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055Y1 -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055Y1
KR200484055Y1 KR2020150008432U KR20150008432U KR200484055Y1 KR 200484055 Y1 KR200484055 Y1 KR 200484055Y1 KR 2020150008432 U KR2020150008432 U KR 2020150008432U KR 20150008432 U KR20150008432 U KR 20150008432U KR 200484055 Y1 KR200484055 Y1 KR 200484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lange portion
support member
coupling
tra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47U (ko
Inventor
김정연
Original Assignee
김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연 filed Critical 김정연
Priority to KR2020150008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055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0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 조리기구, 칼, 양념통, 주방소품, 식탁소품을 구분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주방용품들이 보관되는 트레이의 각 플랜지부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도입하여, 복수개의 트레이를 암수 결합구조로 연결함으로써, 필요에 맞는 용도별 트레이를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설치공간에 맞춰 설치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TRAY ASSEMBLY FOR KITCHEN UTENSIL}
본 고안은 수저, 조리기구, 칼, 양념통, 주방소품, 식탁소품을 구분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주방용품들이 보관되는 트레이의 각 플랜지부에 수결합부와, 암결합부를 도입하여, 복수개의 트레이를 암수 결합구조로 연결함으로써, 필요에 맞는 용도별 트레이를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설치공간에 맞춰 설치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는 수저, 조리기구, 칼, 양념통, 주방소품, 식탁소품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하여, 수저통, 칼꽂이, 다용도 보관함 등의 주방용품 보관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보관용기는 수납할 주방용품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물건들을 용이하게 거치하거나 수납할 수 있도록 특정 형상의 칸막이나, 거치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관할 물품을 종류별로 별도로 수납하여 보관하기 때문에, 각 주방용품 보관용기들은 개별적으로 분리,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각각의 주방용품 보관용기들을 주방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물품을 용이하게 꺼내어 사용하거나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에 물품별 개별 보관이 가능한 주방용폼 보관용기를 하나로 연결하여 설치,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005818호 "주방용기의 연결구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 이상의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을 나란하게 결합하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방용기는 양측으로 상단이 절곡되어 바닥면과 평행한 테두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말단에는 주방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부가 양측에서 각각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중심에서 수직아래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측면과 면접촉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아래에서 상판부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가 맞물려지도록 상측으로 물림부가 돌출형성된 하판부;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부를 축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는 바(bar) 형상이며 주방용기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이웃하는 주방용기들이 연결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결합되되, 상기 주방용기의 테두리부 일측 끝단이 연결부재의 일측 끝단에서 맞물리도록 진입하고 타측으로 활주함으로서 상기 고정부의 내면(內面)과 외면(外面)이 각각 중앙부와 물림부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하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도면부호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 내지 도 9의 도면부호는 서로 무관함.), 상기 종래기술은 단면이'工'자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0; 속칭 폴대)의 양측에 각 주방용기(10; 이하 트레이로 통칭함)의 테두리부(11)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트레이들이 하나의 구조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트레이(10)와 별도로 연결부재(20)가 필요하므로 제조 단가가 상승되며, 연결부재(20)를 이용한 트레이(10)들 간의 결합 및 분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20)의 상판부와 하판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기 쉽고 청소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연결부재(20)의 파손이나 분실이 발생하면 트레이들을 하나의 구조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은, 도면과 같이 트레이(10)들이 직접 연결, 결합되는 구조가 아니라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고, 트레이(10)들의 끝단이 서로 미끄러져 어긋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연결부재(20)의 상판부가 트레이(10)의 테두리부(11)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지 않아 외관이 좋지 않고, 연결부재(20)의 상판부와 테두리부(11) 사이의 단차(턱) 구조 사이로 이물질이 끼기 쉬워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 연결 시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트레이들이 어긋나게 되면 트레이들을 설치공간에 탈부착 시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대와 같은 추가 부품의 제작으로 인한 제조 단가의 상승 및 제조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트레이들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청소가 쉬워 사용이 편리하며, 트레이들 간의 결합을 보다 쉽고 자유롭게 실시하여 설치, 사용이 가능하도록, 트레이에서 서로 대향하는 플렌지부에 각각 돌출 형성된 수결합부와, 오목 형성된 암결합부를 도입하여 트레이들이 암수 결합 구조로 끼워지면서 연결되도록 하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다양한 장소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 가능하며, 설치장소의 너비(폭)에 상관없이 트레이 어셈블리를 안전하게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트레이 어셈블리의 가로 및 세로 길이를 연장하는 가로방향 받침부재, 가로방향 지지부재, 세로방향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설치수단이 트레이의 각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설치수단을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설치공간에 맞게 용도가 다른(수납부의 규격 및 분할 형태가 다른) 트레이들을 조합,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서랍과 같은 설치공간의 벽체 내측면에 프레임 등의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트레이 어셈블리의 설치 및 분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는
