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939B1 -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939B1
KR102063939B1 KR1020180053838A KR20180053838A KR102063939B1 KR 102063939 B1 KR102063939 B1 KR 102063939B1 KR 1020180053838 A KR1020180053838 A KR 1020180053838A KR 20180053838 A KR20180053838 A KR 20180053838A KR 102063939 B1 KR102063939 B1 KR 10206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ish
coupling
base substrate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346A (ko
Inventor
한창민
Original Assignee
(주)카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라한 filed Critical (주)카라한
Priority to KR102018005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93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분리 가능한 부분을 가지는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체결 받침(14);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 부분을 연결시키면서 형성된 결합 채널(15); 및 결합 채널(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A Drying Hanger and a Draining Boar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분리 가능한 부분을 가지는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그릇, 수저, 컵, 접시 또는 이와 유사한 식기는 사용 후 세척이 된 이후 식기 건조대에서 건조가 될 수 있다. 식기가 세척이 된 후 건조대에 놓이면 물기가 식기 건조대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10334호는 식기 또는 수납대에서 떨어진 물이 받침대 하면의 집수대로 모이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배수대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위생적이고 설치 공간상의 제약이 적은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30787호는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고, 메인 건조대와 보조 건조대로 이루어지면서 보조 건조대의 인입 또는 인출에 관계없이 식기 수납부의 물기가 싱크 볼로 배출되도록 하는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개시한다.
식기 건조대는 배수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컵 또는 행주와 같은 용기 또는 세척 수단을 독립적으로 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가지는 것이 편리하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수단을 가진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10334호(주식회사 성우통상, 2011년11월02일 공개)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17-0030787호(이송구, 2017년03월20일 공개) 식기의 물기가 싱크 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 건조대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용기 또는 세척 물건을 건조시킬 수 있으면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건조 핸드를 가진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체결 받침; 한 쌍의 베이스 기판의 아래쪽 부분을 연결시키면서 형성된 결합 채널; 및 결합 채널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조 핸드는 서로 마주보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한쪽 끝이 연결된 걸이 부분; 각각의 걸이 부분의 다른 끝으로부터 꺾인 형태로 연장되는 분리 부분; 및 분리 부분의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걸이 부분에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고정 탭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조 바닥 유닛; 건조 바닥 유닛의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측면 유닛; 및 측면 유닛의 양쪽 끝을 연결하면서 베이스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로 이루어진 건조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건조 핸드는 베이스 유닛에 분리 가능하면서 베이스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행거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에 컵, 행주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 또는 세척 수단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식기 건조대의 편의성의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핸드는 이동 가능하도록 식기 건조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성이 증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행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건조 핸드 구조의 건조 행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행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 건조대에 결합되거나 또는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는 건조 행거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체결 받침(14);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 부분을 연결시키면서 형성된 결합 채널(15); 및 결합 채널(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를 포함한다.
식기 건조대는 그릇, 접시, 컵, 쟁반, 숟가락, 젓가락 또는 이와 유사한 식기류의 건조 또는 보관을 위한 용도로 주방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되는 주방 기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행거는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식기 건조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독립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건조 행거는 예를 들어 식기 건조대의 앞쪽 면을 형성할 수 있고, 건조 행거는 식기 건조대를 완성시키는 일부가 될 수 있다. 또는 건조 행거가 식기 건조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싱크대의 구조에 따라 건조 행거가 식기 건조대에 분리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건조 행거는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식기 건조대에 결합되는 베이스 유닛(10) 및 베이스 유닛(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이 되면서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은 예를 들어 목재,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베이스 기판(11, 12)은 결합 탭(13)에 의하여 결합이 될 수 있다. 