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285Y1 -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285Y1
KR200305285Y1 KR20-2002-0036514U KR20020036514U KR200305285Y1 KR 200305285 Y1 KR200305285 Y1 KR 200305285Y1 KR 20020036514 U KR20020036514 U KR 20020036514U KR 200305285 Y1 KR200305285 Y1 KR 2003052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unit
arrow
pedest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순동
Original Assignee
고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동 filed Critical 고순동
Priority to KR20-2002-0036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2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2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2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면(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에는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되어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형성되거나, 또는 직면(11)의 상부에는 상기 화살형 돌출부(1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15)이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단턱(1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16)가 형성되는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와,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형성되며, 타측면의 상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화살형 돌출부(2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25)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의 양측 단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하부단턱(2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26)가 형성되는 반원형 용기 유닛(20, 20')와, 이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CONTAINER UNIT AND CONTAINER FORMED BY COMBINATIONS OF THESE CONTAINER UNITS}
본 고안은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유닛들이 사용 목적에 적절한 1개의 용기로 용이하게 변형되어 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1개의 용기로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류의 내용물들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패스트푸드점의 식품 용기 또는 다양한 양념을 일시에 수용하기 위한 양연 용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1개의 용기로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류의 내용물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용기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져 왔다.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2001-0015024 호에는 용기의 수용 공간이 분획구에 의해 분할 구획되는 것에 있어서, 용기의 수용 공간을 내측 하부로 갈수록 그 둘레가 작아지게 형성시키고, 수용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획구는 판체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며, 판체의 주연에 용기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기밀부를 형성시키고, 판체의 중심에 빨대가 삽입되는 관체를 입설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가 공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식품 용기는 분획구에 의해 분리되는 하부 공간의 음료와 상부 공간의 식품을 서로 혼합됨없이 동시에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2종의 음료 및 3종류 이상의 내용물을 동시에 수용할 수는 없으며, 용기와 분획구를 따로 보관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없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999-0016544 호에는 용기와 개폐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용기는 내부에 격벽을 성형하여 용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가 공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료 용기는 수개의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수종류의 음료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격벽의 수가 증가할수록 개별 공간이 줄어들므로 형성할 수 있는 격벽의 수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없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 목적에 적절한 1개의 용기로 용이하게 변형되어 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1개의 용기로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류의 내용물들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유닛 및 용기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직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화살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직면의 하단의 받침대에는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되어 일직선의 하부단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직면의 상부에는 상기 화살형 돌출부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직면의 하단의 받침대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단턱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가 형성되며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되는 반원형 용기 유닛와,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의 단부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이 형성되며, 타측면의 상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화살형 돌출부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하단의 받침대의 양측 단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하부단턱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가 형성되는 반원형 용기 유닛와,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 및 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의 실시예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10, 10' : 반원형 용기 유닛
11 : 직면
12 : 화살형 돌출부
13 : 받침대
14 : 하부단턱
15 : ㄴ자 가이드홈
16 : ㄴ자 돌출부
20, 20' : 다각형 용기 유닛
21 : 화살형 돌출부
22 : 하부홈
23 : 상부 가이드홈
24 : ㄴ자 돌출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은 직면(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에는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되어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는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은 직면(11)의 상부에는 상기 화살형 돌출부(1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15)이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단턱(1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16)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반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부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면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직면(11) 및 반원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받침대(13)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대(13)에 의해 바닥면이 하부면으로 받침대(13)의 높이만큼 상승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의 직면(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화살형 돌출부(12) 또는 ㄴ자 가이드홈(15)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화살형 돌출부(12) 및 ㄴ자 가이드홈(15)의 원형 단부는 각각의 양측면으로 직면(11)의 가로 길이의 1/4 지점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수개의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을 연이어 결합할 수 있다(도 5의 상부 우측 도면 참조).