상면이 개구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둘레를 따라 가로방향 양측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그리고 세로방향 양측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3 플랜지부와 제4 플랜지부를 갖는 복수개의 트레이;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돌출 형성된 수결합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에서 오목 형성된 암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트레이의 수결합부가, 다른 트레이의 암결합부에 끼워지면서, 트레이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수결합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하면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와, 상기 결합돌부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결합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되면서 세로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된 결합홈부와, 상기 결합홈부의 저면 일부가 상하로 천공되어 형성된 후크통과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부가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후크통과홈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의 길이를, 설치공간의 너비에 맞게 연장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3 플랜지부 또는 상기 제4 플랜지부 또는 이들 모두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체결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수단은,
가로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를 갖는 가로방향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가, 상기 체결돌부들 사이에 형성된 체결홈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벽체 내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한 설치공간에,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돌출부 하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제3 플랜지부 또는 상기 트레이의 제4 플랜지부 또는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의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로방향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서
상기 설치수단은,
세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부를 갖는 세로방향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수결합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암결합부가 상기 끼움홈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는 폴대와 같은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트레이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수결합부와 암결합부의 암수 결합 구조를 이용해 트레이들이 끼워지면서 결합, 연결되므로,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트레이들의 결합 및 분리를 쉽고 자유롭게 실시하여 다양한 장소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들이 접하는 연결부위의 상면이 평탄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심플한 외관을 제공하면서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는 트레이 어셈블리의 전체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트레이의 각 플랜지부에 결합 또는 연결되는 가로방향 받침부재, 가로방향 지지부재, 세로방향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설치수단을 도입하여, 설치장소의 너비(폭) 및 깊이, 구조(벽체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로 인한 홈 구조 등)에 맞게 트레이 어셈블리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트레이들을 결합, 연출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이 어셈블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트레이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트레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
도 4 내지 도 7은 각 구성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8 내지 도 10은 설치수단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제3 플랜지부(13)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되, 제3, 제4 플랜지부(13)(14)의 길이방향을 가로방향으로, 제1, 제2 플랜지부(11)(12)의 길이방향을 세로방향으로 특정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T)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저, 조리기구(국자, 뒤집개, 집게, 가위 등), 칼, 양념통, 주방소품, 식탁소품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트레이(10)(1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각 트레이(10)(10')는 칸막이(10S)(10S')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을 분할함에 따라 수저를 눕혀서 보관할 수 있는 수저용 수납함 및 기타 부피가 작은 각종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용도 수납함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칼꽂이부재를 부착하여 칼을 세워서 꽂을 수 있는 칼 보관용 수납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로방향 좌우 폭 및 내부 분할 구조가 다른 2종의 트레이(10)(10')를 이용해 결합된 트레이 어셈블리를 조합하여 결합한 트레이 어셈블리(T)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1, 