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076Y1 - 청소용구함 - Google Patents

청소용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076Y1
KR200288076Y1 KR2020020015591U KR20020015591U KR200288076Y1 KR 200288076 Y1 KR200288076 Y1 KR 200288076Y1 KR 2020020015591 U KR2020020015591 U KR 2020020015591U KR 20020015591 U KR20020015591 U KR 20020015591U KR 200288076 Y1 KR200288076 Y1 KR 200288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cleaning
door
elastic cli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훈
Original Assignee
권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훈 filed Critical 권영훈
Priority to KR2020020015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0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076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용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대걸레도 소형의 청소용구함에 정리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활한 통풍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하는 청소용구함을 제공하되, 자루 고정구의 탄성클립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자루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클립의 내구성을 높이며, 내부 보관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 청소용구함(1) 캐비넷 형상의 본체(2) 내부 중앙을 격판(3)으로 구획하고, 일측 공간부(4)에 다수의 선반(5)과 타측 공간부(4')에 폭이 짧은 선반(5')을 구비하여 전면에 좌,우 여닫이 도어(7,7')를 구비한 청소용구함(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여닫이 도어(7,7')는 양단 횡단면상에 형성된 결합공(7a)에 본체(2)와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연결구(13)의 결합봉(13a)이 끼워져 상기 결합봉(13a)을 축으로 하여 도어(7,7')가 회전하면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 격판(3) 상단에는 도어(7,7') 열림 방지용 중앙 결착구(12)가 구비되고, 공간부(4') 상면의 개방부(8)측에 자루 고정구(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중앙 결착구(12)는 격판(3) 상단에 회전축 결합 고정되어 상,하 90°회동가능케 구성되고, 단부는 도어(7,7')가 닫힌 상태에서 외주면을 눌러 압박하도록 꺽어진 압착구(12a)가 형성 되어지고, 상기 자루 고정구(14)는 대걸레의 자루가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자루의 원주와 동일한 크기로 맞접하게 하여 게의 집게발 형상의 굵고 튼튼한 탄성클립(15)이 탄력적으로 벌려질 수 있게 다수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날개편(16)을 구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대걸레 등을 같이 정리 보관 할 수 있어 실내 환경미화에 이바지하며, 원활한 통풍을 통해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하며, 청소용구함에 구비되는 자루 고정구의 탄성클립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자루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클립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보관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소용구함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더욱이, 작은 청소도구 및 소품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청소용구함의 실용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용구함{cleaning equipment box}
본 고안은 청소용구로서 사용되는 빗자루, 쓰레받기, 먼지떨이, 손걸레, 대걸레 등과 같은 각종의 청소용구를 정리보관 할 수 있도록 한 청소용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용구함을 장방형체의 외관이 미려한 캐비넷 형상으로 구성하여 부피가 작은 각종 청소용구를 보다 간결하고 깨끗하게 정리 보관 할 수 있도록 하고, 부피가 큰 대걸레도 캐비넷 본체 내에 정리 보관 할 수 있게 하되 대걸레의 자루는 캐비넷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청소용구함을 기존과 같이 소형으로 제작하면서도 대걸레 등을 같이 정리 보관할 수 있게 한 청소용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용구함은 장방형체의 본체 내부에 격판과 선반을 다수 배열하고 내부의 내용물을 은폐하기 위한 도어를 장착한 것이 알려진 바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청소용구함은 대부분이 학교, 관공서, 사무실 등지의 벽면에 비치하여 사용케 되는데, 통상 청소용구함을 비치하는 공간부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대형으로 제작이 불가능함에 따라 대부분 소형으로 제작하여 공간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청소용구함은 부피가 작은 빗자루나 먼지떨이 또는 쓰레받기와 손걸레 등의 보관은 가능하나, 비교적 길이가 길거나 부피가 큰 대걸레 등과 같은 청소용구는 보관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대걸레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양동이에 대걸레의 마포를 넣어 보관하므로서, 마포에 함유되어 있는 물기가 바닥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보관 방법은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밀폐된 청소용구함의 경우, 내부에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대걸레의 마포가 제대로 건조되지 못해 심한 악취의 원인이 되며, 또한, 청소용구함 상부에 대걸레 자루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탄성클립을 구비하였으나, 탄성클립이 매우 얇고 약하여 자루를 고정하여 잡아주는 힘이 약하고 쉽게 손상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예가 빈번히 발생되는 것이었고, 더욱이, 청소용구함의 