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730B1 -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730B1
KR102290730B1 KR1020200073225A KR20200073225A KR102290730B1 KR 102290730 B1 KR102290730 B1 KR 102290730B1 KR 1020200073225 A KR1020200073225 A KR 1020200073225A KR 20200073225 A KR20200073225 A KR 20200073225A KR 102290730 B1 KR102290730 B1 KR 10229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drying rack
protruding
arrangement uni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배
Original Assignee
유근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배 filed Critical 유근배
Priority to KR102020007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10)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로 구분되면서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어 가로길이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식기건조대(10)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제1식기수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식기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세로길이의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지지부(120)가 등간격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돌출지지부(120)의 가로방향 제1배열단위(P1)가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의 개방된 일측면 상부에 개방된 타측면 하부가 면접되어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면서 제1몸체(100)의 제1식기수납부(110)와 상호 연계되도록 내부에 제2식기수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수(數) 및 배열에 대응되면서 결속되도록 저면으로 홈형태이면서 바닥면으로 돌출형태의 결속지지부(220)가 형성되어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결속지지부(220)의 가로방향 제2배열단위(P2)가 배치되는 제2몸체(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건조대{TABLEWARE DRYER}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건조대가 제1몸체와 제2몸체로 구분되면서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어 가로길이의 폭조절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기건조대는 대체로 철 재질로 된 케이지에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케이지를 지지틀 안에 조립하여 싱크대의 상판에 얹어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지 하부에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받는 물받이판이 구비된다.
1단 구조로 이루어진 식기건조대의 경우, 사용이 편리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않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많은 수의 식기를 한 번에 건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식기건조대로써,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지가 2단 또는 3단의 형태로 구성되는 제품이 있다.
그러나 2단 또는 3단의 케이지를 갖는 식기건조대는 다층 구조로 인해 식기 건조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싱크대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용자는 식기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식기건조대를 한쪽으로 치워 놓았다가 사용이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싱크볼 주변으로 옮기면서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건조대의 경우, 대부분 식기건조대의 수납공간이 정해져 판매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공간의 크기별로 식기건조대가 판매되어 사용자가 구매해야 하며, 이때 사용자가 더 큰 수납공간을 가진 식기건조대를 필요시 기존 식기건조대를 버리고 새로운 식기건조대를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8008호(발명의 명칭 : 물때제거 및 항균 기능이 개선된 식기 건조대와 식기 건조대의 제조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7407호(발명의 명칭 : 식기건조대의 드레인 기구)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기건조대의 폭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식기수량에 따라 선택적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식기수납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바로 배출되는 물기가 별도의 물받이판이 아닌 싱크대의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식기건조대가 좌측의 제1몸체와 우측의 제1몸체로 구획 분리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일측이 서로 겹침구조로 결합되어 식기수납부의 가로길이로 폭조절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서 수납할 수 있는 식기수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 결합되는 제1, 2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의 타측면에 도마 등과 같은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재가 일체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 수압부재가 몸체와 연결되는 구조가 안정적으로 설계됨으로써, 안정적인 수납이 용이하며 다수의 주방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일측이 개방된 제1식기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식기수납부의 바닥면에 세로길이의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지지부가 등간격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돌출지지부의 가로방향 제1배열단위가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상부에 개방된 타측면 하부가 면접되어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면서 제1몸체의 제1식기수납부와 상호 연계되도록 내부에 제2식기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돌출지지부 수(數) 및 배열에 대응되면서 결속되도록 저면으로 홈형태이면서 바닥면으로 돌출형태의 결속지지부가 형성되어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결속지지부의 가로방향 제2배열단위가 배치되는 제2몸체로 이루어지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의 돌출지지부 높이보다 더 긴 높이로 결속지지부가 제2몸체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 바닥면의 결속지지부와 결속지지부 사이의 노출면이 제2배열단위와 제2배열단위 사이의 배출면 그리고 바닥면의 가장자리 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몸체의 바닥면 타측단에 위치한 결속지지부의 일측면에 이동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2몸체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이동홈을 통해 돌출지지부에 간섭없이 제2몸체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몸체의 결속지지부 제2배열단위에서 제2몸체의 저면으로 저면결속지지부와 결속지지부 사이에 세로길이의 밀착지지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제1몸체의 돌출지지부와 돌출지지부 사이에 결합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와 후측 제1배열단위 사이에 바닥면 일측면 일부의 가로길이로 관통 절개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 저면의 타측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중앙에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탭과,
