Handgriff
DE60003499T2 (de) Lösbare Verbindung zwischen Batteriemodulen und elektrischen Geräten
DE602004002133T2 (de) Handbohrmaschine und/oder Nagelgerät mit Staubsammeleinheit
DE3902442A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fuer die verriegelung einer batterieeinheit in einem elektrischen geraet
KR100687288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0687287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373928Y1 (ko) 물걸레 청소기
KR100817766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4304Y1 (ko) 물걸레 청소기
JP3150134B1 (ja) モップハンドル
TWI637714B (zh) Electric sweeper
KR200488191Y1 (ko) 세척구가 구비된 청소장치
EP3449794B1 (de) Reinigungseinrichtung mit einer motorisch angetriebenen schwingplatte
US7555804B2 (en) Cleaning head for sweeping and wringing apparatus
KR101567801B1 (ko)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CN219183565U (zh) 滚刷装置和表面清洁设备
JP3224799B2 (ja) モップハンドル
CN220655524U (zh) 一种拧水拖把
KR200413190Y1 (ko) 물걸레 청소기
CN220675929U (zh) 一种拖把
CN217447610U (zh) 地面清洁设备
CN219374527U (zh) 地刷机构及清洁设备
CN213488656U (zh) 具有快扣结构的拖把
JP2009024354A (ja) 洗浄便座装置の昇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