제2 트레이(10)(10')는 하나 이상의 칸막이(10S)(10S')로 수납공간(10A)이 분할되어 부피가 다른 각종 주방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사용되거나, 제1 트레이(10)는 분할대(10b)를 통해 수납공간(10A)이 좌우로 분할되어 폭이 넓거나 좁은 다른 종류의 주방용품을 동시에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트레이(10)(10')는 평면형상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된 수납공간(10A)(10A')을 갖고 있으며, 각 트레이(10)(10')의 수납공간(10A)(10A')은 수납할 주방용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칸막이(10S)(10S')가 결합되어 분할되거나, 또는 칼꽂이부재(10F) 등이 추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트레이(10)(10')는 칸막이(10S), 칼꽂이부재(10F) 등의 탈착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트레이(10)(10')의 상세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레이(10)(10')는 바닥면과 외벽체들로 둘러싸인 수납공간(10A)(10A')을 갖고 있으며, 수납공간(10A)(10A') 둘레를 따라,
수납공간(10A)(10A')의 가로방향 양측 외벽체의 상단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 플랜지부(11)와 제2 플랜지부(12)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수납공간(10A)(10A')의 세로방향 양측 외벽체의 상단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3 플랜지부(13)와 제4 플랜지부(14)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10)(10')의 수납공간(10A)(10A')은 가로방향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수납공간(10A)(10A')에 탈부착되는 칸막이(10S)(10S') 또는 칼꽂이부재(10F) 등도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10)(10')의 수납공간(10A)(10A') 바닥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10a)가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수납되는 주방용품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0)(10')의 가로방향 양측 외벽체의 내면에는 외측으로 오목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0d)이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칸막이(10S)(10S'), 칼꽂이부재(10F) 등은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 상기 고정홈(10d)에 끼워지는 고정돌기(10e)를 구비한다.
또한 바닥면에 분할대가 돌출되어 수납공간(10A)이 분할된 제1 트레이(10)에 칸막이(10S)가 설치되는 경우, 칸막이(10S)는 상기 분할대(10b)가 끼워지는 슬릿홈(10c)을 구비하여 수납공간(10A)이 분할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10)(10')의 바닥면 저면에는 각 모서리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받침돌기(10f)를 구비하여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접촉부위를 최소화하여 바닥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트레이가 흔들림 없이 설치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트레이(10)(10')들을 암수 결합을 통해 하나의 구조로 연결하여 고정,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트레이(10)(10')들 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암수 결합 구조, 그리고 트레이 어셈블리(T)의 고정, 설치를 위한 설치수단(20)과 트레이(10)(10')들 간의 암수 결합 구조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구성들 간의 상세한 결합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0)(10')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에서 돌출 형성된 수결합부(15)와, 상기 제2 플랜지부(12)에서 오목 형성된 암결합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트레이(10)(10')의 수결합부(15)가, 다른 트레이(10)(10')의 암결합부(16)에 끼워지면서, 트레이(10)(10')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수결합부(15)와 암결합부(16)의 암수 결합 구조를 통해, 본 고안은 복수개의 트레이(10)(10')를 필요에 맞게 쉽게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결합부(15)와 암결합부(16)는 각각 제1, 제2 플랜지부(11)(12)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외측면 중 어느 한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트레이(10)(10')들 간의 견고한 결합력 유지 및 트레이 어셈블리(T)의 상면을 평탄하게 함으로써 외관을 좋게 하고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수결합부(15)와 암결합부(16)는 제1, 제2 플랜지부(11)(12)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결합부(15)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의 하면에서 길이방향(세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15a)와, 상기 결합돌부(15a)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1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결합부(16)는 상기 제2 플랜지부(12)의 하면에 연결된 'U'자형 연결부(16c)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구되면서 길이방향(세로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된 결합홈부(16a)와, 상기 결합홈부(16a)의 저면 일부가 상하로 천공되어 형성된 후크통과홈(16b)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통과홈(16b)은 도면과 같이 외측면이 개구된 슬릿 형태 또는 구멍 형태(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통과홈(16b)에 후크돌기(15b)를 맞춘 상태에서 결합돌부(15a)를 결합홈부(16a)에 끼운 후 트레이(10)(10')를 세로방향으로 밀게 되면 후크돌기(15b)의 돌기부가 후크통과홈(16b)이 형성된 결합홈부(16a)의 저면(16d)에 걸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의 수결합부(15)와 암결합부(16)가 암수 결합되면,
결합홈부(16a)에 결합돌부(15a)가 끼워지면서 고정되어 트레이(10)(10')가 좌우로 분리,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후크돌기(15b)가 결합홈부(16a)의 저면(16d)에 걸리면서 고정되어 트레이(10)(10')가 상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트레이(10)(10')들의 결합 시 세로방향 양측 끝단부가 '一'자형으로 맞춰지도록 상기 후크돌기(15b)와, 상기 후크통과홈(16b)이 서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17b는 트레이(10)(10')들 간의 결합 시 제1 플랜지부(11)의 결합홈부(16a)를 형성하는 'U'자형 연결부(16c)의 끝단부가 체결돌부(17)를 통과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과홈이다.
