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313B1 -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313B1
KR101754313B1 KR1020150128127A KR20150128127A KR101754313B1 KR 101754313 B1 KR101754313 B1 KR 101754313B1 KR 1020150128127 A KR1020150128127 A KR 1020150128127A KR 20150128127 A KR20150128127 A KR 20150128127A KR 101754313 B1 KR101754313 B1 KR 10175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sink ball
sink
outle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787A (ko
Inventor
이송구
위성범
Original Assignee
이송구
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구, 위성범 filed Critical 이송구
Priority to KR102015012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3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2Draining-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식기 건조대의 메인건조대 하부에 식기안치부를 구비한 보조건조대가 싱크대의 싱크볼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메인건조대의 식기수납부 또는 보조건조대의 식기안치부 또는 이들 모두를 활용함으로써 건조할 식기의 수에 맞게 사용 가능하며, 싱크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보조건조대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상관없이 식기수납부의 물기가 보조건조대의 제2 배출부를 통해 싱크볼로 배출되어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KITCHEN SHELF}
본 발명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식기 건조대의 메인건조대 하부에 식기안치부를 구비한 보조건조대가 싱크대의 싱크볼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되어, 메인건조대의 식기수납부 또는 보조건조대의 식기안치부 또는 이들 모두를 활용함으로써 건조할 식기의 수에 맞게 사용 가능하며, 싱크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보조건조대가 인입 또는 인출됨에 상관없이 식기수납부의 물기가 보조건조대의 제2 배출부를 통해 싱크볼로 배출되어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방의 싱크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기건조대는 대체로 철 재질로 된 케이지에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함께 수납할 수 있으며, 케이지를 지지틀 안에 조립하여 싱크대의 상판에 얹어 사용할 수 있으며, 케이지 하부에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받는 물받이판이 구비된다.
1단 구조로 이루어진 식기건조대의 경우, 사용이 편리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않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많은 수의 식기를 한 번에 건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식기건조대로써,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지가 2단 또는 3단의 형태로 구성되는 제품이 있다.
그러나 2단 또는 3단의 케이지를 갖는 식기건조대는 다층 구조로 인해 식기 건조가 필요 없는 경우에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싱크대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용자는 식기건조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식기건조대를 한쪽으로 치워 놓았다가 사용이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싱크볼 주변으로 옮기면서 사용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건조대의 경우, 대부분 식기건조대 하부에 물받이판이 별도로 놓여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를 받는 구성인 바,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선 물받이판을 주기적으로 비우고 청소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참고로 식기건조대에 대한 선행기술로써,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492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25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8950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기건조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식기수납부 및 식기안치부에 떨어지는 물기가 별도의 물받이판이 아닌 싱크대의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식기수납부를 갖는 메인건조대 하부에, 식기안치부를 갖는 보조건조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보조건조대가 싱크볼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상기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식기수납부의 물기가 보조건조대의 제2 배출부를 경유하여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수납부 및 식거안치부의 물기가 싱크대의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의 구조 설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식기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싱크대의 싱크볼 일측 상판에 설치되며, 식기수납부와, 상기 식기수납부의 물기가 식기수납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배출부를 구비한 메인건조대;
상기 식기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싱크볼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식기안치부와, 상기 식기안치부의 물기가 상기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배출부를 구비한 보조건조대; 및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를 상시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식기수납부의 물기가 상기 제1 배출부와 상기 제2 배출부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상기 제1 배출부는 상기 식기수납부의 바닥에서 상기 싱크볼 방향 외측 모서리부 형성된 제1 배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배출부는 상기 식기안치부의 바닥에서 상기 싱크볼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식기안치부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물기를 상기 제2 배출구로 안내하는 배출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로는 상기 제2 배출구에서 상기 보조건조대의 인입 방향으로 연장 연결된 직선형 유로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건조대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기가 상기 직선형 유로를 경유하여 제2 배출구로 배출되며,
