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2747B1 - 다용도 선반 - Google Patents

다용도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2747B1
KR102162747B1 KR1020200050640A KR20200050640A KR102162747B1 KR 102162747 B1 KR102162747 B1 KR 102162747B1 KR 1020200050640 A KR1020200050640 A KR 1020200050640A KR 20200050640 A KR20200050640 A KR 20200050640A KR 102162747 B1 KR102162747 B1 KR 10216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ertical frames
coupling grooves
kitchen utensil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완
Original Assignee
추교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교완 filed Critical 추교완
Priority to KR102020005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folding of the cabinet or the like
    • A47B43/003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 A47B43/006Suspended shelves, e.g. by means of supple elements fixed on cords, cables, wire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다용도 선반이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바닥에 세워지며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다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선반{MULTI-PURPOSE SHELF}
아래의 실시예들은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수납하는 다용도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요리를 하거나 식사를 준비할 때는 다양한 주방기구와 용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주방기구와 용기는 그 크기와 두께, 형태 등이 매우 다양하므로 그냥 뒤섞어 보관할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유사한 형태의 용기나 주방기구를 서로 겹쳐 보관하는 경우 하측의 용기나 주방기구를 꺼낼 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정리정돈이 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주방기구와 용기를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는 선반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2-0007820호는 이러한 주방기구용 다층선반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지주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향되게 선반의 기초부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지주를 중심으로 외발보로 뻗어지도록 결합 고정되는 선반들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주방기구용 다층선반의 경우 주방기구들의 무게에 따라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2-0007820호
실시예들은 다용도 선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냄비, 프라이팬 등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는 다용도 선반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의 양단이 마주보는 ‘C’형의 돌출부가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의 다수개의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주물 냄비 등 무거운 물건의 적재도 가능한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에 다단을 형성하여 주방기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바닥에 세워지며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다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상기 결합홈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결합홈을 선택한 후 복수개의 상기 선반부를 결합시켜 상기 복수개의 선반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는,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마주보는 ‘C’형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선반의 직립을 보조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부의 양측 외부 거치편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날개부가 구성되어 상기 선반부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는 바구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냄비, 프라이팬 등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고,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에 다단을 형성하여 주방기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의 양단이 마주보는 ‘C’형의 돌출부가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의 다수개의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주물 냄비 등 무거운 물건의 적재도 가능한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구니부가 결합된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가 수납된 다용도 선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주방기구가 수납된 다용도 선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냄비, 프라이팬 등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안착시키는 다용도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의 양단이 마주보는 ‘C’형의 돌출부가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의 다수개의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주물 냄비 등 무거운 물건의 적재도 가능한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에 다단을 형성하여 주방기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바닥에 세워지며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다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을 하나의 예를 들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100)은 지지부(110) 및 선반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용도 선반(100)은 받침부(130) 및 바구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용도 선반(100)은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강도 및 제조 등을 위해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110)는 바닥에 직립되게 세워져 복수개의 선반부(120)를 결합 및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과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을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10)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1)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111)의 상측 및 하측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은 서로 이격되어 바닥에 세워지며, 각각의 수직 프레임(111)은 선반부(120) 및/또는 받침부(130)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결합홈(112)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112)은 선반부(120) 및/또는 받침부(130)에 구성된 돌출부(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가로로 길이가 길고 양단이 완만한 곡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결합홈(112)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결합홈(112)을 선택하고 선반부(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결합홈(112)을 선택한 후 복수개의 결합홈(112)을 선택 후 복수개의 선반부(120)를 결합시켜 복수개의 선반부(1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R홈(113)이 구성되어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이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결합홈(112)보다 소정 높이 높게 R홈(113)을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홈(112)보다 0.3mm 정도 높여 R홈(113)을 파서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이 부드럽게 걸쳐짐으로써 선반부(120)가 전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은 금속 판형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세워지고, 그 정단면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양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111)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R홈(113)이 0.3mm 정도 높게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됨으로써,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23)가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돌출부(123)의 내측 주변부가 R홈(113)에 걸쳐질 수 있다.
