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306B1 - 우산 거치대 - Google Patents

우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306B1
KR101699306B1 KR1020140188260A KR20140188260A KR101699306B1 KR 101699306 B1 KR101699306 B1 KR 101699306B1 KR 1020140188260 A KR1020140188260 A KR 1020140188260A KR 20140188260 A KR20140188260 A KR 20140188260A KR 101699306 B1 KR101699306 B1 KR 101699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haft
base
hoo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7849A (ko
Inventor
문창수
Original Assignee
문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창수 filed Critical 문창수
Priority to KR1020140188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3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는 바닥에 놓여 지지되며 물이 고일 수 있는 물받이 및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결합공에 일단이 결합되어 바닥과 수직하게 선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중심축의 하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부, 중심축의 중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상단을 고정하는 가이드부 및 중심축의 상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이 걸릴수 있도록 구비되는 걸이부가 포함된다. 중심축은 하단축, 중단축, 상단축으로 나뉘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받침부, 가이드부 및 걸이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길이가 긴 장우산의 경우 가이드부의 가이드홀로 넣어져 하단이 받침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거치되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단우산의 경우에는 중심축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걸이부에 걸림줄을 걸어서 거치 되어 장우산 및 단우산을 두루 거치 가능하게 되고, 거치 되는 우산으로 넓은 공간을 요하지 않으며 각각의 우산을 출납하는데에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우산 거치대{Umbrella holder}
본 발명은 우산을 수납할 수 있는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길이가 다양한 우산을 정갈하게 거치보관 할 수 있는 우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비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산은 실내에서 접혀져서 보관이 되는데, 물기를 머금고 있어 우산을 세워둔 장소에 물기가 흘러내러 주변이 젖게 되고 지저분해 지는 불편이 있어왔다. 이에, 물받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통에 우산을 꽂아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우산의 디자인과 구조가 다양화 되어 길이가 긴 장우산, 2단접이식, 3단접이식 우산등으로 접었을 때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다양한 우산을 함께 꽂아 보관하면 우산을 넣는 것과 꺼내는 것이 수월하지 못하였고 심미적으로도 좋지 않을뿐더러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이 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9759호 "우산보관통"에서는 내부에 고인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하여 주는 물받이통이 구비되어 우산이 수납되는 통의 하부에 고인물을 우산을 꺼내지 않고도 배출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다양한 길이를 지니고 있는 우산들을 수납하는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짧은 우산의 수납에 있어 겪었던 불편함은 해소되지 못하였고,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0098호 "조립식 우산 보관함"에서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함체와 함체의 개방된 상부면에 장우산과 단우산이 각기 수납될 수 있는 장우산 거치대 및 단우산 거치대가 구비되어 장우산 사이에서 단우산이 파묻혀 넣거나 꺼내기에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하였으나, 시중에서 판매되는 우산의 길이가 획일화되어 있지 아니하여 단우산 거치대에 거치되어야 할 접이식 우산의 경우 단우산 거치대와 장우산 거치대 모두 거치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고, 또한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고이는 함체는 우산을 모두 제거하여야만 물을 비울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3189 "우산 꽂이함"에서는 우산이 꽂아지는 상판의 하부에 내경이 줄어들며 연장형성된 단턱을 구비하여 긴우산의 경우는 단턱에 걸리지 않고, 짧은 우산의 경우는 단턱에 걸려 손잡이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우산 꽂이함이 제안되어 있으나, 여전히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공간활용에는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왔고, 고이는 빗물로 인해 꽂이함 내부의 위생상태가 좋지 아니하다는 단점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좁은공간에 효율적으로 많은 우산을 거치할 수 있고,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빗물로 인해 주변이 지저분해 지거나 악취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인 빗물의 제거가 용이하며, 길이가 다양한 우산들이 두루 거치 될 수 있는 우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는 바닥에 놓여 지지되며 물이 고일 수 있는 물받이 및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베이스의 결합공에 일단이 결합되어 바닥과 수직하게 선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중심축의 하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부, 중심축의 중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상단을 고정하는 가이드부 및 중심축의 상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이 걸릴수 있도록 구비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는 바닥면에 평판형태로 놓여 지지되는 지지부,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공 및 지지부의 상면에 놓이며 결합공을 중심으로하여 양편으로 분리가 되고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심축은 상단축, 중단축, 하단축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받침부, 가이드부 및 걸이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는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받침판, 받침판에 구비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요홈 