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473Y1 -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 Google Patents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473Y1
KR200374473Y1 KR20-2004-0032365U KR20040032365U KR200374473Y1 KR 200374473 Y1 KR200374473 Y1 KR 200374473Y1 KR 20040032365 U KR20040032365 U KR 20040032365U KR 200374473 Y1 KR200374473 Y1 KR 200374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hole
hinge portion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3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형
신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넵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넵스
Priority to KR20-2004-0032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가구인 싱크대를 설치하는 경우 싱크대의 배면과 벽면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의 수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주방활동의 편의성과 싱크대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주방가구용 다용도 수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힌지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다용도함과; 바닥에 통공이 천공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힌지부에 결합되고 수납체의 통공과 일치하는 통공이 천공되는 커버와, 상기 통공을 통해 수납체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연부에 걸림 플랜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수저보관용기로 구성되는 수저통과; 바닥에 칼꽂이공이 천공되는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힌지부에 결합되고 수납체의 칼꽂이공과 일치하는 칼꽂이공이 천공되는 커버로 구성되는 칼꽂이와; 수납체와, 상기 수납체의 힌지부에 결합되며 꽂혀진 접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접시용 통공이 천공되는 커버와, 상기 수납체의 내부에 수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의 꽂이홈을 가진 접시꽂이대로 구성되는 접시꽂이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Description

주방가구용 수납구조{Holding structure of 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주방가구용 수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가구인 싱크대를 설치하는 경우 싱크대의 배면과 벽면 사이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그 사이에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의 수납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주방활동의 편의성과 싱크대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주방가구용 다용도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개수대와 수납장이 구성된 주방가구로서, 통상적으로 상부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측면에는 조리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와; 상기 개수대의 하부에는 식기 및 주방도구를 수납하는 수납장이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싱크대는 주방에서 음식물 조리 시 수납장에 배치된 혹은 상기 작업대에 설치한 별도의 수납장에서 주방 식기 및 도구를 꺼내서 사용하고, 상기 작업들이 완료되면 사용했던 모든 주방도구는 다시 제 위치에 정리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주방 일을 하다 보면 상기 주방도구를 수납장으로부터 일일이 넣었다 꺼냈다 하는 번거로움에 의하여, 사용 후 수납장에 정리를 하지 않은 상태로 싱크대위에 그대로 방치하게 되어 주방 분위기가 어수선하게 되어 미관을 저해시키는문제점과 이물질의 접촉이 쉬워 비위생적인 문제가 초래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상기 조리 후 혹은 설거지 후 사용되었던 칼이나 수저, 주걱 등의 주방도구들을 정렬시켜 놓을 수 있는 별도의 칼꽂이 및 걸이대를 구입하여 상기 주방도구들을 정리하게 되었으나, 상기 별도의 칼꽂이와 걸이대 구입에 따라 비용부담과 설치 위치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방에서 필요한 각종 주방도구들을 수납하는 구조를 싱크대와 벽면의 사이에 설치하여 싱크대의 상부에 주방용품을 올려놓지 않고도 칼, 수저, 접시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주방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 분위기 개선과 주방도구의 위생적인 보관, 주방활동에의 편의성 부여를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용 수납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수납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용도함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저통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칼꽂이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접시꽂이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수납구조 10:다용도함
20:수저통 30:칼꽂이
40:접시꽂이 11,21,31,41:수납체
12,22,32,42:커버 13,23,33,43:힌지부
14,24,34,44:받침턱 25:수저보관용기
45:접시꽂이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가구용 수납구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수납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내지 도 6은 각각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다용도함, 수저통, 칼꽂이, 접시꽂이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수납구조(1)는 다용도함(10), 수저통(20), 칼꽂이(30), 접시꽂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각은 개별적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용도함(10), 수저통(20), 칼꽂이(30), 접시꽂이(40)는 공통적으로 싱크대(S)와 벽면(W) 사이의 공간에 배치됨과 아울러 벽면(W)에 고정되는 별도의 브라켓(B)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박스형태의 수납체(11),(21),(31),(41)와, 상기한 수납체(11),(21),(31),(4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2),(22),(32),(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납체(11),(21),(31),(41)의 후면에는 상기 커버(12),(22),(32),(42)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힌지부(13),(23),(33),(43)를 두며, 전면에는 받침턱(14),(24),(34),(44)을 두어 직접 싱크대(S)에 밀접시키거나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실링마감부재(S')를 통해 싱크대(S)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수납체(11),(21),(31),(41)는 특정의 소재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제작되고, 싱크대(S)의 길이에 맞추어 길게 하나로 제작하여도 되지만, 취급의 편의성을 위하여 다수개로 분리 형성하여 벽면(W)에 고정되는 브라켓(B)을 통해 일렬로 장착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다용도함(10)의 수납체(11)는 바닥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으로 구성되고 커버(12) 또한 내용물을 보호, 은폐하는 단순구조의 판상체로 구성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은 상기 수저통(20)은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의 수납체(21)의 바닥과 커버(22)에 수직으로 일치하는 일정 직경의 통공(21')(22')을천공하고 이에 상부가 개방되고 커버(22)의 통공(22')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 플랜지(25')를 상연부에 구비하는 원통형의 수저보관용기(25)를 삽지시켜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은 상기 칼꽂이(30)는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의 수납체(31)의 바닥과 커버(32)에 수직으로 일치하는 다수의 장방형의 칼꽂이공(31')(32')을 천공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은 상기 접시꽂이(40)는 바닥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의 수납체(41)의 내부에 다수의 꽂이홈(45')을 가진 접시꽂이대(45)를 안착시키고 커버(42)에는 꽂혀진 접시(D)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접시용 통공(42')을 천공하여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벽면(W)에 상기한 브라켓(B)을 고정시킨 후 상기한 브라켓(B)에 각 수납체(11)(21)(31)(41)의 뒷부분을 끼우면서 일측으로 이동시켜 싱크대(S)의 길이에 맞춰서 순차적으로 끼워 설치하게 되며,
수납체(11),(21),(31),(41)가 모두 설치되면 받침턱(14),(24),(34),(44)을 직접 싱크대(S)에 밀접시키거나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실링마감부재(S')를 통해 싱크대(S)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납체(11),(21),(31),(41)의 설치가 완료되면 힌지부(13),(23),(33),(43)에 커버(12),(22),(32),(42)의 일단을 끼워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커버(12),(22),(32),(42)가 수납체(11),(21),(31),(41)에 결합되면 본 고안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인 바, 다용도함(10)의 내부에는 주방의 미관상 은폐보관이 유리한 예를 들어 수세미 같은 물품을 수납하게 되며, 수저통(20)에는 수저보관용기(25)를 착탈 가능하게 끼워 수저나 조리용 젓가락 등을 꽂아 보관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저보관용기(25)를 빼내고 통공(22')에는 각종 양념병 등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칼꽂이(30)의 칼꽂이공(31')(32')에는 여러 종류의 주방용 칼을 끼워 보관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접시꽂이(40)에는 접시용 통공(42')으로 출입될 수 있는 규격의 다양한 접시를 세워 보관,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싱크대의 상부에 주방용품을 올려놓지 않고도 싱크대의 배면과 벽면 사이에 설치되는 수납구조를 통해 칼, 수저, 접시 등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주방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방분위기의 개선과 주방활동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바닥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으로 구성되고 후면과 전면에 각각 힌지부(13)와 받침턱(14)이 일체로 구성되는 수납체(11)와, 상기 수납체(11)의 힌지부(13)에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2)로 구성되는 다용도함(10)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으로 구성되고 후면과 전면에 각각 힌지부(23)와 받침턱(24)이 일체로 구성되며 바닥에 통공(21')이 천공되는 수납체(21)와, 상기 수납체(21)의 힌지부(23)에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납체(21)의 통공(21')과 일치하는 통공(22')이 천공되는 커버(22)와, 상기 통공(21')(22')을 통해 수납체(21)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상연부에 걸림 플랜지(25')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수저보관용기(25)로 구성되는 수저통(20)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으로 구성되고 후면과 전면에 각각 힌지부(33)와 받침턱(34)이 일체로 구성되며 바닥에 칼꽂이공(31')이 천공되는 수납체(31)와, 상기 수납체(31)의 힌지부(33)에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납체(31)의 칼꽂이공(31')과 일치하는 칼꽂이공(32')이 천공되는 커버(32)로 구성되는 칼꽂이(30)와;
    바닥과 사면이 폐쇄되는 사각함체상으로 구성되고 후면과 전면에 각각 힌지부(43)와 받침턱(44)이 일체로 구성되는 수납체(41)와, 상기 수납체(41)의 힌지부(13)에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꽂혀진 접시(D)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접시용 통공(42')이 천공되는 커버(42)와, 상기 수납체(41)의 내부에 수납되며 종방향으로 다수의 꽂이홈(45')을 가진 접시꽂이대(45)로 구성되는 접시꽂이(4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KR20-2004-0032365U 2004-11-16 2004-11-16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KR200374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65U KR200374473Y1 (ko) 2004-11-16 2004-11-16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365U KR200374473Y1 (ko) 2004-11-16 2004-11-16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473Y1 true KR200374473Y1 (ko) 2005-01-28

