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675Y1 -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 Google Patents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675Y1
KR200477675Y1 KR2020140004524U KR20140004524U KR200477675Y1 KR 200477675 Y1 KR200477675 Y1 KR 200477675Y1 KR 2020140004524 U KR2020140004524 U KR 2020140004524U KR 20140004524 U KR20140004524 U KR 20140004524U KR 200477675 Y1 KR200477675 Y1 KR 200477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anel
protrusion
kitche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to KR2020140004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구비한 수납부;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수납 구멍을 구비한 보조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부를 주방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수납부에 보조 수납부를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수납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Accessory holder for kitchen}
본 고안은 수저, 칼, 가위 등의 주방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 주변에는 컵, 그릇 또는 접시 등의 식기를 세척한 후, 세척된 식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하여 세척된 식기의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주방 선반에는 싱크대의 상면 일측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바구니식 선반과 주방의 벽면 상측에 설치되는 수납용 싱크대의 저면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식 선반이 있다.
한편, 이러한 선반에 수저, 포크, 칼, 가위, 국자 등의 주방 액세서리를 수납하는 경우에는 주방 액세서리를 선반에 눕혀 놓은 상태로 수납해야 하므로, 주방 액세서리들이 선반에 포개어져서 수납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주방 액세서리를 선택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또한,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선반과는 별도의 액세서리 수납통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일 예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6278호에 개시된다.
위 선행문헌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선반 프레임에 별도의 수납통을 구비하고 이 수납통에 주방 액세서리를 수납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을 개시한다.
그러나, 위 선행문헌은 액세서리 수납통 자체만으로도 주방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수납통과는 별도의 와이어 프레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주방 액세서리의 종류에 따라 별도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주방 액세서리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수납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구비한 수납부;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수납 구멍을 구비한 보조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부를 주방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의 테두리부는 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수납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공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삽입 돌기 및 상기 삽입 돌기보다 큰 폭으로 상기 삽입 돌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수납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수납부의 일면에 설치된 판넬, 및 상기 판넬이 상기 수납부에 스냅 피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부의 와이어 부재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판넬의 상단 및 하단에 동시에 맞물리는 텐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션 브라켓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동일한 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상단 와이어 및 하단 와이어가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제1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판넬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수용홈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판넬과 맞물리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는 필요에 따라 수납부에 보조 수납부를 간단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수납 공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는 제조업체명이나 제품명이 표시된 판넬을 텐션 브라켓을 이용하여 원터치의 스냅 피팅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의 브라켓 및 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브라켓을 확대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10), 칼이나 가위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보조 수납부(120) 및 수납부(110)와 보조 수납부(12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수납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서, 그 중앙에 수납홈(111)을 구비하고, 수납홈(11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테두리부(112)의 내부에는 수납부(11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한 쌍의 와이어(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 와이어(114))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보조 수납부(120)는 수납부(110)의 테두리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보조 수납부(120)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액세서리 수납 구멍들(121)을 구비한다. 보조 수납부(120)는 수납부(110)의 테두리부(112)의 양측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0)은 수납부(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주방의 다른 구조물, 예를 들면 수납장이나 벽면 등에 수납부(110)를 설치할 수 있게 해준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130)은 수납부(110)의 양측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어 수납부(110)의 전면, 저면 및 배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수납부(110)의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130)의 연장부(131)에는 고리 형태의 걸림부(132)가 구비된다. 지지 프레임(130)의 걸림부(132)를 통해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를 주방의 다른 구조물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110)의 테두리부(112)는 그 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115)을 구비한다. 그리고, 보조 수납부(120)의 단부에는 결합홈(11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홈(115)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12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테두리부(112)에 형성된 결합홈(115)은 테두리부(120)의 측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115a)을 포함한다. 이 관통공(115a)은 측면 부분이 절개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는 후술되는 보조 수납부(120)의 삽입 돌기(122a)가 끼워져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홈(115)은 관통공(115a)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턱(115b)을 포함한다. 이 안착턱(115b)은 후술되는 보조 수납부(120)의 안착 돌기(122b)가 안착되어 보조 수납부(120)를 테두리부(112)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수납부(120)의 돌출부(122)는 테두리부(112)의 관통공(115)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 돌기(122a) 및 삽입 돌기(122a)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고 테두리부(112)의 안착턱(115b)에 안착되어 보조 수납부(120)를 테두리부(112)에 지지하는 안착 돌기(122b)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 돌기(122b)는 테두리부(112)의 관통공(115a)을 폐쇄하는 형상으로 테두리부(112)의 안착턱(115b)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돌기(122a)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공(115a) 및 관통공(115a)의 측면 절개부에 삽입되어, 보조 수납부(120)가 수납부(110)의 테두리부(112)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110)를 수저통으로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조 수납부(120)를 수납부(110)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칼이나 가위 등의 다른 주방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수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10)와 보조 수납부(120)는 결합홈(115)과 돌출부(122)의 맞물림 구조로 결합되어 손쉽게 착탈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제조업체명이나 제품명을 표시할 수 있는 판넬(140)이 수납부(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판넬(140)은 보조 수납부(120)가 설치되지 않은 수납부(110)의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판넬(140)은 텐션 브라켓(150)에 의해 수납부(110)의 전면에 원터치 방식의 스냅 피팅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텐션 브라켓(150)은 수납부(110)의 와이어 부재의 상단(즉, 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즉, 하단 와이어(114))에 맞물림과 동시에 판넬(140)의 상단 및 하단에 맞물려서 판넬(140)이 수납부(1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텐션 브라켓(150)은 지지 프레임(130)과 인접한 위치에서 판넬(140)의 양측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텐션 브라켓(150)은 재질 자체에 약간의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텐션 브라켓(150)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재(151)와 제1 부재(15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동일한 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부재(15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51)는 수납부(110)의 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 와이어(114)가 각각 수납될 수 있는 한 쌍의 제1 수용홈(15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수용홈(153)은 와이어(113, 11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반원형상을 가지며, 이 반원형상의 제1 수용홈(153)은 그 내측 중심이 절개되어 와이어(113, 114)가 수용될 때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지닌다.
그리고, 제2 부재(152)는 각각 판넬(140)의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홈(15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부재(152)의 단부에는 제2 수용홈(154)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제2 수용홈(154)에 수용된 판넬(140)과 맞물리는 걸림 돌기(155)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납부(110)의 전면, 즉 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 와이어(114)의 전면에 판넬(140)을 위치시킨 후, 텐션 브라켓(150)을 수납부(110)의 내측에서 판넬(140) 방향으로 밀어서 판넬(140)과 텐션 브라켓(150)을 끼우면, 텐션 브라켓(150)의 제1 수용홈(153)에 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 와이어(114)가 끼워지고, 텐션 브라켓(150)의 제2 수용홈(154)에 판넬(140)이 끼워진다.
따라서, 상단 와이어(113) 및 하단 와이어(114)를 사이에 두고 판넬(140)과 텐션 브라켓(150)이 텐션 브라켓(150)의 재질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방식의 스냅 피팅 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이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고안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수납부 111: 수납홈
112: 테두리부 113: 상단 와이어
114: 하단 와이어 115: 결합홈
115a: 관통공 115b: 안착턱
120: 보조 수납부 121: 액세서리 수납 구멍
122: 돌출부 122a: 삽입 돌기
122b: 안착 돌기 130: 지지 프레임
131: 연장부 132: 걸림부
140: 판넬 150: 텐션 브라켓
151: 제1 부재 152: 제2 부재
153: 제1 수용홈 154: 제2 수용홈
155: 걸림 돌기

