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398Y1 -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 Google Patents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398Y1
KR200270398Y1 KR2020010037068U KR20010037068U KR200270398Y1 KR 200270398 Y1 KR200270398 Y1 KR 200270398Y1 KR 2020010037068 U KR2020010037068 U KR 2020010037068U KR 20010037068 U KR20010037068 U KR 20010037068U KR 200270398 Y1 KR200270398 Y1 KR 200270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abinet
decorative frame
plat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조
Original Assignee
김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조 filed Critical 김순조
Priority to KR2020010037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398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부와 측부에 위치하는 장식틀을 실내 설치 공간에 따라서 장롱과 천장 및 벽체를 상호 밀접하게 폐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장롱의 상단부와 측단부 공간을 천장과 벽체에 밀접하게 조정 가능한 장식틀을 마련하여 붙박이 장롱과 같이 정갈한 실내를 조성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을 제공하고, 장롱의 상단부 틈새의 간격을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 호환성이 높은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을 제공하고자, 장롱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막판(1)과 측부를 마감하는 기둥목(2)에 슬라이드되면서 출몰하는 신축수단과 신축 수단에 의해 출몰을 이루는 판재(10, 20)를 덧붙여 형성하여 설치 장소의 간극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A WARDROBE}
본 고안은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롱의 상부와 측부에 위치하는 장식틀을 실내 설치 공간에 따라서 장롱과 천장 및 벽체를 상호 밀접하게 폐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자개, 원목, MDF 또는 하이그로시를 재질로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롱은 유행과 취향에 매우 민감한 제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상기 장롱들은 실내 이동이나 주택을 바꾸는 경우에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실내의 평균 높이 보다는 낮게 제작되며 좌우 폭은 장롱을 조합하는 치수에 따라서 가변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장롱의 경우에는 언급한 바 대로 이사에 대한 호환성을 갖도록 장롱의 상단부가 천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므로 사용자들은 장롱의 상단부에 별도의 수납함을 올려놓거나 또는 자주 사용치 아니하는 물품들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장롱의 상단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경우에는 물품의 정리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지저분한 인상을 주게되는 폐해가 있다.
또한, 근자에는 주택이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거 형태를 주로 띠게되어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가 대략 일정한 높이를 갖으며, 동시에 붙박이 장롱과 같이 상기 빈 공간을 완전히 폐쇄하여 깨끗한 실내를 선호하는 것에 의하여 일반적인 장롱 역시 천장 가까이에 까지 이르도록 높이를 높게 제작하고 있으며 결국 장롱 상단부의 공간은 수납의 공간으로 남겨두어 지저분한 실내를 만드는것 보다는 붙박이 장롱과 같이 정갈한 실내를 만드는것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장롱의 경우에는 주택에 따른 실내 높이의 편차를 고려하여 아무래도 천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낮은 형태로 제작될 수 밖에 없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장롱들은 천장과 장롱의 상단부에 간격이 존재하게되고 이러한 간격을 마땅히 활용하거나 폐쇄할 수 없어 이동가능한 장롱의 경우 장소의 이동 설치가 용이한점과 가격이 저렴한 점 등의 여러 장점을 갖기는 하나 붙박이 장롱과 같이 깨끗하게 정리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대체효과를 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도 이동 가능한 장롱의 상부와 천장 사이의 간극을 깨끗하게 마감하며 수납 가능한 공간으로 형성하기 위한 장롱의 상부 수납장치가 실용신안 등록 제 169058호로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안은 장롱의 높이가 매우 낮은 경우를 제외하면 수납장치가 별도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없고, 붙박이 장롱과 같이 대형화되는 장롱에서는 실질적으로 이용이 불가하며 장롱의 측부를 폐쇄하는 수단은 없으며 단지 벨로우즈에 의한 가변 신축성을 갖는 박스에 불과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롱이 갖는 단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장롱의 상단부와 측단부 공간을 천장과 벽체에 밀접하게 조정 가능한 장식틀을 마련하여 붙박이 장롱과 같이 정갈한 실내를 조성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장롱의 상단부 틈새의 간격을 일정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폐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 호환성이 높은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장롱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막판과 측부를 마감하는 기둥목에 슬라이드되면서 출몰하는 신축수단과 신축 수단에 의해 출몰을 이루는 판재를 덧붙여 형성하여 설치 장소의 간극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
도 1은 종래 장롱을 설치한 실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신축 장식틀을 설치한 장롱의 외형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도시한 발췌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 고안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발췌 사시도
