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819Y1 -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Google Patents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4819Y1 KR200384819Y1 KR20-2005-0005115U KR20050005115U KR200384819Y1 KR 200384819 Y1 KR200384819 Y1 KR 200384819Y1 KR 20050005115 U KR20050005115 U KR 20050005115U KR 200384819 Y1 KR200384819 Y1 KR 2003848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cover
- main body
- wall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2—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for fastening kitchen utensils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어느 일영역에 마련된 함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횡단면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어 상기 함수용부의 개구 연부면에 걸리는 걸림플랜지부와; 상기 걸림플랜지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수납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걸림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개수대의 뒷선반을 포함하여 싱크대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수대의 뒷선반을 포함하여 싱크대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주방용 가구의 대표적인 것으로 그 상면에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판이 마련된다. 일측에는 가스렌지 등을 올려놓는 수단이 마련되기도 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일측벽에 배치되는데, 주로 하부와 상부로 나뉘어 시공된다. 싱크대에는 각종 주방용 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공간들이 구비되어 있다.
근자에 들어 건설되는 빌라나 아파트의 주방을 보면 종전과는 달리 싱크대가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기성품의 가구로서 주방에 설치되기도 하고 주방의 크기에 맞춰 맞춤 제작되기도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주방을 보면 싱크대뿐만 아니라 주변에 여러 가지 수납함 기능을 하는 장소들이 존재하며, 사용자는 이러한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각종 물품들을 수납하고 있다. 그러나 빈번하게 사용해야 하는 물품들을 매번 싱크대의 상부 및 하부에 갖춰진 도어식 수납함에 넣어두고, 사용 시마다 도어를 개폐하여 사용하는 것은 여간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자주 사용하는 간단한 물품의 경우, 싱크대에 그대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54584호 및 20-0354587호에 개수대용 매립형 수납케이스(이하, 수납함이라 함)로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은 개수대의 뒷선반에 수납함을 매립 설치함으로써 주방 가구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주방용품을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문헌에 나타나는 기술과 더불어 이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종래기술의 경우, 수납함을 싱크대의 뒷선반에만 매립하여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류별로 상이한 싱크대의 개수대에 설치하기가 곤란할 경우가 발생한다. 즉, 개수대 뒷선반이 존재하지 않는 소위, 구형 싱크대의 경우에는 수납함을 시공할 수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개수대의 뒷선반을 포함하여 싱크대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수대의 뒷선반을 포함하여 싱크대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싱크대의 어느 일영역에 마련된 함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횡단면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어 상기 함수용부의 개구 연부면에 걸리는 걸림플랜지부와; 상기 걸림플랜지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수납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걸림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품수납공은 다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에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커버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양각덧살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수납공이 칼을 꽂는 칼꽂이슬릿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칼을 보호하는 나무재질로 채용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1핀공과;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2핀공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핀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플랜지부에는 상기 힌지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한 상기 커버의 회동궤적을 거의 직각상태로 유지하는 직각유지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형성하는 벽체브래킷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플랜지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플랜지부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간격 내에 삽입지지되는 벽체걸이용 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이 싱크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함의 사용상태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수납함의 작동상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10)은 싱크대(1)의 뒷선반(3)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싱크대(1)의 상면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2)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수대(2)의 후방으로 뒷선반(3)이 형성되어 있다. 개수대(2)의 일측에는 음식을 조리하거나 물건을 떠받치는 지지판(4)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싱크대(1)의 전면에는 냄비나 프라이팬 등의 각종 주방용 기구를 종류별로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수납도어(6)들이 구비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싱크대(1)의 하부에는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싱크대(1) 밑으로 들어가 쌓이는 것을 저지하는 소위, 걸레받이(미도시)가 시공된다.
개수대(2)의 뒷선반(3)에는 본 수납함(10)이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함수용부(9)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개수대(2), 뒷선반(3) 및 지지판(4)은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판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함수용부(9)는 뒷선반(3)을 천공, 혹은 프레스 타공함으로써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함수용부(9)의 개구면적은 후술할 수납함(10)에서 본체부(12)의 횡단면 면적보다는 크고 걸림플랜지부(14)의 면적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수대(2)의 함수용부(9)에 착탈되는 수납함(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상부 개구영역에 마련되는 걸림플랜지부(14)와, 걸림플랜지부(14)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18)를 갖는다.
본체부(12)는 본 수납함(10)의 기본 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사각통 형상을 갖는다. 이는 뒷선반(3)의 함수용부(9)가 사각형상으로 천공되기 때문으로 함수용부(9)가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상으로 천공된다면 이에 부합하도록 본체부(12)의 모양이 충분히 변형될 수 있다. 본체부(12)의 내부에는 커버(18)의 노출단이 배치되는 내부턱(12a)이 존재한다.