상기 제1몸체의 일측면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으로 노출된 제2몸체의 체결탭 체결홈에 결합되도록 체결몸체가 형성된 체결부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공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몸체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의 상측 및 바닥면 후측 제1배열단위의 하측에 각각 가로길이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홈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 저면의 타측부에 돌출된 가이드탭이 형성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와 후측 제1배열단위 사이의 중앙 또는 중앙의 주변에 관통된 배수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어 식기건조대 외측으로 노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상부 일측에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단 외측으로 단차진 걸림턱이 형성된 원호방향의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주변에 끼움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끼움부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가지어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원호방향의 밀착부로 구성된 배출바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몸체 일측의 측면판 상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곡면으로 절곡되면서 연결판의 높이보다 긴 높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과 지지판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면서 수납공간의 하부만이 밀폐되는 형태를 가진 수납부재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몸체의 제1식기수납부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의 돌출지지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저면에 홈형태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저수납부가 더 포함되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의 폭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식기수량에 따라 선택적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식기수납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바로 배출되는 물기가 별도의 물받이판이 아닌 싱크대의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그리고 분리 결합되는 제1, 2몸체 중 어느 하나의 몸체의 타측면에 도마 등과 같은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재가 일체로 이루어져 안정적인 수납이 용이하며 다수의 주방용품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전체적인 구조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전체적인 평면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전체적인 저면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전체적인 측면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한 상태의 결합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몸체의 측면 도면(a) 및 제2몸체의 측면 도면(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몸체의 사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저면을 표현한 저면사시 도면(a) 및 저면을 표현한 도면(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2몸체의 사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2몸체의 저면을 표현한 저면사시 도면(a) 및 평면을 표현한 도면(b).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배출바를 나타낸 사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수저수납부의 정면사시 도면(a), 정면 도면(b) 및 저면사시 도면(c).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몸체의 제1식기수용부 모서리에 수저수납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 도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제1식기수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식기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세로길이의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지지부(120)가 등간격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돌출지지부(120)의 가로방향 제1배열단위(P1)가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의 개방된 일측면 상부에 개방된 타측면 하부가 면접되어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면서 제1몸체(100)의 제1식기수납부(110)와 상호 연계되도록 내부에 제2식기수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수(數) 및 배열에 대응되면서 결속되도록 저면으로 홈형태이면서 바닥면으로 돌출형태의 결속지지부(220)가 형성되어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결속지지부(220)의 가로방향 제2배열단위(P2)가 배치되는 제2몸체(200)로 이루어지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도 2, 도 5,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는 상부 및 일측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제1식기수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식기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세로길이의 돌출된 다수 개의 돌출지지부(120)가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며, 이때 다수 개의 돌출지지바(120)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가로방향의 제1배열단위(P1)로 칭하며, 이에 상기 제1식기수납부(110)의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제1배열단위(P1)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00)는 상부 및 타측부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제2식기수납부(210)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몸체(100)의 바닥면 일측부 상부로 제2몸체(200)의 저면 타측부 하부가 상호 면접 결합되어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진 식기건조대(1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몸체(100)(200)가 상호 결합되어 제1, 2식기수납부(110)(210)가 상호 연계된 식기건조대(10)의 내부 공간형태를 가진다.
도 2, 도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00)의 결속지지부(220)는 제1몸체(100)와 결합시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를 수용 또는 결속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수(數) 및 배열에 대응되면서 제2몸체(200)의 저면에서는 홈형태이면서 바닥면에서는 돌출형태의 결속지지부(220)가 형성되며, 이때 제2몸체(200)의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결속지지부(220)가 배열되는 것을 가로방향의 제2배열단위(P2)로 배치된다.
