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401B1 - 프라이팬 거치대 - Google Patents

프라이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401B1
KR101629401B1 KR1020160014054A KR20160014054A KR101629401B1 KR 101629401 B1 KR101629401 B1 KR 101629401B1 KR 1020160014054 A KR1020160014054 A KR 1020160014054A KR 20160014054 A KR20160014054 A KR 20160014054A KR 101629401 B1 KR101629401 B1 KR 10162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ying pan
mounting piece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완
Original Assignee
나승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하이텍(주) filed Critical 나승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6001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401B1/ko
Priority to CN201610584026.4A priority patent/CN107028521B/zh
Priority to US15/217,412 priority patent/US9839329B2/en
Priority to PCT/KR2017/000556 priority patent/WO20171355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ide walls of the lad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47B57/54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clamped in discrete positions, e.g. on tubes with grooves or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47F5/13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made of tubes or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프라이팬 거치대가 제시된다. 프라이팬 거치대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상기 거치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프라이팬 거치대{FRYING PAN HOLDER}
아래의 실시예들은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납하는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음식을 조리할 때 가정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리 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고 자루 형태 등 각종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특히, 자루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 프라이팬은 손잡이의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거나 또는 별도의 고리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손잡이의 길이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다수의 프라이팬의 수납이 어려우며, 주방의 싱크대 등의 제한된 공간에서 프라이팬뿐 아니라 다양한 조리용기를 동시에 수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85652호는 이러한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프라이팬을 크기 별로 정렬 보관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평 방향으로 수납하는 프라이팬 거치대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이 결합되어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에 탄성에 의해 착탈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거치하는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은 거치부의 외부 거치편 내부에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어 프라이팬의 낙하를 방지하고 프라이팬을 거꾸로 거치 가능하여 세척 후 건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상기 거치부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내측에서 끼워져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탄성을 가져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이 상기 결합홈에 각각 결합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외부 거치편; 상기 외부 거치편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 거치편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 및 상기 외부 거치편과 단차가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되며,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내부 거치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는, 소정 직경을 가진 금속관이 절곡 및 만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거치편은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시 받침부 또는 가이드부가 되며, 상기 내부 거치편은 상기 프라이팬의 정방향으로 수평 거치 시 받침부가 되고 역방향으로 수평 거치 시 걸림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는 바닥과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의 직립을 보조하며,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 중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외부 거치편의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홈들은, 상하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마다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은, 상하부의 상기 결합홈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 개씩 배치되며,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는, 상기 외부 거치편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 중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부의 크기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거치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이 결합되어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에 탄성에 의해 착탈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거치하는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부의 외부 거치편 내부에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어 프라이팬의 낙하를 방지하고 프라이팬을 거꾸로 거치 가능하여 세척 후 건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실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이 결합되어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을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에 탄성에 의해 착탈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들은 거치부의 외부 거치편 내부에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어 프라이팬의 낙하를 방지하고 프라이팬을 거꾸로 거치 가능하여 세척 후 건조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상기 거치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를 하나의 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프레임부(100) 및 거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부(100)에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에서 프레임부(100)는 바닥에 세워져 복수의 거치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프라이팬 등의 조리용기를 다수 개 거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용기부(볼) 내부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손잡이가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수납 및 정리가 어려운 프라이팬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거치부들의 높이 및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조리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2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은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들(13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1)은 상하부 한 쌍을 이루어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거치부들(200)은 상하부의 결합홈들(1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배치되는 공간 및 용도에 따라 복수의 거치부들(200)을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복수 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들(131)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의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들(131)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의 타측 방향으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연결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2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그 형상 및 수량에 제한은 없으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프레임부(100) 전체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120)의 적어도 하나는 바닥과 접촉되어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다. 