수평 프레임(114)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평 프레임(114)은 바닥부에 구성되어 지지부(110)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프레임(114)은 금속와이어 형태 또는 금속 판형으로 복수개 구성되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상단과 하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 및 수평 프레임(114)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선반부(120)는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을 얹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선반부(120)는 금속와이어가 수평 방향으로 굴절되어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반부(120)는 양단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각 결합홈(112)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어 지지부(110)에 여러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반부(120)는 양측 끝단에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각 결합홈(112)에 끼움결합되는 마주보는 ‘C’형으로 돌출된 돌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23)를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내측으로 삽입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23)의 주변부가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R홈(113)에 걸쳐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반부(120)의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소정 압력 가압한 후,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돌출부(123)를 내측으로 삽입하고 돌출부(123)의 내측 주변부를 R홈(113)에 안착시켜, 선반부(120)의 텐션에 의해 결합홈(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R홈(1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선반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121)과, 외부 거치편(121)의 내부에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부(120)의 외부 거치편(121) 및/또는 내부 거치편(122)에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이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을 선반부(120)에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더욱이, 선반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121)과, 외부 거치편(121)의 내부에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부(120)의 내부 거치편(122)에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이 안착되며, 내부 거치편(122)보다 상측에 구성된 외부 거치편(121)에 의해 안착된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이 움직이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반부(120)에 다단을 형성하여 안착된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부(120)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에 적어도 둘 이상 결합되어 다층으로 선반을 구성할 수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다단이 형성되지 않은 선반부(120) 또는 다단이 형성된 선반부(120)만 구성될 수 있으며, 다단이 형성되지 않은 선반부(120) 및 다단이 형성된 선반부(120)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선반부(120)의 하측에는 선반의 직립을 보조하는 받침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30)는 양단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각 결합홈(112)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선반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선반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다.
이 때, 받침부(130)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131)과, 외부 거치편(131)의 내부에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 거치편(131)과 내부 거치편(122)이 연결될 때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다리부(134)를 형성함으로써 다용도 선반(100)의 직립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받침부(130)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131)과, 외부 거치편(131)의 내부에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부(130)는 선반부(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부(110)의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받침부(130)는 양측 끝단에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각 결합홈(112)에 끼움결합되는 마주보는 ‘C’형으로 돌출된 돌출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받침부(13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33)를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내측으로 삽입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3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33)의 주변부가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R홈(113)에 걸쳐질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받침부(130)의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소정 압력 가압한 후, 대향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돌출부(133)를 내측으로 삽입하고 돌출부(133)의 내측 주변부를 R홈(113)에 안착시켜, 받침부(130)의 텐션에 의해 결합홈(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R홈(1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 선반(100)은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에 적어도 둘 이상의 선반부(120)가 결합되어 다층으로 선반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일측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선반부(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양측 방향으로 복수개의 선반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구니부가 결합된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용도 선반(100)은 선반부(120)에 결합되는 바구니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구니부(140)는 선반부(120)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며, 선반부(120)와의 결합을 위해 선반부(120)의 양측 외부 거치편(121)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날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구니부(140)는 금속와이어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부(141)가 구성되며, 소형의 조리도구 등 다양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테두리부(142)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구니부(140)의 바닥부(141)의 양측에 금속와이어가 굴절된 형태의 날개부(143)가 구성되어 선반부(120)의 양측 외부 거치편(121)을 적어도 일부 감싸며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냄비가 수납된 다용도 선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반부(120)는 금속와이어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굴절되어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을 안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121)과, 외부 거치편(121)의 내부에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부(120)의 내부 거치편(122)에 주방기구 및 용기(a) 등이 안착되며, 내부 거치편(122)보다 상측에 구성된 외부 거치편(121)에 의해 안착된 주방기구 및 용기(a) 등이 움직이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반부(120)에 다단을 형성하여 안착된 주방기구 및 용기(a) 등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주방기구가 수납된 다용도 선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일측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선반부(120)가 결합된 형태의 다용도 선반(100)을 나타낸다.
주방기구 및 용기(a) 등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선반부(12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선반부(120) 사이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선반(100)은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 및 용기(a) 등을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선반(100)은 지지부(110)를 바닥에 세운 후,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23)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고, 선반부(120)의 양측 끝단의 돌출부(123)의 내측 주변부가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R홈(113)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반부(120)의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소정 압력 가압한 후, 대향하여 배치된 수직 프레임(111)의 결합홈(112)에 돌출부(123)를 내측으로 삽입하고 돌출부(123)의 내측 주변부를 R홈(113)에 안착시켜, 선반부(120)의 텐션에 의해 결합홈(11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R홈(1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임의로 결합홈(112)을 선택하여 선반부(120)를 결합시킴으로써 선반부(1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되는 주방기구 및 용기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선반부(1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111)의 하측에는 받침부(130)를 결합시켜 주방기구 및 용기 등을 안착시키는 동시에 선반의 직립을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선반부(120) 및/또는 받침부(130)의 상측에 바구니부(140)를 결합시켜 소형 조리기구 등을 보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냄비, 프라이팬 등의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주방기구를 다층으로 얹을 수 있고,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120)에 다단을 형성하여 주방기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방기구가 안착되는 선반부(120)의 양단에 마주보는 ‘C’형의 돌출부(123)가 구성되어 수직 프레임(111)의 다수개의 결합홈(112)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됨으로써 선반부(120)의 높이 조절이 자유롭고, 선반부(120)의 돌출부(123)의 주변부가 R홈(113)에 자연스럽게 걸쳐짐으로써 금속와이어로 구성된 선반의 끝단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용도 선반(100)은 내구성이 좋으며 주물 냄비 등 무거운 물건의 적재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주방기구 및 조리도구 등을 다층으로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다용도 선반
110: 지지부
111: 수직 프레임
112: 결합홈
113: R홈
114: 수평 프레임
120: 선반부
121: 외부 거치편
122: 내부 거치편
123: 돌출부
130: 받침부
140: 바구니부