도어가 쉽게 열리고 받쳐주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내부에 보관된 작은 빗자루나 먼지떨이 또는 쓰레받기와 손걸레 등이 쏟아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대걸레도 소형의 청소용구함에 정리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활한 통풍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하는 청소용구함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청소용구함에 구비되는 자루 고정구의 탄성클립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자루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클립의 내구성을 높이며, 내부 보관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부에 지지대를 구비하고,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상단에 중앙 결착구를 구비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좌,우 여닫이 도어 결합시 종래의 측면 부착하는 힌지 대신 도어 단부에 연결구를 결합하여 연결구의 결합봉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여닫을 수 있게 함으로써, 도어의 잦은 개폐로 힌지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관이 미려한 캐비넷 형상의 본체 상부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일측 개방부에는 내측으로 날개편을 돌출 형성하고 적정 두께를 가져 내구성이 강화된 다수의 탄성클립이 구비된 자루 고정구를 형성하여 대걸레의 자루를 상기 탄성클립에 지지 고정시키되, 자루의 상부는 본체 상으로 돌출되게 한 후, 대걸레의 마포는 본체 내부 선반에 놓여진 물받이통에 넣어 정리 보관시켜 기존의 부피와 같은 청소용구함에도 대걸레를 간결하고 깨끗하게 정리보관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청소용구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좌,우 여닫이 도어 및 본체 뒤편에 통풍구를 형성하고 상부개방부를 구비하여, 내외부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 충분한 건조를 통해 악취가 나고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내부 공간부를 가로막는 지지대를 구비함과 동시에 도어 중앙 상단에 도어 열림 방지용 중앙 결착구를 구비하여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며, 대걸레의 마포가 안치되는 물받이통 내에 받침건조대를 삽착하여 젖은 마포가 건조되는 받쳐 줄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도어가 열린 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에 따른 자루 고정부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본체와 도어 연결구의 장착 상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도어 열림 방지용 중앙 결착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 사용 사시도 및 물받이통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용구함 2 : 본체 3 : 격판
4,4' : 공간부 5,5' : 선반 6 : 지지대
7,7' : 좌,우 여닫이 도어 8 : 개방부
9 : 수건걸이 10 : 수납구 11 : 통풍구
12 : 중앙 결착구 13 : 연결구 14 : 자루 고정구
15 : 탄성클립 16 : 날개편 17 : 물받이통
18 : 받침건조대
본 고안은 청소용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대걸레도 소형의 청소용구함에 정리 보관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활한 통풍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하는 청소용구함을 제공하되, 자루 고정구의 탄성클립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자루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클립의 내구성을 높이며,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상단에 중앙 결착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도어가 열린 상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에 따른 자루 고정부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본체와 도어 연결구의 장착 상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청소용구함의 도어 열림 방지용 중앙 결착구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 사용 사시도 및 물받이통의 확대 사시도이며,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청소용구함(1)은 장방형체의 외관이 미려한 캐비넷 형상의 본체(2)에 좌, 우 여닫이 도어(7,7')를 구비하고, 상부로 개방부(8)를 형성하여 이에 날개편(16)을 갖는 탄성클립(15)을 형성한 자루 고정구(14)를 구비하며, 내부는 격판(3)에 의해 세로로 분리되어 적정위치에 선반(5,5') 및 공간부(4,4')를 구비하여 청소도구를 수납 가능케 된 것으로, 본체(2) 뒷면과 도어(7,7') 상에 통풍구(11)를 형성하여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데,
상기 본체(2)는 중앙에 격판(3)이 세로로 입설되어 내부를 좌, 우 두 공간으로 구획하고, 일측 공간부(4)에는 선반(5)이 구비되어 다수의 선반(5)을 고정 설치하되, 이 선반(5) 상에 손걸레, 빗자루, 쓰레받기, 먼지떨이 등과 같은 청소용구를 보관하게 되는 것이고, 타측의 공간부(4')에도 폭이 짧은 다수의 선반(5')을 고정 설치하되, 선반(5')의 폭은 대걸레를 본체(2) 내부에 보관시 대걸레의 자루와 간섭되지 않는 폭이면 가능한 것이며, 양측 공간부(4,4')의 하부에는 가로로 지지대(6)를 구비하여 보관된 물품이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타측의 공간부(4')에는 상부 개방부(8)에 대걸레의 자루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루 고정구(14)를 구비하는데, 상기 자루 고정구(14)는 대걸레의 자루가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자루의 원주와 동일한 크기로 맞접하도록 하여 게의 집게발 형상의 굵고 튼튼한 탄성클립(15)이 다수 형성된것으로, 특히, 상기 탄성클립(15)은 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자루의 끼움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탄력적으로 벌려 질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날개편(16)이 있어 자루 고정력이 강화된 것이다.