즉, 하부에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120)은 바닥에 접촉됨으로써 프라이팬 거치대에 다수의 조리용기가 거치되거나 일측 방향으로 다수의 조리용기가 거치되더라도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고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수평 방향으로 프라이팬,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거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거치편(21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 거치편(21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오픈되어 양측 끝단이 형성되며, 오픈된 양측 끝단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거치편(210)은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외부 거치편(210)은 만곡되어 링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 거치편(210)은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시 받침부(250) 또는 가이드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되는 프라이팬의 크기가 외부 거치편(21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프라이팬을 거치부(200)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하면 외부 거치편(210)은 프라이팬 거치대가 흔들리거나 프라이팬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거치된 프라이팬을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라이팬의 크기가 외부 거치편(210)의 크기보다 큰 경우, 프라이팬을 거치부(200)에 수평 방향으로 거치하면 외부 거치편(210)은 프라이팬 바닥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단독 또는 내부 거치편(220)과 함께 프라이팬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치부(200)에는 프라이팬뿐만 아니라 냄비, 용기 등 다양한 조리용기를 거치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복수의 돌출부들(230)은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내측에서 끼워져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돌출부들(230)은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의 양측 끝단 중 일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역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돌출부들(230) 각각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내측에서 끼워져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200)는 탄성을 가져 프레임부(100)에 결합 시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결합홈(131)에 각각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을 양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거치부(20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탄성에 의해 소정 간격 내측으로 이동되어 상기의 결합홈(131)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후 탄성에 의해 원 형태로 복원되어 돌출부(230)가 결합홈(131)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을 양측 방향에서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거치부(20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탄성에 의해 소정 간격 내측으로 이동되므로 결합홈(13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거치부(200)를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의 일부를 오픈시킴으로써 가압에 의해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를 사용하더라도 양측 끝단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230)을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거치부(20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에 탄성에 의해 착탈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200)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조리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내부 거치편(220)은 외부 거치편(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내부 거치편(22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외부 거치편(2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거치편(220)은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내부 거치편(220)은 만곡되어 링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 거치편(220)은 프라이팬의 정방향으로 수평 거치 시 받침부(250)가 될 수 있고, 프라이팬의 역방향으로(거꾸로) 수평 거치 시 걸림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되는 프라이팬이 정방향으로 거치부(200)에 거치 시, 프라이팬의 크기가 외부 거치편(21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내부 거치편(220) 단독으로 받침부(250) 역할을 하며, 프라이팬의 크기가 외부 거치편(210)의 크기보다 큰 경우 외부 거치편(210)과 함께 프라이팬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거치편(220)이 외부 거치편(210)보다 하측으로 단차가 크게 형성되고 프라이팬의 바닥이 수평인 경우에는 외부 거치편(210)에 의해서만 받침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거치되는 프라이팬의 역방향으로(거꾸로) 수평 거치 시, 프라이팬의 크기가 외부 거치편(21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내부 거치편(220)은 프라이팬 용기부의 내측이 걸리는 걸림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팬의 손잡이는 'U'자 형상의 내부 거치편(220)의 오픈된 측으로 배치되어 프라이팬의 손잡이가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외부 거치편(210) 및 내부 거치편(220)에 걸림 없이 거치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200)는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뿐 아니라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을 연결하는 절곡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부(240)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여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거치부(200)는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24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되어 하측에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거치편(220)은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로부터 절곡부(240)에 의해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여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되되, 절곡부(240)에서 상측 방향으로 기울어져(slope)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라이팬을 역방향으로 거치 시에도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200)는 소정 직경을 가진 금속관을 절곡 및 만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의 크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 및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 중 상단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의 크기는 하부에 배치되는 거치부(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 중 하단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에는 받침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받침부(250)는 외부 거치편(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닥과 접촉됨으로써 프라이팬 거치대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부(100)만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거치부(200)의 