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5803A -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 Google Patents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5803A
KR20100045803A KR1020080104908A KR20080104908A KR20100045803A KR 20100045803 A KR20100045803 A KR 20100045803A KR 1020080104908 A KR1020080104908 A KR 1020080104908A KR 20080104908 A KR20080104908 A KR 20080104908A KR 20100045803 A KR20100045803 A KR 2010004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leaning pad
curved
bottom plat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620B1 (ko
Inventor
최철수
Original Assignee
최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수 filed Critical 최철수
Priority to KR102008010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6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바닥판; 바닥판의 하부에 구비된 곡면형 청소패드;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걸레 고정부;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 결합부와 연결되는 자루부; 및 곡면형 청소패드에 밀착되어 상기 걸레 고정부에 고정되는 걸레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와 접촉될 수 있고 걸레질 시 자루부에 가해지는 힘이 곡면형 청소패드 전체가 아닌 오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만 집중되어 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다.
대걸레, 청소, 청소패드, 걸레, 곡면, 봉 걸레, 마포.

Description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The Mop With The Cleaning Pad of A Curved Surface}
본 발명은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면형 청소패드를 통해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과 접촉될 수 있고 자루부에 가해지는 힘이 청소패드 전체가 아닌 오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되어 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대걸레에 관한 것이다.
걸레질 청소에 있어서는 마포 걸레 또는 부직포 걸레가 부착된 평면형 청소패드에 자루가 달린 대걸레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깔끔한 청소가 이루어 지지 않아 엎드려서 걸레를 훔치는 청소방법이 아직까지 사용되고 있다. 대걸레를 이용한 청소는 자루부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밀고 뒤로 당기는 팔에 의한 수평운동과 팔과 함께 상체를 굽히는 수직운동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자루부와 오염부가 이루는 각은 일정 각도 내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기존의 마포 걸레는 청소 시에 힘이 마포와 자루부의 연결부에만 집중되며 마포 전체를 사용한 청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평면형 청소패드와 자루부가 고정된 경우 청소를 위해 밀고 당 길 때마다 자루부와 오염부가 이루는 각이 일정 각도 내에서 변동함에 따라 평면형 청소패드의 앞 부분이 들렸다 내렸다 하여서 청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 그리고 이를 보완한 형태로써 평면형 청소패드와 자루부가 유동이 되도록 힌지를 사용한 경우 평면형 청소패드가 오염부와 밀착되어 평행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청소 시에 힘이 평면형 청소패드 전체에 분산되어 미치게 됨에 따라 깔끔하고 효율적인 청소가 어렵다. 또한, 평면형 청소패드의 가장자리 부분만 잘 닦이고 패드의 중심부분은 잘 닦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청소패드를 평면이 아닌 일정한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하여 걸레부의 모든 부분이 오염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루부에 가해지는 힘이 청소패드 전체가 아닌 오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되어 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한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곡면형 청소패드(120);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걸레 고정부(140);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200); 결합부(200)와 연결되는 자루부(300); 및 곡면형 청소패드(120)에 밀착되어 걸레 고정부(140)에 고정되는 걸레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판(110)과 자루부(300)가 이루는 각은 소정의 각이 되도록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이 소정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곡률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정의 반지름은 곡면의 길이(160)를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2B)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곡면형 청소패드(120)에 다수의 돌기부(13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레 고정부(140)는 스프링(150)에 의해 걸레부(4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200)는 서로 접하고 대칭인 한 쌍의 결합부(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루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루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3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200)의 일단에 각도 조절부(22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곡률로 형성된 곡면형 청소패드가 바닥판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결합부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와 접촉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걸레부의 교체시기 및 세척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곡면형 청소패드가 바닥판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결합부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자루부에 가해진 힘이 곡면형 청소패드에 직접 전달되고 곡면형 청소패드 전체가 아닌 오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만 힘이 집중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대걸레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는 바닥부(100)와 바닥부(100)를 자루부와 연결하는 결합부(200) 및 제 1자루(310)와 제 2자루(320)로 형성되는 자루부(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바닥부(100)는 바닥판(110)과 바닥판(110) 상부 일측에 위치한 걸레 고정부(140) 및 바닥판(110) 하부에 위치한 곡면형 청소패드(120)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대걸레의 진행방향과 수직인 면을 보다 길게 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재질은 강재, 나무, 플라스틱 또는 복 합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의 크기는 긴 쪽을 40cm, 짧은 쪽을 20cm로 하여 형성한다. 하지만, 대걸레의 사용 장소,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 재료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형 청소패드(120)는 바닥판(110) 하부의 양측 종단에 걸쳐 밀착되도록 형성하되, 바닥판(110) 하부와 맞닿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일면은 바닥판(110) 하부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은 일정한 수학식을 통해 구해진 곡률로 인해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5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곡면형 청소패드(12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스펀지 등으로 형성한다. 하지만, 대걸레의 사용 장소,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판(110)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걸레 고정부(140)는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대칭을 이루어 한 쌍으로 구비되고 대걸레 진행 방향과 수직인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레 고정부(140)는 집게 고정핀(170)에 의해 고정된다. 걸레 고정부(140)는 스프링(150)에 의한 탄성 또는 벨크로(접착천)의한 접착력에 의해 걸레부(400)를 고정할 수 있다. 하지만, 걸레 고정부(140)는 대걸레의 사용 장소,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고정수단으로 변경가능하다.
