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82B1 -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82B1
KR102238382B1 KR1020200154820A KR20200154820A KR102238382B1 KR 102238382 B1 KR102238382 B1 KR 102238382B1 KR 1020200154820 A KR1020200154820 A KR 1020200154820A KR 20200154820 A KR20200154820 A KR 20200154820A KR 102238382 B1 KR102238382 B1 KR 10223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ink
fixing bracket
gap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장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식 filed Critical 장동식
Priority to KR102020015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41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상부장과 선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체결하여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하면서 선반의 설치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에 장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슬랫(210)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도록 배면과 저면 및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체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사이의 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GAP COVER DEVICE FOR SINK SHELF}
본 발명은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 상부장과 선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크기에 따라 위치를 변경하여 체결하여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시공하면서 선반의 설치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음식물을 담은 그릇, 접시, 컵 등과 같은 식기류나 음식물 조리 시 사용되는 국자, 수저 등과 같은 주방기구를 세척할 수 있는 싱크대가 설치된다.
상기 싱크대의 주변에는 식기류, 주방기구 뿐만 아니라 요리 시에 사용되는 양념을 보관하는 양념통, 요리재료 등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주방용 가구가 설치된다.
상기 주방용 가구는 싱크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장인 상부장과, 싱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장인 하부장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영역인 미드웨이를 활용하여 양념통, 컵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선반을 설치한다.
이러한 선반은 주로 내식성 및 내구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되지만, 인테리어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장식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210호(공개일자: 2009년 01월 08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틀 형상의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는 프레임판을 구비하는 선반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판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척킹(chucking)하는 프레임판 척킹부와, 상기 프레임몸체의 상부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몸체 결합부와, 상기 선반프레임을 소정의 벽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구비하는 프레임판 척킹 겸용 설치 브라켓을 포함하는 주방용 선반 등이 제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방용 선반은 싱크대 상부장의 저면이나 미드웨이에 나사를 박아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설치 후에 교체가 어려우며, 미드웨이를 일부만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미드웨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끼워져 사용할 수 있는 'H'형상의 선반이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이격간격과 선반의 높이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상기 선반을 끼워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의 높이를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이격간격보다 낮게 형성할 경우에 상기 선반의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지만, 상기 선반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반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인해 미관상 미려하지 못하고, 상기 선반설치에 대한 견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선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커버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과 싱크대의 상부장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설치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는,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에 장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슬랫(210)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도록 배면과 저면 및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체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사이의 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측벽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과 싱크대의 상부장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음으로 인해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선반의 높이를 낮게 제작하여 상기 선반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의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설치에 대한 견고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를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를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한 설치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가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를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커버부재를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한 설치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의 고정브라켓을 이용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는,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에 위치된 선반(100)의 측벽체(110)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 사이에 대응되면서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싱크대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에 선반(100)이 설치될 경우에 상기 싱크대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를 갖는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각통형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폭방향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다수개의 가이드슬랫(210)이 형성될 수 있지만, 폭방향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슬랫(210)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저면에는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방향으로 돌출된 커넥트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에는 상기 커넥트를 끼울 수 있는 커넥트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에 접착제 등을 통해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도록 배면과 저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300)의 정면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에 장착된 고정브라켓(200) 및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면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즉, 상기 싱크대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와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후 상면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 사이의 커버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310)의 피치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커버부재(300)의 폭방향 내측면 중에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마주보는 면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커버부재(300)의 폭방향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가이드슬랫(210)의 갯수보다 더 많은 갯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형성된 가이드슬랫(210)의 갯수보다 많이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의 간극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부재(30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규격화되어 있지 않은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른 간극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커버부재(300)의 내측면 상부에서 중심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내측면 하부에 상기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될 경우에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부가 중첩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310)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에 간극이 커지게 되어 이물질 등이 낄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는 높이가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고정브라켓(200) 상면 사이의 이격거리 내지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300)의 하부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부에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상기 커버부재(300)를 결합하였을 때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커버부재(300)와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싱크대의 하부장(20)에 'H'형상의 선반(100)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을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면이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 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 사이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위치된 커버부재(300)를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결합한다. 즉, 상기 커버부재(300)의 개방된 길이방향 일측을 상기 고정브라켓(200)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커버부재(300)를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서로 중첩되는 커버부재(300)의 가이드레일(310)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체결되어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300)의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커버부재(300)의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면서 배면도 개방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300)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저면과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상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더라도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사이의 간극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된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사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싱크대의 상부장(10)과 하부장(20)에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측벽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서로 인접된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사이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커버부재(300)의 내측에 서로 인접된 선반(100)의 상단이 위치됨으로 인해 서로 인접된 선반(1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 커버부재(300)가 각 선반(100)의 측벽체(110)에 상기 커버부재(300)가 각각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선반(10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서로 밀착된 선반(100)의 측벽체(110) 상단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10) 사이를 일체로 형성함으로 인해 작업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이 없는 대신에 상부에 측벽슬랫(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에는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의 가이드레일(310)과 대응되는 면에 상기 가이드레일(310)과 체결될 수 있는 상기 측벽슬랫(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슬랫(111)은 상기 선반(100)의 측벽체(110) 일측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슬랫(111)이 형성된 선반(100)의 측벽체(110)에 상기 고정부재(미도시)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과 상기 선반(100) 사이의 간극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는 싱크대의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100)의 측벽체(110)와 상기 싱크대의 상부장(10) 사이가 이격되어 발생하는 간극과 대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상기 커버부재(300)가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의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상기 선반(100)의 높이를 낮게 제작하여 상기 선반(10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외관상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의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에 복수개의 선반(100)이 설치되는 경우에 서로 밀착된 선반의 측벽체(110) 상부에 상기 커버부재(300)가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서로 밀착된 선반의 측벽체(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싱크대의 상부장(10)과 하부장(20)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설치에 대한 견고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상부장 20: 하부장
100: 선반 110: 측벽체
111: 측벽슬랫 200: 고정브라켓
210: 가이드슬랫 300: 커버부재
310: 가이드레일

