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863B1 - 다중컵 - Google Patents

다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863B1
KR100448863B1 KR10-2001-0077594A KR20010077594A KR100448863B1 KR 100448863 B1 KR100448863 B1 KR 100448863B1 KR 20010077594 A KR20010077594 A KR 20010077594A KR 100448863 B1 KR100448863 B1 KR 100448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fixing
upper cup
support plat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922A (ko
Inventor
엄정화
Original Assignee
(주)파인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인블루 filed Critical (주)파인블루
Publication of KR2003003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65D3/268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the opening arrangement being located in a containe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덮개에 의해 상하 일체형으로 결합된 두개의 컵에 음식물과 음료수 등을 분리하여 담아서 취식하고, 상하 두개의 컵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컵, 하부컵의 위측에 배치되고,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컵 및 하부컵과 상부컵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덮개를 포함하되, 고정덮개는 상부컵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지지판 윗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부컵의 테두리 내로 인입되어 상부컵을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중컵{MULTIPLE CUP}
본 발명은 다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고정덮개에 의해 상하 일체형으로 결합된 두개의 컵에 음식물과 음료수 등을 분리하여 담아서 취식하고, 상하 두개의 컵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중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 또는 야외 유원지 등에서 간단한 취식을 위하여, 콜라, 사이다, 쥬스 등의 음료수와 치킨, 팝콘, 감자튀김 등의 음식물을 구입하게 되고, 컵과 같은 용기에 담은 상태에서 취식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대부분 음식물과 음료수를 같이 구입하게 되고, 양손에 각각의 용기를 들어야 했다. 따라서 음식물 등을 취식하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음식물 등을 들고 이동하는 경우 부주의로 인해 내용물을 엎지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컵;
상기 하부컵의 위측에 배치되고,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컵; 및
상기 하부컵과 상기 상부컵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상부컵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윗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컵의 테두리 내로 인입되어 상기 상부컵을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컵의 밑면 및 지지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빨대가 끼워지는 빨대끼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각 구성부분을 나타낸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실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덮개의 구조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부컵 12, 22 : 돌출부
14, 24 : 수용공간 20 : 상부컵
26, 36 : 빨대끼움부 30 : 고정덮개
32 : 고정부 34 : 지지판
38 : 고정대 40 : 빨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각 구성부분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구성은,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12) 및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공간 (14) 을 구비하는 하부컵 (10), 하부컵 (10)의 위측에 배치되고,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22),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공간 (24) 및 밑면에 빨대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하는 상부컵 (20) 및 하부컵 (10) 과 상부컵 (20) 의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컵 (10) 의 돌출부 (12) 와 상부컵 (20) 의 돌출부 (22) 에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32) 를 상하로 두개 구비하고, 두개의 고정부 (32) 사이에 상부컵 (20) 의 밑면을 지지하고, 소정의 위치에 빨대가 끼워질 수 있는 빨대끼움부 (36) 와 상부컵 (20) 의 밑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대 (38) 를 구비하는 지지판 (34) 을 구비하는고정덮개 (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은 하부컵 (10), 고정덮개 (30) 및 상부컵 (20) 의 순서로 배치되며, 각각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컵 (10) 의 상단의 단면과 고정덮개 (30) 의 하단의 단면 및 상부컵 (20) 의 하단의 단면과 고정덮개 (30) 의 상단의 단면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컵 (10) 은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려 있으며, 상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 크기만큼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12) 와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 (14) 을 구비한다. 돌출부 (12) 는 고정덮개 (30) 의 하단의 고정부 (32) 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컵 (10) 의 윗면이 막혀 있는 경우, 고정덮개 (30)가 지지판 (34) 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컵 (10) 의 윗면에 빨대끼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컵 (20) 은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려 있으며, 하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 크기만큼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 (22),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 (24) 및 밑면에 빨대를 끼울 수 있는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한다. 돌출부 (22) 는 고정덮개 (30) 의 상단의 고정부(32)에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빨대끼움부 (26) 는 고정덮개 (30) 의 빨대끼움부 (36) 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컵 (20) 의 밑면을 빨대로 뚫을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고,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덮개 (30) 는, 하부컵 (10) 상단의 돌출부 (12) 와 상부컵 (20) 하단의 돌출부 (22) 에 각각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 (32) 가 상하로 두개 구비되고, 두개의 고정부 (32) 사이에 상부컵 (20) 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 (34) 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판 (34) 은 소정의 위치에 빨대가 끼워질 수 있는 빨대끼움부 (36) 와 상부컵 (20) 의 밑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대 (38) 를 구비한다.