결합부(200)는 직사각형인 바닥판(110)의 무게중심 위치에 구비하되 자루부(300)와 바닥판(110)이 45°의 각을 이루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결합부(200)에는 자루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정핀(210)이 사용된다. 하지만, 자 루부(300)와 바닥판(110)이 이루는 각 및 자루부(300)의 고정 수단은 사용자의 신체조건, 사용자의 청소태양, 사용 장소,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결합부(200)는 서로 접하고 대칭인 한 쌍의 결합부(200)로 형성될 수 있다.
자루부(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그 일단이 결합부(200)와 연결되고, 자루부(300) 일측에 길이 조절부(330)가 형성되며, 결합부(200)와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편에 손잡이(340)가 형성된다. 자루부(300)의 재질은 강재, 나무,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자루부(300)의 단면은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330)는 암나사의 나사산으로, 제 2 자루(320)는 내부에 제 1 자루(310)가 인입되고 수나사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자루부(300)의 길이를 조절한다. 하지만, 상기의 목적을 수행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 길이조절이 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330)는 강재, 나무, 플라스틱 또는 복합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340)의 재질은 강재, 나무, 플라스틱, 복합재료 또는 부드러운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걸레부(400)는 곡면형 청소패드(120)를 덮고 걸레고정부(140)에 고정이 될 수 있는 크기로, 재질은 면, 부직포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상태에서 각 구성부분을 결합하면 도 1의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가 형성된다.
(작용)
일정한 곡률로 형성된 곡면형 청소패드(120)가 바닥판(110)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결합부(200)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500)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곡면형 청소패드(120)가 일정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균일하게 오염부(500)와 접하게 되어 효율적인 걸레부(400)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의 작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걸레 청소시의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및 제작하고자 하는 곡면의 길이(160)를 결정한 후, 정확한 반지름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하기에서는 이를 살펴본다.
도 3a, 3b, 3c는 대걸레를 이용한 청소 시 곡면형 청소패드의 움직임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c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를 당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대걸레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일단이 오염부(500)와 접하게 된다. 도 3b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를 밀고 있는 중간 단계로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중심부와 오염부(500)가 접하고 있다. 이때, 도 3c에서의 자루부(300)와 도 3b에서의 자루부(300)는 결합부(200)가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의 변동이 있다. 도 3a는 대걸레를 최대한 민 상태로 곡면형 청소패드(120)는 대걸레의 진행방향과 반대쪽의 일단이 오염부(500)와 접하게 된다. 도 3a는 도 3c에서의 자루부(300)와 비교할 때 각의 변동의 폭이 도 3b에서의 자루부(300)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3a, 3b, 3c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대걸레를 이용한 청소는 자루부 를 손으로 잡고 앞으로 밀고 뒤로 당기는 팔에 의한 수평운동 및 팔과 함께 상체를 굽히는 수직운동이 발생한다. 이때,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A는 30°내외에서 이루어지며, 자루부(300)와 연결되는 결합부(200)가 일정한 각을 유지한 채 바닥판(110)에 고정되었기 때문에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또한 30°내외에서 이루어진다. 하지만,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청소태양에 따라 각의 변동은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및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원의 중심각과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청소패드(120)를 포함하는 원은 점 T 에서 오염부(500)와 접하고 있다. 여기서, 당긴 상태의 대걸레(10)와 민 상태의 대걸레(20)의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또는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은 2B 된다. 그리고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원의 중심각도 2B로 같다. 이는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에 대한 정의 및 원주각과 중심각의 크기에 대한 정의에 비추어 당연한 결론이다. 즉, 도 4의 원의 접선을 나타내는 오염부(500)와 그 접점 T를 지나는 현을 나타내는 바닥판(110)이 이루는 각의 크기(B)는 그 각의 내부에 있는 호를 나타내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원주각(B)과 같다. 그리고 원주각(B)은 중심각의 1/2에 해당하므로 호를 나타내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중심각은 2B가 된다.
