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67U - 다기능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67U
KR20150001767U KR2020130008938U KR20130008938U KR20150001767U KR 20150001767 U KR20150001767 U KR 20150001767U KR 2020130008938 U KR2020130008938 U KR 2020130008938U KR 20130008938 U KR20130008938 U KR 20130008938U KR 20150001767 U KR20150001767 U KR 201500017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upport
height
push button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우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우규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2020130008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767U/ko
Publication of KR20150001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6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47B81/04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i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다기능 식기 건조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기 건조대는, 다수의 푸트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지지되어 그릇을 보관하는 하부 바스켓; 하부 바스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릇을 보관하는 상부 바스켓; 및 푸시(push) 방식으로 동작되는 푸시 버튼을 구비하며,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부 바스켓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식기 건조대{A dish dryer}
본 고안은, 다기능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식기 건조대는 각종 식기류를 세척 한 후, 물기를 빼면서 건조하여 보관하는 주방 기구이다.
이러한 종래의 식기 건조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식기 건조대는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본체(1)와, 양측 지지대 본체(1)의 사이에 조립식으로 수평 설치되는 상부 바스켓(2) 및 하부 바스켓(3)을 구비한다.
지지대 본체(1)의 상하에는 상부 바스켓(2)과 하부 바스켓(3)을 조립식으로 걸기 위한 걸이대(4)가 각각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부 바스켓(2)과 하부 바스켓(3)은 통상적으로 스테인리스 철사를 사각바구니 형태로 절곡시킴으로써 제작된다.
상부 바스켓(2)과 하부 바스켓(3)은 사각테두리(5)의 하부에 다수의 가로철사(6)와 세로철사(7)를 일정 간격을 두고 용접으로 결합시켜서 상부가 개방되고 각각의 가로철사(6)와 세로철사(7)에 의해 다수의 사각구멍이 형성되게 한 구조를 갖는다.
상부 바스켓(2)과 하부 바스켓(3)의 하부에는 지지대 본체(1)의 걸이대(4)에 걸어서 지지되게 하는 걸이부(8)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바스켓(2)에는 식기를 보관하는 바닥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철사(6)를 상측으로 돌출되게 절곡시킨 접시꽂이돌기(9)들이 형성된다. 이렇게 돌출되게 형성된 접시꽂이돌기(9)의 사이로 접시를 세워서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세워서 꽂아지는 접시의 전후면은 인접한 접시꽂이돌기(9)에 의해 지지되고, 접시의 하부는 가로철사(6)와 직각방향으로 용접 결합된 양측 세로철사(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구조의 식기 건조대는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극히 일반적인 것인데, 이러한 종래의 식기 건조대는 조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과 같은 종래의 식기 건조대의 경우, 상부 바스켓(2)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상부 바스켓(2)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식기 건조대의 구조가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2380호 등에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문헌을 비롯한 종래의 식기 건조대의 경우, 상부 바스켓(2)의 높낮이 조절 구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한 식기 건조대에 대한 구조 보완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12380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푸트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지지되어 그릇을 보관하는 하부 바스켓; 상기 하부 바스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릇을 보관하는 상부 바스켓; 및 푸시(push) 방식으로 동작되는 푸시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바스켓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주변으로 제1 높이용 홀과 제2 높이용 홀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가 연결되는 모듈 케이싱; 상기 모듈 케이싱 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 결합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서 상기 푸시 버튼 및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동작되는 버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버튼에는 상기 제1 높이용 홀과 상기 제2 높이용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푸시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버튼 지지대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지지대 결합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버튼의 중앙 영역에는 푸시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 지지대에는 그 중앙 영역에 상기 푸시돌기부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과공의 주변으로 상기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모듈 케이싱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스켓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바스켓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에 고정되며,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 하부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상부 바스켓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에 고정되며,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 상부 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스켓을 지지하며, 상기 식기류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가 배치되는 지지대 배치용 함몰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내부 코너 영역에는 상기 하부 바스켓이 놓여져 지지되는 다수의 바스켓 지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물받이 서랍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 서랍이 위치되는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저면에는 드레인홀(drain 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닥부에 걸이 방식으로 걸려 지지되며, 접시가 꽂아져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은, 측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 및 상기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들과 상기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닥부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와이어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스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칼 꽂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탈식 칼 꽂이부재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어느 한 공간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이를 높게 유지시켜 주는 더미 덕트; 및 상기 더미 덕트에 결합되고 판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착탈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착탈식 칼 꽂이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높낮이 조절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푸시 버튼의 가압에 의해 상부 지지대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착탈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확대도, 도 5는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의 확대도, 도 6은 착탈식 칼 꽂이부재의 확대도, 도 7은 높낮이 조절모듈 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푸시 버튼의 가압에 의해 상부 지지대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기능 식기 건조대는 상부 바스켓(130)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0), 하부 바스켓(120), 상부 바스켓(130), 그리고 상부 바스켓(1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마련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모듈(14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본 실시예의 다기능 식기 건조대의 하부를 이룬다. 상부 바스켓(130)과 달리 베이스 프레임(110)은 하부 바스켓(120)이 내부에 안착되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뼈대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은 사각 루프 형상의 프레임 바디(111)와, 프레임 바디(111)의 네 모서리 영역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푸트(112)와, 프레임 바디(111)에 용접되되 일측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더미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111)와 더미 프레임(113)의 구조로 인해 하부 바스켓(120)이 내부에 안착되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푸트(112)들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 방지용 캡(114)이 결합된다. 미끄럼 방지용 캡(114)은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120)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놓여진다. 하부 바스켓(120)에는 식기를 비롯한 다양한 그릇 등이 놓여져 보관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120)은 상부 바스켓(130)과 마찬가지로 내부식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용접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를 비롯한 다양한 그릇 등은 하부 바스켓(120) 상에 그대로 놓여질 수도 있고 꼽아질 수 있다.
