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836B1 - 주방용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주방용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836B1
KR101614836B1 KR1020150008789A KR20150008789A KR101614836B1 KR 101614836 B1 KR101614836 B1 KR 101614836B1 KR 1020150008789 A KR1020150008789 A KR 1020150008789A KR 20150008789 A KR20150008789 A KR 20150008789A KR 101614836 B1 KR101614836 B1 KR 10161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wire
wires
pair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청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노
Priority to KR102015000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하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상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하부 수납부; 상기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측면 와이어를 둘러싸서 상기 측면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와이어와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식기 건조대{Dish drying rack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씽크대 상부 또는 주방 벽면에 구비되어, 각종 식기들은 물론 기타 주방용품들을 거치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주방용 식기 건조대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주방용 식기 건조대(1)는 가로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긴 봉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된 짧은 봉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상의 선반 부재(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많은 양의 식기 또는 주방 용품을 거치하기 위해, 선반 부재(10)는 보통 2단으로 적층되어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식기 건조대(1)는 와이어 형상의 선반 부재(10)에 다량의 식기 또는 주방 용품들을 거치할 수 있지만, 이 선반 부재(10)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형상으로서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투박한 느낌을 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식기 건조대(1)에는 보통 수저통이나 칼꽂이 등의 추가 부품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러한 추가 부품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 형상의 선반 부재(10)에 장착이 쉽지 않으며, 선반 부재(10)와 추가 부품의 소재가 전혀 달라서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선반 부재(10)의 측면에는 수평 와이어와 측면 와이어의 체결 부위들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러한 체결 부위들은 사용자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고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만곡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하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상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하부 수납부; 상기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측면 와이어를 둘러싸서 상기 측면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와이어와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측면 와이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수평 와이어 및 상부 수평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와이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측면 와이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프레임은 외측면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판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편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와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 측면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슬릿을 구비한 칼꽂이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하단에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칼꽂이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에는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수저통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저통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에는 주방용 액세서리를 걸어 수납할 수 있는 액세서리 수납부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서리 수납부는 상기 걸림홍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측면 프레임의 체결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하부 수납부의 아래로 연장되는 바닥부 와이어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기 체결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측면 프레임과 나란하게 상방으로 만곡된 외측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와이어와 상기 외측 와이어는 상기 체결 구멍에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측면 와이어와 수평 와이어들의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칼꽂이, 수저통 또는 액세서리 수납부 등의 주방 부품을 식기 건조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한 쌍의 측면 와이어(100),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200),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300), 하부 수납부(400), 상부 수납부(500)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측면 와이어(100)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만곡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 측면 와이어들(100)은 후술되는 하부 수납부(400) 및 상부 수납부(500)의 길이만큼, 즉 하부 수납부(400) 및 상부 수납부(5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만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200)는 한 쌍의 측면 와이어(100) 사이에서 측면 와이어들(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하부 수평 와이어(200)는 하부 수납부(400)의 폭만큼, 즉 하부 수납부(4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만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하부 수평 와이어(200)는 측면 와이어(10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부 수평 와이어(200)와 측면 와이어(100)는 외측에서 측면 와이어(100)를 관통하여 하부 수평 와이어(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1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300)는 하부 수평 와이어(20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측면 와이어(100) 사이에서 측면 와이어들(100)의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상부 수평 와이어(300)는 상부 수납부(500)의 폭만큼, 즉 상부 수납부(5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만큼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하부 수평 와이어(200)와 마찬가지로, 상부 수평 와이어(300)는 측면 와이어(10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고, 상부 수평 와이어(300)와 측면 와이어(100)는 외측에서 측면 와이어(100)를 관통하여 상부 수평 와이어(300)의 단부에 결합되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 수단(2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하부 수납부(400)는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200) 사이에 설치된다. 이 하부 수납부(400)는 식기들이 세로로 수납되도록 복수의 식기 수납홈(410)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수납부(400)는 양단부에 전술한 하부 수평 와이어(200)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 구조(420)를 구비한 판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체결 구조(420)는 하부 수평 와이어(2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봉 부재일 수 있다. 이 봉 부재는 판상의 하부 수납부(400)의 단부를 원형으로 만곡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수납부(500)는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300) 사이에 설치된다. 이 상부 수납부(500) 역시 식기들이 세로로 수납되도록 복수의 식기 수납홈(510)을 구비한다. 그리고, 하부 수납부(400)와 마찬가지로, 상부 수납부(500)는 양단부에 전술한 상부 수평 와이어(300)가 결합될 수 있는 체결 구조(520)를 구비한 판상의 부재이다. 여기서, 체결 구조(520)는 상부 수평 와이어(30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중공의 봉 부재일 수 있다. 이 봉 부재는 판상의 상부 수납부(500)의 단부를 원형으로 만곡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600)은 측면 와이어(1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 와이어(100)를 둘러싸는 형태로 측면 와이어(100)와 결합된다. 이 측면 프레임(600)은 측면 와이어(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측면 프레임(600A) 및 측면 와이어(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측면 프레임(600B)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600), 즉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은 측면 와이어(100)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610) 및 제2 측면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 측면 프레임(600B) 역시 측면 와이어(100)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630) 및 제2 측면 프레임(640)을 포함한다.