결국, 도 3a, 3b, 3c 및 도 4를 통해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및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원의 중심각은 모두 같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론을 통해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500)와 접촉될 수 있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과 일치하는 원의 반지름을 정확히 구할 수 있다. 정확한 반지름은 우선 대걸레 청소시의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이나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및 제작하고자 하는 곡면의 길이(160)를 결정한 후, 비례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곡면의 길이(160)는 20cm이고,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은 30°, 45°또는 60°인 경우로 나누어 각각 비례식을 세웠다.
2B = 30°인 경우, 30°: 360°= 20cm : 지름 * 3.14, 지름 = 76.43cm
2B = 45°인 경우, 45°: 360°= 20cm : 지름 * 3.14, 지름 = 50.96cm
2B = 60°인 경우, 60°: 360°= 20cm : 지름 * 3.14, 지름 = 38.22cm
상기의 경우, 반지름은 순서대로 38.22cm, 25.48cm, 19.11cm가 된다. 즉, 곡면의 길이(160)가 20cm이고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이 30°인 경우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이 38.22cm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곡률을 따를 때, 각의 변동이 45°인 경우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이 25.48cm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곡률을 따를 때, 각의 변동이 60°인 경우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이 19.11cm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곡률을 따를 때, 각각 한 번의 걸레질로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순차적으로 오염부(500)와 접촉될 수 있다.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일반화된 수학식으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74050244-PAT00001
Figure 112008074050244-PAT00002
[수학식 1]에서의 2B는 호도법에 의한 각으로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또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중심각을 말한다. R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청소패드(120)를 포함하는 원의 반지름이고, 곡면의 길이(160)는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측단면상의 곡선부분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곡면형 청소패드(120)가 바닥판(110)에 일정각도로 형성된 결합부(200)와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자루부(300)에 가해진 힘이 곡면형 청소패드(120)에 직접 전달되고 곡면형 청소패드(120) 전체가 아닌 오염부(500)와 접촉하는 부분에만 힘이 집중되어 보다 적은 힘으로 청소가 가능하다.
(변형예)
도 5는 각도 조절기(220)와 돌기부(130)가 형성된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측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다수의 돌기부(130)를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130)의 재질은 곡면형 청소패드(120)와 동일한 재질로 하거나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마찰계수가 큰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돌기부(130)의 간격 및 형상은 사용 장소, 사용 목적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돌기부(130)는 걸레부(400)와의 마찰을 증대시켜 걸레질 시 걸레부(400)가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탄성 재질의 곡면형 청소패드(130)와 함께 오염부(500)에 보다 밀착되게 한다.
