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88Y1 - 주방용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주방용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88Y1
KR200493288Y1 KR2020190001052U KR20190001052U KR200493288Y1 KR 200493288 Y1 KR200493288 Y1 KR 200493288Y1 KR 2020190001052 U KR2020190001052 U KR 2020190001052U KR 20190001052 U KR20190001052 U KR 20190001052U KR 200493288 Y1 KR200493288 Y1 KR 200493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oupling
rim
coupling hol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075U (ko
Inventor
김재민
Original Assignee
남인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인우 filed Critical 남인우
Priority to KR2020190001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8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0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주방용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를 통해 구획된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수저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은 테두리부와 구획부 및 수저부를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부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방용품 보관함{Kitchen storage box}
본 고안은 주방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가구인 싱크대의 서랍에 장착되고 칼, 수저,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용도별로 분리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 설치되어 음식 조리 및 설거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방가구로서, 요즘 아파트 등의 주방을 보면 예전과는 달리 싱크대가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에는 각종 주방용 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수납공간들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에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칼, 수저,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 기구를 각각의 용도에 따라 분리 보관할 수 있는 분리함을 싱크대 서랍에 수납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05818호의 주방용기의 연결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주방용기의 연결구조는 칼 또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육면체형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품 보관용 주방용기들 사이에 상기 주방용기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를 끼워 나란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연결부재의 구조상 조립강도가 취약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주방용 기구들이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들어 올릴 경우 손으로 잡은 하나의 주방용기로부터 연결부위가 점차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주방용기와 연결부재 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용기의 내부에 다수의 칸막이가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주방용 기구를 수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방용 기구의 수납을 위해서 그에 맞는 수납 구조를 갖는 주방용기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050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테두리부와 구획부 및 수저부를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부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주방용품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테두리 가이드 홈과 구획부를 구성하는 구획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을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는 주방용품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방용품 보관함은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주방용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를 통해 구획된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수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는 전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테두리 부재;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의 양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와 측면 테두리 부재가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마감 몸체를 기준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해 상부 결합돌기, 중간 결합돌기, 하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마감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돌기와 중간 결합돌기 및 하부 결합돌기는 전후 테두리 부재 및 측면 테두리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과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 ㄱ " 또는 " ㄷ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돌기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전후 테두리 부재 및 측면 테두리 부재에는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장착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구획 부재;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구획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수평 구획 부재; 및 상기 전후 구획 부재와 수평 구획 부재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구획 마감 몸체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테두리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구획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의 상하부 끝단에는 전후 구획 부재 또는 수평 구획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결합돌기, 중간 결합돌기, 하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구획 마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저부는 전후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획벽과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상하부에는 테두리 가이드 홈과 구획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수저 지지 부재; 및 상기 수저 지지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에는 상부를 향해 보호 가이드가 형성되는 연결 수평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저부를 구성하는 수저 지지 부재와 연결 수평 부재는 분리형성되고, 상기 수저 지지 부재는 끝단에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재 결합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평 부재의 끝단에는 부재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은 테두리부와 구획부 및 수저부를 조립구조로 구성하여 부품을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은 테두리부를 구성하는 테두리 가이드 홈과 구획부를 구성하는 구획 가이드 홈을 통해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을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칼, 수저,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용도별로 분리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전후 테두리 부재와 측면 테두리 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마감 테두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구획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구획부의 전후 구획 부재와 수평 구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 및 8b(b)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a) 및 9(b)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의 수저 지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및 10(b)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의 연결 수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전후 테두리 부재와 측면 테두리 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테두리부의 마감 테두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구획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구획부의 전후 구획 부재와 수평 구획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및 8b(b)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a) 및 9(b)는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의 수저 지지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10(b)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품 보관함을 구성하는 수저부의 연결 수평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원고안인 주방용품 보관함(100)은 주방가구인 싱크대의 서랍 등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방용품 보관함(100)은 테두리부(200), 구획부(300), 수저부(400)로 구성되어 칼, 수저, 젓가락,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하게 된다.
