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652Y1 - 프라이 팬 거치대 - Google Patents

프라이 팬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652Y1
KR200385652Y1 KR20-2005-0006454U KR20050006454U KR200385652Y1 KR 200385652 Y1 KR200385652 Y1 KR 200385652Y1 KR 20050006454 U KR20050006454 U KR 20050006454U KR 200385652 Y1 KR200385652 Y1 KR 200385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mounting
support frame
ground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20-2005-0006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되는 프라이 팬(frying pan)을 크기별로 가지런하게 정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프라이 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프라이 팬(3)을 필요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 거치 가능하도록 한 거치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시 지면에 각각 닿게 되는 제1 지주 프레임(10) 및 제2 지주 프레임(20)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으로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거치편들(30)(31)(32)이 그 거치 높이를 달리하도록 차등지게 고정 설치되되, 상기 각 거치편들(30)(31)(32)의 대략 중앙부로는 프라이 팬(3)의 손잡이(2)가 위치되는 손잡이 고정부(30a)(31a)(32a)가 각각 형성되어지며, 상기 거치편(32)으로는 받침편(32b)을 더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제2 지주 프레임(20)의 자유단부로도 받침편(22)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B)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프라이 팬(3)이 수평 거치되는 각 거치편들(30)(31)(32)이 동시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프라이 팬 거치대{Frying pan supporter}
본 고안은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 전후의 프라이 팬(frying pan)을 크기별로 가지런하게 정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프라이 팬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 팬은 주로 볶는 음식을 조리할 때 가정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조리용도에 따라 그 크기나 형태가 다양하고, 또 조리에 따른 신체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루 형태는 물론 각종 형태의 손잡이가 형성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특히 자루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 프라이 팬의 보관 사용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용이하지 못하다.
즉, 종래 프라이 팬은 그 손잡이의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거나 또는 별도의 고리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손잡이의 길이 구조상 싱크대 내부에 넣어 보관하는 경우 비교적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 벽에 일일이 걸어 보관하는 경우에도 그 형태나 크기가 다양하여 주의를 기울여 가지런하게 정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관상 매우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프라이 팬을 바닥으로 떨어뜨리는 경우 프라이 팬의 파손이나 신체 안전사고 등의 유발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프라이 팬의 안정적인 보관 사용이 가능하고, 또 한 장소에 집중 보관하기 때문에 외관상 미려하고, 또 취급 사용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보관 장소에 따라 프라이 팬을 수직 또는 수평상태로 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프라이 팬의 보관에 따른 주방의 공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프라이 팬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라이 팬 거치대는, 프라이 팬(3)을 필요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 거치 가능하도록 한 거치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시 지면에 각각 닿게 되는 제1 지주 프레임(10) 및 제2 지주 프레임(20)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으로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거치편들(30)(31)(32)이 그 거치 높이를 달리하도록 차등지게 고정 설치되되, 상기 각 거치편들(30)(31)(32)의 대략 중앙부로는 프라이 팬(3)의 손잡이(2)가 위치되는 손잡이 고정부(30a)(31a)(32a)가 각각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지며, 상기 거치편(32)으로는 받침편(32b)을 더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제2 지주 프레임(20)의 자유단부로도 받침편(22)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B)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프라이 팬(3)이 수평 거치되는 각 거치편들(30)(31)(32)이 동시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지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라이 팬(3)의 수직 거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2는 수평 거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3 및 도4는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 상태를 보인 각 측면도들이다.