다음으로 상기 트레이(10)(10')는, 상기 제3 플랜지부(13) 또는 상기 제4 플랜지부(14) 또는 이들 모두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체결돌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돌부(17)는 제3, 제4 플랜지부(13)(14)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돌부(17)는 각 플랜지부(13)(14)의 하면에서 길이방향(가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체결돌부(17) 복수개가 각 플랜지부(13)(14)에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체결돌부(17)들 사이에는 체결홈부(17a)가 형성된다.
상기한 복수개의 체결돌부(17)로 형성된 체결홈부(17a)는, 후술하는 설치수단(20) 중,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끼움부(21C)가 암수 결합되어 끼워지는 것으로, 끼움부(21C)가 결합되는 위치를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T)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를, 설치공간의 너비에 맞게 연장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수단(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수단(20)은 가로방향 받침부재(21), 가로방향 지지부재(22), 그리고 세로방향 받침부재(23)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트레이 어셈블리(T)를, 설치공간(1; 서랍 등)에 수납하여 설치할 때,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방향 길이를 수납될 설치공간의(1) 세로방향 너비에 맞도록 연장시켜, 설치공간(1) 내에서 트레이 어셈블리(T)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며,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 지지부재(22)는, 트레이 어셈블리(T)를, 전후 벽체(1a) 내측면에 프레임이 돌출되어 있는 설치공간(1)에 수납하여 설치할 때,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프레임 하부의 공간에 부착함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T)의 부족한 세로방향 길이를 보강하여, 설치공간(1) 내에서 트레이 어셈블리(T)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고,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23)는, 트레이 어셈블리(T)를, 설치공간(1)에 수납하여 설치할 때, 트레이 어셈블리(T)의 가로방향 길이를 수납될 설치공간(1)의 가로방향 너비에 맞도록 연장시켜, 설치공간(1) 내에서 트레이 어셈블리(T)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21A)와, 상기 지지부(21A)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21B)와, 상기 받침부(21B)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부(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끼움부(21C)가, 상기 체결돌부(17)들 사이에 형성된 체결홈부(17a)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10)(10')와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21A)는 설치공간(1)의 전후 벽체(1a)에 접촉되며, 상기 받침부(21B)는 지지부(21A)와 끼움부(21C)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공간(S)내에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상기 받침부(21B) 상부에 받침부(21B)와 평행하도록 배치된 덮개부(21D)가 상기 지지부(21A)와 연결되어 있어, 받침부(21B)와 덮개부(21D) 사이로 제3 및/또는 제4 플랜지부(13)(14)가 삽입되어 트레이(10)(10')와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하게 보장한다.
이러한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길이가, 서랍과 같은 설치공간(1)의 세로방향 너비보다 작을 경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트레이 어셈블리(T)의 전체 세로길이를 설치공간(1)의 너비에 맞도록 연장하여,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공간(1) 내에서 전후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끼움부(21C)는 상기 체결돌부(17)와 체결홈부(17a)와 대응하는 요철(凹凸) 구조로 형성되어, 트레이(10)(10')와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도 8과 같이, 설치공간(1)의 세로방향 너비에 따라, 제3 플랜지부(13) 또는 제2 플랜지부(14)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 8의 [A]에서는 제4 플랜지부(14)에 가로방향 받침부재(21)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도 8의 [B]에서는 제3, 제4 플랜지부(13)(14) 모두에 가로방향 받침부재(21)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간(1)의 전후 벽체(1a) 상단 내측면에 프레임 등이 돌출된 돌출부(1b)가 구비되어 경우,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즉, 가로방향 받침부재(21)를 사용하여 설치할 때,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길이가 설치공간(1)의 벽체(1a)들 사이의 너비에 상응해야 하는 바, 설치공간(1)의 돌출부(1b)로 인해 트레이 어셈블리(T)를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수단(20)으로써,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도입하였다.