결합 탭(13)은 선형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베이스 기판(11, 1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베이스 기판(11, 12)에 형성된 홈에 양쪽 끝이 삽입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에 체결 받침(14)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받침(14)은 1, 2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베이스 기판(11)의 아래쪽 가장자리가 체결 터널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2 베이스 기판(12)의 아래쪽 끝은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이후 1, 2 베이스 기판(11, 12)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 공간에 역-U자 형상의 결합 채널(15)을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결합 채널(15)의 아래쪽 부분에 1, 2 베이스 기판(11, 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입구(19)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 입구를 통하여 건조 핸드(21)가 베이스 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건조 핸드(21)가 베이스 유닛(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건조 핸드(21)는 고정 다리(22)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다리(22)의 끝 부분이 결합 입구(19)를 통하여 결합 채널(15)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수 개의 건조 핸드(21)가 선형으로 연장되는 결합 채널(15)에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건조 핸드(21)는 결합 채널(15)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건조 핸드(21)에 컵, 이와 유사한 용기, 도구 또는 세척 수단이 걸쳐지는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은 1, 2 베이스 기판(11, 12)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삽입 채널(16a, 16b, 16c)에 의하여 식기 건조대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채널(16a, 16b, 16c)에 형성된 결합 홀(CH)에 삽입 부재 또는 고정 수단이 삽입되고, 삽입 부재 또는 고정 수단의 노출된 끝 부분이 식기 건조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 유닛(10)이 식기 건조대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유닛(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식기 건조대에 결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가능한 건조 핸드 구조의 건조 행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조 핸드(21)는 서로 마주보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한쪽 끝이 연결된 걸이 부분(21a, 21b); 각각의 걸이 부분(21a, 21b)의 다른 끝으로부터 꺾인 형태로 연장되는 분리 부분(221); 및 분리 부분(221)의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걸이 부분(21a, 21b)에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고정 탭(222)으로 이루어진다.
다수 개의 건조 핸드(21)가 베이스 유닛(10)에 결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건조 핸드(21)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건조 핸드(21)는 스테인리스 스틸, 합성수지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걸이 부분(21a, 21b)은 서로 평행하게 선형으로 연장되는 1 걸이 부분(21a)과 2 걸이 부분(21b)의 한쪽 끝이 곡선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걸이 부분(21a, 21b)의 다른 끝으로부터 예를 들어 90도의 각도로 꺾인 분리 부분(221)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부분(221)의 끝으로부터 90도의 각도로 꺾인 고정 탭(222)이 형성되어 건조 핸드(21)가 만들어질 수 있다. 고정 탭(222)은 걸이 부분(21a, 21b)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결합 채널(15)의 높이에 비하여 작은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탭(222)이 결합 채널(15)의 한쪽 면에 접하여 고정되면서 건조 핸드(21)가 베이스 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부분(221)에 의하여 걸이 부분(21a, 21b)이 2 베이스 기판(12)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분리 부분(221) 또는 걸이 부분(21a, 21b)은 다양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건조대(3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식기 건조대(30)는 건조 바닥 유닛(33); 건조 바닥 유닛(33)의 양쪽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는 측면 유닛(31a, 31b); 및 측면 유닛(31a, 31b)의 양쪽 끝을 연결하면서 베이스 유닛(10)과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로 이루어진 건조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건조 핸드(21)는 베이스 유닛(10)에 분리 가능하면서 베이스 유닛(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식기 건조대(3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싱크대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에 배치될 수 있고,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건조 바닥 유닛(33)은 다수 개의 선형 부재에 의하여 평면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식기 또는 조리 도구와 같은 식기류(D)의 고정을 위한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건조 바닥 유닛(33)은 측면 유닛(31a, 31b) 또는 후면 벽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건조 행거는 식기 건조대(10)의 앞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필요에 다라 뒤쪽 벽 또는 측면 유닛(31a, 31b)에 예를 들어 국자 또는 행주의 보관 또는 건조를 위한 보조 건조대(32)가 결합될 수 있다. 보조 건조대(32)는 다수 개의 보관 가지(branch)를 가질 수 있고, 식기 건조대(3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건조 행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위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 유닛(10)과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건조 핸드(21)는 위에서 설명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 유닛(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건조 핸드(21)는 베이스 유닛(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 또는 베이스 유닛(1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컵 또는 이와 유사한 식음료 용기 또는 도구가 건조 핸드(21)에 보관되어 건조될 수 있다.