그리고, 싱크대 등의 설치면에 설치된 상기 식기건조대(10)에 식기 수납후 흘러나오는 물기의 흐름을 잘 유도하도록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높이보다 더 긴 높이로 결속지지부(220)가 제2몸체(200)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됨으로서, 상기 돌출지지부(120)가 제2몸체(200)의 저면에 형성된 결속지지부(220)의 홈으로 인입되되, 상기 돌출지지부(120)가 결속지지부(220)의 홈으로 긴밀한 결속형태가 아닌 간섭없는 수용형태로 인입되는 수용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몸체(200) 바닥면의 결속지지부(220)와 결속지지부(220) 사이의 노출면(240)이 제2배열단위(P2)와 제2배열단위(P2) 사이의 배출면(202) 그리고 바닥면의 가장자리(203) 보다 더 높게 위치함으로서, 상기 결속지지부(220)로 흐르는 물기가 노출면(240)을 따라 제2배열단위(P2)와 제2배열단위(P2) 사이의 배출면(202) 그리고 바닥면의 가장자리(203)로 흘러가게 되어 물기가 후술되는 제1몸체(100)의 배수구(103)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5,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00)의 바닥면 타측단에 위치한 결속지지부(220)의 일측면에 이동홈(221)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결합한 상태에서 제2몸체(200)가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이동홈(221)을 통해 돌출지지부(120)에 간섭없이 제2몸체(200)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1, 2몸체(100)(200)가 결합 후 제2몸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켜 식기건조대(10)의 가로폭을 조절하게 되며, 이때 제2몸체(200)가 가로방향의 슬라이드형태로 이동시 제2몸체(200)의 타측단에 형성된 결속지지부(220)의 일측면에 결속지지부(220)의 내부로 내통된 이동홈(221)이 형성되어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에 간섭없이 이동홈(221)을 통과하면서 가로방향으로 제2몸체(2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식기건조대(10)의 제1, 2몸체(100)(200)가 상호 긴밀한 결합구조를 가지도록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2몸체(200)의 결속지지부(220) 제2배열단위(P2)에서 제2몸체(200)의 저면으로 결속지지부(220)와 결속지지부(220) 사이에 세로길이의 밀착지지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밀착지지부(미도시)는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와 돌출지지부(120) 사이에 결합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제2몸체(200)의 저면으로 상술한 밀착지지부(미고시)가 형성되어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와 돌출지지부(120) 사이로 끼움 결합하게 되며, 상기 제2몸체(200)의 저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다수의 밀착지지부가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가로방향의 단위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00)로부터 제2몸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또는 결합 이동시켜 식기건조대(10)의 가로폭을 조절하여 제1, 2몸체(100)(200)를 상호 결합시키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와 후측 제1배열단위(P1) 사이에 바닥면 일측면 일부의 가로길이로 관통 절개된 가이드공(101)과,
상기 가이드공(1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200) 저면의 타측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중앙에 체결홈(231)이 형성된 체결탭(230)과,
상기 제1몸체(100)의 일측면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01)으로 노출된 체결탭(230)의 체결홈(231)에 결합되도록 체결몸체(310)가 형성된 체결부(300)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공(101)은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에 형성된 돌출지지부(120)의 제1배열단위(P1)와 후측에 형성된 돌출지지부(120)의 제1배열단위(P1) 사이에 바닥면 일측면 즉, 제1몸체(100)의 개방된 일측부의 바닥면 일부에 가로길이로 관통 절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탭(230)은 제2몸체(20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형태로서 중앙에 체결홈(23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공(1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200) 저면의 타측부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2몸체(100)(200)가 상호 결합시 제1몸체(100) 저면의 가이드공(101)으로 부터 제2몸체(200)의 저면에 형성된 체결탭(230)이 돌출 또는 노출되게 된다.