즉, 측면 와이어(100)는 제1 측면 프레임(610, 630)과 제2 측면 프레임(620, 640) 사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측면 프레임(610)과 제2 측면 프레임(620)은 측면 와이어(1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측면 와이어(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611, 621)을 구비한다. 이 고정홈(611, 621)은 측면 와이어(100)의 만곡된 형상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수평 와이어(200)는 제1 측면 프레임(610)을 관통하여 측면 와이어(100)에 체결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하부 수평 와이어(200)의 우측 단부가 제1 측면 프레임(610)을 관통하여 하부 수평 와이어(200) 측으로 연장되고, 측면 와이어(100)의 우측에서 제1 측면 프레임(610)을 향하여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10)이 측면 와이어(100)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그리고, 이 체결 수단(10)은 하부 수평 와이어(200)의 단부에 체결되어, 측면 와이어(100), 제1 측면 프레임(610) 및 제2 측면 프레임(62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부 수평 와이어(300) 역시 하부 수평 와이어(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측면 프레임(600B)과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측면 프레임(600)이 측면 와이어(1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측면 와이어(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미려한 디자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600)에 의해 측면 와이어(100)와 수평 와이어들(200, 300)의 체결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출된 체결 부위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프레임(600)은 양측면에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판(650)이 설치된다. 이 금속판(650)은 측면 프레임(600)과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측면 프레임(600)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601)을 구비한다. 이 삽입홈(601)은 측면 프레임(600)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금속판(650)은 측면 프레임(600)의 삽입홈(60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편(65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650)의 삽입편(651)이 측면 프레임(600)의 삽입홈(601)에 끼워져서, 별도의 체결 부품이나 체결 작업이 필요없이, 측면 프레임(600)에 금속판(650)이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수납부(400)의 아래에는 식기 건조 과정에서 떨어지는 물을 수용하는 드레인 부재(700)가 설치된다. 이 드레인 부재(700)는 측면 프레임(600)에 끼워져서 하부 수납부(400)의 아래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바닥부 와이어(110)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600)의 외측에는 측면 프레임(600)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방으로 만곡된 외측 와이어(120)가 설치된다. 이 외측 와이어(120)는 측면 프레임(600)에 끼워져서, 식기 건조대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닥부 와이어(110)와 외측 와이어(120)는 측면 프레임(600)의 체결 구멍(660)에 공통적으로 삽입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식기 건조대는 칼꽂이(800), 수저통(900) 및 액세서리 수납부(10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칼꽂이(800)는 하부 측면 프레임(600A)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이 칼꽂이(800)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칼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수납 슬릿들(810)을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은 상단에 한 쌍의 걸림홈(602)을 구비한다. 또한,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은 하단에 한 쌍의 돌출편(604, 도 4 참조)을 구비한다. 그리고, 칼꽂이(800)는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의 걸림홈(602)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편(820) 및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의 돌출편(604)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삽입공(미도시)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칼꽂이(800)의 걸림편(820) 및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의 돌출편(604)이 각각 하부 측면 프레임(600A)의 걸림홈(602) 및 칼꽂이(800)의 삽입공에 끼워져 칼꽂이(800)가 하부 측면 프레임(600A)에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저통(900)은 상부 측면 프레임(600B)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다. 이 수저통(900)은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 공간(91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은 그 상단에 한 쌍의 걸림홈(605)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저통(900)은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의 걸림홈(605; 도 2 참조)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편(92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수저통(900)의 걸림편(920)은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의 걸림홈(605)에 끼워져 수저통(900)이 상부 측면 프레임(600B)에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액세서리 수납부(1000)는 수저통(900) 맞은편의 상부 측면 프레임(600B)에 장착된다. 이 액세서리 수납부(1000)는 주걱, 국자, 가위, 집게 등의 주방용 액세서리를 걸 수 있는 복수의 수납 고리들(11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은 그 상단에 한 쌍의 걸림홈(606; 도 2 참조)을 구비한다. 그리고, 액세서리 수납부(1000)는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의 걸림홈(606)에 끼워지는 한 쌍의 걸림편(1200)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액세서리 수납부(1000)의 걸림편(1200)은 상부 측면 프레임(600B)의 걸림홈(606)에 끼워져 액세서리 수납부(1000)가 상부 측면 프레임(600B)에 원터치 피팅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측면 와이어 110: 바닥부 와이어