하부 바스켓(120)의 상부 영역에는 하부 루프(117)가 배치되어 하부 지지대(118)에 용접된다. 하부 루프(117)는 하부 바스켓(120)의 상부 영역에서 하부 바스켓(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된다.
하부 루프(117)는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데, 그릇 등이 하부 지지대(118)의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는 하부 바스켓(120)을 지지한다. 하부 바스켓(120)이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 내에 들어가 놓이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하부 바스켓(120) 상에 놓인 그릇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은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에 모아질 수 있다.
이러한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118)가 배치되는 지지대 배치용 함몰홈부(16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대 배치용 함몰홈부(161)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의 양쪽 변 영역에 2개씩 4개 마련되어 하부 지지대(118)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를 하부 바스켓(120) 상에 올려 두더라도 하부 바스켓(120) 상에서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가 임으로 이동되는 일은 없다.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의 내부 코너 영역에는 하부 바스켓(120)이 놓여져 지지되는 바스켓 지지턱(1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의 일측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물받이 서랍(163)이 더 결합된다.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 내로 낙하되는 물은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 상의 드레인홀(160a)을 통해 물받이 서랍(163)으로 모아지며, 물받이 서랍(163) 상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면 물받이 서랍(163)을 열어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160) 내에서 모아진 물을 버릴 수 있다.
상부 바스켓(130)은 하부 바스켓(120)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상부 바스켓(130)과 하부 바스켓(120)이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지는 않지만 상부 바스켓(130) 역시 하부 바스켓(120)과 마찬가지로 내부식이 우수한 금속, 예컨대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사를 가로, 세로로 엮어 용접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를 비롯한 다양한 그릇 등은 상부 바스켓(130) 상에 그대로 놓여질 수도 있고 꼽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바스켓(130)의 상부 영역에는 상부 루프(137)가 배치되어 상부 지지대(138)에 용접된다. 상부 루프(137)는 상부 바스켓(130)의 상부 영역에서 상부 바스켓(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된다.
상부 루프(137)는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데, 그릇 등이 상부 지지대(138)의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착탈식 칼 꽂이부재(18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바스켓(130)의 바닥부 일측에는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17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171)와,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171)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172)와,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171)들과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172)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부 바스켓(130)의 바닥부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와이어 지지대(173)를 포함한다.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170) 외에도 상부 바스켓(130)에는 착탈식 칼 꽂이부재(18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착탈식 칼 꽂이부재(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81), 더미 덕트(183) 및 커버(184)를 포함한다.
몸체부(181)는 다수의 격벽(182)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S)으로 구획되며, 측면에 통공(H)이 형성되는 통 구조물이다. 격벽(182)의 개수와 공간(S)의 개수는 도시된 것을 벗어나 다양할 수 있다.
더미 덕트(183)는 몸체부(181)에 형성된 어느 한 공간(S)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 구조물이다.
더미 덕트(183)가 결합되는 곳에 칼이 꽂아지기 때문에 칼의 길이만큼 몸체부(181)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더미 덕트(183)가 사용된다. 더미 덕트(183)가 사용되지 않는 몸체부(181)의 다른 공간(S)들은 수저, 나이프, 젓가락 등을 보관하는 장소로 활용된다.
커버(184)는 더미 덕트(183)에 결합되고 판면에 다수의 슬롯(184a)이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칼은 커버(184)의 슬롯(184a)으로 꼽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바스켓(130)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부피가 큰 프라이팬이나 솥 등을 하부 바스켓(120)에 두어 건조시키고자 할 때, 상부 바스켓(130)의 높이가 낮으면 이들을 건조 보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다기능 식기 건조대에는 높낮이 조절모듈(140)이 갖춰진다.