상기 체결부(300)는 제1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01)을 통해 제2몸체(200)의 체결탭(230)에 형성된 체결홈(231)으로 체결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판형의 머리부(320) 중앙에서 수직 연장된 체결몸체(310)로 구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01)으로 노출된 체결탭(230)의 체결홈(231)을 통해 체결부(300)의 체결몸체(310)를 체결하여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2몸체(100)(200)가 체결부(300)로 상호 결합 후 상기 제1몸체(100)로부터 제2몸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식기건조대(10)의 폭길이를 조절시 상기 제2몸체(200)가 제1몸체(100)로부터 슬라이드형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부(300)와 체결탭(230)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즉 제2몸체(200)의 체결탭(230)에 체결부(300)가 완전히 고정되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이동없는 고정구조가 아닌 제2몸체(200)의 체결탭(230)에 고정된 체결부(300)를 기준으로 체결부(300)의 체결몸체(310)가 내속된 가이드공(101)을 따라 제2몸체(200)가 좌우 이동이 가능한 결속구조를 가진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의 가이드공(101)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의 상측 및 바닥면 후측 제1배열단위(P1)의 하측에 각각 가로길이의 가이드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가이드홈(102)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200) 저면의 타측부에 돌출된 가이드탭(201)이 형성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제1, 2몸체(100)(200)가 체결부(300)로 상호 결합 후 상기 제1몸체(100)로부터 제2몸체(200)를 가로방향으로 식기건조대(10)의 폭길이를 조절시 상기 제2몸체(200)가 제1몸체(100)로부터 슬라이드형태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몸체(100)의 가이드홈(102)과 상기 가이드홈(102)에 안착된 가이드탭(201)으로 인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유격없이 직선방향으로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가 이동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와 후측 제1배열단위(P1) 사이의 중앙 또는 중앙의 주변에 관통된 배수구(103)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03)에 결합되어 식기건조대(10) 외측으로 노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상부 일측에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단 외측으로 단차진 걸림턱(411)이 형성된 원호방향의 끼움부(410)와 상기 끼움부(410)의 주변에 끼움부(410)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끼움부(410)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가지어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원호방향의 밀착부(420)로 구성된 배출바(400)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바(400)는 제1몸체(100)의 배수구(103)에 장착 후 식기건조대(10)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 길이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바(400)는 상부 타단을 제외한 테두리는 상향 절곡되어 물이 외부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상기 배출바(400)의 상부 일측에 끼움부(410)와 밀착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10)는 서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음연결된다면 원호형상이되, 전측면 및 후측면이 이음없는 이격공간(412)을 형성하여 서로 좌우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부(420)는 끼움부(410)의 외측 주변에 서로 대칭형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음연결된다면 원호형상이되, 좌측면 및 우측면이 이음없는 열린공간(421)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밀착부(420)의 내측에 끼움부(410)가 형성되는 배치구조를 가진다.
상기 끼움부(410)는 배수구(103)로 인입되면서 걸림턱(411)에 의해 배수구(103)로부터 배출바(400)의 빠짐을 방지하며, 이때 배출바(400)가 제1몸체(10))의 배수구(103)에 긴밀한 밀착구조를 가지도록 배수구(103)의 높이인 두께에 대응되는 끼움부(410) 상부의 길이만이 배수구(103)에 인입되면서 제1몸체(10)) 저면의 배수구(103) 주변을 밀착하도록 끼움부(410) 주변에 원호방향의 밀착부(4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410) 각각이 배출바(400)의 일단 및 타단의 방향으로 배치된다면 밀착부(420) 각각은 배출바(400)의 양측단으로 배치되며, 즉 상기 끼움부(410)가 배출바(400) 상부 일측면에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한다면 밀착부(420)는 끼움부(410) 주변에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위치하며, 이러한 끼움부(410)와 밀착부(420)의 배치방향에 의해 물이 배수구(103)를 통해 배출바(400)로 유출시 끼움부(410) 사이로 낙하하면서 끼움부(410) 사이의 양측 이격공간(412)으로 흘러가면서 상기 이격공간(412)과 마주한 밀착부(420)로 인해 물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밀착부(420)와 밀착부(420) 사이의 열린공간(421)을 통해 배출바(400)의 타단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 저면에 위치한 배수구(103)의 외주에 연결되어 하향 연장된 연결탭(103-1)이 더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03)로부터 연결된 연결탭(103-1)의 상하길이인 높이는 끼움부(410)의 높이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배수구(103)로 유입된 배출수가 연결탭(103-1)을 통해 끼움부(410) 내측으로 흘러 가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00) 일측의 측면판(204) 상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연결판(251)과 상기 연결판(251)의 하단에 연결되어 곡면으로 절곡되면서 연결판(251)의 높이에 비해 긴 높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판(2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251)과 지지판(252) 사이에 수납공간(253)이 형성되면서 수납공간(253)의 하부만이 밀폐되는 형태를 가진 수납부재(250)가 포함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제2몸체(200)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수납부재(250)가 마련되어 도마 등과 같은 조리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납부재(250)는 연결판(251), 지지판(252) 그리고 상기 연결판(251)과 지지판(252) 사이의 수납공간(253)으로 형성되는 일체의 연결구조를 가지며, 상기 지지판(252)의 높이는 연결판(251)의 높이보다 더 높은 길이로 형성되어 수납부재(250)의 수납공간(253)에 조리도구를 안착시 안정적인 수용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게다가, 상기 수납부재(250)의 연결판(251) 하부가 하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몸체(200)의 하부로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연결판(251) 하단부인 지지판(252)과의 곡면으로 절곡된 수납부재(250)의 하단부의 위치가 제2몸체(200)의 하부로 더 연장된 형태를 기지며, 이때 상기 제1몸체(100)의 하면 사방(四方)에 각각 받침대(104)가 설치되면서 상기 받침대(104)의 높이와 상기 제2몸체(200) 하부로 돌출된 수납부재(250)의 높이가 비례되게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재(250)의 하면인 상기 연결판(251) 하단과 지지판(252) 하단이 서로 곡면으로 연결되는 부위의 하면에 완충탭(254)이 부착되며, 상기 완충탭(254)이 구비됨으로서 상기 수납부재(250)의 하면에 마주하는 설치면에 직접 면접되지 않고 완충탭(254)이 사이에 마련되어 수납부재(250)에 도마 등을 수납시 수납부재(250)에 가해지는 외력에 충격을 완충하게 된다.