식기 건조대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행거는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에 컵, 행주 또는 이와 유사한 용기 또는 세척 수단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식기 건조대의 편의성의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 핸드는 이동 가능하도록 식기 건조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성이 증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베이스 유닛 11, 12: 1, 2 베이스 기판
13: 결합 탭 14: 체결 받침
15: 결합 채널 16a, 16b, 16c: 삽입 채널
19: 결합 입구 21: 건조 핸드
21a, 21b: 1, 2 걸이 부분 22: 고정 다리
30: 식기 건조대 31a, 31b: 측면 유닛
32: 보조 건조대 33: 건조 바닥 유닛
221: 분리 부분 222: 고정 탭
CH: 결합 홀 D: 식기류

Claims (3)

  1. 식기 건조대에 결합되거나 또는 식기 건조대의 일부를 형성하는 건조 행거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체결 받침(14);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의 아래쪽 부분을 연결시키면서 형성된 결합 채널(15); 및
    결합 채널(15)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건조 핸드(21)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 기판(11, 12)은 결합 탭(13)에 의하여 서로 결합이 되고 식기 건조대에 결합시키기 위한 삽입 부재 또는 고정 수단이 삽입되는 결합 홀(CH)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 채널(15)은 아래쪽 가장자리가 체결 터널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상기 1 베이스 기판(11) 및 아래쪽 끝이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상기 2 베이스 기판(11, 12)에 의하여 형성된 분리 공간에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건조 핸드(21)는 상기 결합 채널(15)의 아래쪽 부분에 상기 1 및 2 베이스 기판(11, 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결합 입구를 통해 상기 결합 채널(15)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행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 핸드(21)는 서로 마주보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면서 한쪽 끝이 연결된 걸이 부분(21a, 21b); 각각의 걸이 부분(21a, 21b)의 다른 끝으로부터 꺾인 형태로 연장되는 분리 부분(221); 및 분리 부분(221)의 끝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걸이 부분(21a, 21b)에 평행하도록 연장되는 고정 탭(222)으로 이루어진 건조 행거.
  3. 삭제
KR1020180053838A 2018-05-10 2018-05-10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KR102063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38A KR102063939B1 (ko) 2018-05-10 2018-05-10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838A KR102063939B1 (ko) 2018-05-10 2018-05-10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46A KR20190129346A (ko) 2019-11-20
KR102063939B1 true KR102063939B1 (ko) 2020-01-08

Family

ID=6872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838A KR102063939B1 (ko) 2018-05-10 2018-05-10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9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44Y1 (ko) 2013-01-22 2014-03-26 (주)영인정공 식기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156Y1 (ko) 2010-04-27 2013-12-02 주식회사 성우통상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KR20140000323U (ko) * 2012-07-06 2014-01-15 주식회사 한샘 와인잔 거치가능한 2단 식기건조대
KR101525688B1 (ko) * 2013-10-31 2015-06-03 김영철 씽크대용 주방선반
KR101754313B1 (ko) 2015-09-10 2017-07-06 이송구 식기의 물기가 싱크볼로 배수되어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식기건조대
KR200485924Y1 (ko) * 2016-03-04 2018-03-13 황명순 식기 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44Y1 (ko) 2013-01-22 2014-03-26 (주)영인정공 식기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346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7453B2 (en) Combination dish drying mat and rack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20080185352A1 (en) Stemware Drying Rack
US20120138550A1 (en) Dish drying assembly
KR102063939B1 (ko)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KR100673488B1 (ko) 도마 걸이대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0465013Y1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170002869U (ko) 식기건조대
JP2006326244A (ja) 流し台用水切り具
CN215838291U (zh) 一种多用途餐垫
CN215899494U (zh) 一种可滑动调节式多功能立式放置架
CN211381221U (zh) 餐具篮
KR101410228B1 (ko) 수저용 개수대를 갖는 싱크대
US20230000307A1 (en) Dish rack
CN219878108U (zh) 一种多功能伸缩托盘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KR20150002676U (ko) 식기건조대
CN219183623U (zh) 一种沥水盘
KR102038935B1 (ko) 배수 가이드를 가진 식기 건조대
CN218419806U (zh) 一种餐具用沥水置物架
KR20170097823A (ko) 주방용 다용도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