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759Y1 - 우산보관통 - Google Patents

우산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759Y1
KR200469759Y1 KR2020120002441U KR20120002441U KR200469759Y1 KR 200469759 Y1 KR200469759 Y1 KR 200469759Y1 KR 2020120002441 U KR2020120002441 U KR 2020120002441U KR 20120002441 U KR20120002441 U KR 20120002441U KR 200469759 Y1 KR200469759 Y1 KR 200469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mbrella
water
delete delet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798U (ko
Inventor
곽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펙스
Priority to KR2020120002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75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7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인 우산보관통은, 우산보관통에 있어서, 내부에 고인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는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해 주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물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 구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본체에 고이지 않고 물받이통에 따로 수납되도록 해주므로서, 관리자가 보다 관리하기 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우산보관통{Umbrella stand}
본 고안은 우산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우천 시 사용중인 우산을 임의로 보관할 때, 수납이 용이하며, 우산에 묻은 빗물이 본체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본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물받이통으로 유도시켜 물받이통에 고인 빗물을 사용자가 쉽게 버릴 수 있는 우산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보관통은, 우천 시 관공서나 사무실 또는 식당 등의 각종 영업소 현관 주변에 배치하여 빗물이 떨어지는 우산을 사람들이 실내로 들고 오지 않게끔하여 실내 바닥이 빗물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해 주었다.
이러한 우산보관통은, 종래에는 따로 구매하지 않고 양동이나 휴지통을 주로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양동이나 휴지통을 우산보관통 대용으로 사용할 경우 우산에 묻은 빗물이 그대로 양동이나 휴지통 내부에 고이게 되므로,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양동이나 휴지통 내부에 고인 물을 제거해 주어야 한다. 이때, 고인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양동이나 휴지통에 보관 중인 우산을 다른 양동이나 휴지통으로 옮긴 후 고인 물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양동이나 휴지통을 이용한 종래의 우산보관통은, 우산이 우산보관통 내부에서 임의로 유동되어 뒤섞이고, 길이가 짧은 우산의 경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우산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다수 개의 우산 중 본인의 우산을 찾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본인의 우산을 찾기 위해 다른 우산을 만지게 되므로, 우산에 묻어 있는 빗물이 손이나 옷에 튀어 젖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우산보관통에 구비된 물받이통은 우산보관통에 가려 물받이통을 빼내 보기전에는 물받이통의 저수량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우산을 보관할 때, 길이가 다른 우산을 서로 구획하여 따로 보관 가능하고, 보관 후에도 뒤섞이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본인의 우산을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본체에 고이지 않고 물받이통에 따로 수납되도록 해 주는 우산보관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은, 우산보관통에 있어서, 내부에 고인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는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해 주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물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 구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절첩이 가능한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우산수납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수납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우산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쓰러지지 않게 상기 우산의 일측이 걸쳐지는 제1 걸림턱이 방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우산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쓰러지지 않게 상기 우산의 일측이 걸쳐지는 제2 걸림턱이 원형 형상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턱에는, 상기 물이 물배출부로 가이드될 수 있게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본체 하부면의 중앙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은,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부에 장착되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및 상기 수용부의 전·후면 어느 쪽에서나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빼낼 수 있도록 탈부착되며, 상기 물배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시켜 주는 물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거치대의 양 끝단 부위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수납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양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고 전·후면 양쪽에 형성된 물받이통 손잡이로 상기 수용부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에는 아래쪽 방향으로 반원형의 볼록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반원형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길이가 서로 다른 우산을 서로 구획하여 따로 보관 가능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보관한 후 찾을 때,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우산에 의해 손이나 옷에 물이 튀어 젖지 않도록 해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우산에 묻은 빗물이 본체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본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물받이통으로 유도시켜 물받이통에 따로 수납되는 빗물을 관리자가 쉽게 버릴 수 있어 관리가 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우산보관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에 따른 외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에 따른 내부상세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에 따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물받이통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수납부의 동작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우산보관통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우산보관통(1)은, 크게 본체(10)와 물받이통(20)을 포함하고 있다. 