및 요홈 내부에서 통공되어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걸이부는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걸이봉 및 걸이봉에 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이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걸림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개의 우산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우산 거치대에 있어서, 장우산과 단우산등 길이가 다양하게 다른 우산들이 각기 공간이 나뉘어 거치되어 길이가 긴 장우산들 틈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우산을 거치하거나 꺼내기가 어려웠던 점이 해소되고, 다수개의 우산을 수납함에 있어서 넓은 공간을 필요치 않고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된 우산들이 정갈하게 정리가 되어 심미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우산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수납되는 공간이 하단에 따로이 마련되고 손쉽게 물을 비울 수 있어, 주변에 물이 흘러 지저분해 지거나 고여있는 물로 인한 악취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지지부에 물받이가 분리되도록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걸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중단축과 상단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구성은 크게 물받이(110) 및 결합공(121)이 구비되고 바닥면에 놓여 지지되는 베이스(100), 베이스(100)의 결합공(121)에 일단이 결합되어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선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500), 중심축(500)의 하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부(200), 중심축(500)의 중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상단을 고정하는 가이드부(300) 및 중심축의 상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10)이 걸릴수 있도록 구비되는 걸이부(400)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지지부에 물받이가 분리되도록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베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가 바닥면에 안정되게 거치 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을 지닌 평판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130)와 지지부(130)의 중심부분에서 중심축(5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된 지지부(130)에는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물받이(110)가 구비되어 상부에서 흘러 내려온 빗물이 모여서 고일 수 있게 형성되고, 또 다른 실시예로 물받이A(110a) 및 물받이B(110b)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120)를 기점으로 2개의 물이 고이는 구역으로 나뉘어서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130)의 상단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결합부(120)에는 지지부(130)의 중심에서 형성되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어 중심축(500)의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결합공(121)이 형성되고, 결합공은 도 2에서와 같이 중심축(500)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받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받침부(200)는 중심축(500)과 결합 되는 중심축결합공(240)을 기준으로하여 외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받침판(210)이 형성되어 중심축(500)의 하단에서 결합 된다. 받침판(210)의 상면에는 거치되는 우산의 하단을 지지하며 이동을 방지하여 주는 요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220)의 중심부에는 하면으로 관통되어 빗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221)이 구비된다. 상기된 받침부(200)는 거치되는 우산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 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중심축(500)과의 결합구성은 뒤에서 설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가이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가이드부(300)는 중심축(500)과 결합 되는 중심축결합공(240)을 기준으로 하여 외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가이드판(310)으로 형성되어 중심축(500)의 중단에서 결합 된다.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판(310)에는 각각 상하로 관통되는 가이드홀(320)이 형성되고, 우산을 거치시에 가이드홀(320)에 위로부터 우산을 삽입하여 상기되었던 받침부(200)의 요홈(220)에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고 가이드홀(220)에 의하여 우산의 중단부가 좌우로 구속되어 우산이 거치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되었던 받침부(200)와 함께 우산이 거치되도록 구속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거치되는 우산의 중단부를 수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주며, 중심축(50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 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중심축(500)과의 결합구성은 뒤에서 함께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걸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걸이부(400)는 길이가 짧은 접이식우산의 걸림줄(10)을 이용하여 우산이 거치되는 것으로 중심축(500)과 결합 되는 중심축결합공(240)을 기준으로 하여 외곽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봉의 형태로 6개의 걸이봉(410)이 형성되어 중심축(500)의 상단에서 결합 된다. 길이를 지닌 봉의 형태로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이봉(410)의 끝단에는 걸이봉(4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지닌 걸림유닛(420)이 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걸림유닛(42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한 개이상 걸이봉(410)의 외주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되었던 받침부(200), 가이드부(300))는 공히 상단부에 상방을 향하여 원통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레일(230, 330)이 구비되고, 각각의 중심부에는 원형레일(230, 330)의 내측으로 상하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중심축결합공(240, 340)이 형성되어 중심축(500)이 관통하여 결합 된다.