상기 보조건조대는 상기 직선형 유로의 양측에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식기안치부의 바닥 전부위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안내벽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비정형 유로로 구성되되, 상기 비정형 유로 모두는 상기 제2 배출구와 연결되어, 비정형 유로의 물기가 상기 제2 배출구로 포집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식기수납부를 구비한 메인건조대 하부에 식기안치부를 구비한 보조건조대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싱크볼 방향으로 인출 가능함으로써, 다량의 식기 건조가 필요할 경우 메인건조대와 보조건조대 모두에 식기를 놓아 건조할 수 있으며, 소량의 식기 건조가 필요할 경우 보조건조대를 메인건조대로 인입시킨 상태로 메인건조대만을 사용함으로써 싱크대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상태에 상관없이 메인건조대의 제1 배출구와 보조건조대의 제2 배출구가 상시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을 도입하여, 메인건조대만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제1, 제2 배출구를 경유하여 싱크볼로 배출되기 때문에, 종래의 식기건조대와 같이 물받이판을 주기적으로 비우고 청소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보조건조대의 미사용 시 메인건조대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보조건조대의 제2 배출구를 통해 싱크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수단의 구조설계를 간소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별 사시도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1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에서 제2 실시예의 사용 상태별 사시도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도 2의 [B]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 2의 [B]에서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조건조대의 인출입 상태를 각각 도시한 개념사진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건조대는 크게 식기수납부(11)를 갖는 메인건조대(10)와, 상기 메인건조대(10)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식기안치부(21)를 갖는 보조건조대(20) 및 메인건조대(10)의 제1 배출부(12)와 보조건조대(20)의 제2 배출부(22)를 상시적으로 연결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S)의 싱크볼(B) 일측 상판(S1)에 설치되어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상기 배수수단을 통해 싱크볼(B)로 직접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물받이판을 필요로 하지 않아 물받이판을 주기적으로 비우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는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인건조대(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식기건조대의 구조가 차용되어도 무방하며,
다만 본 발명은 싱크대(S)에서 다량의 식기 건조가 가능하면서도 식기건조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하므로, 상기 메인건조대(10)는 다단 구조가 아닌 1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건조대(10)는 바닥(11a)과, 상기 바닥(11a)을 둘러싼 측벽(11b)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식기수납부(11)가 형성되며,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 제1 배출부(12)가 구비되어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메인건조대(10) 하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식기수납부(11)에는 도 3과 같이, 다수개의 배출공(14a)이 상하로 천공되어 있는 식기거치판(14)이 바닥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 또는 식기거치판(14)의 상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거치구조물이 구비된다.
즉,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 또는 식기거치판(14)의 상면에는 접시와 같은 식기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접시받침구(14A), 컵과 같은 식기를 뒤집어서 세울 수 있는 식기받침봉(14B)과 같은 거치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건조대(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받침다리(10a)가 구비되어 메인건조대(10)와 싱크대(S)의 상판(S1)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은 보조건조대(20)가 수용되는 수용부(13)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 메인건조대(10)는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 식기수납부(11)로 떨어지는 물기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1 배출부(12)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배출부(12)는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 천공된 구멍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6은 메인건조대(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저와 같은 물건을 거치하여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통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보조건조대(20)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로써, 상기 메인건조대(10)의 하부, 즉 수용부(1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싱크대(S)의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건조대(20)가 메인건조대(10)의 수용부(13)에 슬라이딩 결합된다는 의미는 도 2의 [B]와 같이, 메인건조대(10)의 바닥(11a) 하면 양측에 보조건조대(20)가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13a)과 같은 가이드수단이 별도로 마련되어 보조건조대(20)가 가이드레일(13a)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메인건조대(10) 