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72Y1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72Y1
KR200170972Y1 KR2019970024669U KR19970024669U KR200170972Y1 KR 200170972 Y1 KR200170972 Y1 KR 200170972Y1 KR 2019970024669 U KR2019970024669 U KR 2019970024669U KR 19970024669 U KR19970024669 U KR 19970024669U KR 200170972 Y1 KR200170972 Y1 KR 200170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rame
kitchen
storag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315U (ko
Inventor
박유재
Original Assignee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재,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박유재
Priority to KR2019970024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7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3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싱크대는 싱크대의 후면과 주방벽면에 설치되는 전,후면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의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과 접시, 도마 혹은 칼들을 꽂아 보관이 가능하게 다수의 꽂이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치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내측으로 재치대가 안착되도록 함과 더불어 세척후 꽂이부에 꽂아진 주방용품으로부터 흐르는 물기를 집수처리하는 안착대로 구성되어 음식물의 조리에 필요한 주방용품을 구분하여 보관이 가능하고, 주방용품의 전시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방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접시, 컵, 칼, 도마 등의 주방용품, 또는 그 이외 믹서기등의 주방전기용품들을 간편히 정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주방용 싱크대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있는데, 그 일례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는 주방용품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정당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면이 여닫이식 도어로 개폐되도록 한 함체형상의 수납체(11)를 갖고 있고, 이 수납체(11) 상부에 식기세척을 위한 보올을 적어도 하나이상 복수개를 갖는 개수대(12)를 설치하여서 싱크대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상부의 개수대(12)에서 식기류의 세척을 이루게 하고 세척된 식기류 또는 남비나 솥등은 수납체(11)내에 보관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진열장을 이용하여 보관되게 하고 있다. 이렇게 주방용품을 수납체 또는 별도의 진열장에 보관하는 것은 사용에 불편을 주고 있다. 즉 자주 사용하게 되는 식기류, 예를 들어 접시 또는 컵등을 별도로 보관시 이를 사용시마다 수납체내 또는 진열장내에서 꺼내어야 하는 불편이 따라고 있는 것으로, 근래에 와서는 싱크대(10)이 직상부, 즉 주방의 벽면(1)에 브래킷트(21)로 하여 식기류등을 임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한 재치대(20)를 설치하여서 진열, 보관케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치대를 이용한 임시 보관에서는 젖은 식기에서 흘러내리는 물기로 인해 싱크대가 더렵혀지고 있으며, 그 재치대상에 진열되어 있는 모습이 가지런하지 못해 외관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싱크대 후방의 무효한 공간 이용해 주방용품, 즉 접시, 컵 또는 컬, 도마 등을 간편히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를 갖추므로서, 주방용품들을 가지런히 진열, 보관시키며, 따라서 사용에 편의는 물론, 정리가 우수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 싱크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싱크대에 적용되는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싱크대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싱크대에 적용되는 보관대에 주방용품중의 접시, 컵, 도마 등이 보관되는 접시꽂이대, 컵재치대, 도마꽂이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제5a는 본 고안 보관대에 적용되는 접시꽂이대를 보여 주는 종단면도.
제5b도는 본 고안 보관대에 적용되는 컵받침대의 구성을 보여 주는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보관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믹서등을 보관시킬 수 있도록한 수납통을 보여 주는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 보관대에 적용되는 수납통의 종단면도.
제8도는 일반적인 싱크대의 모습을 보여 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 123 : 도마꽂이대
100 : 보관대 140 : 수납통
121 : 접시꽂이대 122 : 컵받침대
다음 본 고안의 일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 싱크대의 평면도를 보여 주고 제2도는 싱크대의 내부 구성으로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0은 싱크대이다. 이 싱크대(10)는 통상에서와 같이 소정 너비의 수납공간(16)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전면으로는 여닫이식의 도어(17)를 갖추고 있고, 상면으로는 식기류 세척을 위한 수조의 개수대(12)를 갖추고 있으며, 이 개수대(12) 각각에는 배수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싱크대(10)는 제3도에서와 같이 주방의 벽면(1)에 붙히어서 설치되고 있는데,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술적 사상은 이렇게 벽면(1)에 붙혀 설치되는 싱크대(10)와, 이 싱크대(10)의 후벽과 벽면(1)의 사이에서 적당한 간격을 제공하여서 그 제공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식기류나, 그 이외 주방용 전기용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100)를 갖추게 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싱크대(10) 후면 양측에 연장하여서 싱크대의 후면(14)에 일단이 맞대어져 설치되는 한쌍의 측벽(15)을 갖추고, 이 한상의 측벽(1) 타단 사이로는 싱크대(10) 전장 길이에 걸쳐지는 후면프레임(112)이 가로건너 설치되며, 또 싱크대(10)의 후면에는 전면프레임(111)이 후면프레임(112)과 병행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의 전,후면 프레임(111)(112) 양단부측에는 측면프레임(113)을 설치하여서 보관대(100)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전, 후면프레임(111)(112)과 측면프레임(113)들은 내면으로 적당한 높이로 돌출되는 돌조모양을 갖추어 이후에 설명할 접기꽂이대(121), 도마꽂이대(123), 수납통(140)들이 턱걸림식으로 걸쳐져 설치되는 걸림턱(116)을 갖추고 있다. 또한 측면프레임(113)들은 양측의 결합돌조(115)에 의해서 전,후프레임(111)(112) 양단부의 삽입공(114)에 끼워맞춤결합될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보관대(100)내에 접시꽂이대(121), 도마꽂이대(123), 수납통(140)들이 턱걸림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먼저 접시꽂이대(121)는 제4도에서와 같이 수개의 꽂이부(121a)를 구비하여서 접시들이 꽂아지게 구성하고 있고, 컵받침대(122)는 무수한 배수공(122a)을 가지며, 이렇게 구성되는 접시꽂이대(121)와 컵받침대(122)는 집수트레이(130)에 얹혀져 설치될 것이다. 집수트레이(13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전,후변 각각에 전,후면프레임(111)(112)에 걸쳐지는 소폭의 후렌지(132)를 가지며, 바닥면 중앙에 배수공(133)을 갖추고 있다. 즉 접시 또는 컵의 물기들이 흘러내리는 것을 받아 모아 배수공을 통하여 집수 처리하게 된다.