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의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단턱(14)은 ㄴ자 돌출부(16)와의 결합 및 슬라이딩을 위하여 다른 하부면보다는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13)의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됨으로써 직선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의 직면(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ㄴ자 가이드홈(15)은 상부로 개방된 화살형 돌출부(12)의 결합/분리구, 이와 연결되는 ㄴ자 통로 및 원형 단부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원형 단부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10, 10')의 결합시에 1개의 화살형 돌출부(12)만이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15)에 결합되는 경우에 나머지 1개의 화살형 돌출부(12)를 상응하는 원형 단부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간단히 용기 유닛 사이의 결합을 완료하게 하는 역할 및 화살형 돌출부(1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의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의 양측 단부에는 ㄴ자 돌출부(16)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ㄴ자 돌출부(16)는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의 양측 단부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에 1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ㄴ자 돌출부(16) 상에서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화살형 돌출부(12)가 ㄴ자 가이드홈(15)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원형 단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ㄴ자 돌출부(16) 상에서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슬라이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화살형 돌출부(12)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15)의 결합, 하부단턱(14)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돌출부(16)의 결합에 의한 조합에 의해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상술한 결합 구조를 통하여, 이에 상응하는 반원형 용기 유닛(10'; 10) 뿐만 아니라 차후에 설명될 다각형 용기 유닛(20, 20')과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적층을 위하여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에 있어서 화살형 돌출부(12) 및 ㄴ자돌출부(16)가 문제될 수도 있지만, 화살형 돌출부(12)의 경우에 있어서의 적층의 문제는 바닥면이 받침대(13)의 높이만큼 상승되어 있으므로 받침대(13)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ㄴ자 돌출부(16)의 경우에 있어서의 적층의 문제는 바닥면까지 깊숙히 적층되지 않아 적층 높이가 약간 증가되기는 하지만 큰 문제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우유팩과 같은 종이류,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류, 또는 목재류로도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20; 20')는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형성되며, 타측면의 상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화살형 돌출부(2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25)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의 양측 단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하부단턱(2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26)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횡단면이 사각형(도 2) 또는육각형(도 3)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삼각형, 오각형, 칠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화살형 돌출부(22) 및 하부단턱(24), ㄴ자 가이드홈(25) 및 ㄴ자 돌출부(26)가 각각 1개의 측면에만 형성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개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다각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부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면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받침대(23)로 구분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받침대(23)에 의해 바닥면이 하부면으로 받침대(23)의 높이만큼 상승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의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화살형 돌출부(22) 및 ㄴ자 가이드홈(25)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화살형 돌출부(22) 및 ㄴ자 가이드홈(25)의 원형 단부는 각각의 양측면으로 직면의 가로 길이의 1/4 지점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하여 수개의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을 연이어 결합할 수 있다(도 5의 중간 우측 도면 참조).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의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단턱(24)은 ㄴ자 돌출부(26)와의 결합 및 슬라이딩을 위하여 다른 하부면보다는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받침대(23)의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됨으로써 직선부를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의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는 ㄴ자 가이드홈(25)은 상부로 개방된 화살형 돌출부(22)의 결합/분리구, 이와 연결되는 ㄴ자 통로 및 원형 단부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원형 단부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20, 20')의 결합시에 1개의 화살형 돌출부(22)만이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25)에 결합되는 경우에 나머지 1개의 화살형 돌출부(22)를 상응하는 원형 단부 내로 밀어넣음으로써 간단히 용기 유닛 사이의 결합을 완료하게 하는 역할 및 화살형 돌출부(2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의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의 양측 단부에는 ㄴ자 돌출부(26)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ㄴ자 돌출부(26)는 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의 양측 단부에 각각 1개씩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중앙에 1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ㄴ자 돌출부(16) 상에서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지지될 뿐만 아니라, 화살형 돌출부(22)가 ㄴ자 가이드홈(25)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원형 단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ㄴ자 돌출부(26) 상에서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슬라이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화살형 돌출부(22) 및 이에 상응하는 다른 용기 유닛의 ㄴ자 가이드홈(25)의 결합, 하부단턱(24) 및 이에 상응하는 다른 용기 유닛의 ㄴ자 돌출부(26)의 결합에 의한 조합에 의해 서로 일체화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상술한 결합 구조를 통하여, 이에 상응하는 반원형 용기 유닛(20'; 20) 뿐만 아니라 이미 설명된 반원형 용기유닛(10, 10')과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반원형 용기 유닛(20; 20')은 적층을 위하여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에 있어서 화살형 돌출부(22) 및 ㄴ자 돌출부(26)가 문제될 수도 있지만, 화살형 돌출부(22)의 경우에 있어서의 적층의 문제는 바닥면이 받침대(23)의 높이만큼 상승되어 있으므로 받침대(23)의 높이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으며, ㄴ자 돌출부(26)의 경우에 있어서의 적층의 문제는 바닥면까지 깊숙히 적층되지 않아 적층 높이가 약간 증가되기는 하지만 큰 문제는 없다.