하부에 별도의 가이드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건조대(20)가 수용부(13)에서 단독으로 구비되어 인출입되는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보조건조대(20)가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보조건조대(20)가 싱크볼(B)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수단(예를 들어, 보조건조대(20)의 양측변에 인출입 방향으로 걸림홈이 마련되고 메인건조대(10)의 바닥(11a) 하면에 상기 걸림홈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방식, 또는 보조건조대(20)의 폭 너비를 싱크볼(B)의 폭 너비보다 크게 하여 보조건조대(20)가 싱크볼(B) 상부에 걸림 지지되는 방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건조대(20)는 바닥(21a)의 상면이 식기안치부(21)로 기능하여, 보조건조대(20)를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식기안치부(21)에 식기를 놓아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보조건조대(20)는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에, 식기안치부(21)로 떨어지는 물기가 상기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2 배출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제2 배출부(22)는 식기안치부(21)에 결합되어 싱크볼(B)에 설치되는 호스와 같은 관체(미도시)를 활용할 수 있으나,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 천공된 구멍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제1 배출부(12)와 상기 제2 배출부(22)를 상시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상기 제1 배출부(12)와 상기 제2 배출부(22)를 경유하여 상기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수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수수단으로써, 모양이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질 또는 절첩식 호스와 같은 관체 등의 연결부재를 활용해, 제1 배출부(12)와 제2 배출부(22)를 연결할 경우,
보조건조대(20)가 수용부(13)에 인입된 상태에서나, 보조건조대(20)가 수용부(13)에서 인출된 상태에서나 식기수납부(11)에 떨어지는 물기는 [제1 배출부(12)-관체-제2 배출부(22)]를 경유하여 싱크볼(B)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할 식기의 수량에 맞게 상기 보조건조대(20)를 수용부(13)에 인입한 상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보조건조대(20)를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메인건조대(10) 하부에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되는 방식이므로, 다량의 식기를 건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기건조대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 싱크대(S)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물받이판이 필요없이, 식기수납부(11)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제2 배출부(22)를 통해 싱크볼(B)로 배출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물받이판을 비우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미설명 부호 23은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을 위한 손잡이부이며,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는 식기안치부(21) 바닥의 싱크볼(B) 방향 외측변에서 상측으로 돌설되어 보조건조대(20)가 메인건조대(10) 방향으로 인입 시 상기 식기수납부(11)의 싱크볼(B) 방향 측벽에 접촉됨으로써, 보조건조대(20)의 인입 위치를 제한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배출부(22)와 상기 배수수단을 관체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추가 설치, 연결하여 구현 가능하나, 이렇게 메인건조대(10)와 보조건조대(20) 사이에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에 따른 관체의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조건조대(20)의 구조 자체를 변경하여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거나 연결할 필요없이, 상기 배수수단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배출부(12)는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서 상기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 형성된 제1 배출구(12h)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배출부(22)는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에서 상기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22h)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출구(12h)에서 낙하하는 물기를 상기 제2 배출구(22h)로 안내하는 배출로(30)로 구성된다.
제1 배출구(12h)가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서 싱크볼(B)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면,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된 상태에서만 아니라, 보조건조대(2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제1 배출구(12h)에서 떨어지는 물기는 보조건조대(20)로 낙하된다.
그리고 제2 배출구(22h)가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에서 싱크볼(B)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구비되면,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된 상태에서 제2 배출구(22h)에서 떨어지는 물기는 싱크볼(B)로 낙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맞도록,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에 상기 배출로(30)가 형성되면,
메인건조대(10)만을 사용할 경우, 식기의 물기는 [제1 배출구(12h)-배출로(30)-제2 배출구(22h)]를 경유하여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되고,
메인건조대(10)와 보조건조대(20)를 모두 사용할 경우, 메인건조대(10)에 수납된 식기의 물기는 [제1 배출부(12)-배출로(30)-제2 배출부(22)]를 경유하여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됨과 동시에, 보조건조대(20)에 수납된 식기의 물기는 제2 배출부(22)를 통해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된다.