또 도마꽂이대(123)는 도마꽂이부(123a)와 칼꽂이부(123b)를 갖추고 있고, 이 도마꽂이대(123)는 집수트레이(130a)에 얹혀져 설치된다. 이 또한 도마등에서 흘러내리는 물기들을 집수트레이(130a)에서 집수처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수납통(140)은 제6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적당한 너비의 수용공간(141a) 갖는 중공의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을 덮개(142)에 의해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되는데, 수용공간(141a)은 수개로 설치되는 구획벽(143)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구획되는 분할 수용공간을 갖을 수 있다. 또 수납통(140)의 전,후측 상부측으로는 보관대(100)의 전, 후면프레임(111)(112)들에 턱걸림식으로 걸쳐지도록 하는 후렌지(141a)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획벽(143)에는 손잡이공(144)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수납통(140)에는 주방용 전기용품 즉, 믹서기들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싱크대의 후면에 보관대를 구성하고, 이 보관대에 설치되는 접지꽂이대, 도마꽂이대, 수납통들을 이용하여서 주방용품들, 즉 빈번한 사용되는 접시나 컵, 도마, 칼 또는 그 이외 전기믹서기들을 간편히 진열 보관되게 함으로써, 주방용품들의 정리가 용이하고 가지런하여 진열효과 향상을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 주방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접시나 컵들을 별도 건조할 필요없이 각각의 꽂이대에 진열하는 것으로 건조효과를 얻고 흘러내린 물은 집수트레이를 통하여 집수처리케 함으로써, 취사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여닫이식의 도어로 전면이 개폐되고 주방용품등이 수납 보관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체를 가지며, 이 수납체상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올를 갖는 개수대를 설치하여서된 싱크대로서,
    상기 싱크대의 후면에 연장하여서, 상기 싱크대 후면의 양측에 일단이 접하도록 병설되는 한쌍의 측벽과 이들 한상의 측벽 타단 사이에 가로건너설치되어 턱걸림식으로 걸쳐질 수 있도록한 안착구조를 갖는 후면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싱크대 후벽에 상기 후면프레임과 대응되게 설치되어 턱걸림식으로 걸쳐질 수 있도록 한 안착구조를 갖는 전면프레임, 그리고 전,후면프레임의 단부에 끼워맞춤식으로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으로 둘러쌓아 상기 싱크대의 후면에 별도로 소정너비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보관대; 및
    물받이를 가지어 보관되는 접시의 물기를 집수처리하는 접지꽂이대와 물받이를 가지어 보관되는 도마의 물기를 집수처리하는 도마꽂이대, 그리고 믹서기등의 주방전기용품들을 보관시킬 수 있도록한 수납통들을 상기 보관대내의 상기 전,후면 프레임 또는 측면프레임들을 이용하여 턱걸림식으로 걸쳐 착탈식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KR2019970024669U 1997-08-30 1997-08-30 싱크대 KR200170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69U KR200170972Y1 (ko) 1997-08-30 1997-08-30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69U KR200170972Y1 (ko) 1997-08-30 1997-08-30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15U KR19990011315U (ko) 1999-03-25
KR200170972Y1 true KR200170972Y1 (ko) 2000-03-02

Family

ID=1950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669U KR200170972Y1 (ko) 1997-08-30 1997-08-30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639A (zh) * 2019-06-11 2019-12-03 宁波美高厨具有限公司 水槽及具有该水槽的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315U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502B2 (en) Self-draining dishwashing caddy
US10709295B2 (en) Drying storage unit
US3171135A (en) Container for bowl brush
GB2042147A (en) Table-ware draining rack
RU2370713C2 (ru) Дверная полка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KR200170972Y1 (ko) 싱크대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CN209186472U (zh) 一种厨房的多功能置物架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JP3615270B2 (ja) 流し台
KR200374473Y1 (ko)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CN220558310U (zh) 一种厨房用消毒柜
CN215533822U (zh) 一种商用厨具收纳架
GB2493126A (en) Knife cleaning apparatus
CN211933964U (zh) 一种筷篮结构和洗碗机
CN211130792U (zh)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CN2479806Y (zh) 厨柜装置
JPS5817576Y2 (ja) 台所用品収容箱
JP3020424U (ja) スポンジホルダー
KR20090012906U (ko) 다용도 수납함
KR200354587Y1 (ko) 개수대용 매립형 수납케이스
KR200315420Y1 (ko) 다용도 트레이 결합/분리 구조를 갖는 전기보온밥통
US2151818A (en) Kitchen sink
KR200266669Y1 (ko) 자동세제투여기와 세제통 및 수세미걸이가 내장된 씽크대
KR200183439Y1 (ko) 주방용품 보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