먼저,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프라이 팬 거치대(1)는, 하나의 거치대(1)를 이용하여 보관 장소에 따라 프라이 팬(3)을 수직 또는 수평 거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거치대(1)는,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시 지면과 닿게되도록 직교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주 프레임(10) 및 제2 지주 프레임(20) 과,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에 대하여 일방으로 손잡이(2)가 구비된 프라이 팬(3)을 수직 또는 수평 거치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거치편들(30)(31)(32)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지주 프레임(10)(20)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편들(30)(31)(32)에 대하여 프라이 팬(3)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거치할 때 각각 지면에 대한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도록 대략 직교 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제1 지주 프레임(10)은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금속 철선(wire)을 이용하여 프라이 팬(3)의 수직 거치시 지면과 접촉되는 제1부재(12)가 대략 평면에서 보아 “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또 상기 제1부재(1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2부재(14)을 대략 측면에서 보아 “⊂”형태로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제1 지주 프레임(10)의 지지 강도를 더욱 견고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거치시 상기 제2부재(14)와의 사이에 받침되도록 거치하여 제2부재(14)와의 사이로 위치되는 프라이 팬(3)의 거치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재(12)에 대하여 제2부재(14)를 일정한 높이 상태로 절곡하여 프라이 팬(3)을 수직 거치하는 경우에는, 특히 사각 형태의 프라이 팬을 거치하는 경우보다는 원형 형태의 프라이 팬을 거치하는 경우에 더욱 유용하다 할 것이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 지주 프레임(10)에 대하여 절곡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 거치편들(30)(31)(32)은 프라이 팬(3)의 크기에 따라 안정된 거치가 가능하도록 그 거치 면적(높이)이 다르게 차등적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각 거치편들(30)(31)(32)의 대략 중앙부로는 특히 프라이 팬(3)의 수직 거치시 이에 구비된 손잡이(2)를 안정적으로 수용 받침하기 위한 손잡이 고정부(30a)(31a)(32a)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 고정부(30a)(31a)(32a)의 형성으로 인해 프라이 팬(3)을 각 거치편들(30)(31)(32) 사이에 수직방향에서 경사지게 거치하는 경우(도3 참조) 프라이 팬(3)의 형태에 관계없이 해당 손잡이(2)가 상기 손잡이 고정부(30a)(31a)(32a)에 각각 안정적으로 수용 받침되기 때문에 거치에 따른 임의적인 유동이나 일방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제1 지주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거치편들(30)(31)(32)들 중 제2 지주 프레임(20)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어져 있는 거치편(32)의 절곡단부로는 받침편(32b)을 일체로 더 절곡 형성하고, 이 받침편(32b)에 대하여 제1 지주 프레임(10)의 제2부재(14)가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이 유지되게 고정하여 줌으로써 각 거치편들(30)(31)(32) 사이에 수직적으로 거치되는 프라이 팬(3)이 자연스럽게 경사 받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프라이 팬(3)의 경사 받침 유도를 통해 해당 손잡이(2) 역시 자연스럽게 해당 거치편들(30)(31)(32)의 손잡이 고정부(30a)(31a)(32a)에 안정적으로 받침되기 때문에 거치대(1)에 수직적으로 거치되는 프라이 팬(3)의 유동이나 넘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치편(32)으로 형성된 받침편(32b)에 의해 제1 지주 프레임(10)의 해당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양쪽으로 분할 지지되는 제1 지주 프레임(10)이 거치되는 프라이 팬(3)의 무게 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는 작용 또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2 및 도4와 같이 거치대(1)에 대하여 프라이 팬(3)을 수평적으로 거치 보관하는 경우 지면에 닿게되는 제2 지주 프레임(20)의 자유 단부 역시 받침편(22)을 하단으로 더 절곡 연장하여 제1 지주 프레임(10)이 상호 연결 고정되는 타단부의 지면을 중심으로 상기 자유단부가 소정의 경사각(B)으로 들려지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에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각 거치편들(30)(31)(32) 역시 상기 받침편(22)의 절곡 높이 만큼 그 자유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짐으로써 각 거치편들(30)(31)(32)에 의해 수평적으로 거치되는 프라이 팬(3)이 보관 도중 전방으로 쉽게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라이 팬(3)을 거치대(1)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거치하는 경우 각 거치편들(30)(31)(32) 역시 최 하단의 거치편 