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16B1 - 우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216B1
KR102413216B1 KR1020200167477A KR20200167477A KR102413216B1 KR 102413216 B1 KR102413216 B1 KR 102413216B1 KR 1020200167477 A KR1020200167477 A KR 1020200167477A KR 20200167477 A KR20200167477 A KR 20200167477A KR 102413216 B1 KR102413216 B1 KR 10241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holder
holder
hole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199A (ko
Inventor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최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서 filed Critical 최은서
Priority to KR102020016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21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거치 보관할 수 있고,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나아가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부가 전방 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 상기 빗물 보관함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빗물 보관함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고 구비되며, 바닥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 상기 지지함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 및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하부에서의 상기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우산 거치 장치 {UMBRELLA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우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거치 보관할 수 있고,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나아가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부가 전방 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비를 피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우산은 실내에서 접혀져서 보관이 되는데, 물기를 머금고 있어 우산을 세워둔 장소에 물기가 흘러내러 주변이 젖게 되고 지저분해 지는 불편이 있어왔다.
이에 물받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통에 우산을 꽂아 보관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우산의 디자인과 구조가 다양화 되어 길이가 긴 장우산, 2단접이식, 3단접이식 우산등으로 접었을 때 길이가 일정하지 않은 다양한 우산을 함께 꽂아 보관하면 우산을 넣는 것과 꺼내는 것이 수월하지 못하였고 심미적으로도 좋지 않을뿐더러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이 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759호 "우산보관통"에서는 내부에 고인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물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물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납하여 주는 물받이통이 구비되어 우산이 수납되는 통의 하부에 고인물을 우산을 꺼내지 않고도 배출할 수 있도록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759호의 우산보관통은, 다양한 길이를 지니고 있는 우산들을 수납하는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짧은 우산의 수납에 있어 겪었던 불편함은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098호 "조립식 우산 보관함"에서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함체와 함체의 개방된 상부면에 장우산과 단우산이 각기 수납될 수 있는 장우산 거치대 및 단우산 거치대가 구비되어 장우산 사이에서 단우산이 파묻혀 넣거나 꺼내기에 불편하였던 점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0098호의 조립식 우산 보관함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우산의 길이가 획일화되어 있지 아니하여 단우산 거치대에 거치되어야 할 접이식 우산의 경우 단우산 거치대와 장우산 거치대 모두 거치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되고, 또한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고이는 함체는 우산을 모두 제거하여야만 물을 비울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189호 "우산 꽂이함"에서는 우산이 꽂아지는 상판의 하부에 내경이 줄어들며 연장형성된 단턱을 구비하여 긴우산의 경우는 단턱에 걸리지 않고, 짧은 우산의 경우는 단턱에 걸려 손잡이가 상판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우산 꽂이함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3189호의 우산 꽂이함은, 여전히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여 공간활용에는 개선의 필요성이 있어왔고, 고이는 빗물로 인해 꽂이함 내부의 위생상태가 좋지 아니하다는 단점도 함께 지니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고 20-0469759(2013.11.0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0098(2013.11.2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3189(2005.08.1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959(2003.12.0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09155(2017.02.2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거치 보관할 수 있고,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용이하게 버릴 수 있는 우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부가 전방 측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 상기 빗물 보관함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빗물 보관함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고 구비되며, 바닥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 상기 지지함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하부의 상기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에 대한 우산의 거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하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 상기 지지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빗물 보관함 및 지지함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은 바닥부의 저면에 지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빗물 보관함 및 지지함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은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은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제1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된 위치의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 및 상기 지지봉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함의 바닥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우산꽂이 구멍 및 제2 우산꽂이 구멍에 일측을 축으로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스프링; 상기 개폐판의 회전축 부근의 상기 제1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돌출판에 구비되며,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함의 하측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봉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센서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대하여 기억하고 있는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와,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 여부에 근거하여 검출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마그네틱 센서를 판단하는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 및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에서 판단된 마그네틱 센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로부터 불러내어 해당 마그네틱 센서의 위치가 기준 위치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회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 보관함의 외면에는 기준 위치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거치 보관할 수 있어 추후 사용자가 본인의 우산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우산끼리 엉킴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어 바닥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부가 사용자 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제작한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제작한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빗물 보관함(110); 지지함(120); 지지봉(130);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110);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바닥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바닥부에 소정 높이의 간격을 갖고 구비되며, 바닥면에 복수의 관통구멍(121)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120); 상기 지지함(12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지지봉(130); 상기 지지봉(13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141)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 및 상기 지지봉(130)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151)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를 포함한다.