본 실시예의 다기능 식기 건조대에 갖춰지는 높낮이 조절모듈(140)은 식기 건조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는데, 종래의 스크루 방식과 달리 푸시(push) 방식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푸시 방식으로 가압만 하면 상부 바스켓(130)의 높이가 정해진 만큼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종전 방식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다.
한 쌍의 높낮이 조절모듈(140) 각각은 푸시 방식으로 동작되는 푸시 버튼(141)을 구비하며, 상부 바스켓(13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대(118)와 상부 바스켓(130)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대(138)에 연결된다. 즉 하부 지지대(118)와 상부 지지대(138)는 서로 분리된 구조인데, 하부 지지대(118)와 상부 지지대(138)는 높낮이 조절모듈(140)에 연결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모듈(140)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141), 모듈 케이싱(143), 슬라이더(145), 그리고 버튼 지지대(147)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버튼(141)은 도 2,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이 푸시 버튼(141)을 가압함으로써 도 7에서 도 8처럼 상부 지지대(138)를 상부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상부 바스켓(13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푸시 버튼(141)의 중앙 영역에는 푸시돌기부(141a)가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푸시돌기부(141a)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부 바스켓(13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이 푸시돌기부(141a)를 가압하면 된다.
타원의 돌기 형태를 갖는 푸시돌기부(141a)의 양측에는 스토퍼(141b)가 마련된다. 스토퍼(141b) 역시 돌기 형태를 취한다.
모듈 케이싱(143)은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높낮이 조절모듈(14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나머지 구성들, 즉 푸시 버튼(141), 슬라이더(145), 그리고 버튼 지지대(147) 등이 조립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러한 모듈 케이싱(143)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부(143a)가 형성된다. 관통부(143a)를 통해 버튼 지지대(147)와 푸시 버튼(141)의 일부분이 외부로 드러난다.
모듈 케이싱(143)의 관통부(143a)의 주변에는 제1 높이용 홀(143b)과 제2 높이용 홀(143c)이 형성된다.
푸시 버튼(141)의 스토퍼(141b)는 도 7처럼 제1 높이용 홀(143b)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도 8처럼 제2 높이용 홀(143c)에 위치될 수도 있는데, 푸시 버튼(141)의 스토퍼(141b)가 도 8처럼 제2 높이용 홀(143c)에 위치된 경우, 상부 지지대(138)를 상부로 이동시켜 결과적으로 상부 바스켓(13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모듈 케이싱(143)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데, 개방된 모듈 케이싱(143)의 상부에 커버(151)가 결합된다. 커버(151)에는 다수의 후크(151a)가 마련되어 모듈 케이싱(143)의 상부에서 착탈될 수 있다.
모듈 케이싱(143)의 하부에서 하부 지지대(118)가 연결된다. 하부 지지대(118)는 모듈 케이싱(143)의 하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145)는 모듈 케이싱(143) 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디(145a)와, 슬라이더 바디(145a)의 양측에서 상부 지지대(138) 쪽으로 연장되어 상부 지지대(128)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 결합부(145b)를 구비한다. 와이어 형태의 상부 지지대(128)는 상부 지지대 결합부(145b)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버튼 지지대(147)는 푸시 버튼(141)과 연결되어 모듈 케이싱(143) 내에서 푸시 버튼(141) 및 슬라이더(145)와 함께 동작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버튼 지지대(147)에는 그 중앙 영역에 푸시돌기부(141a)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147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과공의 주변으로 스토퍼(141b)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147b)이 형성된다.
한편, 푸시 버튼(141)과 슬라이더(145)의 슬라이더 바디(145a) 사이에는 푸시 버튼(141)이 버튼 지지대(147)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다수의 제1 탄성부재(153)가 마련된다. 제1 탄성부재(153)들의 이탈 방지를 위해 푸시 버튼(141)의 배면에는 탄성부재 홈부(14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45)의 상부 지지대 결합부(145b)의 하부 영역에는 슬라이더(145)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다수의 제2 탄성부재(155)가 마련된다.
