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650B1 -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 Google Patents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650B1
KR102576650B1 KR1020230032043A KR20230032043A KR102576650B1 KR 102576650 B1 KR102576650 B1 KR 102576650B1 KR 1020230032043 A KR1020230032043 A KR 1020230032043A KR 20230032043 A KR20230032043 A KR 20230032043A KR 102576650 B1 KR102576650 B1 KR 102576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leaning cloth
cleaning
cover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본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본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본에
Priority to KR102023003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은,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여, 밀대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 청소포와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부패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밀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장착된 채,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패드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청소포를 그립하는 그립위치와 상기 청소포를 그립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Cleaning device with easy replacement of cleaning cloth}
본 발명은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여 밀대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의 실내의 바닥을 청소하는 밀대형 청소도구는, 일정길이를 갖는 손잡이 자루와, 손잡이 자루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사각형상의 바닥판과, 바닥판의 저면에 부착되어 실내를 청소하는 청소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청소도구는 청소포 전체가 바닥면과 밀착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을 닦아냄에 따라 청소포가 쉽게 오염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더러워진 청소포를 세척하거나, 헌 청소포를 분리하고 새 청소포를 부착하는 교체작업을 주기적으로 빈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킴과 동시에, 헌 청소포를 제거한 이후에 별도로 보관 또는 배출해야 하므로, 헌 청소포에 묻어있는 이물질로 인하여 다른 영역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5024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여, 밀대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은,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여, 밀대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 청소포와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부패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밀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장착된 채,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패드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청소포를 그립하는 그립위치와 상기 청소포를 그립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압바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바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측부돌기 및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저면에 적층되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청소포와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하부패드 및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채,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부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측부패드는, 상기 측부돌기가 가압되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측부돌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청소포의 구속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측부돌기 및 상기 하부돌기는,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일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레그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호 이격거리가 변화되되, 그립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제1 거리에 배치되고, 해제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상기 연결바가 관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관통부가 구비된 본체바디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와 상기 커버부를 매개하여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바디부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상기 관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바디부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바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바디부 및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간부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바디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공간부에 구속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와 밀착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공간부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걸림공간부는, 상기 걸림부의 수직 하강 경로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에 출몰 가능한 출몰부 및 상기 출몰부와 연결되되, 상기 본체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바디부에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바디부와 상기 커버바디부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와 밀착된 채, 상기 커버바디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바디부와 상기 커버바디부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와 상기 커버부를 매개하는 복수의 링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링크부는, 일측은 상기 연결바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본체바디부는, 상기 장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면으로부터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바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작동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작동탄성부는, 상기 연결바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압축 탄성 변형되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가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결바의 그립위치에서, 상기 연결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바의 그립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점진적으로 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측부패드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줄무늬부가 형성되며, 상기 줄무늬부는, 상기 측부돌기가 가압되어 삽입된 경우, 상기 측부돌기의 상기 측부패드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레그부는, 상기 가압바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벨크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는, 상기 레그부에 의해 그립된 청소포의 잔여부분이 접힌 채,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상기 하부패드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고무패드부 및 상기 고무패드부와 상기 본체바디부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펀지부는, 압착되는 경우, 부피가 수축되면서 체류 중인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압착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스펀지부와 인접한 청소포는, 상기 스펀지부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밀대를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청소포를 쉽게 교체 사용 가능하므로, 청소를 보다 원활하게 진행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청소 스틱의 청소포를 강하게 그립하여, 청소 과정에서 청소포가 풀리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파지된 청소포를 견고히 유지하여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버튼은 발 또는 손으로 가볍게 누르면서 작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청소포 그립과 그립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본체부 및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청소포 그립과 그립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본체부 및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1)은,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P)를 그립하여, 밀대(13)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 스틱(1)이다.