도 7b, c는 도 7a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장식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는 본 고안의 신축 장식틀을 적용한 장롱의 실내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막판 2 : 기둥목
10 : 상부판재 20 : 측부판재
103 : 볼트 107 : T형 홈
201 : 장공 301, 303 : 래치기어
305 : 탄성부재 401 : T형 안내홈
403 : 지지부재 407 : 스프링
501 : 볼 스토퍼 503 : 요돌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 도 2에 본 고안이 적용된 장롱의 외형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장롱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막판(1)과 측부를 마감하는 기둥목(2)을 장롱의 상부와 측부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장롱에 있어서 상기 상막판(1)과 기둥목(2)에 슬라이드되면서 출몰하는 신축수단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이상 형성하고 신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상막판과 기둥목으로부터 출몰을 이루는 상부판재(10)와 측부판재(20)를 덧붙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신축 수단은 상막판(1) 또는 기둥목(2)과 이 상막판 또는 기둥목에 덧붙여 신축되는 상부판재(10) 또는 측부판재(20) 사이에 형성하며 상막판 또는 기둥목을 지지점으로하여 승강되는 상부판재 또는 측부판재의 가변적인 위치 조정과 조정된 위치의 고정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의 구체적인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에 볼트공(101)을 천공하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T형 홈(107)을 깍아 형성하여 이루고, T형 홈(107)에 삽입되는 지지두부(104)를 갖는 볼트(103)를 상기 볼트공(101)에 삽입하여 너트(105)로써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 설명된 부호로서 3은 상막판(1)을 고정하여 장롱 본체에 결합되는 기판이며, 5는 기판(3)에 매입되어 장롱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를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막판(1) 전면에 덧붙여 볼트(103)로써 결합된 상부판재(10)는설치 장소의 장롱과 천장의 간극을 폐쇄 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즉, 설치 장소에서 장롱의 상부와 천장 간에 간극이 발생되면 그 간극을 폐쇄하도록 너트(105)를 풀어 상부판재(10)를 상승시키면 T형 홈(107)에 삽입된 볼트의 지지두부(104)에 의하여 상부판재(10)는 슬라이드되어 위치 변경이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할 간극만큼 상부판재(10)의 위치 변경이 이루어지면 너트(105)를 다시 잠가 상부판재(10)의 조정된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한 후에 장롱 본체의 상부에 탑재하여 통상의 나사를 이용하여 너트(5)에 체결하여 장롱과 일체로 결합을 이룬다.
따라서, 장롱이 설치 위치를 잡은 후에 천장과의 간극은 현장에서 조정되어 결합 시공이 이루어져 설치 장소에 따라서 신축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된다.
상기 T형 홈(107)과 볼트(103)의 결합 구성은 상막판(1)과 상부판재(10)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판재(20)의 경우에도 상기 상부판재(10)의 구조와 동일하며 단지 그 설치 방향이 세로 방향이라는 점 이외에는 작용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용이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신축 수단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상기 신축수단은 상막판(1)에 장공(201)을 천공하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너트(203)을 매입하여 이루고, 너트(203)에 나합하며 상기 장공(201)을 관통하는 볼트축(205)을 마련하여 상막판(1)의 표면에너트(105) 가압력이 지지되도록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 장소에서 너트(105)를 풀어 장공(201)을 통하여 상부판재(10)를 슬라이드 시켜 조정한 후에 너트(105)를 조여주게 되면 너트의 가압 체결력이 상막판(1)의 장공 측단의 표면에 지지력으로 작용하여 견고하게 위치 고정을 이루게 작용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이하 살펴본다.
도 6 도시의 고안에 의하면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상기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표면에 래치기어(301)를 고정하여 이루고, 상부판재(10)에 래치기어(303)를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 치합시키며, 상기 상부판재(10)의 상부에 매입하고 상막판(1)의 타 표면에 탄발되면서 슬라이드되는 절곡된 탄성부재(305)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대향하는 래치기어(301, 303)는 상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설치 장소에서 장롱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과의 간극이 발생되면 상부판재(10)를 파지하고 밀어 올리므로서 래치기어의 치합면이 기어면을 넘어 상승이 이루어지게되고, 상승된 위치에서는 래치기어의 치합면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판재(10)에 일단이 매입 고정된 탄성부재(305)가 상막판(1)과 상부판재(10)를 밀착시키도록 탄성을 부여하여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작용한다.
상기 래치기어(301)가 대향의 래치기어에 비해 짧게 구성된 것은 상부판재(10)가 상향 조정된 상태에서 래치기어의 노출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상기 도 6을 포함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장롱 본체로부터 상막판(1) 또는 기둥목(2)을 분해하여 간격 조정을 선행한 뒤에 재 결합 시키는 일이 없이 장롱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곧 바로 설치 장소에 옮겨 놓은 후 간격을 폐쇄하는 작업이 가능한 점이 상이하다.