상기 가로방향 지지부재(22)는 설치공간(1)의 전후 벽체(1a)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트레이(10)(10')의 제3 플랜지부(13) 또는 상기 트레이(10)(10')의 제4 플랜지부(14) 또는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부착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을 구비한 부착부(22A)와, 상기 부착부(22A)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부(22B)와, 상기 연결부(22B)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되 설치공간(1)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2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로방향 지지부재(22)는 상기 탄성부(22C)를 통해 세로방향으로 폭 너비가 신축되어 텐션 조절이 가능해진다.
상기 가로방향 지지부재(22)는, 설치공간(1)의 전후 벽체(1a)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 하부에 부착되어 공간을 메우는 것으로,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프레임 하부에 먼저 설치한 후에, 트레이 어셈블리(T)를 설치하면, 상기 탄성부(22C)가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설치가 완료된 후, 탄성부(22C)의 탄성력으로 인해 트레이 어셈블리(T)가 가압되어 고정되며, 프레임 등의 돌출부(1b)가 구비된 설치공간(1)에서, 가로방향 지지부재(22)로 돌출부(1b) 하부의 공간을 막아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설치 및 분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가로방향 지지부재(22)는, 설치공간(1)의 상세 구조에 따라, 단독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 또는 상기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가로방향 받침부재(21)와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조합하여 함께 사용 가능하며,
일실시예로, 도 9의 [A]에서는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방향 일측, 설치공간(1)의 돌출부(1b) 하부에 가로방향 지지부재(22)가 설치되고,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방향 타측에 가로방향 받침부재(21)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 9의 [B]에서는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방향 양측에 가로방향 받침부재(21)가 결합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트레이 어셈블리(T)의 세로방향 일측에 가로방향 지지부재(22)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23)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23A)와, 상기 지지부(23A)의 하면에 연결되며 내측 상부가 개구되어 세로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된 끼움홈부(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플랜지부(11)의 수결합부(15)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12)의 암결합부(16)가 상기 끼움홈부(23B)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10)(10')와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23)가 결합된다.
상기 끼움홈부(23B)는, 상기 결합돌부(15a)와 상기 후크돌기(15b)로 이루어진 수결합부(15),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16a)로 이루어진 암결합부(16)가 모두 수용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하나의 구조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확대 단면도와 같이,
지지부(23A) 하면에 내측 상단 일부가 개구되면서 하측으로 오목 형성된 유사 'U'자형 끼움홈형성부(23a)가 연결되어 지지부(23A)와의 사이에 끼움홈부(23B)가 형성되고,
지지부(23A)의 내측단에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돌기(23C)가 연결되어, 끼움홈부(23B)가 끼움돌기(23C)를 사이에 두고 내, 외부 공간(23aa)(23ab)으로 분할되며,
상기 끼움홈형성부(23a)는 끝단부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단(23F)을 구비한다.