하부에 받침부(250)가 형성되어 프라이팬 거치대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라이팬 거치대는 조리용기를 수납할 때에도 흔들림이 거의 없어 거치되어 있던 조리용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의 적어도 일측 방향에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100)의 일측 방향에만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프레임부(100)의 양측 방향에 각각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프레임부(100) 및 거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부(100)에는 적어도 일측으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수직 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들(13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1)은 상하부 한 쌍을 이루어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131)은 거치부(200)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230) 중 하나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거치부들(200)은 상하부의 결합홈들(1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 개씩 배치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24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되어 하측에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거치편(220)은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으로 구성됨으로써 하측에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은 받침부(250) 역할을 하며 상측에 형성된 외부 거치편(210)은 가이드 역할을 하여 조리용기의 거치 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 중 하단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에는 받침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받침부(250)는 외부 거치편(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닥과 접촉됨으로써 프라이팬 거치대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부(100)만으로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거치부(200)의 하부에 받침부(250)가 형성되어 프라이팬 거치대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라이팬 거치대는 조리용기를 수납할 때에도 흔들림이 거의 없어 조리용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에서 거치부(200)는 소정 직경을 가진 금속관을 절곡 및 만곡시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의 크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 및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 중 상단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의 크기는 하부에 배치되는 거치부들(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크기가 커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라이팬 거치대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와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프레임부(100)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복수의 거치부들(200)을 착탈시킬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기가 수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납된 조리용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실제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되어 다수의 프라이팬(10) 등의 조리용기를 수납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각각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됨으로써 다수의 조리용기를 수평 방향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특히 프레임부(100)의 결합홈(131)에 거치부(200)에 형성된 돌출부(23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는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거치부들(200)을 결합시킴으로써 조리용기의 거치 가능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00)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240)에 의해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200)가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으로 구성됨으로써 하측에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은 받침부(250) 역할을 하며 상측에 형성된 외부 거치편(210)은 가이드 역할을 하여 조리용기의 거치 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프라이팬(10)을 역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에 'U'자 형상의 내부 거치편(220)에 프라이팬 용기부가 거치되고 'U'자 형상의 내부 거치편(220)의 오픈된 측으로 프라이팬 손잡이(11)가 배치됨으로써, 단차가 형성된 외부 거치편(210)에 의해 가이드 되어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240)에 의해 프라이팬 용기부가 걸리고 단차에 의해 상측에 형성된 외부 거치편(210)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라이팬(10)이 정방향으로 거치되는 경우에도 절곡부(240)에 의해 프라이팬 용기부가 걸리고 단차에 의해 상측에 형성된 외부 거치편(210)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의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되어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프라이팬(10)을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프라이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양측으로 각각 4개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되어 총 8개의 프라이팬(10)이 수납 가능하다. 이는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이 수납되는 싱크대 내에 수납 가능한 크기로, 최소 공간에서 최대 수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가 겹쳐져 수납되는 경우의 사용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 내부에 단차가 형성된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되어 프라이팬의 낙하를 방지하고 프라이팬(10)을 거꾸로 거치 가능하여 세척 후 건조가 용이하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프레임부(100)의 일측 방향으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와 그 구성이 중복되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는 프레임부(100) 및 거치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프레임부(100)의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팬 거치대에서 프레임부(100)는 바닥에 세워져 복수의 거치부(200)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프라이팬(10) 등의 조리용기를 다수 개 거치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20)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연결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130)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들(131)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120)의 적어도 하나는 바닥과 접촉되어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다.
