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746Y1 - 일체형 싱크대 상판 - Google Patents

일체형 싱크대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746Y1
KR200192746Y1 KR2020000006058U KR20000006058U KR200192746Y1 KR 200192746 Y1 KR200192746 Y1 KR 200192746Y1 KR 2020000006058 U KR2020000006058 U KR 2020000006058U KR 20000006058 U KR20000006058 U KR 20000006058U KR 200192746 Y1 KR200192746 Y1 KR 200192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hole
top plate
detachable
sink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샘
Priority to KR2020000006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레인지 설치공간을 일체하고 다양한 보조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뒷선반을 착탈시키는 등 작업공간 및 작업효율을 증진시켜 보다 편리한 조리행위가 가능한 일체형 싱크대 상판에 관한 것으로, 개수대(11)가 설치되고 이 개수대(11) 옆으로 작업대(12)가 형성된 싱크대 상판(10)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11)의 내주연에 드레인보드(200) 및 작은 도마를 걸 수 있는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이 개수대(11) 옆 작업대(12)를 연장하여 동평면상에 가스레인지 발화공(13)을 형성하고 그 앞 측면에 레버설치공(14)을 형성하면서, 전체 내주연을 따라서는 도마(300)를 안내이동하는 단턱(15)을 형성한 싱크대 상판(10)과; 세제통(21)이 삽설되는 세제통 착탈공(22)과, 배수공(231)이 천공된 받침판(232)과 물받이컵(233)으로 형성된 수세미통(23)이 삽설되는 수세미통 착탈공(24)과, 다수의 꽂이구(251)가 형성된 칼꽂이(25)가 착설되는 칼꽂이 착탈공(26)과, 콘세트 케이스(27)가 착설되는 콘센트 착탈공(28)이 각기 형성된 뒷선반(20)으로 구성되어, 이 뒷선반(20)이 상기 싱크대 상판(10)의 후상단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싱크대 상판{Integrated top board of sink}
본 고안은 개수대와 작업대가 형성되어 싱크대 수납장위에 설치되는 싱크대의 상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레인지 설치공간을 일체하고 다양한 보조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뒷선반을 착탈시키는 등 작업공간 및 작업효율을 증진시켜 보다 편리한 조리행위가 가능한 일체형 싱크대 상판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개수대와 수납장이 형성된 일종의 부엌가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장(1) 위에 개수대(11)와 작업대(12)가 형성된 싱크대 상판(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싱크대는 통상적으로 싱크대 상판(10) 옆에 가스레인지(100)를 부설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싱크대가 차지하는 공간, 즉, 개수대, 작업대, 가스레인지의 소요공간에 비해 사용자의 실질적인 작업공간인 작업대 공간이 협소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조리행위가 불편하였고, 또한 예컨대 수세미, 세재 등 빈번히 사용되는 보조용품을 수납할 공간이나 구성이 없어 별도의 수납도구를 벽면 등에 붙여 사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싱크대 상판에서 작업대에 가스레인지를 일체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스레인지 윗공간을 활용하는 것과, 개수대에 작은 도마나 드레인보드를 걸 수 있도록 하여 개수대 공간을 활용하는 것과, 싱크대 상판에 도마를 걸어 개수대에서 가스레인지까지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또한 상기 싱크대 상판에 세제통, 수세미통, 칼꽂이, 콘센트 케이스가 형성된 뒤선반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한정된 싱크대 크기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작업공간으로 크게 확충할 수 있고, 물청소 및 조리행위가 편리하며, 보조용품을 제위치에 정리할 수 있는 일체형 싱크대 상판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 종래의 싱크대 상판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체형 싱크대 상판의 분리사시도