각도 조절부(220)는 결합부(200) 일단에 형성되고 각도 조절부(220) 단면상의 축선에 위치한 힌지 공(240)을 통해 바닥판(110)과 연결된다. 각도 조절부(220)는 톱니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이(齒)는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바닥판(110)과 자루부(300)가 이루는 각은 각도 조절부(220)의 톱니, 이와 맞닿는 바닥판(110)의 일측에 위치한 탄성부(230)에 의해 조절되고 고정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20)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각도 조절부(220)의 톱니를 이용하여 결합부(200)의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하면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청소태양에 상관없이 걸레부(400)의 모든 부분이 오염부(500)와 접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3b, 3c는 대걸레를 이용한 청소 시 곡면형 청소패드의 움직임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바닥판(110)과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및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에 대한 원의 중심각과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각도 조절기(220)와 돌기부(130)가 형성된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10 : 당긴 상태의 대걸레
20 : 민 상태의 대걸레 100 : 바닥부
110 : 바닥판 120 : 곡면형 청소패드
130 : 돌기부 140 : 걸레 고정부
150 : 스프링 160 : 곡면의 길이
170 : 집게 고정핀 200 : 결합부
210 : 고정핀 220 : 각도 조절부
230 : 탄성부 240 : 힌지 공
300 : 자루부 310 : 제 1자루
320 : 제 2자루 330 : 길이 조절부
340 : 손잡이 400 : 걸레부
500 : 오염부
A : 한 번의 걸레질 시 자루부에 의한 각의 변동
B : 현과 접선이 이루는 각, 바닥판과 오염부가 이루는 각
2B : 호에 대한 중심각, 곡면형 청소패드의 곡면에 대한 중심각, 자루부와 오염부가 이루는 각의 변동, 바닥판과 오염부가 이루는 각의 변동

Claims (8)

  1. 바닥판(110);
    상기 바닥판(110)의 하부에 구비된 곡면형 청소패드(120);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걸레 고정부(140);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200);
    상기 결합부(200)와 연결되는 자루부(300); 및
    상기 곡면형 청소패드(120)에 밀착되어 상기 걸레 고정부(140)에 고정되는 걸레부(4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10)과 상기 자루부(300)가 이루는 각은 소정의 각이 되도록 상기 결합부(200)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형 청소패드(120)의 곡면이 소정의 반지름을 가진 원의 곡률에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반지름은 곡면의 길이(160)를 자루부(300)와 오염부(500)가 이루는 각의 변동(2B)으로 나누어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형 청소패드(120)에 다수의 돌기부(13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 고정부(140)는 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걸레부(4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는 서로 접하고 대칭인 한 쌍의 결합부(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자루부(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조절부(3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0)의 일단에 각도 조절부(22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20080104908A 2008-10-24 2008-10-24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125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08A KR101257620B1 (ko) 2008-10-24 2008-10-24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4908A KR101257620B1 (ko) 2008-10-24 2008-10-24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803A true KR20100045803A (ko) 2010-05-04
KR101257620B1 KR101257620B1 (ko) 2013-04-29

Family

ID=4227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4908A KR101257620B1 (ko) 2008-10-24 2008-10-24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650B1 (ko) * 2023-03-10 2023-09-08 주식회사 기본에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0502S1 (en) 2014-07-31 2016-07-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tool with surface pattern
USD746121S1 (en) 2014-07-31 2015-12-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andle
USD766528S1 (en) 2014-07-31 2016-09-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lea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491A (en) * 1898-10-18 John j
JPH11244210A (ja) * 1998-12-25 1999-09-14 Duskin Co Ltd 清掃具
JP2005103196A (ja) * 2003-10-02 2005-04-21 Kaoru Nakatani モップ基台
KR20080002442U (ko) * 2006-12-28 2008-07-0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자루걸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650B1 (ko) * 2023-03-10 2023-09-08 주식회사 기본에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620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2515B2 (en) Cleaning apparatus
US8316499B2 (en) Apparatus for holding a cleaning sheet in a cleaning implement
AU2004204801B2 (en) Cleaning implement
KR20100045803A (ko)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20160008647A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EP2774525A2 (en) Mop
KR101712941B1 (ko) 저 중심 설계의 자루걸레
US20090025168A1 (en) Window cleaning apparatus
KR20140105088A (ko) 집게가 구비된 빗자루
US20080209647A1 (en) Cleaning Device
KR101740063B1 (ko) 청소 도구
JP2017538548A (ja) クリーニング器具
US3680168A (en) Fabric brush
US11266288B2 (en) Double-handle mop
KR200444444Y1 (ko) 빗자루와 청소걸레가 구비된 계단 청소구
JP6440965B2 (ja) 面清掃具
KR102099958B1 (ko) 밀대 청소기
KR200487886Y1 (ko) 밀대 청소기
KR200482526Y1 (ko) 밀대형 청소용구
JPH10146306A (ja) 清掃布
JP2019013387A (ja) 清掃具
JP6837169B1 (ja) ブラシクリーナー
CN211460073U (zh) 一种便携式扫床器
WO2010114207A1 (ko) 돌기형태의 바닥을 가진 자루걸레
KR20210144312A (ko) 밀대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15

Effective date: 2013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