거치부(200)는 수평 방향으로 프라이팬(10), 냄비 등의 조리용기를 거치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거치편(21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양측 끝단에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 거치편(21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부가 오픈되어 양측 끝단이 형성되며, 오픈된 양측 끝단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00)의 복수의 돌출부들(230)은 거치부(200)의 외부 거치편(210)의 양측 끝단 중 일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외측으로 돌출된 역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돌출부들(230) 각각은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110)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131)에 내측에서 끼워져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200)는 탄성을 가져 프레임부(100)에 결합 시 복수의 돌출부들(230)이 결합홈(131)에 각각 결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내부 거치편(220)은 외부 거치편(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내부 거치편(220)은 수평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이 외부 거치편(2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거치부(200)는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뿐 아니라 외부 거치편(210)과 내부 거치편(220)을 연결하는 절곡부(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절곡부(240)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여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거치부(200)는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부 거치편(210)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부 거치편(220)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24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거치편(210)과 단차가 형성되어 하측에 내부 거치편(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거치편(220)은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거치부(200)는 소정 직경을 가진 금속관을 절곡 및 만곡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의 크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즈로 제작하여 사용자가 배치되는 공간의 크기 및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프레임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거치부들(200) 중 하단에 결합되는 거치부(200)에는 바닥과 접촉되는 받침부(2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의 일측 방향으로 프라이팬(10)의 수평 거치 가능한 복수의 거치부들(200)이 결합됨으로써 최소 공간에서 최대의 조리용기를 수납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좋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프레임부 110: 수직 프레임
120: 수평 프레임 130: 보조 프레임
131: 결합홈 200: 거치부
210: 외부 거치편 220: 내부 거치편
230: 돌출부 240: 절곡부
250: 받침부

Claims (7)

  1.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 및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과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적어도 일측에 복수의 상기 거치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외부 거치편;
    상기 외부 거치편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내부 거치편과 연결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절곡부; 및
    상기 외부 거치편과 단차가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되며, 만곡되어 'U'자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내부 거치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을 포함하여, 상기 복수의 수직 기둥부들과 직교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보조 프레임들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양측 끝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내측에서 끼워져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탄성을 가져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이 상기 결합홈에 각각 결합 고정되거나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소정 직경을 가진 금속관이 절곡 및 만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거치편은 프라이팬의 수평 거치 시 받침부 또는 가이드부가 되며, 상기 내부 거치편은 상기 프라이팬의 정방향으로 수평 거치 시 받침부가 되고 역방향으로 수평 거치 시 걸림부가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는 바닥과 접촉되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의 직립을 보조하며,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 중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외부 거치편의 하부에 바닥과 접촉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하부 한 쌍을 이루어 상기 복수의 수직 프레임들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마다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은,
    상하부의 상기 결합홈들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 개씩 배치되며, 거치되는 조리용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외부 거치편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절곡부에 의해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에서 상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내부 거치편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의 거치부들 중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거치부의 크기는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거치부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거치대.
KR1020160014054A 2016-02-04 2016-02-04 프라이팬 거치대 KR101629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54A KR101629401B1 (ko) 2016-02-04 2016-02-04 프라이팬 거치대
CN201610584026.4A CN107028521B (zh) 2016-02-04 2016-07-22 平底锅收纳架
US15/217,412 US9839329B2 (en) 2016-02-04 2016-07-22 Frying pan holder
PCT/KR2017/000556 WO2017135594A1 (ko) 2016-02-04 2017-01-17 프라이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054A KR101629401B1 (ko) 2016-02-04 2016-02-04 프라이팬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401B1 true KR101629401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054A KR101629401B1 (ko) 2016-02-04 2016-02-04 프라이팬 거치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9329B2 (ko)
KR (1) KR101629401B1 (ko)
CN (1) CN107028521B (ko)
WO (1) WO20171355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47B1 (ko) * 2020-04-27 2020-10-07 추교완 다용도 선반
KR102269580B1 (ko)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14081S1 (en) * 2011-04-15 2014-09-30 Christopher Simone Display stand
USD832665S1 (en) * 2016-01-26 2018-11-06 Na Seung Hitech Co., Ltd. Frying pan holder
USD821166S1 (en) * 2016-01-26 2018-06-26 Na Seung Hitech Co., Ltd. Frying pan holder
US10105015B2 (en) * 2016-02-26 2018-10-23 YouCopia Products Inc. Wrap stand
USD843792S1 (en) * 2016-08-25 2019-03-26 Seville Classics Inc. Pan rack
USD829047S1 (en) * 2017-05-26 2018-09-25 Cornelius, Inc. Push to dispense valve for 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USD836401S1 (en) * 2017-09-01 2018-12-25 Spectrum Diversified Designs, Llc Kitchen organizer
USD836400S1 (en) * 2017-09-01 2018-12-25 Spectrum Diversified Designs, Llc Kitchen organizer
USD835439S1 (en) * 2017-11-15 2018-12-11 Tsung-Yu Tsai Pan rack
CN212165661U (zh) * 2018-10-22 2020-12-18 全包层金属制品公司 炊具架
USD990218S1 (en) * 2020-12-22 2023-06-27 Donald J. Russo Multi-level microwave plate holder
USD970320S1 (en) * 2021-02-04 2022-11-22 Xiaojun Liu Pot rack
USD1012580S1 (en) * 2022-03-15 2024-01-30 Pro-Mart Industries Inc. Bakeware organiz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100Y1 (ko) * 1999-10-11 2000-03-15 김순숙 프라이팬 거치대
KR200385652Y1 (ko) * 2005-03-10 2005-06-01 주식회사 새샘 프라이 팬 거치대
US20140217869A1 (en) * 2011-05-31 2014-08-07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Accessory for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81A (en) * 1891-09-08 Le roy c
US789125A (en) * 1904-07-01 1905-05-02 Luther Emerson Paper-bag holder.