도 3 - 도 2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5 - 도 4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상판 11 : 개수대
12 : 작업대 13 : 발화공
14 : 레버설치공 15 : 단턱
20 : 뒷선반 21 : 세제통
22 : 세제통 착탈공 23 : 수세미통
24 : 수세미통 착탈공 25 : 칼꽂이
26 : 칼꽂이 착탈공 27 : 콘센트 케이스
28 : 콘센트 착탈공 100 : 가스레인지
111 : 걸림턱 112 : 배수구
200 : 드레인 보드 231 : 배수공
232 : 받침판 233 : 물받이컵
251 : 꽂이구 300 : 도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체형 싱크대 상판은, 개수대(11)가 설치되고 이 개수대(11) 옆으로 작업대(12)가 형성된 싱크대 상판(10)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11)의 내주연에 드레인보드(200) 및 작은 도마를 걸 수 있는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이 개수대(11) 옆 작업대(12)를 연장하여 동평면상에 가스레인지 발화공(13)을 형성하고 그 앞 측면에 레버설치공(14)을 형성하면서, 전체 내주연을 따라서는 도마(300)를 안내이동하는 단턱(15)을 형성한 싱크대 상판(10)과, 세제통(21)이 삽설되는 세제통 착탈공(22)과, 배수공(231)이 천공된 받침판(232)과 물받이컵(233)으로 형성된 수세미통(23)이 삽설되는 수세미통 착탈공(24)과, 다수의 꽂이구(251)가 형성된 칼꽂이(25)가 착설되는 칼꽂이 착탈공(26)과, 콘세트 케이스(27)가 착설되는 콘센트 착탈공(28)이 각기 형성된 뒷선반(20)으로 구성되어, 이 뒷선반(20)이 상기 싱크대 상판(10)의 후상단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체형 싱크대 상판의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싱크대 상판은, 개수대(11)와 작업대(12)로 형성된 것이되, 이 작업대(12)에 가스레인지가 일체될 수 있고, 개수대에는 드레인 보드(200) 등을 걸어둘 수 있으며, 싱크대 상판의 개수대(11) 부분부터 가스레인지 부분까지 도마(300)를 수평이동할 수 있으면서, 이 상판(10)의 후상단에 세제통(21), 수세미통(23), 칼꽂이(25), 콘센트 케이스(27)가 형성된 뒷선반(20)이 착탈되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일체형 싱크대 상판에 있어서, 배수구(112)가 형성된 개수대(11)는 그 상측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111)을 두어, 통상의 설겆이나 세척 등의 작업은 물론, 채소 등을 올려두고 물을 뺄 수 있는 드레인 보드(200)나 작은 도마 등을 걸쳐 두어 개수대(11)를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개수대(11) 옆의 작업대(12)는 그 길이를 연장하여 실질적인 작업공간을 보다 넓게 하되, 단순히 작업대(12)의 크기만 키운 것이 아니라, 그 연장된 작업대(12)에 동일평면으로 가스레인지 발화공(13)을 형성하고 그 전면에는 레버설치공(14)을 형성하여, 통상의 가스레인지(100)가 싱크대의 작업대의 하면에 일체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가스레인지를 싱크대 상판(10)과 일체시킴으로써, 대형 냄비류의 사용이 편리하고, 국물이 흘러넘쳐도 청소가 용이하며, 뜨거운 것을 쉽게 내려 놓을 수 있고, 특히 사용하지 않을 때는 후술되는 이동도마(300)를 위치시켜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개수대(11)와 작업대(12)가 형성된 상판에는 그 전체 내주연을 따라 도마(300)를 끼워 밀고 다닐 수 있는 단턱(15)을 형성하였다.
즉,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대(11)에는 작은 도마 등을 걸쳐 둘 수 있는 걸림턱(111)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판(10) 전체에 걸쳐서는 큰 도마(300)를 걸어 수평으로 밀고 다닐 수 있는 단턱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컨대 개수대(11)에 이동도마(300)를 위치시켜 야채나 고기등을 씻고 다듬은 후, 이를 작업대(12)의 가스레인지 부분까지 밀어 이동시켜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싱크대 상판(10)에 다양한 보조용품을 정돈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뒷선반(20)을 착탈되도록 하였다.