상기 테두리부(200)는 주방용품 보관함(100)의 외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테두리부(2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구획부(300)와 수저부(4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착공간(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200)는 전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의 양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측면 테두리 부재(230) 및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측면 테두리 부재(230)가 맞닿는 부분에 결합되는 마감 테두리 부재(2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200)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측면 테두리 부재(230)의 끝단 부분에 마감 테두리 부재(240)를 각각 끼움 결합하여 한 몸체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200)의 형상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테두리부(200)를 구성하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측면 테두리 부재(230) 및 마감 테두리 부재(240)의 길이와 높이도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는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22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222), 중간 결합공(223), 하부 결합홈(22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는 상하부에 형성되는 테두리 가이드 홈(221)을 통해 구획부(3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와 삼중(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 테두리 부재(230)는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23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232), 중간 결합공(233), 하부 결합홈(23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테두리 부재(230)는 상하부에 형성되는 테두리 가이드 홈(231)을 통해 구획부(3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와 삼중(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는 평면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감 몸체(241)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상부 결합돌기(242), 중간 결합돌기(243), 하부 결합돌기(244)가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222, 232), 중간 결합공(223, 233), 하부 결합홈(224, 23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결합돌기(242), 중간 결합돌기(243), 하부 결합돌기(244)를 각각 형성하여 끼움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돌기(242)와 중간 결합돌기(243) 및 하부 결합돌기(244)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222, 232), 중간 결합공(223, 233), 하부 결합홈(224, 234)과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 ㄱ " 또는 " ㄷ "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즉,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와 단순히 끼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억지 끼움 결합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 결합돌기(243)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결합돌기(245)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합돌기(245)와 대응하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에는 결합공(225, 23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 결합돌기(243)와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에는 탄성결합돌기(245)와 결합공(225, 235)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240)와 전후 테두리 부재(220) 및 측면 테두리 부재(23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획부(300)는 테두리부(200)의 장착공간(210)에 장착된다.
즉, 상기 구획부(300)는 테두리부(200)의 장착공간(210)을 분리하여 주방용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부(300)는 전후 구획 부재(310), 수평 구획 부재(320), 구획 마감 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 구획 부재(310)는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31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312), 중간 결합공(313), 하부 결합홈(31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전후 구획 부재(310)는 전후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테두리 가이드 홈(311)을 통해 수평 구획 부재(320)와 용이하게 위치조절하여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 마감 부재(330)와 삼중(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구획 부재(320)는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32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322), 중간 결합공(323), 하부 결합홈(32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 구획 부재(320)는 전후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테두리 가이드 홈(321)을 통해 전후 구획 부재(310)와 용이하게 위치조절하여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획 마감 부재(330)와 삼중(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 끼움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획 마감 부재(330)는 상기 전후 구획 부재(310)와 수평 구획 부재(320)의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 마감 부재(330)는 구획 마감 몸체(331)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 구획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구획 결합돌기(332)가 형성되며, 내측의 상하부 끝단에는 전후 구획 부재(310) 또는 수평 구획 부재(32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312, 322), 중간 결합공(313, 323), 하부 결합홈(314, 324)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결합돌기(333), 중간 결합돌기(334), 하부 결합돌기(3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구획 마감 부재(330)는 전후 구획 부재(310)와 수평 구획 부재(32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312, 322), 중간 결합공(313, 323), 하부 결합홈(314, 324)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부 결합돌기(333), 중간 결합돌기(334), 하부 결합돌기(335)를 각각 형성하여 끼움 결합한 후, 상기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 또는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과 구획 가이드 홈(311) 또는 구획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저부(400)는 구획부(300)를 통해 구획된 테두리부(200)의 장착공간(21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저부(400)는 전후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획벽(421)과 