이에 도 7처럼 푸시 버튼(141)의 스토퍼(141b)가 모듈 케이싱(143)의 제1 높이용 홀(143b)에 위치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141)을 가압하면 제1 탄성부재(153)가 압축되면서 푸시 버튼(141)의 스토퍼(141b)가 모듈 케이싱(143)의 제1 높이용 홀(143b)로부터 이탈되는데, 이 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155)들의 힘에 의해 슬라이더(145)가 상부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145)와 함께 상부로 이동되는 푸시 버튼(141)의 스토퍼(141b)는 제2 높이용 홀(143c)에 위치되어 멈춘다. 이처럼 푸시 버튼(141)을 가압하는 행위만으로도 제2 탄성부재(155)들의 힘에 의해 상부 지지대(138)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상부 바스켓(130)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바스켓(130)의 높낮이 조절을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베이스 프레임 111 : 프레임 바디
112 : 푸트 113 : 더미 프레임
114 : 미끄럼 방지용 캡 117 : 하부 루프
118 : 하부 지지대 120 : 하부 바스켓
130 : 상부 바스켓 137 : 상부 루프
138 : 상부 지지대 140 : 높낮이 조절모듈
141 : 푸시 버튼 141a : 푸시돌기부
141b : 스토퍼 143 : 모듈 케이싱
145 : 슬라이더 145a : 슬라이더 바디
145b : 상부 지지대 결합부 147 : 버튼 지지대
147a : 제1 통과공 147b : 제2 통과공
151 : 커버 153 : 제1 탄성부재
155 : 제2 탄성부재 160 :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
161 : 지지대 배치용 함몰홈부 163 : 물받이 서랍
170 :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 171 :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
172 :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 173 : 와이어 지지대
180 : 착탈식 칼 꽂이부재 181 : 몸체부
182 : 격벽 183 : 더미 덕트
184 : 커버

Claims (15)

  1. 다수의 푸트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지지되어 그릇을 보관하는 하부 바스켓;
    상기 하부 바스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릇을 보관하는 상부 바스켓; 및
    푸시(push) 방식으로 동작되는 푸시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바스켓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상부 바스켓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높낮이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내부에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의 주변으로 제1 높이용 홀과 제2 높이용 홀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가 연결되는 모듈 케이싱;
    상기 모듈 케이싱 내로 삽입되는 슬라이더 바디와,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가 결합되는 상부 지지대 결합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푸시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모듈 케이싱 내에서 상기 푸시 버튼 및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동작되는 버튼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버튼에는 상기 제1 높이용 홀과 상기 제2 높이용 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푸시 버튼과 상기 슬라이더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버튼 지지대 쪽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제1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지지대 결합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탄성바이어스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의 중앙 영역에는 푸시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 지지대에는 그 중앙 영역에 상기 푸시돌기부가 통과되는 제1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과공의 주변으로 상기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2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모듈은,
    상기 모듈 케이싱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스켓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하부 바스켓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에 고정되며,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 하부 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스켓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상부 바스켓의 둘레 방향을 따라 루프 타입으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에 고정되며, 후면 영역보다 전면 영역이 낮게 형성되는 상부 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스켓을 지지하며, 상기 식기류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되도록 하는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에는 상기 하부 지지대가 배치되는 지지대 배치용 함몰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내부 코너 영역에는 상기 하부 바스켓이 놓여져 지지되는 다수의 바스켓 지지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에는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물받이 서랍이 더 결합되며,
    상기 물받이 서랍이 위치되는 상기 착탈식 물 받침 트레이의 저면에는 드레인홀(drain 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닥부에 걸이 방식으로 걸려 지지되며, 접시가 꽂아져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접시 꽂이용 랙은,
    측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마련되고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
    상기 한 쌍의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 사이에서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 및
    상기 접시 꽂이용 이중 와이어들과 상기 접시 꽂이용 단일 와이어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되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닥부에 걸려 지지되는 다수의 와이어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스켓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 칼 꽂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칼 꽂이부재는,
    다수의 격벽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측면에 통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어느 한 공간의 상부에 결합되어 높이를 높게 유지시켜 주는 더미 덕트; 및
    상기 더미 덕트에 결합되고 판면에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기 건조대.
KR2020130008938U 2013-10-31 2013-10-31 다기능 식기 건조대 KR2015000176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38U KR20150001767U (ko) 2013-10-31 2013-10-31 다기능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38U KR20150001767U (ko) 2013-10-31 2013-10-31 다기능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67U true KR20150001767U (ko) 2015-05-08

Family

ID=5343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38U KR20150001767U (ko) 2013-10-31 2013-10-31 다기능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76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25Y1 (ko) * 2020-01-08 2020-05-12 추교완 식기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25Y1 (ko) * 2020-01-08 2020-05-12 추교완 식기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01B1 (ko) 프라이팬 거치대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20170115812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150001767U (ko) 다기능 식기 건조대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JP2012200380A (ja) すのこ装置
KR102128351B1 (ko) 식기선반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KR101440794B1 (ko) 고정대 교환 가능한 주방용품 걸이대
KR200377376Y1 (ko) 주방용 선반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050023580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TWM600320U (zh) 多功能水槽架
KR101607574B1 (ko) 식기 선반
CN21020454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置物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