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거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하단 부터 최 상단으로 갈수록 프라이 팬(3)의 크기가 큰 것부터 작은것을 순차적으로 가지런하게 거치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거치대(1)는 각 구성부재가 금속 와이어를 절곡 형성하고, 해당 부분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 고정하여 제작하고, 그 외표면을 은이나 금으로 도금 처리함으로써, 그 제작이 용이하고, 또 프라스틱 소재 등에 비하여 견고하며, 다양한 색상으로 아름답게 제작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거치대(1)는 도1 및 도3과 같이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닿는 상태로 위치시켜 손잡이(2)를 갖는 각종 형태의 프라이 팬(3)을 각 거치편들(30)(31)(32) 사이에 개재시켜 수직적으로 거치하는 경우 제1 지주 프레임(10)의 제2부재(14)의 경사각(A)도에 의해 프라이 팬(3)이 자연스럽게 경사 지지되고, 또 해당 손잡이(2) 역시 각 거치편들(30)(31)(32)로 형성된 손잡이 고정부(30a)(31a)(32a)에 의해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프라이 팬(2)의 크기에 맞추어 가지런한 거치가 가능하고, 또 거치에 따른 유동이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거치편들(30)(31)(32) 사이에 프라이 팬(3)을 수직적으로 거치 보관함으로써, 설령 손잡이(2)가 긴 프라이 팬(3)이라 하더라도 거치대(1)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피를 최소로 하여 프라이 팬(3)의 보관 장소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2 및 도4와 같이 제2 지주 프레임(20)을 지면에 닿도록 위치시킨 다음 수평적으로 위치되는 각 거치편들(30)(31)(32) 사이에 프라이 팬(3)을 수평적으로 거치시키더라도 제2 지주 프레임(20)의 자유단부로 형성된 받침편(22)에 의해 각 거치편들(30)(31)(32)의 자유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되기 때문에 프라이 팬(3)의 수평 거치에 따른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프라이 팬(3)을 거치대(1)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거치시켜 보관하는 경우, 제2 지주 프레임(20)이 거치편들(30)(31)(32)에 비하여 그 받침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된 받침이 가능하게 되고, 또 받침편(22)에 의해 각 거치편들(30)(31)(32)의 자유단부가 전체적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지도록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라이 팬(3)의 거치 하중에 의해 거치대(1)가 전면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프라이 팬(3)의 보관 장소에 맞추어 도1 및 도3과 같이 거치대(1)를 위치시켜 프라이 팬(3)을 수직적으로 거치하거나, 또는 도2 및 도4와 같이 거치대(1)를 위치시켜 프라이 팬(3)을 수평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자유롭기 때문에 항상 프라이 팬(3)의 사용 전후 정리 정돈을 깨끗이 할 수 있고, 또 집중 거치를 통한 취급 사용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거치편들(30)(31)(32)의 수는 특정의 수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거치대(1)의 전체 크기를 감안하여 다양한 개수로의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의 경우 주로 자루 형태의 손잡이(2)가 구비된 프라이 팬(3)의거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구비된 프라이 팬의 거치도 얼마든지 가능하고, 또 필요한 경우 사각 또는 둥근 쟁반이나 기타 본 고안의 거치대(1)에 거치 가능한 형태의 각종 주방용기라면 얼마든지 거치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하나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프라이 팬의 보관 장소에 대응하여 수직 또는 수평 거치가 가능하게 되고, 또 각 거치편들로 형성되는 손잡이 고정부에 의해 특히 수직 거치되는 프라이 팬의 경우에는 유동이나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또 어느 하나의 거치편에 의해 제1 지주 프레임의 제2부재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에 각 거치편들에 대한 프라이 팬의 경사 설치가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으며, 또 제2 지주 프레임으로 형성된 받침편에 의해 프라이 팬의 수평 거치시에도 각 거치편들이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지기 때문에 프라이 팬이 전방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러 이점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경우 제1 지주 프레임의 제1부재에 대하여 각 거치편들의 거치 높이를 차등지게 달리함으로써 프라이 팬의 크기에 맞추어 알맞은 거치 보관이 가능하고, 또 거치에 따른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 분할 형성되는 제1 지주 프레임의 단부가 받침편을 갖는 어느 하나의 거치편에 의해 일체로 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프라이 팬의 거치 하중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 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는 이점또한 갖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라이 팬의 수직 거치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라이 팬의 수평 거치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4는 도2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거치대 10,20: 제1 및 제2 지주 프레임
