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977Y1 - 주방용품 수납함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977Y1
KR200334977Y1 KR20-2003-0026981U KR20030026981U KR200334977Y1 KR 200334977 Y1 KR200334977 Y1 KR 200334977Y1 KR 20030026981 U KR20030026981 U KR 20030026981U KR 200334977 Y1 KR200334977 Y1 KR 200334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rage box
bar
support b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용
Original Assignee
오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용 filed Critical 오남용
Priority to KR20-2003-0026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9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Vertically-oriented drawers, i.e. drawers where the height exceeds the wid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8Very short brackets, quickly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vertical suppor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16Interlocking or wedging elements making up pieces of furniture without additional fastener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내에 설치되며 상하 이동바와 양측 지지바로 구성되고 양측 지지바에 상하로 복수의 지지공이 형성된 고정틀과, 후면부가 지지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부의 양측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측 요입부에 지지공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된 수납함으로 구성되어 싱크대내에 양념통, 그릇 또는 각종 조리기구등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품 수납함{A container for a kitchenware}
본 고안은 각종 주방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주방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내에 양념통, 그릇 또는 각종 조리기구등을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으며 분해/조립이 용이한 주방용품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내에는 양념통, 그릇, 수저 또는 조리기구등 각종 주방용품들이 수납되며, 이러한 주방용품들은 주로 싱크대내의 바닥 또는 선반에 그대로 수납되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각종 주방용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싱크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설치되는 바구니 형태의 수납함 또는 상하로 이격되게 고정설치되는 다단 수납함등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주방용품 수납함은 싱크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설치되어 수납함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납함을 착탈시키거나, 수납함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며 사용빈도에 따라 수납함의 갯수를 증감시키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주방용품 수납함은 또한, 수납함이 싱크대내에 고정설치될 경우 싱크대내에 주방용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주방용품을 꺼내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내에 주방용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주방용품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수납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방용품 수납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에서 수납함을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우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돌기가 지지공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에서 걸림돌기가 지지공에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취하여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프레임 110 ; 이동바
120 ; 지지바 121 ; 지지공
121a ; 단차부 130 ; 안내바
140 ; 프레임지지바 150 ; 프레임이동바
151 ; 구름부재 200 ; 수납함
210 ; 칸막이 220 ; 걸림돌기
221 ; 머리부 222 ; 가이드장홈
S ; 싱크대 D ; 도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은 상하 이동바와 양측 지지바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바에 상하로 복수의 지지공이 형성된 고정틀; 및 후면부가 상기 지지바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부의 양측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측 요입부에 상기 지지공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된 수납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지지바의 외측에 그와 직각으로 부착된 도어; 및 설치벽면에 부착된 프레임지지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안내바를 상기 고정틀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공은 하부에 상기 지지바의 단차부가 형성되어 상부폭이 넓고 하부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선단에 상기 지지공의 상부를 통해 지지공내로 삽입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상기 수납함의 후면부 사이에 상기 지지공의 양측의 상기 지지바부분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장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방용품 수납함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은 크게 싱크대(S)내에 기립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싱크대(S)의 전면 일측 도어(D)의 내면에 고정설치되며 일측면에 상하로 이격거리를 두고 복수의 지지공(121)이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향개구되어 일측 판면에 상기 지지공(121)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220)가 형성된 수납함(20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전체적으로 사각틀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단과 하단에 싱크대 (S)내의 일측 벽면에 상호 평행하게 상하 이격거리를 두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바(11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동바(110)의 사이에는 양단이 이동바 (11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바(120)가 기립상태로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다. 한편, 지지바(120)의 싱크대(S) 내부를 향하는 외주면상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지지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공(121)은 지지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관통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지며 상부는 폭이 넓게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 단차부(121a)가 형성되어 하부는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싱크대(S)의 일측 벽면과 마주보는 이동바(110)의 외주면상에는 안내바(130)가 밀착고정되어 있다.
안내바(130)는 コ자형으로 이중절곡된 단면을 가지며 싱크대(S)내의 수납공간의 일측 벽면과 마주보는 이동바(110)의 외주면에 일측면이 밀착고정되어 있다. 한편, 싱크대(S)내의 일측 벽면과 안내바(130) 사이에는 프레임지지바(140)가 개재되어 있다.
