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874B1 -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 Google Patents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874B1
KR101779874B1 KR1020170018284A KR20170018284A KR101779874B1 KR 101779874 B1 KR101779874 B1 KR 101779874B1 KR 1020170018284 A KR1020170018284 A KR 1020170018284A KR 20170018284 A KR20170018284 A KR 20170018284A KR 101779874 B1 KR101779874 B1 KR 10177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utton
housing
parti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 철 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노라인
Priority to KR1020170018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1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vertical separation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88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holders for positioning specif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2088/976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with separate hold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의 흡수와 발산이 용이한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칸막이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은, 싱크대 서랍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저분리함에 있어서, 대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획 형성시키는 칸막이;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칼날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배열 형성되는 칼 수납대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내부 둘레 벽면과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Spoon box for drawer with sink}
본 발명은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의 흡수와 발산이 용이한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칸막이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방가구로서, 요즘 아파트 등의 주방을 보면 예전과는 달리 싱크대가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에는 각종 주방용 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공간들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칼, 수저,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 기구를 각각의 용도에 따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함을 싱크대 서랍에 수납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05818호의 주방용기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주방용기의 연결구조는 칼 또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육면체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 사이에 상기 주방용기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를 끼워 나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연결부재의 구조상 조립강도가 취약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용 기구들이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들어 올릴 경우 손으로 잡은 하나의 주방용기로부터 연결부위가 점차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주방용기와 연결부재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기의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방용 기구의 수납을 위해서 그에 맞는 수납 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10-1005818 B1 (2010. 12. 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함체로 구성되어 주방용 기구가 수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저분리함 내에 구비된 칸막이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저분리함의 양측에 설치된 손잡이를 통해 싱크대 서랍에 대하여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저분리함의 내부에 형성된 칼 수납대를 통해 칼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수납할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저분리함의 수납공간에 절개된 대나무를 이용하여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자연미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은, 싱크대 서랍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저분리함에 있어서, 대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획 형성시키는 칸막이;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칼날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배열 형성되는 칼 수납대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내부 둘레 벽면과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싱크대 서랍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저분리함에 있어서, 대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을 구획 형성시키는 칸막이; 및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며, 칼날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홈이 배열 형성되는 칼 수납대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내부 둘레 벽면과 상기 칸막이의 일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출돌기가 각각 평행하게 배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서랍에 대하여 수저분리함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함체의 측벽 상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버튼; 및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버튼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칼 수납대의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납경사면이 다단 형성되며, 최후방에 형성된 수납경사면에는 소형 칼의 칼날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홈들 사이로 삽입홈 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 보조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일측 바닥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개된 대나무가 다수로 배열 고정되며, 그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받침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은,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진 함체로 구성되어 주방용 기구가 수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수저분리함 내에 구비된 칸막이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고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터치 방식의 손잡이를 통해 싱크대 서랍에 대하여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단 구조를 갖는 칼 수납대를 통해 칼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수납함은 물론 칼의 수납공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저분리함의 수납공간에 절개된 대나무를 이용하여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자연미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손잡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칼 수납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은 함체(20), 칸막이(30) 및 칼 수납대(40)를 포함한다.
상기 함체(20)는 대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20)를 위해 대나무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일반 목재를 사용하는 함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의 흡수와 발산이 용이하고 내구성과 내수성이 우수하다.
상기 함체(20)는 싱크대 서랍(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함체(20)는 수저, 칼, 젓가락, 포크 등의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는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20)의 내부 둘레 벽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2)은 사각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20)에 다수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30)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30)의 조립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30)는 상기 함체(20)의 내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21)을 구획 형성시킨다.
상기 칸막이(30)는 상기 함체(20)와 마찬가지로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30)에 의해 다수의 수납공간(21)이 형성됨으로써 수저, 젓가락 등을 서로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30)의 일측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결합홈(3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1)은 사각 또는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칸막이(30)에 다수의 결합홈(31)이 형성되어 크기가 서로 다른 칸막이가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은 함체(20), 칸막이(30) 및 칼 수납대(40)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경우, 전술한 함체(20)와 칸막이(30)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22,31)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함체(20)의 내부 둘레 벽면에는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출돌기(23)가 평행하게 배열 형성된다.