중심축(500)은 막대형상으로 하단이 베이스(100)의 지지부(130)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받침부(200)가, 중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300)가, 상단부에는 상기 걸이부(400)가 결합 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받침부(200), 가이드부(300) 및 걸이부(400)는 중심축(500)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중단축과 상단축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우천시에 주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특성상 상기 중심축(500)은 하단축(510), 중단축(520) 및 상단축(530)이 서로 동축상에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단축(510), 중단축(520) 및 상단축(520)은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상단에 삽입부(511, 521, 531)와 베어링부(512, 522, 533)가 형성되고 각각의 하단에는 축결합부(513, 523, 533) 및 하우징(524, 534)이 형성된다.
삽입부(511, 521, 531)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개방구로 형성되어,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축결합부(513, 523, 533)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축결합부(513, 523, 533)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524, 534)의 내부로 상기 되었던 받침부(200) 및 가이드부(300)의 원형레일(230, 330)이 끼워지고, 하우징(524, 534) 내부의 원형으로 형성된 공간을 따라 하단축(510), 중단축(520) 및 상단축(530)의 상단에 형성된 베어링부(512, 522, 532)상에서 각각의 받침부(200), 가이드부(300) 및 걸이부(40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천시에 사용되는 우산에는 길이가 긴 장우산과 2단 혹은 3단등으로 접을 수 있는 단우산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는 다양한 길이를 지닌 우산들이 두루 거치 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장우산의 경우 가이드부(300)의 가이드판(310)에 수직으로 형성된 가이드홀(320)로 우산을 넣어 중심축(5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부(200)의 받침판(210)상에 구비된 요홈(220)에 장우산의 하단이 위치하게 하여 거치되고, 상기 요홈(220)은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배수공(221)이 형성되어 우산의 거치시에 흘러내리는 빗물이 베이스(100)에 형성되어 있는 물받이(110)에 고일 수 있도록 한다.
2단 혹은 3단등으로 접을 수 있는 단우산의 경우 도 1을 참조하여 각각의 우산에 걸림줄(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의 중심축(500)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걸이부(400)의 걸이봉(410)에 상기 걸림줄(10)을 걸어 단우산이 거치되고, 여러개의 장우산 및 단우산을 거치시에는 거치된 장우산과 장우산의 사이에 단우산이 위치되도록 걸이부(400), 가이드부(300) 및 받침부(200)를 적절하게 회전시켜 공간을 배분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물받이(110)는 물받이A(110a) 및 물받이B(110b)로 분리 형성되어 물받이(110)에 고인 물을 간단하게 비울 수 있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대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중심축(500)을 하단축(510), 중단축(520) 및 상단축(530)으로 분리하여 놓을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거치대는 길이가 다양한 우산들을 두루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도 많은 수의 우산이 거치 될 수 있어 공간효율성을 높이게 되고, 물받이에 고이는 빗물을 편리하게 비울 수 있는 구조로 주변의 청결상태도 유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걸림줄 100 : 베이스
110 : 물받이 110a : 물받이A
110b : 물받이B 120 : 결합부
121 : 결합공 130 : 지지부
200 : 받침부 210 : 받침판
220 : 요홈 221 : 배수공
230, 330 : 원형레일
240, 340 : 중심축결합공
300 : 가이드부 310 : 가이드판
320 : 가이드홀 400 : 걸이부
410 : 걸이봉 420 : 걸림유닛
500 : 중심축 510 : 하단축
520 : 중단축 530 : 상단축
511, 521, 531 : 삽입부
512, 522, 532 : 베어링부
513, 523, 533 : 축결합부
524, 534 : 하우징

Claims (6)

  1. 우산이 거치되는 거치대에 있어서,
    바닥에 놓여 지지되며 물이 고일 수 있는 물받이 및 결합공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결합공에 일단이 결합되어 바닥과 수직하게 선형으로 형성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하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받침부;
    상기 중심축의 중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상단을 고정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중심축의 상단부에서 외곽으로 연장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이 걸릴수 있도록 구비되는 걸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바닥면에 평판형태로 놓여 지지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 형성되는 결합공; 및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하여 양편으로 분리가 되고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구비되어 우산의 하단이 지지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 내부에서 통공되어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은 상단축; 중단축; 하단축;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가이드부 및 걸이부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외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6개의 걸이봉; 및
    상기 걸이봉에 형성되어 우산의 걸림줄이 이탈하지 않도록 걸리게 되는 걸림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대.