Claims (5)

  1. 수납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홈의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테두리부를 구비한 수납부;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수납 구멍을 구비한 보조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부를 주방에 설치된 다른 구조물에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테두리부는 측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 수납부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의 상단에 형성된 안착턱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관통공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삽입 돌기 및 상기 삽입 돌기보다 큰 폭으로 상기 삽입 돌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턱에 안착되는 안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부재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보조 수납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수납부의 일면에 설치된 판넬, 및
    상기 판넬이 상기 수납부에 스냅 피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부의 와이어 부재의 상단 및 하단과 상기 판넬의 상단 및 하단에 동시에 맞물리는 텐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브라켓은 종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동일한 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수납부의 상단 와이어 및 하단 와이어가 각각 수용되는 한 쌍의 제1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판넬의 단부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2 수용홈 방향으로 구부러져 상기 판넬과 맞물리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20140004524U 2014-06-16 2014-06-16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0477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24U KR200477675Y1 (ko) 2014-06-16 2014-06-16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24U KR200477675Y1 (ko) 2014-06-16 2014-06-16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75Y1 true KR200477675Y1 (ko) 2015-07-10

Family

ID=5379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24U KR200477675Y1 (ko) 2014-06-16 2014-06-16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74U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KR20190000973U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89A (ja) * 1994-02-16 1995-08-22 Yoshiaki Hinata 庖丁差しホルダー
KR20100066152A (ko) * 2008-12-09 2010-06-17 정재서 이중 수납구를 가진 다용도 꽂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689A (ja) * 1994-02-16 1995-08-22 Yoshiaki Hinata 庖丁差しホルダー
KR20100066152A (ko) * 2008-12-09 2010-06-17 정재서 이중 수납구를 가진 다용도 꽂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974U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KR20190000973U (ko) * 2017-10-17 2019-04-25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KR200489575Y1 (ko) * 2017-10-17 2019-07-08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KR200490423Y1 (ko) * 2017-10-17 2019-11-08 주식회사 리버스 주방용품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241B2 (en) Sink
US8479926B1 (en) Pot lid holding system
US9516991B2 (en) Removable dishwasher utensil basket that transforms into a utensil holder for a drawer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080064940A (ko) 식기 건조대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EP2303093A1 (en) A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s
KR20060100702A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JP5484365B2 (ja) タオル掛け
KR200484055Y1 (ko)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150004586U (ko) 주방 액세서리용 선반
CN210673277U (zh) 刀叉篮组件和洗碗机
KR101440794B1 (ko) 고정대 교환 가능한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89575Y1 (ko) 주방용품 수납장치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KR200490423Y1 (ko) 주방용품 수납장치
KR100985944B1 (ko) 냉장고용 선반
KR20140005224U (ko) 싱크대용 수납장치
KR200478675Y1 (ko) 도마 보관수단이 구비된 칼 꽂이대
KR200192746Y1 (ko) 일체형 싱크대 상판
CN212089329U (zh) 一种刀具筷子架
JP3099366U (ja) 長物の縦収納引出しを備えた流し台
JP5256703B2 (ja) キャビネット
JP4052056B2 (ja) 水切り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