Claims (4)

  1. 싱크대 상부장과 하부장 사이에 위치된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에 장착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슬랫(210)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0)과,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상단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는 커버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결합되도록 배면과 저면 및상면이 개방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고정브라켓(200)의 가이드슬랫(210)과 체결되기 위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310)이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싱크대 상부장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200)에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싱크대 상부장과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 사이의 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측벽체(110)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경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측벽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154820A 2020-11-18 2020-11-18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KR10223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20A KR102238382B1 (ko) 2020-11-18 2020-11-18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20A KR102238382B1 (ko) 2020-11-18 2020-11-18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382B1 true KR102238382B1 (ko) 2021-04-08

Family

ID=7548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20A KR102238382B1 (ko) 2020-11-18 2020-11-18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3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60A (ja) * 2000-03-21 2001-09-25 Yasumasa Nakaza 組立式本棚
KR200270398Y1 (ko) * 2001-11-30 2002-04-03 김순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JP2004049516A (ja) * 2002-07-19 2004-02-19 Aihou:Kk ラック
KR200419240Y1 (ko) * 2006-03-31 2006-06-19 박성수 붙박이 가구 틈새 마감용 몰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660A (ja) * 2000-03-21 2001-09-25 Yasumasa Nakaza 組立式本棚
KR200270398Y1 (ko) * 2001-11-30 2002-04-03 김순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JP2004049516A (ja) * 2002-07-19 2004-02-19 Aihou:Kk ラック
KR200419240Y1 (ko) * 2006-03-31 2006-06-19 박성수 붙박이 가구 틈새 마감용 몰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949B2 (en) Kitchen appliance having floating glass panel
CA2237245A1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KR102238382B1 (ko)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KR100776372B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KR200437588Y1 (ko) 수납장용 선반 구조체
KR20170056355A (ko) 욕실용 수납장
JP4598283B2 (ja) 化粧板の取付構造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JP2017176516A (ja) 収納ユニット
KR200374472Y1 (ko) 주방가구용 도어
JP5691888B2 (ja) タオル掛け具
JP6770819B2 (ja) キャビネット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US8629376B2 (en) Multimount oven rack
KR101187557B1 (ko) 가구용 수납함
KR20200118707A (ko) 수납함
JP5484312B2 (ja) 収納庫
KR20190002787U (ko) 싱크대용 조립식 선반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JPH0610859Y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200334977Y1 (ko) 주방용품 수납함
JPH03495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