도 7 도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도시의 고안에 의하면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상기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 표면에 T형 안내홈(401)을 형성하고 크랭크 형태로 절곡하여 상부에 스프링 시트를 형성하며 하단부에 상기 안내홈(401)에 삽입하여 슬라이드를 이루는 지지돌기(405)를 형성한 지지부재(403)를 나사(409)로서 상부판재(10)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목판(1) 상부 표면과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스프링 시트 사이에 스프링(407)을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미 설명된 부호로서 410은 상부판재(10)가 스프링(407) 탄성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고정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장롱 본체를 설치 장소에 옮겨 놓은 상태에서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소형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지지부재(403)를 규제하고 있는 고정핀(410)을 밀어 빼내면 스프링(407)의 탄성으로 상부판대(10)가 상승하여 간극을 폐쇄하도록 작용한다.
이때 상목판(1)에 형성된 T형 안내홈(401)에 끼워 결합된 지지돌기(405)가 안내되면서 승강을 지지하고 상부판재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도 8 도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 도시의 고안에 의하면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상기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표면에 볼 스토퍼(501)를 매입 고정하여 이루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요돌조(503)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상기 볼 스토퍼(501)에 합치되도록 이루고, 상부판재(10)의 상부에 매입하고 상막판(1)의 타 표면에 탄발되면서 슬라이드되는 절곡된 탄성부재(305)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장롱 본체를 설치 장소에 옮겨 놓은 상태에서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간극을 폐쇄하기 위해 상부판재(10)를 밀어 올릴 때 상부판재(10)에 마련된 요돌조(503)와 볼 스토퍼(501)에 의하여 조정될 위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조정이 완료되면 볼 스토퍼(501)에 의해 위치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위치 고정을 유지하기 위한 상목판(1)과 상부판재(10)의 밀착은 탄성부재(305)에 의하여 제공되며 이러한 탄성부재는 열처리된 봉체 또는 판체의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도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이는 상막판(1)에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 일단을 매입 고정하고 타단을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이송 너트(603)를 용착한 승강부재(601)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이송 너트(603)에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볼트(605)를 기판(3)에 공전하도록 매입하여 이루고, 장롱 본체의 상판(80)에 조절공(84)을 천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롱 본체의 상판(8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3)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미설명 부호 82는 장롱 문짝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판재(10)를 승강시키는 크랭크 형상의승강부재(601)에 마련된 이송너트(603)가 볼트(605)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 이송되면서 천장(또는 벽체)과의 간극을 폐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을 위하여 장롱 본체의 내측에서 상판(80)에 마련된 조절공(84)를 통해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볼트(605)를 회전시키면 볼트는 제자리에서 공전을 이루며 볼트의 공전에 따라 이송 너트(603)를 통한 승강 부재(601)의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상부판재(10)가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된 장롱을 실내에 설치하게 되면 장롱 본체와 천장, 장롱 본체와 벽체 사이의 간극을 일정 범위 내에서 폐쇄 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장롱이 설치되는 실내의 천장과 벽체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폐쇄하는 상부판재 또는 측부판재를 기존의 상막판 또는 기둥목에서 출몰하도록 형성하여 남은 공간을 폐쇄하여 정갈한 실내 장식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폐쇄되는 간격은 설치 현장에 따라 일정 범위 내에서 신축적으로 수용 할 수 있도록 무단으로 이루어져 호환성이 높으며 붙박이 장롱과 같이 천장과 벽체 사이에 간극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미려하게 설치되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청구 범위 기재에 의하여 확정되기는 하나 나사 고정에 의한 슬라이드 조정과 스프링 탄성에 의한 슬라이드 조정은 다양한 조합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구조에서의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고안에 의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극히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에 해당하므로 본 고안의 청구 범위 기술 사상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Claims (8)

  1. 장롱의 상부를 마감하는 상막판(1)과 측부를 마감하는 기둥목(2)을 장롱의 상부와 측부에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장롱에 있어서,