상기 빗물 보관함(110)은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120)을 분리하여 그 내부에 모아진 빗물을 버리게 된다.
상기 빗물 보관함(11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 보관함(110)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의 우산꽂이 구멍(141)과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의 우산꽂이 구멍(151) 각각에 꽂아진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지지함(120)의 관통구멍(121)을 통해 빠져나와 빗물 보관함(110)에 모이게 되고, 상기 지지함(120)을 분리한 후, 그 내부에 모인 빗물을 처리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함(120)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의 간격을 갖고 구비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110)과의 사이 공간에 빗물이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함(12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로 형성되거나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구멍(121)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저면에 지지 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함(120)은 저면에 지지 돌기(122)가 형성되는 대신에,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함(120)은 그 거치 플랜지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테두리부에 거치됨으로써 그 바닥부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바닥부 간에 빗물이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봉(130)은 상기 지지함(12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와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간격을 갖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제1 우산꽂이 구멍)(1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은 제2 우산꽂이 회전판(140)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간격을 갖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제2 우산꽂이 구멍)(15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우산꽂이 구멍(151)은 지지봉(1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에 형성된 제1 우산꽂이 구멍(141)이 형성된 위치의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a), 및 상기 지지봉(1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a)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a)은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의 제1 우산꽂이 구멍(141)을 통과한 장 우산(긴 우산)이 꽂아지고,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b)에는 장 우산에 비하여 짧은 2단 우산 또는 3단 우산이 꽂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로서, 상기 지지봉(130)은 지지함(12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은 상기 지지봉(130)에 고정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110);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바닥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110)의 바닥부에 소정 높이의 간격을 갖고 구비되며, 바닥면에 복수의 관통구멍(121)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120); 상기 지지함(120)의 중앙부에 베어링 부재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봉(130); 상기 지지봉(13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141)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 및 상기 지지봉(130)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151)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우산꽂이 구멍(151)은 지지봉(1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에 형성된 제1 우산꽂이 구멍(141)이 형성된 위치의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a), 및 상기 지지봉(1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a)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151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는,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140)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150)이 지지봉(130)의 회전으로 함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포함되는 제어 모듈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는, 우산을 거치 보관하기 위한 우산 거치 장치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빗물 보관함(210); 지지함(220); 지지봉(230);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 구동 장치(270); 제어 모듈(280); 및 배터리(29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는, 우산을 거치 보관하기 위한 우산 거치 장치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210);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내측에 구비되되, 바닥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바닥부에 소정 높이의 간격을 갖고 구비되고, 바닥부에 복수의 관통구멍(221)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220); 상기 지지함(22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봉(230); 상기 지지봉(230)의 중간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241)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 상기 지지봉(23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251)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우산꽂이 구멍(241)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의 우산꽂이 구멍(251)에 우산의 거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280)로 전달하여 상기 지지봉(2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 상기 지지함(2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230)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270);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270)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280); 및 상기 제어 모듈(280)에 작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29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우산꽂이 구멍(241)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의 우산꽂이 구멍(251)에 우산의 거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270)로 전달하여 상기 지지봉(2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빗물 보관함(210)은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220)을 분리하여 그 내부에 모아진 빗물을 버리게 된다.