수납공간(422)이 형성되며, 양측 상하부에는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과 구획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저 결합돌기(423)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지지돌기(424)가 형성되는 수저 지지 부재(420)와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에는 상부를 향해 보호 가이드(441)가 형성되는 연결 수평 부재(440) 및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 및 연결 수평 부재(44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저 덮개(46)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저부(400)는 보호 가이드(441)가 형성되는 연결 수평 부재(440)의 전후방 끝단으로 수저 지지 부재(420)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구획벽(421)과 구획벽(421)의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422)으로 숫가락과 젓가락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돌기(424)는 측면 테두리 부재(230)와 전후 구획 부재(310)와 밀착되어, 상기 수저부(4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저부(400)를 구성하는 수저 지지 부재(420)와 연결 수평 부재(440)는 분리형성되고,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는 끝단에 부재 결합돌기(426)가 형성된 부재 결합홈(425)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평 부재(440)의 끝단에는 부재 결합돌기(426)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공(4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저부(400)는 전후방에 위치하는 수저 지지 부재(420)와 연결 수평 부재(440)로 분리구성되어, 부품의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면서도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주방용품 보관함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전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221)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222), 중간 결합공(223), 하부 결합홈(22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의 양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231)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232), 중간 결합공(233), 하부 결합홈(23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 테두리 부재(230) 및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220)와 측면 테두리 부재(230)가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마감 몸체(241)를 기준으로 상부 결합공(222, 232), 중간 결합공(223, 233), 하부 결합홈(224, 234)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해 상부 결합돌기(242), 중간 결합돌기(243), 하부 결합돌기(244)가 형성되는 마감 테두리 부재(240)로 구성되는 테두리부(2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31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312), 중간 결합공(313), 하부 결합홈(31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구획 부재(310)와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321)이 형성되고,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322), 중간 결합공(323), 하부 결합홈(324)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수평 구획 부재(320) 및 구획 마감 몸체(331)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 구획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구획 결합돌기(332)가 형성되며, 내측의 상하부 끝단에는 전후 구획 부재(310) 또는 수평 구획 부재(32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312, 322), 중간 결합공(313, 323), 하부 결합홈(314, 324)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결합돌기(333), 중간 결합돌기(334), 하부 결합돌기(335)가 형성되는 구획 마감 부재(330)로 구성되는 구획부(3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후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획벽(421)과 수납공간(422)이 형성되며, 양측 상하부에는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과 구획 가이드 홈(3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저 결합돌기(423)가 형성되며, 하부 양측에는 지지돌기(424)가 형성되는 수저 지지 부재(420) 및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에는 상부를 향해 보호 가이드(441)가 형성되는 연결 수평 부재(440) 및 상기 수저 지지 부재(420) 및 연결 수평 부재(44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저 덮개(46)로 구성되는 수저부(40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방용품 보관함(100)을 구성하는 테두리부(200), 구획부(300), 수저부(400)를 준비한 후 주방가구인 싱크대의 서랍에 맞게 주방용품 보관함(100)을 형성한다.
즉, 상기 테두리부(200)를 구성하는 측면 테두리 부재(230)와 상기 측면 테두리 부재(230)를 구성하는 마감 테두리 부재(240)를 분리한 후, 상기 테두리부(200)를 구성하는 장착공간(210)에 구획부(300)와 수저부(400)를 끼움 결합한 다음, 상기 측면 테두리 부재(230)와 마감 테두리 부재(240)를 끼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부(200)를 구성하는 테두리 가이드 홈(221, 231)에 구획부(300)의 구획 결합돌기(333)를 끼움 결합하여 위치를 조절한 후, 수저부(400)를 장착한 다음, 측면 테두리 부재(230)와 마감 테두리 부재(240)를 끼움 결합하면 조립은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주방용품 보관함 200 : 테두리부
210 : 장착공간 220 : 전후 테두리 부재
221 : 테두리 가이드 홈 222 : 상부 결합공
223 : 중간 결합공 224 : 하부 결합홈
225 : 결합공 230 : 측면 테두리 부재
231 : 테두리 가이드 홈 232 : 상부 결합공
233 : 중간 결합공 234 : 하부 결합홈
235 : 결합공 240 : 마감 테두리 부재
241 : 마감 몸체 242 : 상부 결합돌기
243 : 중간 결합돌기 244 : 하부 결합돌기
245 : 탄성결합돌기 300 : 구획부
310 : 전후 구획 부재 311 : 구획 가이드 홈
312 : 상부 결합공 313 : 중간 결합공
314 : 하부 결합홈 320 : 수평 구획 부재
321 : 구획 가이드 홈 322 : 상부 결합공
323 : 중간 결합공 324 : 하부 결합홈
330 : 구획 마감 부재 331 : 구획 마감 몸체
332 : 구획 결합돌기 333 : 상부 결합돌기
334 : 중간 결합돌기 335 : 하부 결합돌기
400 : 수저부 420 : 수저 지지 부재
421 : 구획벽 422 : 수납공간
423 : 수저 결합돌기 424 : 지지돌기
425 : 부재 결합홈 426 : 부재 결합돌기
440 : 연결 수평 부재 441 : 보호 가이드
442 : 수평 결합공

Claims (7)

  1. 중공형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주방용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를 통해 구획된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장착되는 수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저부는 전후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구획벽과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양측 상하부에는 테두리 가이드 홈과 구획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저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수저 지지 부재;