상기 뒷선반(20)은 세제통(21)이 삽설되는 세제통 착탈공(22), 수세미통(23)이 삽설되는 수세미통 착탈공(24), 칼꽂이(25)가 착설되는 칼꽂이 착탈공(26), 콘세트 케이스(27)가 착설되는 콘센트 착탈공(28)을 각기 형성한 것으로, 상기 싱크대 상판(10)의 후단부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세미통(23)은 항상 습기가 있는 수세미를 청결하게 유지함이 중요하므로 배수공(231)이 형성된 받침판(232)을 두면서 그 밑으로 물받이컵(233)을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였고, 또한 상기 칼꽂이(25)에는 다수의 꽂이구(251)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체형 싱크대 상판은 도 4와 같이 조립완성되어 주부 등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조리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동도면에서와 같이 왼쪽에 걸림턱(111)이 있는 개수대(11)가 형성되면서 드레인 보드(200)가 장착되고, 오른쪽에는 작업대(12)와 동일평면으로 가스레인지(100)가 일체되며, 또한 이 상판(10)의 단턱(15)에는 도마(300)가 걸쳐져 좌·우로 이동되는 것으로, 제한된 싱크대 상판공간을 입체적으로 공간확충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싱크대 상판(10)의 후상단에는 세제, 수세미, 여러자루의 칼,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가 형성되어 주방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보조용품을 사용자의 활동반경내에 정리된 상태로 수납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개수대 공간과 가스레인지 공간을 작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빈번히 사용되는 보조용품을 제위치에 수납할 수 있으며, 물청소 및 조리행위가 매우 편리한 일체형 싱크대 상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개수대(11)가 설치되고 이 개수대(11) 옆으로 작업대(12)가 형성된 싱크대 상판(10)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11)의 내주연에 드레인보드(200) 및 작은 도마를 걸 수 있는 걸림턱(111)을 형성하고, 이 개수대(11) 옆 작업대(12)를 연장하여 동평면상에 가스레인지 발화공(13)을 형성하고 그 앞 측면에 레버설치공(14)을 형성하면서, 전체 내주연을 따라서는 도마(300)를 안내이동하는 단턱(15)을 형성한 싱크대 상판(10)과,
    세제통(21)이 삽설되는 세제통 착탈공(22)과, 배수공(231)이 천공된 받침판(232)과 물받이컵(233)으로 형성된 수세미통(23)이 삽설되는 수세미통 착탈공(24)과, 다수의 꽂이구(251)가 형성된 칼꽂이(25)가 착설되는 칼꽂이 착탈공(26)과, 콘세트 케이스(27)가 착설되는 콘센트 착탈공(28)이 각기 형성된 뒷선반(20)으로 구성되어,
    이 뒷선반(20)이 상기 싱크대 상판(10)의 후상단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싱크대 상판.
KR2020000006058U 2000-03-04 2000-03-04 일체형 싱크대 상판 KR200192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058U KR200192746Y1 (ko) 2000-03-04 2000-03-04 일체형 싱크대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058U KR200192746Y1 (ko) 2000-03-04 2000-03-04 일체형 싱크대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746Y1 true KR200192746Y1 (ko) 2000-08-16

Family

ID=1964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058U KR200192746Y1 (ko) 2000-03-04 2000-03-04 일체형 싱크대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7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23B1 (ko) 2018-05-23 2019-11-20 (주)코스모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KR102142108B1 (ko) 2019-04-04 2020-08-06 김석호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KR20230001994U (ko)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일룸 콘센트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23B1 (ko) 2018-05-23 2019-11-20 (주)코스모 다중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KR102142108B1 (ko) 2019-04-04 2020-08-06 김석호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KR20230001994U (ko)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일룸 콘센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89372A1 (en) Over-sink organizer
KR20120089023A (ko) 싱크대용 수납장치
US6212708B1 (en) Faucet splash guard and storage unit
KR200192746Y1 (ko) 일체형 싱크대 상판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JP3501092B2 (ja) 流し台シンク装置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180005431A (ko) 다용도 선반
CN216169037U (zh) 一种厨具安装结构和厨具消毒机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CN219460640U (zh) 一种一体化厨卫工作台
KR20140004832U (ko) 씽크대용 이동식 선반
JPH1132849A (ja) 台所用品整理装置
CN210931266U (zh) 水槽及集成有水槽的清洗设备
KR200374473Y1 (ko) 주방가구용 수납구조
CN212089329U (zh) 一种刀具筷子架
KR102366921B1 (ko) 주방 용품 디스펜서
KR200274677Y1 (ko) 주방용품 수납대
KR200257990Y1 (ko) 싱크대의 보조선반
KR101306853B1 (ko) 폴더형 부엌용품 거치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작업대 상부장 시스템
CN113893379A (zh) 一种厨具安装结构和厨具消毒机
KR200331815Y1 (ko) 식칼 및 도마의 보관용 받침대
JP2006081572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KR200207029Y1 (ko) 압착가설식 식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