상기 함체(20)의 내부 둘레 벽면에 다수의 돌출돌기(23)가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30)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청소가 용이하고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30)의 조립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칸막이(30)의 일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사각 또는 원형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돌출돌기(32)가 평행하게 배열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30)에 다수의 돌출돌기(32)가 형성되어 크기가 서로 다른 칸막이가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손잡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20)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서랍(10)에 대하여 수저분리함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함체(20)의 측벽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부(50)가 내장되도록 삽입홈(24)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함체(20)의 일측 상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24)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5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버튼(52) 및 상기 고정브라켓(5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531)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버튼(52)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회동브라켓(5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1)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홈(24)의 내부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일측 양단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5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1)의 타측에는'ㄷ'자 형태의 지지브라켓(513)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브라켓(512)에는 상기 회동브라켓(53)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1 힌지축(514)이 결합되도록 제1 결합공(51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양측에는 상기 버튼(52)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2 힌지축(516)이 결합되도록 제2 결합공(517)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51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버튼(52)이 걸리도록 받침턱(518)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된다.
상기 버튼(52)은 상기 지지브라켓(5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튼(52)의 양측에는 상기 제2 결합공(517)에 대응되는 제3 결합공(521)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52)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받침턱(518)에 걸리도록 면적이 확장된 받침돌기(522)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52)의 전면에는 걸림돌기(5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53)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23)에 대응되는 걸림홈(532)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브라켓(53)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533)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브라켓(53)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힌지브라켓(512)의 제1 결합공(515)에 대응되는 제4 결합공(534)이 형성된다.
이하, 상기 손잡이부(5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서랍(10)의 내부에 수납할 경우에는 회동브라켓(53)의 걸림홈(532)에 버튼(52)의 걸림돌기(523)가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된다.
이때, 스프링(511)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52)의 받침돌기(522)가 지지브라켓(513)의 받침턱(518)에 걸리면서 회동브라켓(53)이 고정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서랍(10)에서 수저분리함을 분리할 경우에는 버튼(52)을 누르면 회동브라켓(53)의 걸림홈(532)에 걸림 상태로 있던 버튼(52)의 걸림돌기(523)가 걸림 해제되면서 스프링(53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던 회동브라켓(53)이 회동하면서 버튼(52)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동브라켓(53)의 파지홈(533)을 파지한 상태에서 싱크대 서랍(10)에 대하여 수저분리함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칼 수납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 수납대(40)는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되며, 칼날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홈(41)이 배열 형성된다.
상기 칼 수납대(40)는 상기 함체(20) 및 칸막이(30)와 마찬가지로 대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 수납대(40)의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납경사면(42)이 다단 형성된다.
특히, 상기 칼 수납대(40)의 최후방에 형성된 수납경사면(42)에는 소형 칼의 칼날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홈(41)들 사이로 삽입홈(41) 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 보조삽입홈(4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단 구조를 갖는 칼 수납대(40)를 통해 칼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수납함은 물론 칼의 수납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20)의 일측 바닥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개된 대나무가 다수로 배열 고정되며, 그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받침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저분리함의 수납공간에 절개된 대나무를 고정하여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자연미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싱크대 서랍
20 : 함체 21 : 수납공간
22 : 결합홈 23 : 돌출돌기
24 : 삽입홈 25 : 수저받침구
30 : 칸막이 31 : 결합홈
32 : 돌출돌기
40 : 칼 수납대 41 : 삽입홈
42 : 수납경사면 421 : 보조삽입홈
50 : 손잡이부 51 : 고정브라켓
511 : 스프링 512 : 힌지브라켓
513 : 지지브라켓 514 : 제1 힌지축
515 : 제1 결합공 516 : 제2 힌지축
517 : 제2 결합공 518 : 받침턱
52 : 버튼 521 : 제3 결합공
522 : 받침돌기 523 : 걸림돌기
53 : 회동브라켓 531 : 스프링
532 : 걸림홈 533 : 파지홈
534 : 제4 결합공

Claims (5)

  1. 싱크대 서랍(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저분리함에 있어서,
    대나무를 가공하여 제작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사각 형태의 함체(20);
    상기 함체(20)의 내부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어 다수의 수납공간(21)을 구획 형성시키는 대나무 재질의 칸막이(30); 및
    상기 수납공간(21)에 수납되며, 칼날이 삽입되도록 다수의 삽입홈(41)이 배열 형성되는 대나무 재질의 칼 수납대(40);
    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20)의 내부 둘레 벽면과 상기 칸막이(30)의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홈(22,3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함체(20)에 다수의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30)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30)의 조립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칸막이(30)에 다수의 결합홈(31)이 형성되어 크기가 서로 다른 칸막이가 상호 교차되게 조립되고, 수납되는 주방용 기구에 맞게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수납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칸막이(30)를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고, 상기 함체(20)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싱크대 서랍(10)에 대하여 수저분리함의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부(5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50)는,