걸림플랜지부(14)는 본체부(12)의 상부 개구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플랜지부(14)의 전체적인 면적은 본체부(12)의 횡단면 면적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부(12)가 함수용부(9)에 매립될 경우, 걸림플랜지부(14)가 함수용부(9)의 개구 연부면에 걸릴 수 있게 된다. 걸림플랜지부(14) 역시, 본체부(12)의 외측 전역으로 모두 형성될 필요는 없고, 단지 함수용부(9)의 개구 연부면에 걸릴 수 있는 정도로서만 간단하게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커버(18)는 걸림플랜지부(14)의 판면에 본체부(12)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관통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존에 커버(18)가 존재하지 않던 것에 비해 물이 튀어 본체부(12) 내로 유입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청결문제 및 양념과의 반응문제 등을 적절히 해소할 수 있다. 이 때, 커버(18)는 착탈식으로 본체부(12)의 상면에 그대로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힌지부(22)에 의해 본체부(1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18)의 판면에는 복수의 물품수납공(19a,19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물품수납공(19a,19b)들은 2개의 타원형상과 1개의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이에 부합하는 형상의 용기나 물품(20a,20b)들을 해당 위치에 적절하게 꽂아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도시된 것과는 달리, 물품수납공(19a,19b)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종래 기술의 경우에도 물품수납공(미도시)이 존재하고 있기는 하였지만, 종래의 것은 판면을 프레스로 타공하여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 커버(18)의 개폐를 위해 손가락을 집어넣으면 날카로운 선단으로 인해 피부에 상해를 입을 수도 있고 고무장갑이 찢어지는 등의 폐단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8)에 다양한 형상의 물품수납공(19a,19b)을 형성하기는 하되, 커버(18)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양각덧살부(21a,21b)를 더 두고 이 양각덧살부(21a,21b)에 물품수납공(19a,19b)을 형성하고 있다. 이럴 경우, 디자인 면에서도 탁월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양각덧살부(21a,21b)가 커버(18)의 개폐를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18)는 착탈식으로 본체부(12)의 상면에 그대로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22)에 의해 본체부(1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힌지부(22)는 본체부(12)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핀공(22a)과, 커버(18)의 일측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2핀공(22b)과, 본체부(12)의 외측에서 제1 및 제2핀공(22a,22b)으로 삽입되어 커버(18)의 회동축심을 이루는 힌지핀(22c)을 갖는다. 이처럼 본체부(12)의 좌우측 사이드에서 힌지핀(22c)을 삽입하는 형태로서 힌지부(22)를 형성할 경우, 커버(18)에 힌지핀(22c)을 일체 가공하여 본체부(12)에 장착하던 종래 기술에 비해 가공 및 조립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커버(18)를 교체할 경우, 힌지핀(22c)만을 뽑으면 되기 때문에 커버(18)의 교체작업 역시 쉬워진다. 만일, 외관의 미를 수려하게 하고자 한다면, 힌지핀(22c) 영역에 별도의 마감캡(미도시)을 더 장착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힌지핀(22c)이 핀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나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힌지부(22)의 힌지핀(22c)의 회동축심으로 하여 커버(18)를 본체에 대해 개방하였을 경우, 커버(18)의 회동궤적이 예각을 갖는다면 임의로 커버(18)가 닫힐 수 있고, 둔각을 갖는다면 커버(18)의 중량에 의해 힌지부(22)에 부하가 걸려 내구성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플랜지부(14)에 직각유지리브(15)를 더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직각유지리브(15)로 인해 힌지부(22)에 의해 회동한 커버(18)의 회동궤적은 거의 직각상태(θ)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납함(10)을 개수대(2)의 뒷선반(3)에 매립한 다음, 커버(18)를 닫고 커버(18)에 형성된 각종 물품수납공(19a,19b)으로 해당하는 물품(20a,20b)들을 넣어 보관하게 되면, 물품(20a,20b)들을 빈번히 사용하는 데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본 수납함(10)은 개수대(2)의 함수용부(9)에 착탈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수납함(10)의 경우, 개수대(2)에 매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별도로 뒷선반(3)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싱크대(미도시)의 경우에도 싱크대(1)에 인접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인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본 수납함(10)을 벽체(30)에 걸어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벽체브래킷(31)을 필요로 한다. 벽체브래킷(31)은 볼트(32)에 의해 벽체(30)에 고정되는 브래킷몸체(31a)와, 브래킷몸체(31a)에 일체로 형성되되 브래킷몸체(31a)로부터 절곡되어 벽체(30)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H)을 형성하는 절곡부(31b)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수납함(10)의 걸림플랜지부(14) 후면에는 걸림플랜지부(14)의 후면에는 걸림플랜지부(14)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어 벽체브래킷(31)의 이격간격(H) 내에 삽입지지되는 벽체걸이용 리브(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 수납함(10)을 개수대(2)에 매립시키기가 곤란할 경우, 싱크대(1)에 인접한 벽체(30)에 벽체브래킷(31)을 볼트(32)로 고정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플랜지부(14)에 형성된 벽체걸이용 리브(16)를 벽체(30)와 벽체브래킷(31) 사이의 이격간격(H)으로 넣는다. 