그리고 끼움홈형성부(23a)는 끼움홈부(23B)의 내, 외부 공간(23aa)(23ab)이 각각, 결합돌부(15a)와 후크돌기(15b)로 이루어진 수결합부(15)와, 결합홈부(16a)를 포함하는 암결합부(16) 모두의 종단면 형상에 상응할 수 있는 절곡구조로 형성되어,
끼움홈부(23B)의 내부공간(23aa)(즉, 끼움돌기(23C)와 끼움단(23F) 사이의 공간)에, 제1 플렌지부(11)의 결합돌부(15a)와 후크돌기(15b)가 끼워지거나,
또는 끼움홈부(23B)의 외부공간(23ab)(즉, 지지부(23A)와 'U'자형 끼움홈형성부(23a)와 끼움돌기(23C)로 둘러싸인 공간)에 제2 플랜지부(12)의 'U'자형 연결부(16c)가 끼워지면서, 끼움돌기(23C)가 제2 플랜지부(12)의 결합홈부(16a)에 끼워져,
트레이 어셈블리(T)의 가로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최외측 각 트레이(10)(10')의 제1 플랜지부(11)와, 제2 플랜지부(12) 각각에, 2 개의 세로방향 받침부재(23)가 결합되며, 이에 따라 제1, 제2 플랜지부(11)(12)와, 세로방향 받침부재(23)의 지지부(23A)가 서로 수평되도록 플랫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세로방향 받침부재(23)는 트레이 어셈블리(T)의 가로길이가, 설치공간(1)의 가로방향 너비보다 작을 경우, 1개 또는 2 개의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트레이 어셈블리(T)의 일측 플랜지부(12) 또는 양측 플랜지부(11)(12)에 결합하여 트레이 어셈블리(T) 전체의 가로길이를 설치공간(1)의 가로방향 너비에 맞도록 연장하여,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공간(1) 내에서 좌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한 구조의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도입함에 따라, 트레이(10)(10')의 제1 플랜지부(11)와, 제2 플랜지부(12)에 각각, 수결합부(15)와, 암결합부(16)가 서로 다른 구조로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구조의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공용으로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23)는, 지지부(23A)의 외측단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연장 연결된 연장부(2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D)는,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트레이 어셈블리(T)의 가로길이가 설치공간(1)의 가로방향 너비보다 작을 경우 부족한 길이를 보강하여, 연장부(23D)가 설치공간(1)의 좌우 벽체(1c)에 접촉됨으로써, 트레이 어셈블리(T)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로방향 받침부재(23)에 연장부(23D)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기본형 또는 세로방향 받침부재(23)에 연장부(23D)가 구비되어 있는 길이 연장형이 개별적으로 제작, 공급될 수 있으며,
길이 연장형 세로방향 받침부재(23)의 경우, 연장부(23D)의 길이를 다르게 제작하게 되면, 사용자는 설치공간(1)의 가로방향 너비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의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10의 [A]에는 트레이(10)(10')의 제2 플랜지부(12)에, 1개의 기본형 세로방향 받침부재(23; 연장부(23D)를 구비하지 않은 형태)가 결합되어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도 10의 [B]에는 트레이 어셈블리(T)의 양측 제1 플랜지부(11)와, 제2 플랜지부(12) 각각에, 2개의 길이 연장형 세로방향 받침부재(23; 연장부(23D)를 구비한 형태)가 결합되어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0의 [B]와 도 10의 [C]는, 설치공간(1)의 좌우 벽체(1c) 구조가 다른 경우에 길이 연장형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이용해 트레이 어셈블리(T)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트레이 어셈블리
10, 10' : 트레이 10A, 10A' : 수납공간
10S, 10S' : 칸막이 10F : 칼꽂이부재
10a : 돌출부 10b : 분할대
10c : 슬릿홈 10d : 고정홈
10e : 고정돌기 10f : 받침돌기
11 : 제1 플랜지부 12 : 제2 플랜지부
13 : 제3 플랜지부 14 : 제4 플랜지부
15 : 수결합부 15a : 결합돌부
15b : 후크돌기 16 : 암결합부
16a : 결합홈부 16b : 후크통과홈
16c : 연결부 16d : 결합홈부 저면
17 : 체결돌부 17a : 체결홈부
17b : 통과홈 20 : 설치수단
21 : 가로방향 받침부재 21A : 지지부
21B : 받침부 21C : 끼움부
22 : 가로방향 지지부재 22A : 부착부
22B : 연결부 22C : 탄성부
23 : 세로방향 받침부재 23A : 지지부
23B : 끼움홈부 23C : 끼움돌기
23D : 연장부 23F : 끼움단

Claims (5)

  1. 삭제
  2. 상면이 개구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 둘레를 따라 가로방향 양측에 각각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11)와 제2 플랜지부(12), 그리고 세로방향 양측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제3 플랜지부(13)와 제4 플랜지부(14)를 갖는 복수개의 트레이(10)(10');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에서 돌출 형성된 수결합부(15)와,
    상기 제2 플랜지부(12)에서 오목 형성된 암결합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어느 한 트레이의 수결합부(15)가, 다른 트레이의 암결합부(16)에 끼워지면서 트레이들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수결합부(15)는, 상기 제1 플랜지부(11)의 하면에서 세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15a)와, 상기 결합돌부(15a)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15b)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결합부(16)는, 상기 제2 플랜지부(12)의 하면에 연결되며 상부가 개구되면서 세로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된 결합홈부(16a)와, 상기 결합홈부(16a)의 저면 일부가 상하로 천공되어 형성된 후크통과홈(16b)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부(15a)가 상기 결합홈부(16a)에 끼워지면서, 상기 후크돌기(15b)가 상기 후크통과홈(16b)에 후크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3 플랜지부(13) 또는 상기 제4 플랜지부(14) 또는 이들 모두의 하부에서, 가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세로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체결돌부(17)와 상기 체결돌부들(17)의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7a)들을 포함하고;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의 세로방향 길이를, 설치공간의 너비에 맞게 연장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설치수단은,