상기 빗물 보관함(21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빗물 보관함(210)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우산꽂이 구멍(241)과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의 우산꽂이 구멍(251) 각각에 꽂아진 우산으로부터 흘러내린 빗물이 상기 지지함(220)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빠져나와 빗물 보관함(210)에 모이게 되고, 상기 지지함(220)을 분리한 후, 그 내부에 모인 빗물을 처리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함(220)은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형상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내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부가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바닥부에서 소정 높이의 간격을 갖고 구비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210)과의 사이 공간에 빗물이 모이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함(220)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로 형성되거나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장착 공간을 갖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함(220)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바닥부의 저면에 지지 돌기(222)가 형성되어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함(220)의 바닥부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지거나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230)은 상기 지지함(220)의 중앙부에 베어링 부재(231)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와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간격을 갖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제1 우산꽂이 구멍)(2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은 제2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간격을 갖고 복수의 우산꽂이 구멍(제2 우산꽂이 구멍)(25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우산꽂이 구멍(251)은 지지봉(2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에 형성된 제1 우산꽂이 구멍(241)이 형성된 위치의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251a), 및 상기 지지봉(230)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251a)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251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251a)은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제1 우산꽂이 구멍(241)을 통과한 장 우산(긴 우산)이 꽂아지고,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251b)에는 장 우산에 비하여 짧은 2단 우산 또는 3단 우산이 꽂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240)의 우산꽂이 구멍(241)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250)의 우산꽂이 구멍(251)에 우산의 거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280)로 전달하여 상기 지지봉(230)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은 상기 제1 및 제2 우산꽂이 구멍(241, 242)에 일측을 축으로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판(261)과, 상기 개폐판(261)을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스프링(262)와, 상기 개폐판(261)의 회전축 부근에서 상기 제1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240, 250)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263)과, 상기 개폐판(261)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264), 및 상기 돌출판(263)에 구비되며,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280)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센서(26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260)은 상기 개폐판(261)이 제1 및 제2 우산꽂이 구멍(241, 242)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그 제1 및 제2 우산꽂이 구멍(241, 242)으로 삽입되게 되면, 개폐판(261)은 일측을 축으로 회동하여 돌출판(263)을 향하게 되고, 이때 개폐판(261)에 구비된 자석(264)과 돌출판9263_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265)에 의해 우산이 거치되었음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 모듈(280)로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제어 모듈(280)에서는 우산이 거치된 것으로 검출되지 않은 구멍이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270)를 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 장치(270)는 상기 지지함(220)의 하측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271), 및 상기 구동 모터(271)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봉(230)으로 전달하여 지지봉(230)이 회전하도록 하는 기어트레인(272)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280)은,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70)의 마그네틱 센서(265)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대하여 기억하고 있는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281)와,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70)의 마그네틱 센서(265)로부터 검출 신호 여부에 근거하여 검출 신호가 없는 마그네틱 센서(265)를 판단하는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 및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에서 판단된 마그네틱 센서(265)에 대한 위치 정보(위치값)를 상기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281)로부터 불러내어 해당 마그네틱 센서(265)의 위치가 기준 위치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280)를 회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283)를 포함한다.
상기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281)는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270)의 마그네틱 센서(265)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대하여 기억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대하여 마그네틱 센서(265) 각각에 대한 각도,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가 6개인 경우,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또는 반시계방향으로) 0°, 60°, 120°, 180°, 240°, 300°의 각도값을 부여하여 저장되어 있다.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270)의 마그네틱 센서(265)로부터 검출 신호 여부에 근거하여 검출 신호가 없는 마그네틱 센서(265)를 판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마그네틱 센서(265) 각각에서 검출 신호의 발생 유무로 해당 우산꽂이 구멍(241 또는 251)에 우산이 거치되거나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 제어부(283)는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에서 우산이 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틱 센서(265)에 대하여 상기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281)로부터 어느 각도의 마그네틱 센서(265)인지 해당 각도값(예를 들면, 0 °, 60°, 120°, 180°, 240°, 300°의 각도값 중 적어도 하나)을 불러오고, 해당 각도값을 갖는 마그네틱 센서(265)의 각도값이 기준 위치에 오도록 상기 구동 장치(280)를 회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에서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 구멍이 복수개 일 경우, 상기 구동장치 제어부(283)는 그 복수 개 중 어느 하나만이 기준 위치에 오도록 제어하며,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282)에서 우산이 모두 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동장치 제어부(283)는 회전 제어를 실행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빗물 보관함(210)의 외면에는 본 발명의 우산 거치 장치에 대한 기준 위치가 전방을 향하도록, 즉 사용자가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기준 위치 표시부가 표시되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290)는 충전형 배터리 또는 교체형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290)에 더하여, 상시 전력망(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케이블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부들에서 지지함(220)에 구비되는 전기전자적 구성부들, 즉 구동 장치(270), 제어 모듈(280) 및 배터리(290)는 지지함(220)의 하측 내부 공간의 천장부에 고정되며, 수밀하게 에폭시나 실리콘 재질로 매립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 거치 장치에 의하면,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거치 보관할 수 있어 추후 사용자가 본인의 우산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우산끼리 엉킴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산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어 바닥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이 거치되지 않는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거치되지 않는 우산꽂이부가 사용자 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며,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빗물 보관함