KR1020140188260A 2014-12-24 2014-12-24 우산 거치대 KR101699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60A KR101699306B1 (ko) 2014-12-24 2014-12-24 우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260A KR101699306B1 (ko) 2014-12-24 2014-12-24 우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49A KR20160077849A (ko) 2016-07-04
KR101699306B1 true KR101699306B1 (ko) 2017-01-24

Family

ID=5650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260A KR101699306B1 (ko) 2014-12-24 2014-12-24 우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99A (ko) * 2020-12-03 2022-06-10 최은서 우산 거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3631B (zh) * 2017-05-12 2018-02-09 温州瓯林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型壁挂式雨伞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561B2 (ja) * 1991-05-23 2000-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KR100937436B1 (ko) * 2008-02-21 2010-01-19 (주)우영금속 우산꽂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564B2 (ja) * 1989-06-14 1997-03-12 村田機械株式会社 双糸の糸継ぎ方法
JPH0668574U (ja) * 1993-03-11 1994-09-27 有限会社吉田事務所 傘立て及び傘立て用錠
JPH09238812A (ja) * 1996-03-04 1997-09-16 Toru Hashi 傘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561B2 (ja) * 1991-05-23 2000-03-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KR100937436B1 (ko) * 2008-02-21 2010-01-19 (주)우영금속 우산꽂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99A (ko) * 2020-12-03 2022-06-10 최은서 우산 거치 장치
KR102413216B1 (ko) * 2020-12-03 2022-06-24 최은서 우산 거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849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9962B1 (fr) Panier à différents usages, réductible en hauteur
KR100940356B1 (ko) 낚시 받침대 지지장치
KR101118088B1 (ko) 빨래 건조대
KR101699306B1 (ko) 우산 거치대
US20110154677A1 (en) Ringed Umbrella Dryer
US7207074B1 (en) Dish drying rack system
US6401381B1 (en) Fishing rod holder
US20180153350A1 (en) Portable Campground Sink
KR200470156Y1 (ko) 회전 가능한 배수대가 구비된 식기 건조대
KR20110051310A (ko) 타프 지주용 팩
KR20120055057A (ko) 낚시대 받침장치
KR101378114B1 (ko) 쓰레기봉투용 벌림 거치대
CN109567435B (zh) 具备开闭式固定夹的多用途置物架
KR200458059Y1 (ko) 랜턴걸이 지지대
US20080083861A1 (en) Plant hanger
KR200449636Y1 (ko) 빨래 건조대
KR20210000115U (ko) 쓰레기봉투 지지용 조립체
KR20100025636A (ko) 우산 재치대
KR101158565B1 (ko) 넘어짐 방지를 위한 세탁물 건조대
KR200178664Y1 (ko) 다단식 우산꽂이
CN215937009U (zh) 一种便于组装的雨伞沥水架
JPH09238812A (ja) 傘収納装置
KR20130005798U (ko) 우산보관통
CN209846816U (zh) 一种墙根位置的雨伞固定装置
CN207707713U (zh) 一种家用挂伞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