Family

ID=4944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365U KR200374473Y1 (ko) 2004-11-16 2004-11-16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4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107A (en) Versatile spice keeper
US6318567B1 (en) Undercabinet culinary instrument rack
TW200911168A (en) Cabinet housing storage
KR200374473Y1 (ko)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US20110062174A1 (en) Bathroom Caddy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KR200192746Y1 (ko) 일체형 싱크대 상판
KR200170972Y1 (ko) 싱크대
CN215820262U (zh) 可分区收纳物品的保洁柜
KR200211623Y1 (ko) 비치수단이 구비된 수납식 주방용품 비치함
CN213488676U (zh) 洗碗机及其碗篮架
KR200458821Y1 (ko) 다용도 양념 수납장
JP4419118B2 (ja) 包丁ホールダー
KR200346032Y1 (ko) 주방가구용 보조 수납 구조
CN211130792U (zh)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CN210961702U (zh) 一种用于厨房的组合式置物架
CN110558879A (zh) 置物刀架
JP3099366U (ja) 長物の縦収納引出しを備えた流し台
KR200256085Y1 (ko) 싱크대
KR200209687Y1 (ko) 청소용구함
KR200354587Y1 (ko) 개수대용 매립형 수납케이스
KR200276775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0354584Y1 (ko) 개수대용 매립형 수납케이스
JPH0131082Y2 (ko)
CN2479806Y (zh) 厨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