120, 220: 지지함
121, 221: 관통 구멍
122, 222: 지지 돌기
130, 230: 지지봉
140, 240: 제1 우산꽂이 회전판
141, 241: 제1 우산꽂이 구멍
150, 250: 제2 우산꽂이 회전판
151, 251; 제2 우산꽂이 회전판
151a: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
151b: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
231: 베어링 부재
260: 우산거치 검출 수단
261: 개폐판
262: 탄성 스프링
263: 돌출판
264: 자석
265: 마그네틱 센서
270: 구동 장치
271: 구동 모터
272: 기어 트레인
280: 제어 모듈
281: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
282: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
283: 구동장치 제어부
290: 배터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빗물 보관함;
    상기 빗물 보관함의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빗물 보관함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고 구비되며, 바닥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의 지지함;
    상기 지지함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제1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1 우산꽂이 회전판;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하부의 상기 지지봉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복수의 제2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되는 제2 우산꽂이 회전판;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과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에 대한 우산의 거치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하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우산거치 검출 수단;
    상기 지지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장치;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에 작동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보관함 및 지지함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은 바닥부의 저면에 지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보관함 및 지지함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 함체,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함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함은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은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사이즈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우산꽂이 회전판의 우산꽂이 구멍은, 상기 제1 우산꽂이 회전판의 제1 우산꽂이 구멍이 형성된 위치의 동일 연장 선상에 형성되는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 및 상기 지지봉을 동심원으로 하고, 상기 내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측의 제2 우산꽂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함의 바닥부는 일측으로 경사지거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거치 검출 수단은,
    상기 제1 우산꽂이 구멍 및 제2 우산꽂이 구멍에 일측을 축으로 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 스프링;
    상기 개폐판의 회전축 부근의 상기 제1 및 제2 우산꽂이 회전판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판;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돌출판에 구비되며,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지지함의 하측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지지봉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마그네틱 센서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위치에 대하여 기억하고 있는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와, 상기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검출 신호 여부에 근거하여 검출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마그네틱 센서를 판단하는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 및 상기 우산꽂이구멍 거치여부 판단부에서 판단된 마그네틱 센서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우산꽂이구멍 위치 저장부로부터 불러내어 해당 마그네틱 센서의 위치가 기준 위치에 있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회전 제어하는 구동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 보관함의 외면에는 기준 위치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거치 장치.
KR1020200167477A 2020-12-03 2020-12-03 우산 거치 장치 KR10241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77A KR102413216B1 (ko) 2020-12-03 2020-12-03 우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77A KR102413216B1 (ko) 2020-12-03 2020-12-03 우산 거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99A KR20220078199A (ko) 2022-06-10
KR102413216B1 true KR102413216B1 (ko) 2022-06-24

Family

ID=8198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77A KR102413216B1 (ko) 2020-12-03 2020-12-03 우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2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57Y1 (ko) * 2005-05-18 2005-08-17 임시영 우산보관대
KR101699306B1 (ko) * 2014-12-24 2017-01-24 문창수 우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959Y1 (ko) 2003-08-16 2003-12-06 대 중 임 신발 수납장의 회전식 다기능 우산보관구조
KR200393189Y1 (ko) 2005-05-23 2005-08-18 이돈복 우산 꽂이함
KR20110009733U (ko) * 2010-04-07 2011-10-13 홍복선 우산 꽂이함
KR200469759Y1 (ko) 2012-03-27 2013-11-08 주식회사 아이펙스 우산보관통
KR200470098Y1 (ko) 2012-05-11 2013-11-27 주식회사 미진지앤지 조립식 우산 보관함
KR101709155B1 (ko) 2015-04-24 2017-02-22 이예원 우산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57Y1 (ko) * 2005-05-18 2005-08-17 임시영 우산보관대
KR101699306B1 (ko) * 2014-12-24 2017-01-24 문창수 우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199A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706B2 (en) Automatic urine collecting apparatus
US7278372B2 (en) Litter box
JP2017530919A (ja) ゴミ箱システムとその関連利用法
US9676002B2 (en) Gold panning assembly
US20110154677A1 (en) Ringed Umbrella Dryer
JP6274592B1 (ja) 傘の脱水機
KR102413216B1 (ko) 우산 거치 장치
KR20180106241A (ko) 휴대용 선풍기
KR101460247B1 (ko) 턴테이블형 우산 자동 보관 장치
KR20130050530A (ko) 빗물 탈수를 겸하는 우산 보관 및 반출 장치
JP2019535290A (ja) 自動おやつディスペンサ
US7320150B2 (en) Automatic dust pan broom
US6467499B1 (en) Reel and hose covering device
KR20030016633A (ko) 휴대용 진공청소기
CN108260535A (zh) 宠物厕所
TWI780192B (zh) 釣魚用捲線器
CN209995875U (zh) 一种充电式果汁机
JP3215001U (ja) 麺流し器
JP2004033700A (ja) 雨傘用自動水切り機
CN211112769U (zh) 毛绒收集器及控制系统
JP3840983B2 (ja) 排水口フィルタ
CN205860167U (zh) 油烟机
CN219438000U (zh) 一种用于病媒生物密度监测用手持式蚊虫采样器
KR20150071924A (ko) 낚싯대용 안전걸이
CN211333124U (zh) 一种新型供水设备用维修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