이 경우, 보조건조대(20)가 인출되었을 때 최소한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의 끝단부가 제1 배출구(12h) 하부 위치에서 벗어나면 안되므로, 메인건조대(10) 하부에는 보조건조대(2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되었을 때 제2 배출구(22h)가 싱크볼(B)에서 벗어나 싱크대(S)의 상판(S1)에 위치하면 안되므로, 메인건조대(10) 하부에는 보조건조대(20)의 인입 거리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제2 스토퍼는 각각 다른 위치에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보조건조대(20)의 인출 및 인입 제한거리를 감안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 하나의 걸림부로 구비되어,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방향의 양측 내측면이 각각 걸림부에 접촉하여 걸리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메인건조대(10)는 싱크볼(B) 방향의 소정 위치의 바닥(11a)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되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제한 거리를 감안한 소정의 너비를 갖는 걸림부가 구비되어,
보조건조대(20)를 인입할 때 싱크볼(B) 방향의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여 인입 거리가 제한되고,
보조건조대(2)를 인출할 때 싱크볼(B) 반대 방향의 내측면이 상기 걸림부에 접촉하여 인출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별로 상기와 같은 기능의 제1 배출부(12), 제2 배출부(22) 및 배수수단으로써의 배출로(30)를 이용한 물기의 배출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는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로(30)는 상기 제2 배출구(22h)와 동일한 폭 너비를 갖도록 제2 배출구(22h)에서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입 방향으로 식기 안치부(21)의 바닥(21a)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벽(31a)들로 연장 연결된 직선형 유로(31)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건조대(20)가 인출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배출구(12h)에서 배출되는 물기가 상기 직선형 유로(31)를 경유하여 제2 배출구(22h)로 배출되며,
상기 보조건조대(20)는 상기 직선형 유로(31)의 양측에 복수개의 배수공(21h)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가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는 의미는 제1, 제2 배출구(22h)가 각각 메인건조대(10)와 보조건조대(20)의 폭방향에 대하여 동일선 상에 배치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된 상태뿐만 아니라, 보조건조대(2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제1 배출구(12h) 하부에는 직선형 유로(31)가 위치하게 되므로, 메인건조대(10)에 수납된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는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된다.
동시에 보조건조대(20)를 인출하여 사용할 때, 보조건조대(20)에 안치된 식기에서 직선형 유로(31)로 떨어지는 물기는 제2 배출구(22h)를 통해 싱크볼(B)로 배출되며, 직선형 유로(31)가 아닌 복수개의 배수공(21h)으로 떨어지는 물기는 싱크볼(B)로 직접 낙하,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로(30)는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 전부위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안내벽(32a)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비정형 유로(32)로 구성되되, 상기 비정형 유로(32) 모두는 상기 제2 배출구(22h)와 연결되어, 비정형 유로(32)의 물기가 상기 제2 배출구(22h)로 포집되어 배출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다르게 보조건조대(20)에 배수공(21h)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메인건조대(10) 및 보조건조대(20)의 식기들에서 떨어지는 물기는 비정형 유로(32)에서 포집되어 싱크볼(B)로 배출된다.
즉, 도 3에서는 보조건조대(20)의 상면, 즉 식기안치부(21)의 중앙을 중심으로 동심원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안내벽(32a)이 돌출되어, 안내벽(32a)들 사이의 공간이 비정형 유로(32)로 기능하고, 각 안내벽(32a)들은 일부가 절개된 형태의 통과부(32b)가 마련되어 통과부(32b)들을 통해 비정형 유로(32)들과 제2 배출구(22h)가 서로 연결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건조대(20)가 인입된 상태뿐만 아니라 보조건조대(20)가 인출된 상태에서도 제1 배출구(12h)의 형성 위치에 상관없이, 제1 배출구(12h) 하부에 비정형 유로(32)가 위치하게 되므로, 제1 배출구(12h)에서 떨어지는 물기는 안내벽(32a)과 통과부(32b)를 따라 포집되어 제2 배출구(22h)를 통해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된다.
