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04Y1 - 식품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04Y1
KR200241604Y1 KR2020010015024U KR20010015024U KR200241604Y1 KR 200241604 Y1 KR200241604 Y1 KR 200241604Y1 KR 2020010015024 U KR2020010015024 U KR 2020010015024U KR 20010015024 U KR20010015024 U KR 20010015024U KR 200241604 Y1 KR200241604 Y1 KR 200241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up
food
receiving space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
Original Assignee
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 filed Critical 김순
Priority to KR2020010015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04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공간을 분획하는 칸막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획된 각각의 공간에 수납되는 식품이 서로 섞이거나 넘치지 않게 하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컵은 보조컵(220)의 바닥에 빨대(100)가 삽입되는 통공(222)이 형성됨에 따라 컵(200)을 심하게 흔들리거나 기울이는 경우 음료가 통공(222)을 통하여 보조컵(2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품과 음료가 섞이게 되는 문제점과, 컵 내부의 수용공간(201,202)을 분획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조컵(220)을 제조함에 따라 그 제조원가 높은 단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용기(1)의 수용공간(10)이 분획구(2)에 의해 분할 구획되는 것에 있어서, 용기(1)의 수용공간(10)을 내측 하부로 갈수록 그 둘레가 작아지게 형성시키고, 수용공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획구(2)는 판체(20)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며, 판체(20)의 주연에 용기(1)의 내주면(11)에 밀착되는 기밀부(21)를 형성시키고, 판체(20)의 중심에 빨대(100)가 삽입되는 관체(25)를 입설시켜 구성함으로서,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식품과 음료가 섞이지 않게 하며, 그 제조공정과 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식품용기{vessel}
본 고안은 용기의 수용공간을 분획하여 물성이 서로 다른 다수의 식품을 섞이지 않게 수납시킬 수 있게 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공간을 분획하는 칸막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획된 각각의 공간에 수납되는 식품이 서로 섞이거나 넘치지 않게 하는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는 빠르고 간편하게 시식할 수 있어 식사시간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할 수 없는 바쁜 사람들이나 어린이, 학생들이 널리 애용한다.
이러한 패스트푸드는 식탁에 앉아 장시간에 걸쳐 취식 하기보다는 음식을 들고 이동하면서 취식하는 경우가 많으며, 패스트푸드를 판매하는 점포 또한 최소한의 면적만을 확보하고, 식탁이 없는 노점등이 대부분이다.
대부분의 패스트푸드는 주식품과 음료로 구성되며, 손님에게 제공될 때에는 식품과 음료를 별개의 용기에 담아 제공된다.
이렇게 별개의 용기에 담겨진 식품과 음료를 양손에 들고 이동하면서 취식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 99-16789호가 제공된 바 있다.
상기 선 출원 고안의 컵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상의 컵(200) 내부에 보조컵(220)을 삽입시켜 두 개의수용공간(201)(202)을 형성하고, 보조컵(220)의 바닥에 빨대(100)가 삽입되는 통공(222)을 형성시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컵(200)은 먼저 컵의 내부에 음료를 넣은 후 이의 상측에 보조컵(220)을 삽입시키고, 보조컵(22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222)의 내부로 빨대(100)를 삽입시킨 다음 보조컵(220)의 내부에 식품을 넣어 손님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컵에 식품과 음료를 함께 넣어 제공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식품과 음료를 편리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컵은 보조컵(220)의 바닥에 빨대(100)가 삽입되는 통공(222)이 형성되어 있어 컵(200)이 심하게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경우 음료가 통공(222)을 통하여 보조컵(2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식품이 음료와 섞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조컵(220)의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의 부스러기와 소스 등이 빨대(100)를 따라 흘러내려 통공(222)을 통하여 음료와 섞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컵은 컵 내부의 수용공간(201,202)을 분획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조컵(220)을 제조함에 따라 그 제조단가 높은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용기의 수용공간을 분획함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식품과 음료가 섞이지 않게 하며, 더 나아가서는 분획된 각각의 공간내에 서로 다른 음료를 수납시킬 수 있게 하고, 그 제조공정과 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게 하는 식품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용기의 수용공간이 분획구에 의해 분획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분획구가 판체이고, 판체의 주연에 용기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기밀부를 형성시키며, 판체의 중심에 빨대가 삽입되는 관체를 입설시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 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2. 분획구
10. 수용공간 20. 판체
21. 기밀부 25. 관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식품용기로부터 분획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고안의 식품용기 내부에 분획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1)의 수용공간(10)이 분획구(2)에 의해 분할 구획되는 것에 있어서, 용기(1)의 수용공간(10)을 내측 하부로 갈수록 그 둘레가 작아지게 형성시키고, 수용공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획구(2)는 판체(20)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며, 판체(20)의 주연에 용기(1)의 내주면(11)에 밀착되는 기밀부(21)를 형성시키고, 판체(20)의 중심에 빨대(100)가삽입되는 관체(25)를 입설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밀부(21)는 용기(1)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부(21)의 둘레는 수용공간(10)를 분획할 위치의 용기둘레와 동일한 플랜지형으로 형성시켜 판체가 분획할 위치 보다 더 하측으로 내려가 위치되지 아니하게 된다.
기밀부(21)는 판체(20)의 하부둘레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획구(2)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시키며, 기밀부(21)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체(25)의 하부에 관체 직경이 확개되는 확개부(26)를 형성시켜 다수의 분획구(2)를 적층 설치하는 경우 하부에 위치되는 관체(25)가 상부의 확개부(26)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식품용기는 원통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먼저 용기(1)의 수용공간(10)내로 적당량의 음료를 수납시키고, 이의 상부에 분획구(2)를 삽입시키게 되면 판체(20)의 주연에 형성된 기밀부(21)가 수용공간(10)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되다가 기밀부(21)의 둘레와 동일한 둘레를 가지는 시점에서부터 기밀부(21)가 수용공간(10)의 내측면(11)에 강하게 압박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획구(2)를 더욱 압박하여 하강시키게 되면 기밀부(21)가 둘레길이가 작아지는 수용공간(10)의 내측면에 강력하게 끼워지면서 견고한 결합과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분획구(2)에 형성된 관체(25)의 내부에 빨대(100)를 삽입시키고 분획구(2)의 상부 공간(13)에 식품을 수납시켜 손님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식품용기(1)는 용기를 심하게 흔들거나 기울여도 하부공간(12)에 수납된 음료가 상부공간(13)으로 흘러들지 않게 되며, 빨대(100)가 삽입되는 관체(25)의 상부 개구부가 상부공간(13)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상부공간(13)에 수납된 식품의 부스러기나 소스등이 관체(25)의 개구부로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하부공간(12)으로 음식물의 부스러기나 소스등이 유입되어 음료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하나의 수용공간(10)내에 기밀부(21)의 둘레가 서로 다른 다수의 분획구(2)를 삽입 설치시켜 수용공간(10)을 다수개로 분획한 것이다.
이와 같이 기밀부(21)의 둘레가 서로 다른 분획구(2)를 적층 설치시키는 경우 하부 분획구(2)에 형성된 관체(25)가 상부 분획구(2)의 관체(25) 하부에 형성된 확개부(26)의 내부로 삽입되어 관체(25)와 관체(25)를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수용공간을 분획함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음식물과 음료가 섞이지 않게 하며, 더 나아가서는 분획된 각각의 공간내에 서로 다른 음료를 수납시킬 수 있으며, 그 제조공정과 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용기(1)의 수용공간(10)이 분획구(2)에 의해 분할 구획되는 것에 있어서, 용기(1)의 수용공간(10)을 내측 하부로 갈수록 그 둘레가 작아지게 형성시키고, 수용공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획구(2)는 판체(20)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며, 판체(20)의 주연에 용기(1)의 내주면(11)에 밀착되는 기밀부(21)를 형성시키고, 판체(20)의 중심에 빨대(100)가 삽입되는 관체(25)를 입설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25)의 하부에 확개부(26)를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KR2020010015024U 2001-05-22 2001-05-22 식품용기 KR200241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24U KR200241604Y1 (ko) 2001-05-22 2001-05-22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24U KR200241604Y1 (ko) 2001-05-22 2001-05-22 식품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770A Division KR20020068238A (ko) 2001-02-20 2001-05-21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04Y1 true KR200241604Y1 (ko) 2001-10-15