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에는, 우산에 묻은 빗물이 흘러내릴 때 본체(10) 내부에 고이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물배출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10) 하부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물배출부(100)로 보다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하향 경사 구배되어 있다. 이렇게 본체(10) 하부면이 물배출부(100)로 하향 경사 구배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은 자연스럽게 물배출부(100)로 흐르게 된다.
또한, 본체(10) 상부에는 길이가 짧은 우산 등을 배치시키기 위해 우산수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길이가 긴 우산과 길이가 짧은 우산이 따로 구획되어 나누어 보관이 가능하므로 함께 섞이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우산수납부(110)에는 본체(10)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칸막이(111)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111)에 의해 우산수납부(110)에 보관되는 길이가 짧은 우산(3)이 뒤섞이지 않고, 중심을 잃고 쓰러져 본체(10)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우산수납부(110)의 하부면에는, 배출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멍(112)은 우산수납부(110)에 수납되는 길이가 짧은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자연스럽게 본체(10) 하부로 유도시켜 우산수납부(110)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해 준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에는 제1 걸림턱(120)과 제2 걸림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턱(120)은 본체(10)의 하부면에 방사 형태로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펼쳐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걸림턱(130)은 원형 형상으로 본체(10) 하부면에 이격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길이가 긴 우산을 본체(10)에 보관하기 위해 꽂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2)의 끝부분인 일측이 제1 걸림턱(120) 또는 제2 걸림턱(130)에 걸려 본체(10) 내부에서 쓰러지거나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제2 걸림턱(130)은 원형 형상으로 본체(10)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제대로 물배출부(100)로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걸림턱(130)에는 가이드홈(131)을 형성시켜 제2 걸림턱(130)에 빗물이 걸리지 않고, 가이드홈(131)을 통해 빗물이 물배출부(100)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에는 손잡이부(14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손잡이부(140)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본체(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일측은 본체(10) 하부면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또한, 손잡이부(140) 타측 부위에는 손잡이(1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0) 상부의 가장자리와 연결되는 지지부재(142)가 있다. 지지부재(142)는 손잡이부(140)가 휘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부(140)의 중심을 지지해 줄 뿐만 아니라 우산(2)의 타측 부위가 접하여 걸쳐질 수 있어 우산(2)이 본체(10) 내부에서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해 주는 역할도 한다.
물받이통(20)은, 저수량을 확인할 수 있게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고, 본체(10)의 물배출부(100)를 통해 본체(10) 내부에서 배출되는 빗물을 수납해 주는 역할을 하며, 구성요소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하부에 장착되는 거치대(200) 및 거치대(200)에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물수납부(210)를 포함하고 있다.
거치대(200)는 본체(10) 하부 양 끝단에 장착되고, 중앙에는 물받이통(20)을 우산보관통(1)의 전·후면 어느 쪽에서나 물받이통 손잡이(H)를 잡고 삽입시켜 고정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수용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01)가 형성된 거치대(200)의 양 끝단 부위에는 홈부(20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수납부(210)에는 홈부(202)에 대응되는 가이드레일(211)이 형성되어 홈부(202)를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레일(211)이 가이드되어 수용부(201)에 물수납부(210)가 부착 또는 탈착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211)의 중앙에는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 볼록한 돌기(212)가 있으며, 홈부(202)에는 돌기에 대응되게 반원형의 오목한 홈(203)이 형성되어 있다.
물받이통(20)은, 수용부(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산보관통(1)이 경사진 곳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가이드레일(211)의 반원형 볼록한 돌기(212)가 거치대(200)의 반원형 오목한 홈(203)에 걸려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받이통(20)은 우산보관통(1)을 들어서 운반하더라도 분리되거나 운반 중 물이 넘쳐 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수납부(210)가 거치대(200)에 결합 및 탈착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12)가 홈(203)에 끼워지므로 쉽게 탈착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물수납부(210)에 임의적으로 일 방향으로 힘을 주어 돌기(21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03)에서 빠지게 되면, 물수납부(210)는 자연스럽게 거치대(200)의 홈부(202)를 따라 거치대(200)에서 빠져 탈착되게 된다.
1 : 우산보관통 2 : 우산
3 : 길이가 짧은 우산
10 : 본체 100 : 물배출부
110 : 우산수납부 111 : 칸막이
112 : 배출구멍 120 : 제1 걸림턱
130 : 제2 걸림턱 131 : 가이드홈
140 : 손잡이부 141 : 손잡이
142 : 지지부재
20 : 물받이통 200 : 거치대
201 : 수용부 202 : 홈부
203 : 홈 210 : 물수납부
211 : 가이드레일 212 : 돌기