120: 외측 와이어 200: 하부 수평 와이어
300: 상부 수평 와이어 400: 하부 수납부
410: 식기 수납홈 420: 체결 구조
500: 상부 수납부 510: 식기 수납홈
520: 체결 구조 600: 측면 프레임
600A: 하부 측면 프레임 600B: 상부 측면 프레임
601: 삽입홈 602, 605, 606: 걸림홈
604: 돌출편 700: 드레인 부재
800: 칼꽂이 810: 수납 슬릿
820: 걸림편 900: 수저통
910: 수납 공간 920: 걸림편
1000: 액세서리 수납부 1100: 수납 고리
1200: 걸림편

Claims (8)

  1. 만곡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하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측면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측면 와이어들의 상부에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하부 수납부;
    상기 한 쌍의 상부 수평 와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식기 수납홈을 구비한 상부 수납부; 및
    상기 측면 와이어를 둘러싸서 상기 측면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와이어와 결합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외측면에 금속판이 설치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편을 구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의 양측에서 서로 결합되는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측면 와이어와 대응되는 형상의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수평 와이어 및 상부 수평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측면 와이어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측면 와이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측면 와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측면 와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측면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칼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슬릿을 구비한 칼꽂이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하단에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칼꽂이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에는 수저를 수납할 수 있는 수저통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저통은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에는 주방용 액세서리를 걸어 수납할 수 있는 액세서리 수납부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 측면 프레임은 상단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액세서리 수납부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체결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하부 수납부의 아래로 연장되는 바닥부 와이어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기 체결 구멍에 끼워져서 상기 측면 프레임과 나란하게 상방으로 만곡된 외측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와이어와 상기 외측 와이어는 상기 체결 구멍에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20150008789A 2015-01-19 2015-01-19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161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89A KR101614836B1 (ko) 2015-01-19 2015-01-19 주방용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789A KR101614836B1 (ko) 2015-01-19 2015-01-19 주방용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836B1 true KR101614836B1 (ko) 2016-04-29

Family

ID=5591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789A KR101614836B1 (ko) 2015-01-19 2015-01-19 주방용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3U (ja) * 1995-12-18 1996-06-21 株式会社ダイヤコーポレーション キッチンラック
KR20040027615A (ko) * 2004-01-28 2004-04-01 김욱 다용도 살균건조기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KR101376519B1 (ko) * 2013-02-01 2014-03-19 명진실업 주식회사 식기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3U (ja) * 1995-12-18 1996-06-21 株式会社ダイヤコーポレーション キッチンラック
KR20040027615A (ko) * 2004-01-28 2004-04-01 김욱 다용도 살균건조기
KR20090131473A (ko) * 2008-06-18 2009-12-29 하순옥 식기건조대
KR101376519B1 (ko) * 2013-02-01 2014-03-19 명진실업 주식회사 식기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135B2 (en) Sink dish drainer set
US20060289372A1 (en) Over-sink organizer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US20060254627A1 (en) Dishwasher with utensil basket
KR200473078Y1 (ko) 식기건조대
EP3594418B1 (en) Water sink having brackets
KR101614836B1 (ko)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KR20170114127A (ko) 식기선반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200480642Y1 (ko) 주방 액세서리용 선반
KR101900703B1 (ko)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CN212346319U (zh) 一种多功能水槽碗碟架
KR100871337B1 (ko) 부착식 냄비뚜껑 행거
KR20150001767U (ko) 다기능 식기 건조대
KR200274677Y1 (ko) 주방용품 수납대
KR200484790Y1 (ko) 싱크대용 수납대
CN210203996U (zh) 一种能拆装清洗多功能碗碟盘置物架
JP2002272626A (ja) 包丁保持具及びその適用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