프레임지지바(140)는 コ자형으로 이중절곡된 단면을 가지고 안내바(130)에 의해 포위되며 외주면 일측이 싱크대(S)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어 프레임(100)을 싱크대(S)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한편,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 (140) 사이에는 지지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바(13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바(150)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이동바(150)는 コ자형으로 이중절곡된 단면을 가지며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복수의 구름부재(15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구름부재 (151)가 구비되어 있는 상단 및 하단은 각각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140) 사이에 배치되며 이 때 구름부재(151)는 안내바(130) 및 프레임지지바(140)에 동시에 맞닿게 되어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140)의 상호 슬라이딩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안내바(130)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며 프레임지지바(140)의 상단면 및 하단면은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140) 사이의 상호 대응하는 상단면 및 하단면 사이를 통하여 구름부재(151)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140) 사이의 상호 대응하는 상단면 및 하단면 사이에 구름부재(151)가 개재되기 때문에 안내바(130)와 프레임지지바(14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100)의 지지공(121)에는 수납함(2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수납함(200)은 상향개구된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상의 상자형으로 제작되며 내부공간은 수납함(2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칸막이(21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레임(100)에 하나의 수납함 (200)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크기가 각각 다른 복수의 수납함(200)을 상하 이격거리를 두고 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수납함(200)의 갯수 및 수납함(200)의 배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수납함(200)의 후방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 (220)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220)는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과 마주보게 되는 수납함(200)의 일측 판면의 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측에 머리부(221)가 형성되며 머리부(222)와 수납함(200) 사이의 걸림돌기(220)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가이드장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0)는 머리부(222)가 지지공(121)의 상부를 통해 지지바(121)내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수납함(200)을 하향이동시키면 걸림돌기 (220)가 지지공(121)을 따라 하향 슬라이딩되어 지지공(121)의 하부에 가이드장홈 (222)이 걸리게 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공(1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의 사용상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S)내의 수납공간의 일측 벽면에 지지바(120)를 고정설치하여 프레임(100)을 싱크대(S)에 기립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싱크대(S)의 전면 일측 도어(D)에 프레임(100)의 일측 지지바(120)의 외측을 결합한다. 그리고, 지지공(121)의 상부에 걸림돌기(220)의 머리부(221)를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수납함(200)을 하향 이동시켜 걸림돌기(220)를 지지공(121)을 따라 하향 슬라이딩시키면 가이드장홈(222)이 지지공(121)의 하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수납함(200)이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렇게, 프레임(100)에 결합된 수납함(200)에는 양념통, 그릇, 수저 또는 조리기구등 각종 주방용품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수납함 (200)에 수납된 각종 주방용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싱크대(S)내의 수납공간을 폐쇄하고 있는 도어(D)를 당기면 수납공간이 개방됨과 동시에 프레임(100)이 슬라이딩되면서 수납함 (200)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함 (200)에 수납되어 있던 각종 주방용품을 간편하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납함(200)을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함 (200)을 상향이동시켜 지지공(121)의 상부로 걸림돌기(220)를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지지공(121)의 상부로부터 걸림돌기(220)를 인출시키면 프레임 (100)과 수납함 (200)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수납함(200)의 걸림돌기(220)가 프레임(100)의 지지공(1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납함(200)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수납함(200)의 갯수 및 수납함(200)의 배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한 주방용품 수납함은 싱크대내에 기립상태로 설치되어 싱크대의 전면 일측 도어의 개폐조작시 인출 또는 삽입되며 외측면에 상하로 이격거리를 두고 복수의 지지공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향개구되어 일측에 상기 지지공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수납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납함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빈도에 따라 수납함의 갯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며 수납되는 주방용품의 종류에 따라 수용함이 결합되는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용함을 재배치함으로써 싱크대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싱크대내에 주방용품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주방용품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하 이동바(110)와 양측 지지바(120)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지지바(120)에 상하로 복수의 지지공(121)이 형성된 고정틀(100); 및
    후면부가 상기 지지바(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면부의 양측이 요입되게 형성되고 양측 요입부에 상기 지지공(121)에 착탈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기(220)가 외측으로 돌출된 수납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방용품 수납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바(120)의 외측에 그와 직각으로 부착된 도어(D); 및
    설치벽면에 부착된 프레임지지바(14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안내바(130)를 상기 고정틀(100)이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공(121)은 하부에 상기 지지바(120)의 단차부(121a)가 형성되어 상부폭이 넓고 하부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20)는 선단에 상기 지지공(121)의 상부를 통해 지지공(121)내로 삽입되는 머리부(221), 및 상기 머리부(221)와 상기 수납함(200)의 후면부 사이에 상기 지지공(121)의 양측의 상기 지지바(120)부분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장홈(2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수납함.
KR20-2003-0026981U 2003-08-22 2003-08-22 주방용품 수납함 KR200334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81U KR200334977Y1 (ko) 2003-08-22 2003-08-22 주방용품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981U KR200334977Y1 (ko) 2003-08-22 2003-08-22 주방용품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977Y1 true KR200334977Y1 (ko) 2003-12-03

Family

ID=4942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981U KR200334977Y1 (ko) 2003-08-22 2003-08-22 주방용품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9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6B1 (ko) 2009-09-02 2010-03-15 (주)이프투 벽면 고정형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86B1 (ko) 2009-09-02 2010-03-15 (주)이프투 벽면 고정형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914B2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US5486046A (en) Cantilever slide out refrigerator shelf
EP1724539A2 (e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KR101886927B1 (ko)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JP2006346336A (ja) 水洗槽付キャビネット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KR101779874B1 (ko)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KR200334977Y1 (ko) 주방용품 수납함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102220131B1 (ko)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JP7437617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20190002787U (ko) 싱크대용 조립식 선반
JP2004298421A (ja) 引き出し用収納トレー,引き出しおよび厨房家具
KR20170003004U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 선반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KR20180002521U (ko) 싱크대 수납장용 인출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