US1065000A (en) * 1911-08-15 1913-06-17 Nickolaus Sarter Utensil-cover holder or rack.
US1159485A (en) * 1914-03-23 1915-11-09 Summervell B Rogers Milk-bottle holder.
US2307752A (en) * 1939-09-05 1943-01-12 Wintercorn Andrew F Soap hanger
US2518549A (en) * 1947-03-14 1950-08-15 Donald B Hyde Bird cake holder
US2972414A (en) * 1960-01-28 1961-02-21 Charles B Sipe Pan cover holder
US3429541A (en) * 1966-11-30 1969-02-25 Roumaine J Herman Crutch attachment
US3900109A (en) * 1973-11-28 1975-08-19 Wendell C Peterson Elongated surgical instrument holder
US4023682A (en) * 1975-11-05 1977-05-17 Nbs, Incorporated (Entire) Device for securing containers to refrigerator shelves
US4391378A (en) * 1981-10-09 1983-07-05 The Sherwood Corporation Shelving console furniture
US4583646A (en) * 1984-07-13 1986-04-22 B. Quad, Inc. Sectional rack for caps and the like
US4666201A (en) * 1985-10-21 1987-05-19 Selfix, Inc. Modular wrap organizer
USD364074S (en) * 1994-09-14 1995-11-14 Yeh Kuo S Rack for kitchen utensils
SE521776C2 (sv) * 1999-06-03 2003-12-02 Holms Harry Ab Lösbar eller fästbar hållare
US6386379B1 (en) * 2000-06-08 2002-05-14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Hanging rack with quick load/unload
KR200260530Y1 (ko) * 2001-10-18 2002-01-10 함미선 조리용기 거치대
US6997329B2 (en) * 2003-06-16 2006-02-14 Garabet Nemer Ohanian Container lid rack
US20080251472A1 (en) * 2007-04-16 2008-10-16 Kasden Kenneth L Cooking caddy
KR101369851B1 (ko) * 2012-09-18 2014-03-04 주식회사 해피콜 냄비 뚜껑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거치용 걸이구
CN203263185U (zh) * 2013-03-29 2013-11-06 宋豪 一种折叠锅架
CN203483326U (zh) * 2013-07-30 2014-03-19 冷定刚 厨房用具放置构架
US20150129518A1 (en) * 2013-11-12 2015-05-14 Willy Ho Storage r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100Y1 (ko) * 1999-10-11 2000-03-15 김순숙 프라이팬 거치대
KR200385652Y1 (ko) * 2005-03-10 2005-06-01 주식회사 새샘 프라이 팬 거치대
US20140217869A1 (en) * 2011-05-31 2014-08-07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Accessory for dish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580B1 (ko)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KR102162747B1 (ko) * 2020-04-27 2020-10-07 추교완 다용도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5594A1 (ko) 2017-08-10
CN107028521B (zh) 2019-04-26
US9839329B2 (en) 2017-12-12
US20170224176A1 (en) 2017-08-10
CN107028521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01B1 (ko) 프라이팬 거치대
JP2004500920A (ja) 対象物乾燥装置
US10561297B2 (en) Wire frame drying rack
KR20080064940A (ko) 식기 건조대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JP5533551B2 (ja) キッチンラック
US8123049B2 (en) Pot stand
KR101977580B1 (ko)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KR200385652Y1 (ko) 프라이 팬 거치대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KR20180005431A (ko) 다용도 선반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JP2003024264A (ja) 食器や調理器具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体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KR20240079512A (ko) 음료용기 건조대
JP2014018613A (ja) 板状部材の保持装置および保持方法
JP3233352U (ja) ラック
JP3216974U (ja) キッチン用具スタンド
KR102269580B1 (ko) 조리용 팬 수납장치
KR102488695B1 (ko) 조리용기 뚜껑 거치대
GB2326081A (en) Lid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