    상기 수저 지지 부재의 사이에 장착되고 양측 끝단에는 상부를 향해 보호 가이드가 형성되는 연결 수평 부재; 및
    상기 수저 지지 부재 및 연결 수평 부재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저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전후방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테두리 부재;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의 양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길이방향으로 테두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측면 테두리 부재; 및
    상기 전후 테두리 부재와 측면 테두리 부재가 맞닿는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고, 마감 몸체를 기준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끼움 결합을 위해 상부 결합돌기, 중간 결합돌기, 하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마감 테두리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감 테두리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돌기와 중간 결합돌기 및 하부 결합돌기는 전후 테두리 부재 및 측면 테두리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과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 ㄱ " 또는 " ㄷ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돌기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결합돌기와 대응하는 전후 테두리 부재 및 측면 테두리 부재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전후방향으로 장착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구획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전후 구획 부재;
    상기 테두리부의 장착공간에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전후면의 상하부에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구획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수평 구획 부재; 및
    상기 전후 구획 부재와 수평 구획 부재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구획 마감 몸체를 기준으로 외측에 상기 테두리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구획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내측의 상하부 끝단에는 전후 구획 부재 또는 수평 구획 부재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공, 중간 결합공, 하부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 결합돌기, 중간 결합돌기, 하부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구획 마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저부를 구성하는 수저 지지 부재와 연결 수평 부재는 분리형성되고,
    상기 수저 지지 부재는 끝단에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재 결합홈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연결 수평 부재의 끝단에는 부재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되는 수평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품 보관함.
KR2020190001052U 2019-03-14 2019-03-14 주방용품 보관함 KR200493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2U KR200493288Y1 (ko) 2019-03-14 2019-03-14 주방용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52U KR200493288Y1 (ko) 2019-03-14 2019-03-14 주방용품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5U KR20200002075U (ko) 2020-09-23
KR200493288Y1 true KR200493288Y1 (ko) 2021-03-04

Family

ID=7266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52U KR200493288Y1 (ko) 2019-03-14 2019-03-14 주방용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37B1 (ko) * 2020-10-20 2022-12-07 명진실업 주식회사 칸막이 조절 구조를 갖춘 주방가구용 분리함
US11918115B2 (en) * 2022-06-12 2024-03-05 Shmuel Yosef Rosenberg Movable divide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344A1 (en) 2001-05-17 2002-11-21 Helmut Hollenstein Drawer insert
KR200455852Y1 (ko) * 2008-11-20 2011-09-29 주식회사 동남 주방용 구획 프레임
WO2011128735A2 (en) 2010-04-14 2011-10-20 Gema Srl A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assembling of shelving structure, particularly for fitting inside outfitted commercial vans
KR101779874B1 (ko) 2017-02-09 2017-09-20 주식회사 제노라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5581B2 (ja) * 1994-11-15 2005-02-02 株式会社足立ライト工業所 パチンコ機の外枠
KR101610505B1 (ko) 2014-09-11 2016-04-08 명진실업 주식회사 씽크대 서랍 수납용 주방용구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1344A1 (en) 2001-05-17 2002-11-21 Helmut Hollenstein Drawer insert
KR200455852Y1 (ko) * 2008-11-20 2011-09-29 주식회사 동남 주방용 구획 프레임
WO2011128735A2 (en) 2010-04-14 2011-10-20 Gema Srl A system for the construction and assembling of shelving structure, particularly for fitting inside outfitted commercial vans
KR101779874B1 (ko) 2017-02-09 2017-09-20 주식회사 제노라인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075U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158B1 (ko) 식기건조대
US9033432B2 (en) Dishwasher
US10619914B2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KR200493288Y1 (ko) 주방용품 보관함
EP2898814A1 (en)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US8151810B2 (en) Basket assembly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apparatus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0468770Y1 (ko) 조리도구 보관함
JP5912635B2 (ja) ホテルパン類用ラック
KR200455852Y1 (ko) 주방용 구획 프레임
KR20180003077U (ko)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KR200493868Y1 (ko) 수납용기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KR102220131B1 (ko)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WO2016167709A1 (en) Dishwashing accessory for holding a dishwasher basket inclined in relation to the horizontal and a dishwashing method
US20160007825A1 (en) Support device, and dishwasher comprising said device
KR102290730B1 (ko) 식기건조대
JP3043630U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ラック
KR200384820Y1 (ko) 가구용 보조 수납함
CN209984643U (zh) 一种碗架及消毒柜
CN212938784U (zh) 一种碗碟篮
CA2008919A1 (en) Dishwasher rack
CN213188733U (zh) 一种拉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