Claims (9)


  1. 내부에 고인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는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해 주는 물받이통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물배출부를 향해 하향 경사 구배되어 있는 우산보관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절첩이 가능한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우산수납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수납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는 상기 우산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쓰러지지 않게 상기 우산의 일측이 걸쳐지는, 방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1 걸림턱과 원형 형상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는 제2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걸림턱에는 물이 상기 물배출부로 가이드될 수 있게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본체 하부면의 중앙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통은 반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부에 장착되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 및 상기 수용부의 전·후면 어느 쪽에서나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빼낼 수 있도록 탈부착되며, 상기 물배출부를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시켜 주는 물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형성된 상기 거치대의 양 끝단 부위에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수납부는 상기 홈부에 대응되는 양측면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며 전·후면 양쪽에 형성된 물받이통 손잡이로 상기 수용부에 탈부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에는 아래쪽 방향으로 반원형의 볼록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부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반원형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보관통.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120002441U 2012-03-27 2012-03-27 우산보관통 KR200469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41U KR200469759Y1 (ko) 2012-03-27 2012-03-27 우산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41U KR200469759Y1 (ko) 2012-03-27 2012-03-27 우산보관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98U KR20130005798U (ko) 2013-10-08
KR200469759Y1 true KR200469759Y1 (ko) 2013-11-08

Family

ID=5074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41U KR200469759Y1 (ko) 2012-03-27 2012-03-27 우산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7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99A (ko) 2020-12-03 2022-06-10 최은서 우산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4053A (zh) * 2017-06-09 2017-09-22 王若羽 一种校用雨伞收纳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05Y1 (ko) * 2001-05-12 2001-10-15 원영희 우산 보관함
KR200307013Y1 (ko) * 2002-12-12 2003-03-12 한기진 우산꽂이
KR200329181Y1 (ko) * 2003-06-30 2003-10-08 신영열 우산보관통
KR200452814Y1 (ko) * 2009-06-24 2011-03-21 곽순진 화분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205Y1 (ko) * 2001-05-12 2001-10-15 원영희 우산 보관함
KR200307013Y1 (ko) * 2002-12-12 2003-03-12 한기진 우산꽂이
KR200329181Y1 (ko) * 2003-06-30 2003-10-08 신영열 우산보관통
KR200452814Y1 (ko) * 2009-06-24 2011-03-21 곽순진 화분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99A (ko) 2020-12-03 2022-06-10 최은서 우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98U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2180A1 (en) Pool Skimmer Waste Removal Apparatus
KR200469759Y1 (ko) 우산보관통
CN114554839A (zh) 宠物废弃物收集装置
US6681719B1 (en) Pet dish
KR101002625B1 (ko) 우산용 빗물받이 캡
KR200464196Y1 (ko) 우산용 빗물캡
KR200470650Y1 (ko) 칫솔보관이 가능한 치약 공급장치
WO2006138600A2 (en) No-drip umbrella sheath
JP3993571B2 (ja) 携帯用傘ホルダー
US6237880B1 (en) Mop Stand
KR101699306B1 (ko) 우산 거치대
JP5046347B1 (ja) 傘立
KR100678511B1 (ko)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0406797Y1 (ko)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JP4351139B2 (ja) 清掃具収納器
KR200178664Y1 (ko) 다단식 우산꽂이
KR200329181Y1 (ko) 우산보관통
KR101316694B1 (ko) 절첩컵을 구비한 휴대용 양치세트 케이스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KR20200142409A (ko) 계단식 우산꽂이
KR20170087631A (ko) 우산 수납용 테이블
CN215502697U (zh) 可抛式一次性马桶刷
KR200464365Y1 (ko) 소형 우산 수납부가 구비된 우산 손잡이
JP2008006255A (ja) 雨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