이러한 본체(2)의 전면에는 좌,우 여닫이 도어(7,7')가 연결구(13)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 가능케 구성되며, 이는 도어(7,7') 양단 횡단면상에 결합공(7a)을 형성하고 이에 본체(2)와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연결구(13)의 결합봉(13a)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봉(13a)을 축으로 하여 도어(7,7')가 회전하면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어(7,7') 각각에 상,하 통풍구(11)를 형성하여 내외부의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일측 도어(7') 이면에는 수건걸이(9)와 별도의 수납구(10)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2)의 중앙 격판(3) 상단에는 결합 고정되어 90°회동 가능하고, 도어(7,7')가 닫힌 상태에서 외주면을 눌러 압박하는 압착구(12a)가 형성된 중앙 결착구(12)가 구비되어 도어(7,7')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면에 결착되어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 역할을 하며, 본체(2)의 후면에도 상기 좌,우 여닫이 도어(7,7')와 대향되게 통풍구(미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타측 공간부(4')의 하부에는 물받이통(17)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아치형의 받침건조대(18)를 삽착하여 대걸레 자루가 상부 자루 고정구(14)의 탄성클립(15)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물기가 있는 마포를 하부에서 받치고 건조되는 동안 떨어지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 청소용구함(1)은 빗자루나 쓰레받기, 손걸레 등과 같은 비교적 소형의 청소용구들을 일측 공간부(4)와 구비된 선반(5,5')에 보관하고, 대걸레의 경우 타측 공간부(4')의 하부에 물받이통(17)을 구비하여 마포가 안치되도록 하고 자루는 상면 개방부(8)에 고정 설치된 자루 고정구(14)의 탄성클립(15)에 끼워 고정하면 넘어짐 없이 정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탄성클립(15) 내측 날개편(16)이 대걸레 자루를 보다 힘있게 잡아 주고, 하부에서는 물받이통(17) 내에 삽착된 받침건조대(18)에 의해 받쳐진 상태에서 대걸레 마포에 남아 있는 물기는 물받이통(17)에 유입되면서 자연 건조되는 것이고,
또한, 우 여닫이 문(7') 이면에 부착된 수건걸이(9)에 수건을 걸어두고 수납구(10)에 작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며, 상면 개방부(8)와 도어(7,7') 상의 통풍구(11)를 통해 내외부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져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며 항상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간부(4,4') 아래부분에 가로로 지지대(6)를 구비하고 있어 내부의 보관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도어(7,7')가 닫혔을 시에는 중앙 결착구(12)로 잠금 기능을 하여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 청소용구함은 타측 공간부에 고정 설치된 자루고정부의 다수 탄성클립에 대걸레의 자루를 끼워 고정하면 자루 상부가 청소용구함 상부로 노출되면서 대걸레를 간결하고 깨끗하게 정리 보관 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청소용구함을 소형으로 제작하면서도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대걸레 등을 같이 정리 보관 할 수 있어 실내 환경미화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면 개방부와 통풍구를 통한 원활한 통풍은 물론, 사용 후 젖은 마포를 받쳐 건조될 수 있게 하는 물받이통 내 받침건조대가 구비됨으로써, 악취를 제거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케 하며, 청소용구함에 구비되는 자루 고정구의 탄성클립에 날개편을 형성하여 자루 고정을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탄성클립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공간부에 구비된 지지대에 의해 내부 보관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단 중앙 결착구에 의해 도어가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청소용구함의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은 내부 선반 및 수건걸이, 수납구 등을 구비하여 작은 청소도구 및 소품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청소용구함의 실용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본체에 