    상기 상막판(1)과 기둥목(2)에 슬라이드되면서 출몰하는 신축수단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신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상막판과 기둥목으로부터 출몰을 이루는 상부판재(10)와 측부판재(20)를 덧붙여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수단은 상막판(1) 또는 기둥목(2)과 이 상막판 또는 기둥목에 덧붙여 신축되는 상부판재(10) 또는 측부판재(20) 사이에 형성하며 상막판 또는 기둥목을 지지점으로하여 승강 출몰되는 상부판재 또는 측부판재의 가변적인 위치 조정과 조정된 위치의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에 볼트공(101)을 천공하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T형 홈(107)을 깍아 형성하여 이루고, T형 홈(107)에 삽입되는 지지두부(104)를 갖는 볼트(103)를 상기 볼트공(101)에 삽입하여 너트(105)로써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에 장공(201)을 천공하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너트(203)을 매입하여 이루며, 너트(203)에 나합하며 상기 장공(201)을 관통하는 볼트축(205)을 마련하여 상막판(1)의 표면에 너트(105) 가압력이 지지되도록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표면에 래치기어(301)를 고정하여 이루고, 상부판재(10)에 래치기어(303)를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 치합시키며, 상기 상부판재(10)의 상부에 매입하고 상막판(1)의 타 표면에 탄발되면서 슬라이드되는 절곡된 탄성부재(305)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 표면에 T형 안내홈(401)을 형성하고 크랭크 형태로 절곡하여 상부에 스프링 시트를 형성하며 하단부에 상기 안내홈(401)에 삽입하여 슬라이드를 이루는 지지돌기(405)를 형성한 지지부재(403)를 나사(409)로서 상부판재(10)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목판(1) 상부 표면과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스프링 시트 사이에 스프링(407)을 삽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수단은 상막판(1)의 일표면에 볼 스토퍼(501)를 매입 고정하여 이루고,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는 요돌조(503)를 상하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상기 볼 스토퍼(501)에 합치되도록 이루며, 상부판재(10)의 상부에 매입하고 상막판(1)의 타 표면에 탄발되면서 슬라이드되는 절곡된 탄성부재(305)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의 신축 수단은 상막판(1)에 대향하는 상부판재(10)에 일단을 매입 고정하고 타단을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하여 이송 너트(603)를 용착한 승강부재(601)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 부재의 이송 너트(603)에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볼트(605)를 기판(3)에 공전하도록 매입하여 이루고, 장롱 본체의 상판(80)에 조절공(84)을 천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KR2020010037068U 2001-11-30 2001-11-30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KR200270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68U KR200270398Y1 (ko) 2001-11-30 2001-11-30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68U KR200270398Y1 (ko) 2001-11-30 2001-11-30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398Y1 true KR200270398Y1 (ko) 2002-04-03

Family

ID=7311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68U KR200270398Y1 (ko) 2001-11-30 2001-11-30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3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25B1 (ko) 2009-12-29 2011-11-23 주식회사 대연넥시스 높이 가변형 장롱
KR20190141394A (ko) 2018-06-14 2019-12-24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90141395A (ko) 2018-06-14 2019-12-24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90143098A (ko) 2018-06-20 2019-12-30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200112367A (ko) * 2019-03-22 2020-10-05 김종원 가림판 일체형 가구 받침다리
KR102238382B1 (ko) * 2020-11-18 2021-04-08 장동식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525B1 (ko) 2009-12-29 2011-11-23 주식회사 대연넥시스 높이 가변형 장롱
KR20190141394A (ko) 2018-06-14 2019-12-24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90141395A (ko) 2018-06-14 2019-12-24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102199822B1 (ko) * 2018-06-14 2021-01-07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102214744B1 (ko) * 2018-06-14 2021-02-10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90143098A (ko) 2018-06-20 2019-12-30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102199823B1 (ko) * 2018-06-20 2021-01-07 김종원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200112367A (ko) * 2019-03-22 2020-10-05 김종원 가림판 일체형 가구 받침다리
KR102241842B1 (ko) * 2019-03-22 2021-04-19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가림판 일체형 가구 받침다리
KR102238382B1 (ko) * 2020-11-18 2021-04-08 장동식 싱크대 선반용 간극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638B2 (en) Sliding panel system
US8051781B1 (en) Shelf for overlying a shower barrier
CA2089138A1 (en) Portable shelf
US5212918A (en) Support panel base cover
KR200270398Y1 (ko) 신축 장식틀을 갖는 장롱
USD544926S1 (en) Indoor playhouse for children
US6220681B1 (en) Armoire with built in desk
KR101513267B1 (ko)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US5860717A (en) Drawer stop device
KR200343982Y1 (ko) 가구의 높이 조절구조
KR200168306Y1 (ko) 높이조절용 수납장
CN212927471U (zh) 一种防止玻璃晃动的导向块结构
KR102355598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2343838B1 (ko) 시스템 가구용 레벨링 장치
CN214117340U (zh) 一种具有耐腐蚀木质装饰墙板
CN220928558U (zh) 一种新型铝合金踢脚线
KR200327604Y1 (ko) 드레스룸용 행거의 선반 높이 조절구
US8302263B2 (en) Eye a door
CN219289018U (zh) 一种床头柜
CN209932001U (zh) 一种加长型电视柜
KR200360129Y1 (ko) 장롱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210016920A (ko) 슬라이드식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KR920006448Y1 (ko) 씽크대의 걸레받이판
KR200248888Y1 (ko) 실내 장식벽체
KR102199823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