고정대 (38) 는 상부컵 (20) 의 밑면의 돌출한 테두리 내부로 인입되어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고정대 (38) 는 고정부 (32) 를 따라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양각으로 아루어진다. 상부컵 (20) 의 밑면의 형상은 하부컵 (10) 과 같이, 테두리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밑면이 테두리보다 위쪽에 형성된다. 즉, 상부컵 (20) 을 밑에서 보았을 때, 밑면이 테두리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고정덮개 (30) 의 윗면에 구비되는 고정부 (32) 와 고정대 (3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상부컵 (20) 의 밑면의 테두리가 인입된다. 고정대 (38) 는 지지판 (34) 의 윗면에 구비되며, 고정부 (32) 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부 (32) 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판 (34) 이 빨대로 뚫어질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빨대끼움부 (36) 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은, 하부컵 (10) 의 상단에 고정덮개 (30) 을 결착시키고, 고정덮개 (30) 의 상단에 상부컵 (20) 을 결착시킨다. 따라서 하부컵(10) 과 상부컵 (20) 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각각에 음료수 또는 음식물을 담아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 이때 고정덮개 (30) 의 지지판 (34) 에 의해 상부컵 (20) 의 밑면이 지지된다.
고정덮개 (30) 에 하부컵 (10) 및 상부컵 (20) 이 결착된 상태는 우측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우측의 두개의 단면도는 좌측에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우측 상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 (38) 의 제 1 실시례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 (30) 하단의 고정부 (32) 에 하부컵 (10) 상단의 돌출부 (12) 가 결착된다. 또한 고정덮개 (30) 상단의 고정부 (32) 와 지지판 (34) 의 윗면에 형성된 고정대 (38) 사이의 공간으로 상부컵 (20) 의 밑면 테두리 부분이 인입되고, 상부컵(20)의 돌출부(22) 가 고정부 (32) 에 결착된다. 따라서 상부컵 (20) 밑면 테두리는 고정부 (32) 와 고정대 (38) 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된다. 따라서 상부컵 (20) 을 보다 안정감있게 결합시킬 수 있고, 사용중 상부컵 (20) 이 빠지거나 쓰러질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우측의 하단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 (38) 의 제 2 실시례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 (38) 는 상부컵 (20) 의 밑면 전체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 1 실시례에서 둘레부분만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상부컵의 밑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돌출된 양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1 실시 예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은, 하부컵 (10) 과 상부컵 (20) 각각에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상부컵 및 하부컵 일체형의 2단 형태의 구조이다. 바람직하게는 하부컵 (10) 에 음료수를 담고, 상부컵 (20) 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다. 또한 상부컵 (20) 의 밑면과 고정덮개(30)에 구비된 빨대끼움부(26,36) 에 빨대 (40) 를 끼워서 하부컵 (10) 의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컵, 하부컵 일체형의 2단형태로부터 상부에 고정덮개와 상부컵을 하나씩 더 연결한 3단 형태는 물론이고 3단형태로부터 하나씩 더 연결한 4단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즉, 상부컵의 상부에 고정덮개와 별도의 제 2 상부컵들을 더 연결하여 다단 형태를 가지는 다중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컵 (10) 또는 상부컵 (20) 중 하나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모두 취식한 경우, 