그리고, 도 5,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식기수납부(110)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저면에 홈형태의 결합홈(501)이 형성되는 수저수납부(500)가 더 포함되는 식기건조대(10)를 제공한다.
상기 수저수납부(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태이지만 이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수저수납부(5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저수납부(500)가 식기건조대(10)의 제1몸체(100)에 견고히 결합되도록 제1몸체(10))의 돌출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저수납부(500) 저면에 결합홈(501)이 형성된다.
상기 수저수납부(500)의 결합홈(501)을 통해 돌출지지부(120)가 결합될 때 수저수납부(500)의 저면에 복수의 결합홈(501)이 형성하면서 돌출지지부(120)들의 간격과 동일한 결합홈(501)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501)의 양단은 수저수납부(500)의 저면 외주단으로 노출된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501)의 일면에 관통된 구멍(502)이 형성되어 수저수납부에 유입된 물이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식기건조대 10 제1몸체 100 제1식기수납부 110
가이드공 101 가이드홈 102 배수구 103
돌출지지부 120 제2몸체 200 가이드탭 201
제2식기수납부 210 결속지지부 220 체결탭 230
체결홈 231 노출면 240 수납부재 250
연결판 251 지지판 252 수납공간 253
체결부 300 체결몸체 310 배출바 400
끼움부 410 밀착부 420 수저수납부 500
결합홈 501

Claims (10)

  1. 일측이 개방된 제1식기수납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식기수납부(110)의 바닥면에 세로길이의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지지부(120)가 등간격의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면서 돌출지지부(120)의 가로방향 제1배열단위(P1)가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와 후측 제1배열단위(P1) 사이에 바닥면 일측면 일부의 가로길이로 관통 절개된 가이드공(101)이 형성된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의 개방된 일측면 상부에 개방된 타측면 하부가 면접되어 상호 겹침구조로 결합되면서 제1몸체(100)의 제1식기수납부(110)와 상호 연계되도록 내부에 제2식기수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수(數) 및 배열에 대응되면서 결속되도록 저면으로 홈형태이면서 바닥면으로 돌출형태의 결속지지부(220)가 형성되어 바닥면 전측 및 후측에 각각 결속지지부(220)의 가로방향 제2배열단위(P2)가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공(101)의 위치에 대응되는 저면의 타측부 일면에 형성되면서 중앙에 체결홈(231)이 형성된 체결탭(230)이 형성되는 제2몸체(200); 및,
    상기 제1몸체(100)의 일측면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공(101)으로 노출된 체결탭(230)의 체결홈(231)에 결합되도록 체결몸체(310)가 형성된 체결부(3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 높이보다 더 긴 높이로 결속지지부(220)가 제2몸체(200)의 바닥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200) 바닥면의 결속지지부(220)와 결속지지부(220) 사이의 노출면(240)이 제2배열단위(P2)와 제2배열단위(P2) 사이의 배출면(202) 그리고 바닥면의 가장자리(203) 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200)의 결속지지부(220) 제2배열단위(P2)에서 제2몸체(200)의 저면으로 결속지지부(220)와 결속지지부(220) 사이에 세로길이의 밀착지지부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밀착지지부는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와 돌출지지부(120)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의 가이드공(101) 위치에 대응되도록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의 상측 및 바닥면 후측 제1배열단위(P1)의 하측에 각각 가로길이의 가이드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가이드홈(102) 위치에 대응되는 제2몸체(200) 저면의 타측부에 돌출된 가이드탭(2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의 바닥면 전측 제1배열단위(P1)와 후측 제1배열단위(P1) 사이의 중앙 또는 중앙의 주변에 관통된 배수구(103)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03)에 결합되어 식기건조대(10) 외측으로 노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상부 일측에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상단 외측으로 단차진 걸림턱(411)이 형성된 원호방향의 끼움부(410)와 상기 끼움부(410)의 주변에 끼움부(410)의 높이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끼움부(410)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가지어 서로 좌우대칭으로 돌출 형성된 원호방향의 밀착부(420)로 구성된 배출바(4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410) 각각이 