Family

ID=7305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24U KR200241604Y1 (ko) 2001-05-22 2001-05-22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94B1 (ko) 2017-03-24 2018-11-13 전명화 내부 적재를 위한 트레이를 가지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394B1 (ko) 2017-03-24 2018-11-13 전명화 내부 적재를 위한 트레이를 가지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10470A (en) Nestable pill-administering drinking vessel
US20040149755A1 (en) Combined saucer and cover for beverage cup
CA2256797A1 (en) An egg carton having compartment for other ingredients
US7306112B2 (en) Spill-proof container
US20220151410A1 (en) Multiple compartment mug with lid
US20030189052A1 (en) Decorative container
KR200241604Y1 (ko) 식품용기
US6213335B1 (en) Stackable container with internal divider
WO2003093130A1 (en) Multipartite vessel
KR20090009093U (ko) 분리용기와 캡의 결합구조
KR20020068238A (ko) 식품용기
JP2001072071A (ja) 容 器
KR100541265B1 (ko) 적층이 가능한 2분할 음료용기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US20050045791A1 (en) Cupholding plate
KR200305285Y1 (ko) 용기 유닛 및 이 용기 유닛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용기
KR100448863B1 (ko) 다중컵
KR20230137582A (ko) 식판세트
KR200359540Y1 (ko) 식품용기
KR200285946Y1 (ko) 도시락 용기
KR200383646Y1 (ko) 식품용기의 구획판
KR200226849Y1 (ko)
KR200234283Y1 (ko)
KR20090008896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KR200284426Y1 (ko) 음식물 용기가 부착된 음료수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214

Effective date: 2004022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