여기서, 상기 청소포(P)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정전기를 이용하여 흡착하거나 흡수된 물을 이용하여 바닥의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 스틱(1)은, 본체부(10), 커버부(20), 레그부(30) 및 밀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 청소포(P)와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부패드(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드(11)는, 고무 또는 직물 재질로 형성되어 직물로 형성된 청소포(P)와의 상호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본체바디부(15), 작동부(17), 하부패드(11) 및 측부패드(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부(15)는,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상기 연결바(31)가 관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관통부(H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부(15)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걸림공간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7)는,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31)와 상기 커버부(20)를 매개하여 상기 커버부(20)의 상기 본체바디부(15)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바(31)가 상기 관통부(H1)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밀대(13)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20)는, 커버바디부(21) 및 걸림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부(21)는, 상기 본체바디부(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저면에는 후술할 링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회동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상면에는 상기 밀대(1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밀대회동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는,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간부(151)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부(21)는,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걸림공간부(151)에 구속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15)와 밀착되고,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걸림공간부(151)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15)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장착된 채, 상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패드(11)에 밀착된 청소포(P)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커버부(20)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청소포(P)를 그립하는 그립위치와 상기 청소포(P)를 그립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걸림공간부(151)에 구속되어 상기 커버바디부(21)와 상기 본체바디부(15)가 밀착되는 경우, 그립위치(도 2의 (a)참조)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걸림공간부(151)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상기 커버바디부(21)와 상기 본체바디부(15)가 이격되는 경우, 해제위치(도 2의 (b)참조)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가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상기 하부패드(11)에 밀착된 청소포(P)가 상기 레그부(30)와 상기 본체부(10) 사이에 말려 들어가면서 상기 레그부(30)와 상기 본체부(10) 사이에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부(30)가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구속된 청소포(P)는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하부패드(11)로부터의 이탈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레그부(30a) 및 상기 본체부(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레그부(3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레그부(30a)와 상기 제2 레그부(30b)는 상기 본체부(10)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그부(30a) 및 상기 제2 레그부(30b)는,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커버부(20)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호 이격거리가 변화되되, 그립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제1 거리에 배치되고, 해제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30)는, 연결바(31) 및 가압바(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1)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31)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이격 거리가 변화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33)는, 상기 연결바(31)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33)는,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바(33)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측부돌기(331) 및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돌기(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측부패드(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드(11)는, 저면에 적층되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청소포(P)와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측부패드(12)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11)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채,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패드(12)는, 상기 측부돌기(331)가 가압되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측부돌기(331)와의 사이에 배치된 청소포(P)의 구속력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측부패드(12)가 부재(不在)한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본체부(10)와 측부돌기(331) 사이는 공차에 의한 이격 공간이 생길 수밖에 없으며, 이는 곧 청소포(P)의 구속력이 약화됨을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은 탄성재질의 측부패드(12)를 두어 청소포(P)의 구속력을 높여, 사용자에 의한 청소 스틱(1)의 사용 시, 청소포(P)의 이탈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패드(12)는, 상기 본체부(10)의 측면과 상기 측부돌기(331)와의 반복된 충격에 의한 상기 본체부(10)의 손상/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측부돌기(331) 및 상기 하부돌기(333)는,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일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돌기(331) 및 상기 하부돌기(333)는, 반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그부(30a)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연결바 및 상기 제1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된 제1 가압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바는,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1 하부돌기와, 상기 본체부(10)와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1 측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그부(30b)는, 상기 본체부(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연결바 및 상기 제2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된 제2 가압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바는,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 하부돌기와, 상기 본체부(10)와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제2 측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공간부(151)는, 공간형성부(151a), 출몰부(151b), 외력인가부(151c) 및 외력탄성부(15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151a)는, 상기 걸림부(23)의 수직 하강 경로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출몰부(151b)는,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151a)에 출몰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151c)는, 상기 출몰부(151b)와 연결되되, 상기 본체바디부(1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력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출몰부(151b)는 인가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외력탄성부(1511)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151a)에 출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인가부(151c)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출몰부(151b)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로 은닉되고 이 때 상기 외력탄성부(1511)는 압축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력인가부(151c)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외력탄성부(1511)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151a)로 출현한다.