동시에 보조건조대(20)를 인출하여 사용할 때, 식기안치부(21)의 어느 위치에 식기를 놓아서 건조하더라도 떨어지는 물기는 안내벽(32a)과 통과부(32b)를 따라 흘러서 제2 배출구(22h)를 통해 싱크볼(B)로 최종 배출된다.
도 3과 같은 동심원 형태의 비정형 유로(32)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비정형 유로(32)는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 전부위에 걸쳐 형성되되, 모든 비정형 유로(32)가 제2 배출구(22h)와 연결되기만 하면, 비정형 유로(32)의 구체적인 형태(예를들어 지그재그 형태의 유로도 가능함.)에 제한이 없다.
제1 실시예의 경우, 보조건조대(20)에 놓아진 식기의 물기가 배수공(21h)을 통해 직접 싱크볼(B)로 낙하, 배출되므로, 보조건조대(20)에서 흐르는 물기의 양을 줄여 보다 빠른 건조 및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반해, 제1, 제2 배출구(22h)의 위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식기건조대의 제조나 사용 중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위치가 정확하게 맞추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제2 배출구(22h)의 위치에 상관없이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보조건조대(20)에 떨어져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구조의 정확성이 덜 요구되는 장점이 있는데 반하여, 모든 물기가 비정형 유로(32)를 흘러서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기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물기가 고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기건조대에 주로 사용되는 식기의 크기나 종류, 식기건조대가 설치된 싱크대(S)의 구조 또는 식기건조대의 전체 크기와 같은 사양에 따라 상기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식기에서 떨어지는 물기가 싱크볼(B)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위하여, 메인건조대(10) 및 보조건조대(20)의 바닥은 싱크볼(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가 채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식기건조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싱크대 B : 싱크볼
10 : 메인건조대 11 : 식기수납부 12 : 제1 배출부
12h : 제1 배출구 13 : 수용부
20 : 보조건조대 21 : 식기안치부 21h : 배수공
22 : 제2 배출부 22h : 제2 배출구
30 : 배출로 31 : 직선형 유로 32 : 비정형 유로

Claims (4)

  1. 싱크대(S)의 싱크볼(B) 일측 상판에 설치되며, 바닥(11a)과 상기 바닥(11a)을 둘러싼 측벽(11b)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식기수납부(11)와,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식기수납부(11)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서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h)를 구비한 메인건조대(10);
    상기 식기수납부(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식기안치부(21)로 기능하는 바닥(21a)과, 상기 식기안치부(21) 바닥의 싱크볼(B) 방향 외측변에서 상측으로 돌설되어 보조건조대(20)가 메인건조대(10) 방향으로 인입 시 상기 식기수납부(11)의 싱크볼(B) 방향 측벽에 접촉되는 손잡이부(23)와,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물기가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과 상기 손잡이부(23)가 만나는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22h)를 구비한 보조건조대(20); 및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를 상시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를 경유하여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출구(12h)에서 낙하하는 물기를 상기 제2 배출구(22h)로 안내하는 배출로(30)로 구성된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는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로(30)는, 상기 제2 배출구(22h)와 동일한 폭 너비를 갖도록, 상기 제2 배출구(22h)에서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입 방향으로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한 쌍의 안내벽(31a)을 포함하는 직선형 유로(31)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제1 배출구(12h)가 상기 직선형 유로(31)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배출구(12h)에서 배출되는 물기가 상기 직선형 유로(31)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배출구(22h)로 배출되며,

    상기 보조건조대(20)는, 상기 직선형 유로(31)의 안내벽들 양측에, 복수개의 배수공(21h)이 형성되어,
    식기안치부(21)에 떨어지는 물기가, 상기 직선형 유로(31)를 경유하여 상기 제2 배출구(22h)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배수공(21h)으로 떨어져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2. 삭제
  3. 삭제