서로를 분리하여 해당 용기를 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컵(20)의 음식물을 모두 취식한 경우, 상부컵 (20) 을 분리해내고 하부컵 (10) 만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구성은,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공간 (14) 을 구비하는 하부컵 (10), 하부컵 (10)의 위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공간 (24) 및 밑면에 빨대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하는 상부컵 (20) 및하부컵 (10) 과 상부컵 (20) 의 사이에 배치되고, 소정의 위치에 빨대가 끼워질 수 있는 빨대끼움부 (36) 와 상부컵 (20) 의 밑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대 (38) 를 구비하는 지지판 (34) 을 구비하는 고정덮개 (3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은 하부컵 (10), 고정덮개 (30) 및 상부컵 (20) 의 순서로 배치되며, 각각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컵 (10) 의 상단의 단면과 고정덮개 (30) 의 하단의 단면 및 상부컵 (20) 의 하단의 단면과 고정덮개 (30) 의 상단의 단면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컵 (10) 은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 (14) 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컵 (20) 은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려 있으며,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료수를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 (24) 및 밑면에 빨대를 끼울 수 있는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한다. 빨대끼움부 (26) 는 고정덮개 (30) 의 빨대끼움부 (36) 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컵 (20) 의 밑면을 빨대로 뚫을 수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고, 빨대끼움부 (26) 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덮개 (30) 는 상부컵 (20) 의 밑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판 (34) 이 구비된다. 지지판 (34) 에는 소정의 위치에 빨대가 끼워질 수 있는 빨대끼움부 (36) 와 상부컵 (20) 의 밑면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고정대 (38) 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고정덮개 (30) 가 요철(오목, 볼록)을 형성하게 되면 상부컵 (20) 에 고체상의 물질과 액체상의 물질을 함께 담았을 때 액체상의 물질이상부컵 (20) 의 빨대끼움부 (36) 를 통해서 밑으로 흐를 경우 고정덮개 (30) 의 빨대끼움부 (36) 주변에 형성된 오목한 부분으로 흘러 액체상의 물질이 하부컵 (10) 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덮개의 구조도로서, 도 6 (a) 는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b) 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고정대 (38) 는 상부컵 (20) 의 밑면의 돌출한 테두리 내부로 정확하게 인입되어 상부컵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또한 측면을 따라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컵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지지판 (34) 은 하부컵 (10) 의 개구부에 인입되어 뚜껑역할을 하게 된다. 고정대 (38) 와 마찬가지로 옆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하부컵 (10) 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결합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컵의 제 2 실시례는 하부컵 (10) 의 상단에 고정덮개 (30) 을 인입하여 결착시키고, 고정덮개 (30) 의 상단에 상부컵 (20) 을 결착시킨다. 따라서 하부컵 (10) 과 상부컵 (20) 을 일체형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각각에 음료수 또는 음식물을 담아서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다. 이때 고정덮개 (30) 의 지지판 (34) 에 의해 상부컵 (20) 의 밑면이 지지된다.