상기 출몰부(151b)가 상기 공간형성부(151a)로 노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23)가 걸리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종속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출몰부(151b)에 걸리는 경우, 상기 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는 상호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걸림부(23)가 상기 출몰부(151b)로부터 해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20)와 상기 본체부(10)는 이격 되게 된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외력인가부(151c)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바디부(21)에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25)는, 상기 본체바디부(15)와 상기 커버바디부(21)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151c)와 밀착된 채,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25)는, 상기 본체바디부(15)와 상기 커버바디부(21)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151c)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7)는,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31)와 상기 커버부(20)를 매개하는 복수의 링크부(171)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부(171)는, 일측은 상기 연결바(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바디부(15)는, 상기 장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면으로부터 관통된 관통부(H1)와 상기 공간형성부(151a)와 연통된 걸림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71)는, 상기 관통부(H1)를 통해 상기 커버바디부(21)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7)는, 상기 연결바(3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작동탄성부(1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동탄성부(173)는, 상기 연결바(31)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압축 탄성 변형되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31)가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171)는, 상기 연결바(31)의 그립위치에서, 상기 연결바(3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바(31)의 그립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점진적으로 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부패드(12)는,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줄무늬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줄무늬부(121)는, 상기 측부돌기(331)가 가압되어 삽입된 경우, 상기 측부돌기(331)의 상기 측부패드(12)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레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레그부(30')는, 가압바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벨크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35)는, 상기 레그부(30')에 의해 그립된 청소포(P)의 잔여부분이 접힌 채,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포(P)는의 양측 잔여부분이 상기 레그부(30')의 높이와 같거나 높은 경우에 있어, 잔여부분에 의한 청소 스틱의 청소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 스틱의 부착부(35)는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의 하부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패드(11')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고무패드부(111) 및 상기 고무패드부(111)와 상기 본체바디부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펀지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펀지부(113)는, 압착되는 경우, 부피가 수축되면서 체류 중인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지부(113)는, 압착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스펀지부(113)와 인접한 청소포(P)는, 상기 스펀지부(113)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P: 청소포
13: 밀대
10: 본체부
11: 하부패드
12: 측부패드
15: 본체바디부
H1: 관통부
H2: 걸림홀
17: 작동부
20: 커버부
21: 커버바디부
23: 걸림부
24: 링크회동부
25: 버튼부
27: 밀대회동부
30: 레그부
30a: 제1 레그부
30b: 제2 레그부
31: 연결바
33: 가압바
331: 측부돌기
333: 하부돌기

Claims (11)

  1. 바닥면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여, 밀대를 이용한 청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에 있어서,
    내부에 장착공간을 구비하며, 저면에 청소포와의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부패드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밀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장착된 채,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하부패드에 밀착된 청소포를 그립하거나 그립 해제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청소포를 그립하는 그립위치와 상기 청소포를 그립 해제하는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연결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압바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바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형성되는 측부돌기 및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패드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된 채,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부패드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패드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적층되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청소포와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측부패드는,
    상기 측부돌기가 가압되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측부돌기와의 사이에 배치된 청소포의 구속력을 높이며,
    상기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레그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레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그부 및 상기 제2 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호 이격거리가 변화되되,
    그립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제1 거리에 배치되고, 해제위치에서 상호 이격거리가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양측면에 상기 연결바가 관통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관통부가 구비된 본체바디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와 상기 커버부를 매개하여 상기 커버부의 상기 본체바디부와의 이격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연결바가 상기 관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바디부는,
    상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걸림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바디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바디부 및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공간부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바디부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공간부에 구속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와 밀착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공간부로부터 구속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본체바디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걸림공간부는,