배출바(400)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면 밀착부(420) 각각은 전측 및 후측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200) 일측의 측면판(204) 상단에 상단이 연결되어 하향 연장되는 연결판(251)과 상기 연결판(251)의 하단에 연결되어 곡면으로 절곡되면서 연결판(251)의 높이에 비해 긴 높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판(25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251)과 지지판(252) 사이에 수납공간(253)이 형성되면서 수납공간(253)의 하부만이 밀폐되는 형태를 가진 수납부재(25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식기수납부(110) 타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제1몸체(100)의 돌출지지부(12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저면에 홈형태의 결합홈(501)이 형성되는 수저수납부(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10. 삭제
KR1020200073225A 2020-06-16 2020-06-16 식기건조대 KR10229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25A KR102290730B1 (ko) 2020-06-16 2020-06-16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225A KR102290730B1 (ko) 2020-06-16 2020-06-16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730B1 true KR102290730B1 (ko) 2021-08-17

Family

ID=7746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225A KR102290730B1 (ko) 2020-06-16 2020-06-16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7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0A (ko) * 2003-08-28 2005-03-10 김창용 조립식 식기건조대
USD757384S1 (en) * 2012-10-28 2016-05-24 Curver Luxembourg Sarl Dish stand
KR101847407B1 (ko) 2016-11-15 2018-04-10 이상배 식기건조대의 드레인 기구
KR102108008B1 (ko) 2019-03-28 2020-05-08 진한공업(주) 물때제거 및 항균 기능이 개선된 식기 건조대 와 식기 건조대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580A (ko) * 2003-08-28 2005-03-10 김창용 조립식 식기건조대
USD757384S1 (en) * 2012-10-28 2016-05-24 Curver Luxembourg Sarl Dish stand
KR101847407B1 (ko) 2016-11-15 2018-04-10 이상배 식기건조대의 드레인 기구
KR102108008B1 (ko) 2019-03-28 2020-05-08 진한공업(주) 물때제거 및 항균 기능이 개선된 식기 건조대 와 식기 건조대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D0757384 S1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45qCO2f0YAA(2020.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7101B1 (en) Utensil rack and automatic dishwasher comprising said utensil rack
US9907453B2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US8746467B2 (en) Dishwasher
US9119524B2 (en) Dishwasher rack insert
US9427135B2 (en) Sink dish drainer set
EP3164045B1 (en) Dishwasher comprising a wire rack with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US20080156358A1 (en) Dishwasher and rack assembly therefor
WO2011026588A1 (en) Silverware container, especially silverware tray and/or silverware basket, as well as dishwasher with such a silverware container
EP2326237B1 (en) A dishwasher with drawer attached to tub roof
US6945421B2 (en) Silverware basket with tiered compartments
KR102290730B1 (ko) 식기건조대
CN109288086A (zh) 水槽及水槽式清洗机
KR200493288Y1 (ko) 주방용품 보관함
KR20080062620A (ko) 식기세척기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US11969130B2 (en) Rack assembly and dish washer comprising the same
KR101754313B1 (ko)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220059163A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CN211187119U (zh) 一种洗碗机的碗篮组件
EP3593697A1 (en) A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s
CN212729715U (zh) 碗篮和洗碗机
KR101084378B1 (ko) 아일랜드형 주방용 가구
CN209984643U (zh) 一种碗架及消毒柜
CN217218950U (zh) 一种刀叉托盘及具有其的洗碗机
WO2015101883A1 (en) Dishwasher and corresponding rack access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