  4. 싱크대(S)의 싱크볼(B) 일측 상판에 설치되며, 바닥(11a)과 상기 바닥(11a)을 둘러싼 측벽(11b)들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구된 식기수납부(11)와,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식기수납부(11) 하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바닥(11a)에서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12h)를 구비한 메인건조대(10);
    상기 식기수납부(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싱크볼(B)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고, 식기안치부(21)로 기능하는 바닥(21a)과, 상기 식기안치부(21) 바닥의 싱크볼(B) 방향 외측변에서 상측으로 돌설되어 보조건조대(20)가 메인건조대(10) 방향으로 인입 시 상기 식기수납부(11)의 싱크볼(B) 방향 측벽에 접촉되는 손잡이부(23)와,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물기가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과 상기 손잡이부(23)가 만나는 싱크볼(B) 방향 외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2 배출구(22h)를 구비한 보조건조대(20); 및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를 상시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식기수납부(11)의 물기가 상기 제1 배출구(12h)와 상기 제2 배출구(22h)를 경유하여 싱크볼(B)로 배출되도록,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배출구(12h)에서 낙하하는 물기를 상기 제2 배출구(22h)로 안내하는 배출로(30)로 구성된 배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로(30)는 상기 식기안치부(21)의 바닥(21a) 전부위에 걸쳐 상부로 돌출된 안내벽(32a)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비정형 유로(32)로 구성되되, 상기 비정형 유로(32) 모두는 안내벽(32a)의 일부가 절개된 통과부(32b)가 형성되어, 상기 통과부(32b)를 통해 상기 비정형 유로(32)와 상기 제2 배출구(22h)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건조대(20)의 인출입 거리에 상관없이 상기 제1 배출구(12h)가 상기 비정형 유로(32)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배출구(12h)에서 배출되는 물기 및 식기안치부(21)에 떨어지는 물기가, 상기 안내벽(32a)과 통과부(32b)를 통해 비정형 유로(32)를 따라 흐르면서 포집되어 제2 배출구(22h)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건조대.
KR1020150128127A 2015-09-10 2015-09-10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10175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27A KR101754313B1 (ko) 2015-09-10 2015-09-10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127A KR101754313B1 (ko) 2015-09-10 2015-09-10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87A KR20170030787A (ko) 2017-03-20
KR101754313B1 true KR101754313B1 (ko) 2017-07-06

Family

ID=5850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127A KR101754313B1 (ko) 2015-09-10 2015-09-10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935B1 (ko) 2018-04-26 2019-10-31 (주)카라한 배수 가이드를 가진 식기 건조대
KR102063939B1 (ko) 2018-05-10 2020-01-08 (주)카라한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120A1 (en) * 2003-08-18 2005-02-24 Pine Eli S. Expandable dish dr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0120A1 (en) * 2003-08-18 2005-02-24 Pine Eli S. Expandable dish d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87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695B2 (en)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US20100059460A1 (en) Dish rack with removable grate
US20110133614A1 (en) Dishwasher with drawer attached to tub roof
US20130312176A1 (en) Kitchen Sink with Integrated Dish Strainer
KR101754313B1 (ko)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101643740B1 (ko) 씽크대용 살균건조기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JP2017089100A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0470156Y1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CN106725219B (zh) 一种多功能沥水篮
KR101330839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KR20220059163A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JP2009007907A (ja) 流し台
CN205432830U (zh) 设有排水结构的橱柜
CN216454091U (zh) 多功能置物架
CN217771821U (zh) 一种抽屉及消毒柜
KR200346146Y1 (ko) 수납장 식기건조대
JP7359574B2 (ja) 食器洗浄機並びに食器乾燥機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KR101269567B1 (ko) 싱크대용 수납 받침구
JP4199052B2 (ja) 流し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