본 고안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우유팩과 같은 종이류,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류, 또는 목재류로도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10, 20, 20')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용기 유닛(10', 20, 20')과 다양한 조합으로 결합되어 1개의 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용기 유닛(10, 20, 20'; 10', 20, 20') 사이의 결합은 화살형 돌출부(12, 22)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15, 25)의 결합, 하부단턱(14, 24)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돌출부(16, 26)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화살형 돌출부(12, 22)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15, 25)의 결합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10, 20, 20')을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용기 유닛(10', 20, 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하부단턱(14, 24)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돌출부(16, 26)의 결합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10, 20, 20')을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용기 유닛(10', 20, 20')에 면이 밀착되게 고정하는 부가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10, 20, 20')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용기 유닛(10', 20, 20')의 결합은 실시예에 따라 화살형 돌출부(12, 22) 및 이에 상응하는 ㄴ자 가이드홈(15, 25)의 결합만으로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1)의 실시예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은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상술된 방법으로 적절하게 서로 결합됨으로써 1개의 용기(1)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기(1)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반원형 용기 유닛(10, 10')끼리, 또는 다각형 용기 유닛(20)끼리 용기 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반원형 용기 유닛(10, 10') 및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이 함께 용기 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기 유닛의 길이에 관계없이 긴 용기 유닛에 짧은 용기 유닛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1)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상단부 전체를 덮는 뚜껑이 통상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용기 유닛마다 각각의 뚜껑이 압입 등의 방법으로결합될 수 있다.
용기 유닛들(10, 10', 20, 20')의 조합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상기 용기 유닛들(10, 10', 20, 20')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조합 가능한 용기는 본원 고안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유닛 및 용기는 용기 유닛들이 사용 목적에 적절한 1개의 용기로 용이하게 변형되어 조합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고, 이러한 1개의 용기로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류의 내용물들을 각각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횡단면이 반원형인 통상의 반원형 용기 유닛에 있어서,
    직면(1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에는 직선부 및 반원부가 분리되어 일직선의 하부단턱(14)이 형성되거나, 또는 직면(11)의 상부에는 상기 화살형 돌출부(1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15)이 형성되고 직면(11)의 하단의 받침대(13)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하부단턱(1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형 용기 유닛(10, 10').
  2. 횡단면이 다각형인 통상의 다각형 용기 유닛에 있어서,
    일측면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는 수개의 화살형 돌출부(22)가 형성되고 일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에는 일직선의 하부단턱(24)이 형성되며, 타측면의 상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화살형 돌출부(22)가 걸려져서 안내되는 수개의 ㄴ자 가이드홈(25)이 형성되고 타측면의 하단의 받침대(23)의 양측 단부에는 다른 용기 유닛의 하부단턱(24)이 걸쳐져 지지되는 ㄴ자 돌출부(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형 용기 유닛(20, 20').
  3. 제 1 항에 따른 반원형 용기 유닛(10; 10') 및 제 2 항에 따른 다각형 용기 유닛(20; 2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20-2002-0036514U 2002-12-06 2002-12-06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2003052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14U KR200305285Y1 (ko) 2002-12-06 2002-12-06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514U KR200305285Y1 (ko) 2002-12-06 2002-12-06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285Y1 true KR200305285Y1 (ko) 2003-02-25

Family

ID=4933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514U KR200305285Y1 (ko) 2002-12-06 2002-12-06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2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47U (ko) * 2015-12-22 2017-06-30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347U (ko) * 2015-12-22 2017-06-30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KR200484055Y1 (ko) * 2015-12-22 2017-07-25 김정연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2492A (en) Container and pivoted closure
US20050133580A1 (en) Food container for use with a beverage receptacle
KR980001734A (ko) 용기 캐리어
US201803398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and drink receptacle
US9016514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JP5618658B2 (ja) 食材用容器
KR200305285Y1 (ko)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101249002B1 (ko) 찬합식 도시락 용기
USD469659S1 (en) Molded tray for beverage containers
US20040163971A1 (en) Modular container
KR20170002642U (ko) 다기능 식판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USD998423S1 (en) Insulating container with cover for a beverage can
CN216003697U (zh) 一种用于包装容器的盖体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241604Y1 (ko) 식품용기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KR20170004381U (ko) 분할된 공간의 다양한 결합이 가능한 모듈방식의 용기
KR200274344Y1 (ko) 식품용기
US6629870B2 (en) Bubble blower
KR200234283Y1 (ko)
KR20040054462A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 용이한식품보관용기
KR200359540Y1 (ko) 식품용기
KR20240040148A (ko) 다양한 형태의 용기 수용이 가능한 용기 트레이 및 도시락 전체 케이스
KR20020068238A (ko)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