고정덮개 (30) 에 하부컵 (10) 및 상부컵 (20) 이 결착된 상태는 우측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우측의 단면도는 좌측에 원형으로 표시된 부분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 (38) 가 상부컵 (20) 의 밑면 테두리 부분에 인입되고, 지지판 (34) 이 하부컵 (10) 의 개구부에 인입된다. 따라서 상부컵 (20) 밑면 테두리는 고정대 (38) 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되고, 하부컵 (10) 의 개구부는 지지판 (34) 에 의해 덮여진다. 한편, 상부컵 및 하부컵 일체형의 2단형태에 상부에 고정덮개 (30) 와 상부컵 (20) 을 하나씩 더 연결한 3단 형태는 물론이고 하나씩 더 연결한 4단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즉, 상부컵 (20) 의 상부에 고정덮개 (30) 와 별도의 제 2 상부컵들을 더 연결하여 다단 형태를 가지는 다중컵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음식물과 음료수 등 서로 다른 내용물을 서로 다른 컵에 분리하여 담고, 각 컵을 서로 결합시켜서 한손으로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취식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컵의 내용물을 모두 취식한 경우, 해당 컵을 분리해내고, 내용물이 남아 있는 컵만을 휴대하면서 취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와 고정대에 의해 이중으로 상부컵을 고정시키거나 고정대의 옆면에 주름을 형성함으로서 상부컵을 보다 안정감 있게 결합시킬 수 있고, 휴대시 상부컵이 빠지거나 쓰러질 염려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컵;
    상기 하부컵의 위측에 배치되고, 밑면이 막혀 있고 윗면이 뚫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컵; 및
    상기 하부컵과 상기 상부컵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덮개는 상기 상부컵의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 윗면에 원주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컵의 테두리 내로 인입되어 상기 상부컵을 지지 및 고정하는 고정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컵의 밑면 및 상기 지지판의 대응되는 위치에 빨대가 끼워지는 빨대끼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빨대끼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측면을 따라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컵은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컵은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덮개에는 상기 하부컵의 돌출부와 상기 상부컵의 돌출부에 결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고정부를 상하로 두 개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컵의 상부에 상기 고정덮개와 별도의 제 2 상부컵들을 더 연결한 다단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컵.
KR10-2001-0077594A 2001-10-20 2001-12-08 다중컵 KR100448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121 2001-10-20
KR20010032121 2001-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22A KR20030033922A (ko) 2003-05-01
KR100448863B1 true KR100448863B1 (ko) 2004-09-16

Family

ID=2956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594A KR100448863B1 (ko) 2001-10-20 2001-12-08 다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3B1 (ko) 2010-04-07 2012-03-20 정효경 치킨케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30864A (zh) * 2014-12-11 2016-07-06 浩瀚国际有限公司 两用杯盖及具有两用杯盖的容器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70U (ko) * 1978-07-28 1980-02-09
JPH01154866U (ko) * 1988-04-11 1989-10-25
JPH01155873U (ko) * 1988-04-19 1989-10-26
JPH0252664U (ko) * 1988-10-12 1990-04-16
KR200241995Y1 (ko) * 2001-03-02 2001-09-26 이창규 1회용 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970U (ko) * 1978-07-28 1980-02-09
JPH01154866U (ko) * 1988-04-11 1989-10-25
JPH01155873U (ko) * 1988-04-19 1989-10-26
JPH0252664U (ko) * 1988-10-12 1990-04-16
KR200241995Y1 (ko) * 2001-03-02 2001-09-26 이창규 1회용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163B1 (ko) 2010-04-07 2012-03-20 정효경 치킨케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22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864B1 (en) Accessory condiment container for drinking cup
US7182242B2 (en) Food container for use with a beverage receptacle
US6036020A (en) Dinner tray
US3499538A (en) Hot dog holder
US6612485B2 (en) Food container with condiment container support and method for making food container with condiment container support
US5139166A (en) Container including plate with drain insert
JPH09193935A (ja) 小出し手段付き食品容器
USD388660S (en) Drinking cup with cover and opener for beverage tins
US20030089725A1 (en) Double cup separabl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EP2384302A1 (en) Condiment container attachment device
US20030173237A1 (en)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ing function
US4467934A (en) Receptacle for holding plural size containers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US11779156B2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KR100448863B1 (ko) 다중컵
GB2259239A (en) A plate with means for receiving and holding a cup
US20040007573A1 (en) Double cup separable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KR200251113Y1 (ko) 이중용기
KR20090008895U (ko) 식품용기의 결합구조
GB2370218A (en) Disposable dual cup
US3224625A (en) Relish tray or the like
KR200309337Y1 (ko) 식품 분할 저장용기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20090024900A (ko) 보조컵과 음료컵이 일체로 연결된 일회용 용기
KR200274344Y1 (ko)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