Claims (5)

  1.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하는 다용도 선반에 있어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바닥에 세워지며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성되는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 및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선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부는 적어도 둘 이상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다층으로 배치되며, 상기 선반부의 양측 끝단에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마주보는 'C'형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은,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상기 결합홈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결합홈을 선택한 후 복수개의 상기 선반부를 결합시켜 상기 복수개의 선반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되, 금속 판형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세워지고 그 정단면이 'ㄷ'자 형태가 되도록 절곡되어 양측면을 구성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R홈이 구성되어 상기 선반부의 양측 끝단이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결합홈보다 소정 높이 높게 상기 R홈을 구성하여 상기 선반부의 양측 끝단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돌출부의 내측 주변부가 상기 R홈에 걸쳐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선반부의 양측을 내측 방향으로 소정 압력 가압한 후, 대향하여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상기 결합홈에 상기 돌출부를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돌출부의 내측 주변부를 상기 R홈에 안착시켜, 상기 선반부의 텐션에 의해 상기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R홈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는,
    수평 방향으로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외부 거치편과, 상기 외부 거치편의 내부에 하측으로 다단을 형성하여 역 'ㄷ'자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는 내부 거치편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수직 프레임의 각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선반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측에 주방기구를 안착시켜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선반의 직립을 보조하는 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선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의 양측 외부 거치편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날개부가 구성되어 상기 선반부에 올려진 상태로 결합되는 바구니부
    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선반.
KR1020200050640A 2020-04-27 2020-04-27 다용도 선반 KR102162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40A KR102162747B1 (ko) 2020-04-27 2020-04-27 다용도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40A KR102162747B1 (ko) 2020-04-27 2020-04-27 다용도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747B1 true KR102162747B1 (ko) 2020-10-07

Family

ID=7288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640A KR102162747B1 (ko) 2020-04-27 2020-04-27 다용도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31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820U (ko) 2011-05-06 2012-11-14 김종국 주방기구용 다층선반
KR101629401B1 (ko) * 2016-02-04 2016-06-10 나승하이텍(주) 프라이팬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820U (ko) 2011-05-06 2012-11-14 김종국 주방기구용 다층선반
KR101629401B1 (ko) * 2016-02-04 2016-06-10 나승하이텍(주) 프라이팬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1010387호(2019.06.1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31A (ko) *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KR102598409B1 (ko) * 2021-08-24 2023-11-15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방용품 살균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84045B2 (en) Rack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CN105249914B (zh) 洗碗机碗篮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洗碗机碗篮
US20170224176A1 (en) Frying Pan Holder
US10561297B2 (en) Wire frame drying rack
US9949595B1 (en) Cookware rack
KR102390506B1 (ko) 상하 승강 가능한 싱크대용 수납대
KR102162747B1 (ko) 다용도 선반
US10842263B1 (en) Combinative shelving unit
US20090301361A1 (en) Foldable furniture device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US3366264A (en) Nesting and stacking trays
JP5533551B2 (ja) キッチンラック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US8123049B2 (en) Pot stand
US1013313A (en) Oven, refrigerator, and similar receptacle.
KR200385652Y1 (ko) 프라이 팬 거치대
KR20190108708A (ko) 조립식 테이블
CA3092700C (en) Combinative shelving unit
JP2013169215A (ja) ホテルパン類用ラック
KR20180023712A (ko) 야외용 일체형 원목 테이블
JPH08126535A (ja) 流し台用整理棚
WO2021070618A1 (ja) 調理器具用収納スタンドおよびフロアキャビネット
CN113167480A (zh) 烤箱用多功能附件支撑件
JP3013606U (ja) 籠 棚
KR200379700Y1 (ko) 수직으로 적재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