    상기 걸림부의 수직 하강 경로에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공간형성부에 출몰 가능한 출몰부,
    상기 출몰부와 연결되되, 상기 본체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인가부 및
    인가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출몰부가 상기 공간형성부에 출몰되도록 하는 외력탄성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탄성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출몰부가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은닉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인가부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출몰부가 상기 공간형성부로 출현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바디부에 상하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바디부와 상기 커버바디부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와 밀착된 채, 상기 커버바디부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본체바디부와 상기 커버바디부가 이격되는 경우, 상기 외력인가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결바와 상기 커버부를 매개하는 복수의 링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링크부는,
    일측은 상기 연결바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본체바디부는,
    상기 장착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상면으로부터 관통된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커버바디부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바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작동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작동탄성부는,
    상기 연결바의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그립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압축 탄성 변형되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바가 상기 그립위치에서 상기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연결바의 그립위치에서, 상기 연결바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바의 그립위치에서 해제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점진적으로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돌기 및 상기 하부돌기는,
    하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갈수록 종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되, 일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패드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는 줄무늬부가 형성되며,
    상기 줄무늬부는,
    상기 측부돌기가 가압되어 삽입된 경우, 상기 측부돌기의 상기 측부패드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가압바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벨크로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착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착부는,
    상기 레그부에 의해 그립된 청소포의 잔여부분이 접힌 채,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11. 제1항에 있어,
    상기 하부패드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고무패드부 및 상기 고무패드부와 상기 본체바디부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스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펀지부는,
    압착되는 경우, 부피가 수축되면서 체류 중인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압착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며,
    상기 스펀지부와 인접한 청소포는, 상기 스펀지부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KR1020230032043A 2023-03-10 2023-03-10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KR102576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043A KR102576650B1 (ko) 2023-03-10 2023-03-10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043A KR102576650B1 (ko) 2023-03-10 2023-03-10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6650B1 true KR102576650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043A KR102576650B1 (ko) 2023-03-10 2023-03-10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6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KR20100045803A (ko) * 2008-10-24 2010-05-04 최철수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2502425B1 (ko) 2020-11-19 2023-02-23 던메니지먼트(유) 청소포 교체가 용이한 청소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66B1 (ko) * 2007-10-12 2008-03-31 임병규 물걸레 청소기
KR20100045803A (ko) * 2008-10-24 2010-05-04 최철수 곡면형 청소패드가 장착된 대걸레
KR102502425B1 (ko) 2020-11-19 2023-02-23 던메니지먼트(유) 청소포 교체가 용이한 청소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1406B1 (en) Mop head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7779501B2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US5477582A (en) Mop sheet holder, and mop sheet therefor
EP2238884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leaning a floor
JP2014212837A (ja) 床又は他の平坦な面を清掃するための洗浄用アセンブリ
CA2568507C (en) Mop head plate with mop cover
US10052009B1 (en) Apparatus to remove a disposable cloth from a hand operated flat mop without having to touch the cloth combined with a yoke affixed to the top of the flat mop and a pin or dowel adjacent the bottom of the mop handle rotatably retained in the yoke
US20040244133A1 (en) Mop head having clips for retaining a washable fabric sheet
WO2011131820A1 (en) Floor maintenance device and cloth
KR101629924B1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US20180078109A1 (en) Floor Cleaning Mop Apparatus
KR102576650B1 (ko) 청소포 착탈이 용이한 청소 스틱
US5369836A (en) Ceiling fan blade cleaner
CA2703657A1 (en) Squeeze mop
US20170238783A1 (en) Broom stick and mop adapter apparatus
CA2569087C (en) Mop system, wringer device and mop
CA2155290C (en) Releasable mop head
WO1999019088A1 (en) Self-wringing absorbent device operable with one hand
KR20120124678A (ko) 탈수식 자루걸레
DE112004002356T5 (de) Mopp mit Wegwerf-Wischtuch und Wischerblatt
JP2019013387A (ja) 清掃具
JP3268897B2 (ja) モップ
CN219645660U (zh) 一种自脱落平板拖把
KR100436470B1 (ko) 청소용구
TW202329864A (zh) 清潔片材固定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