    가로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된 끼움부(21C)를 갖는 가로방향 받침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끼움부(21C)가, 상기한 다수의 체결홈부(17a)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부(21A)와, 상기 지지부(21A)의 상단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21B)와, 상기 받침부(21B)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된 끼움부(21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21B)의 상부에서 상기 받침부(21B)와 평행하게 내측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덮개부(21D)가 상기 지지부(21A) 상단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받침부(21B)와 덮개부(21D) 사이로 상기 제3 플랜지부(13) 또는 제4 플랜지부(14)가 삽입되어 트레이(10)(1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벽체 내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한 설치공간에,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돌출부 하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방향 받침부재(21)의 지지부 외측면에 접촉되면서 트레이를 지지하는 가로방향 지지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세로방향을 따라 하부로 오목 형성된 끼움홈부(23B)를 갖는 세로방향 받침부재(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수결합부 또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암결합부가 상기 끼움홈부(23B)에 끼워지면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세로방향 받침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20150008432U 2015-12-22 2015-12-22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4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32U KR200484055Y1 (ko) 2015-12-22 2015-12-22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32U KR200484055Y1 (ko) 2015-12-22 2015-12-22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47U KR20170002347U (ko) 2017-06-30
KR200484055Y1 true KR200484055Y1 (ko) 2017-07-25

Family

ID=5924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32U KR200484055Y1 (ko) 2015-12-22 2015-12-22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0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358B1 (ko) * 2019-02-26 2021-01-15 (주)대진아트와이어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서랍 분리함
KR102407816B1 (ko) * 2020-07-01 2022-08-08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운반용 화분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285Y1 (ko) * 2002-12-06 2003-02-25 고순동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101005818B1 (ko) * 2009-12-10 2011-01-05 신미영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285Y1 (ko) * 2002-12-06 2003-02-25 고순동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101005818B1 (ko) * 2009-12-10 2011-01-05 신미영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47U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158B1 (ko) 식기건조대
US9016485B1 (en) Combination rack structure
US9504324B2 (en) Anti-tip and retention assembly for appliance support plate
KR200484055Y1 (ko)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101610505B1 (ko)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US11910922B2 (en) Modular bottle rack system and rack component thereof
KR200447520Y1 (ko) 수납함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0452723Y1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170114127A (ko) 식기선반
KR200455852Y1 (ko) 주방용 구획 프레임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WO2008104499A1 (en) Wire shelf with removable rack, in particular for kitchen furniture
KR200480642Y1 (ko) 주방 액세서리용 선반
KR200477675Y1 (ko) 주방용 액세서리 홀더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20170003004U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 선반
KR200486109Y1 (ko) 주방용품 보관함
CN113167480A (zh) 烤箱用多功能附件支撑件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CN211432619U (zh) 一种厨房台上收纳盒
CN211130792U (zh) 一种多功能厨房置物架
KR20190002787U (ko) 싱크대용 조립식 선반
KR200143105Y1 (ko) 식기 보관대
KR20140004205U (ko) 테이블에 탈착이 가능한 수저통 수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