도어 결합시 힌지결합 대신 연결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힌지가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고 잦은 개폐로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캐비넷 형상의 본체(2) 내부 중앙을 격판(3)으로 구획하고, 일측 공간부(4)에 다수의 선반(5)과 타측 공간부(4')에 폭이 짧은 선반(5')을 구비하여 전면에 좌,우 여닫이 도어(7,7')를 구비한 청소용구함(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여닫이 도어(7,7')는 양단 횡단면상에 형성된 결합공(7a)에 본체(2)와 볼트 체결로 결합되는 연결구(13)의 결합봉(13a)이 끼워져 상기 결합봉(13a)을 축으로 하여 도어(7,7')가 회전하면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 격판(3) 상단에는 도어(7,7') 열림 방지용 중앙 결착구(12)가 구비되고, 공간부(4') 상면의 개방부(8)측에 자루 고정구(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함.
  2.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결착구(12)는 격판(3) 상단에 회전축 결합 고정되어 상,하 90°회동가능케 구성되고, 단부는 도어(7,7')가 닫힌 상태에서 외주면을 눌러 압박하도록 꺽어진 압착구(12a)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함.
  3.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 고정구(14)는 고무 재질을 사용하되, 대걸레의 자루가 끼워 고정될 수 있도록 자루의 원주와 동일한 크기로 맞접하게 하여 게의 집게발 형상의 굵고 튼튼한 탄성클립(15)이 탄력적으로 벌려질 수 있게 다수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날개편(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함.
KR2020020015591U 2002-05-22 2002-05-22 청소용구함 KR200288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91U KR200288076Y1 (ko) 2002-05-22 2002-05-22 청소용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591U KR200288076Y1 (ko) 2002-05-22 2002-05-22 청소용구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05A Division KR100462246B1 (ko) 2002-12-09 2002-12-09 청소용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076Y1 true KR200288076Y1 (ko) 2002-09-05

Family

ID=7312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591U KR200288076Y1 (ko) 2002-05-22 2002-05-22 청소용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0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48B1 (ko) 2007-07-24 2008-10-15 홍지언 청소용품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48B1 (ko) 2007-07-24 2008-10-15 홍지언 청소용품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651B2 (en) Caddy for cleaning supplies
US20140216957A1 (en) Pinkie Closet
US5238106A (en) Kitchen-sink organizer
US3171135A (en) Container for bowl brush
US892969A (en) Carry-all.
KR100462246B1 (ko) 청소용구함
KR200288076Y1 (ko) 청소용구함
CN209951183U (zh) 清洁工具收纳装置及清洁工具套装
US7775611B1 (en) Mop holding device
GB2426691A (en) Dustbin incorporating dustpan and mop bucket
KR200209687Y1 (ko) 청소용구함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KR200416234Y1 (ko) 청소도구함
US7401699B1 (en) Combined toothbrush and toothpaste storage device
KR200380781Y1 (ko) 청소도구함
JP3012172U (ja) 収納ケース及びトイレ用清掃具
KR200170972Y1 (ko) 싱크대
KR200384819Y1 (ko) 싱크대 매립 및/또는 벽체 걸이용 수납함
KR102364714B1 (ko) 위생 안전 수저함구조
KR200360550Y1 (ko) 청소도구 보관 거치대
KR0136155Y1 (ko) 화장실용 다용도 수납함
RU72614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полотенца
JPS5923561Y2 (ja) 厨房キャビネット
JP3785588B2 (ja) 浴室内の収納構造
JPH03553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