그러면, 벽체걸이용 리브(16)와 수납함(10)의 본체부(12) 간의 지지력으로 인해서 본 수납함(10)은 벽체(30)에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커버(18)에는 2개의 타원형상과 1개의 원형상으로 된 물품수납공(19a,19b)들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함(10a)의 경우, 커버(18a)에 1개의 타원형상의 물품수납공(19c)과 칼(35)을 꽂는 여러 개의 칼꽂이슬릿(19d)이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와 같을 경우, 만일 커버(18a)가 금속재질(알루미늄 포함)로 형성되어 있다면, 칼꽂이슬릿(19d)으로 칼(35)을 꽂거나 빼는 과정에서 금속성의 소음이 유발되거나 칼(35)이 마모되는 등의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제2실시예에서는 칼꽂이슬릿(19d)이 형성될 경우, 커버(18a) 자체를 원목으로 대체하거나 본체부(12) 내에 별도의 원목부재(37)를 더 두어 칼(35)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원목 외에 커버(18a) 자체를 플라스틱으로 대체하거나 본체부(12) 내에 별도의 원목 외에 별도의 플라스틱부재를 더 두어 칼(35)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납함(10,10a)에 의하면, 개수대(2)의 뒷선반(3)을 포함하여 싱크대(1)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1)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30)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개수대(2)의 뒷선반(3)에 본 수납함(10,10a)을 설치하고 있지만, 지지판(4)을 포함하여 싱크대(1)의 다른 영역일지라도 본 (10,10a)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수대의 뒷선반을 포함하여 싱크대의 어느 영역에라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관계없이 별도의 벽체에도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시공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이 싱크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납함의 사용상태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수납함의 작동상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이 벽체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싱크대 2 : 개수대
3 : 뒷선반 10,10a : 수납함
12 : 본체부 14 : 걸림플랜지부
15 : 직각유지리브 16 : 벽체걸이용 리브
18,18a : 커버 22 : 힌지부
30 : 벽체 31 : 벽체브래킷
Claims (6)
- 싱크대의 어느 일영역에 마련된 함수용부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횡단면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어 상기 함수용부의 개구 연부면에 걸리는 걸림플랜지부와;상기 걸림플랜지부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판면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수납공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상기 본체부 및 상기 걸림플랜지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수납공은 다각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에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커버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양각덧살부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물품수납공이 칼을 꽂는 칼꽂이슬릿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커버와 상기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칼을 보호하는 나무재질로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힌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1핀공과;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2핀공과;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핀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축심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플랜지부에는 상기 힌지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한 상기 커버의 회동궤적을 거의 직각상태로 유지하는 직각유지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제1항에 있어서,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형성하는 벽체브래킷을 더 포함하되;상기 걸림플랜지부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플랜지부의 판면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어 상기 이격간격 내에 삽입지지되는 벽체걸이용 리브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15U KR200384819Y1 (ko) | 2005-02-25 | 2005-02-25 |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5115U KR200384819Y1 (ko) | 2005-02-25 | 2005-02-25 |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4819Y1 true KR200384819Y1 (ko) | 2005-05-19 |
Family
ID=4368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5115U KR200384819Y1 (ko) | 2005-02-25 | 2005-02-25 |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4819Y1 (ko) |
-
2005
- 2005-02-25 KR KR20-2005-0005115U patent/KR20038481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69085A (en) | Water-resistant multifunctional bathroom fixture | |
US8640906B2 (en) |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 |
JP4621545B2 (ja) | 引出し型の乾燥キャビネット | |
KR101128051B1 (ko) | 조리기구용 다용도 냄비뚜껑 | |
JP6054619B2 (ja) | 流し台用シンク | |
KR200384819Y1 (ko) |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 |
US7588153B2 (en) | Utensil organizer | |
KR20210019228A (ko) | 조립성과 편의성이 개선되는 다목적 선반 | |
US20110062174A1 (en) | Bathroom Caddy | |
USD528967S1 (en) | Container | |
JP6358745B2 (ja) | 支持ロッド取付構造 | |
KR100462246B1 (ko) | 청소용구함 | |
USD521372S1 (en) | Container having thumb access door and integrally hinged lid | |
JP5256703B2 (ja) | キャビネット | |
JP3004291U (ja) | 料理用手道具の収納具 | |
KR200416234Y1 (ko) | 청소도구함 | |
JPH04125846U (ja) | 吊り棚 | |
KR200450421Y1 (ko) | 고무장갑 건조용 보관함 | |
KR200422250Y1 (ko) | 식기건조대의 물받이 | |
KR100679647B1 (ko) | 씽크 | |
KR200288076Y1 (ko) | 청소용구함 | |
JP3113369U (ja) | パイプジョイント金具 | |
KR200297849Y1 (ko) | 수직 걸이구가 구비된 용기뚜껑 | |
RU72614U1 (ru) |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олотенца | |
JP3785588B2 (ja) | 浴室内の収納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5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