12,14: 제1 및 제2부재 22: 제2 지주 프레임의 받침편
30,31,32: 거치편들 30a,31a,32a: 손잡이 고정부
32b: 거치편의 받침편

Claims (2)

  1. 프라이 팬(3)을 필요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 거치 가능하도록 한 거치대(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시 지면에 각각 닿게 되는 제1 지주 프레임(10) 및 제2 지주 프레임(20)이 상호 직교 방향으로 연결 고정되고,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으로는 상기 프라이 팬(3)의 수직 또는 수평 거치를 위한 하나 이상의 거치편들(30)(31)(32)이 그 거치 높이를 달리하도록 차등지게 고정 설치되되, 상기 각 거치편들(30)(31)(32)의 대략 중앙부로는 프라이 팬(3)의 손잡이(2)가 위치되는 손잡이 고정부(30a)(31a)(32a)가 각각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지며,
    상기 거치편(32)으로는 받침편(32b)을 더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A)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제2 지주 프레임(20)의 자유단부로도 받침편(22)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이 지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B)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상기 프라이 팬(3)이 수평 거치되는 각 거치편들(30)(31)(32)이 동시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들려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 팬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주 프레임(10)은 제1 및 제2부재(12)(14)로 구성하되 상기 제2부재(14)는 상기 제1부재(12)에 대하여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절곡 형성하여 프라이 팬(3)의 거치부분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 팬 거치대.
KR20-2005-0006454U 2005-03-10 2005-03-10 프라이 팬 거치대 KR200385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54U KR200385652Y1 (ko) 2005-03-10 2005-03-10 프라이 팬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54U KR200385652Y1 (ko) 2005-03-10 2005-03-10 프라이 팬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652Y1 true KR200385652Y1 (ko) 2005-06-01

Family

ID=4368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54U KR200385652Y1 (ko) 2005-03-10 2005-03-10 프라이 팬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65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66B1 (ko) * 2013-05-06 2015-04-15 (주)제이엘 주방용기용 거치장치
KR101629401B1 (ko) * 2016-02-04 2016-06-10 나승하이텍(주) 프라이팬 거치대
KR102269580B1 (ko)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66B1 (ko) * 2013-05-06 2015-04-15 (주)제이엘 주방용기용 거치장치
KR101629401B1 (ko) * 2016-02-04 2016-06-10 나승하이텍(주) 프라이팬 거치대
WO2017135594A1 (ko) * 2016-02-04 2017-08-10 나승하이텍(주) 프라이팬 거치대
CN107028521A (zh) * 2016-02-04 2017-08-11 纳承高科技有限公司 平底锅收纳架
KR102269580B1 (ko) 2020-01-17 2021-06-28 주식회사 디앤뉴 조리용 팬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01B1 (ko) 프라이팬 거치대
EP1282376B2 (en) Dishwasher basket with vertically adjustable rack
US20060186124A1 (en) Cooking vessel lid holder with drip collection apparatus
KR200385652Y1 (ko) 프라이 팬 거치대
JP5533551B2 (ja) キッチンラック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US8123049B2 (en) Pot stand
CN207341736U (zh) 一种碗篮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JP6552311B2 (ja) 調理器具用収納ラック
KR102162747B1 (ko) 다용도 선반
CN211355336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JP3173615U (ja) 載置具
JP4123367B2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KR102447181B1 (ko)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CN210871394U (zh) 一种洗碗机搁架
GB2340387A (en) Cookware lid holder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KR200476145Y1 (ko) 다용도 조리용기 받침대
JP2014018613A (ja) 板状部材の保持装置および保持方法
JP5432327B2 (ja) 鍋蓋スタンド
KR101508366B1 (ko) 주방용기용 거치장치
JP7269040B2 (ja) 鍋セットおよび鍋料理提供システム。
US1194030A (en) Ofeic
EP1787568A1 (en)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