    상기 함체(20)의 측벽 상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24)의 내부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511)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버튼(52); 및
    상기 고정브라켓(5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구비된 스프링(531)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버튼(52)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회동브라켓(53);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일측 양단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힌지브라켓(5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1)의 타측에는 'ㄷ'자 형태의 지지브라켓(513)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브라켓(512)에는 상기 회동브라켓(53)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1 힌지축(514)이 결합되도록 제1 결합공(5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양측에는 상기 버튼(52)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제2 힌지축(516)이 결합되도록 제2 결합공(517)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51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는 버튼(52)이 걸리도록 받침턱(518)이 내측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버튼(52)의 양측에는 상기 제2 결합공(517)에 대응되는 제3 결합공(521)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52)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브라켓(513)의 받침턱(518)에 걸리도록 면적이 확장된 받침돌기(522)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52)의 전면에는 걸림돌기(5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53)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돌기(523)에 대응되는 걸림홈(532)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브라켓(53)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홈(533)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브라켓(53)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힌지브라켓(512)의 제1 결합공(515)에 대응되는 제4 결합공(534)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 서랍(10)의 내부에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회동브라켓(53)의 걸림홈(532)에 버튼(52)의 걸림돌기(523)가 삽입되어 걸린 상태가 되고, 상기 싱크대 서랍(10)에서 수저분리함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버튼(52)을 누르면 회동브라켓(53)의 걸림홈(532)에 걸림 상태로 있던 버튼(52)의 걸림돌기(523)가 걸림 해제되면서 스프링(53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있던 회동브라켓(53)이 회동하면서 버튼(52)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칼 수납대(40)의 상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수납경사면(42)이 다단 형성되고, 최후방에 형성된 수납경사면(42)에는 소형 칼의 칼날이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홈(41)들 사이로 삽입홈(41) 보다 얕은 깊이를 갖는 보조삽입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20)의 일측 바닥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반으로 절개된 대나무가 다수로 배열 고정되며, 그 내부에 수저가 수납되는 수저받침구(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18284A 2017-02-09 2017-02-09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KR10177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84A KR101779874B1 (ko) 2017-02-09 2017-02-09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84A KR101779874B1 (ko) 2017-02-09 2017-02-09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874B1 true KR101779874B1 (ko) 2017-09-20

Family

ID=60034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84A KR101779874B1 (ko) 2017-02-09 2017-02-09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8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55965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KR20200002075U (ko) * 2019-03-14 2020-09-23 남인우 주방용품 보관함
US20230210259A1 (en) * 2020-06-19 2023-07-06 Sergio Tontarelli Improved cutlery tray comprising inclined cavities for kitchen utensi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421A (ja) * 2003-03-31 2004-10-28 Cleanup Corp 引き出し用収納トレー,引き出しおよび厨房家具
KR101610505B1 (ko) * 2014-09-11 2016-04-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8421A (ja) * 2003-03-31 2004-10-28 Cleanup Corp 引き出し用収納トレー,引き出しおよび厨房家具
KR101610505B1 (ko) * 2014-09-11 2016-04-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75U (ko) * 2019-03-14 2020-09-23 남인우 주방용품 보관함
KR200493288Y1 (ko) 2019-03-14 2021-03-04 남인우 주방용품 보관함
CN110355965A (zh) * 2019-06-25 2019-10-22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CN110355965B (zh) * 2019-06-25 2024-03-19 宁波长飞亚塑料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加热器
US20230210259A1 (en) * 2020-06-19 2023-07-06 Sergio Tontarelli Improved cutlery tray comprising inclined cavities for kitchen utensils
US11930924B2 (en) * 2020-06-19 2024-03-19 Sergio Tontarelli Cutlery tray comprising inclined cavities for kitchen utensi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184B2 (en) Adjustable dish rack
KR101779874B1 (ko)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US20080210648A1 (en) Collapsible dish and utensil rack
KR101610505B1 (ko)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KR101527685B1 (ko) 모듈화 수납기구
FR2607382A1 (fr) Casier inserable de lave-vaisselle pour le nettoyage et le sechage de pieces de couverts de table et de petite vaisselle
JP4621545B2 (ja) 引出し型の乾燥キャビネット
US8627571B2 (en) Compact knife holder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JP2010148788A (ja) フライパンラック
JP7162423B2 (ja) 収納ボックス
KR100812906B1 (ko) 덮개부를 가지는 식판
CN211186961U (zh) 一种防尘的多功能厨房置物架
CN107007859B (zh) 一种嵌入式消毒柜
CN213309323U (zh) 一种多功能厨房收纳盒
KR20090065593A (ko)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KR200474595Y1 (ko) 다용도 꽂이
KR200226494Y1 (ko) 주방용 도구 보관함
JP2019115600A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構造及び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200227772Y1 (ko) 돌출식 주방용품 비치함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200334977Y1 (ko) 주방용품 수납함
KR20170003004U (ko) 싱크대용 조립식 간이 선반
JP2865622B2 (ja) 小物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