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278U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Google Patents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278U KR20130006278U KR2020120003269U KR20120003269U KR20130006278U KR 20130006278 U KR20130006278 U KR 20130006278U KR 2020120003269 U KR2020120003269 U KR 2020120003269U KR 20120003269 U KR20120003269 U KR 20120003269U KR 20130006278 U KR20130006278 U KR 2013000627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drip tray
- space
- storage
- dr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크, 수저, 국자 등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조리도구들을 직립되게 수직으로 수납토록 하는 다수의 수납통들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받쳐주도록 하고, 또한 저면에는 별도의 물받이통을 착탈식으로 설치하면서도 유동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는 금속 재질의 봉체가 절곡되어 상부로 개구되는 다수의 수납공간(110)과 하부에는 전면으로 개구되는 물받이통거치공간(120)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통(20)(21)(22)과, 상기 물받이통거치공간에 삽입체결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봉(15)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되게 용접으로 연결고정되어 서랍식으로 체결되는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턱(5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지지봉(13)과 이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지지봉(14)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는 도자기 재질의 손잡이(4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이는 금속 재질의 봉체가 절곡되어 상부로 개구되는 다수의 수납공간(110)과 하부에는 전면으로 개구되는 물받이통거치공간(120)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통(20)(21)(22)과, 상기 물받이통거치공간에 삽입체결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봉(15)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되게 용접으로 연결고정되어 서랍식으로 체결되는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턱(5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지지봉(13)과 이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지지봉(14)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는 도자기 재질의 손잡이(4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크, 수저, 국자 등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조리도구들을 직립되게 수직으로 수납토록 하는 다수의 수납통들을 안전하고도 편리하게 받쳐주도록 하고, 또한 저면에는 별도의 물받이통을 착탈식으로 설치하면서도 유동없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 수저, 국자, 주걱, 집게 등과 같은 각종 주방용품(이하 "조리도구"라 칭함)들은 주방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만 하는 조리도구들로서, 이들은 여러 가지 형태의 수납통에 수직으로 수납되거나 또는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박스형의 수납통에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주방내의 조리대와 근접되는 위치에 나란히 걸어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박스형의 수납통은 대부분 덮개가 구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이 구분되지 않고 눕혀진 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시 필요로 하는 조리기구만을 쉽게 인출하기가 쉽지 않은 등 사용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조리도구들은 수직으로 수납하기 위한 직립형의 수납통은 상부가 개구되는 통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리도구들을 쉽게 넣고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대부분 하부가 막힌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세척 후 표면에 남아있는 물이 흘러내려 바닥에 고이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 수납통의 조리도구들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수납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직립형 수저통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닥면에 물 배출공이 통공된 직립형 수저통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344034호로서, 수저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게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윈통형의 수납통과, 이 수납통의 하부에 체결되는 받침통과, 상기 받침통이 착탈 가능토록 형성되면서 수납통과 받침통으로 배수되는 물을 저수함과 동시에 수납통을 지면으로부터 안정되게 받쳐주도록 하는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저통은 각종 조리기구를 넣고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이 하나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임에 따라 길이가 거의 유사한 조리기구들만을 수납할 수 있고, 길이를 달리하는 다른 조리기구들은 동시에 사용하기에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서로 다른 높이와 크기를 가지는 여러 가지 조리기구, 예컨데, 포크, 찻수저, 수저, 뒤지게, 국자, 주걱 등을 하나의 수납공간에 수납할 경우 수납도 용이하지 못하겠지만 사용시 인출도 어렵고 번거러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수저통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46932호인 '기립형 수저통'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통이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거치되면서도 프레임의 하부에는 서랍식으로 착탈이 가능한 물받이통이 설치되고, 수납통의 내부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할대가 상부의 개구부를 통해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저통은 하나의 수납통을 분할대로서 다수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많은 조리기구를 수납하는데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납통의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조리기구들을 수납시 길이가 짧은 조리기구(예:포크, 찻수저)들은 보이지 않게 되는 반면에 길이가 긴 국자, 집게, 주걱 등의 경우는 무게중심이 위에 있어서 수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은 금속봉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프레임의 저면에서 넣고 꺼낼 수 있는 서랍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운반시나 약간의 부주의에 의해서도 물받이통이 쉽게 이탈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로서는 금속봉을 절곡한 프레임에 다수의 수납통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의 구성은 프레임의 저면에 물받이통이 없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의 불편함과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조리기구 수납통을 안정되게 나란히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다단의 수납통에 각기 맞는 높이와 크기를 가지는 조리기구들을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대의 저면에 별도의 물받이통을 서랍식으로 형성하면서도 받침대의 레일상에는 물받이통의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물받이통의 체결시 유동없이 안정되게 체결되도록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각각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면서도 이의 손잡이는 손잡이로서의 기능과 장식적인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여러 가지 문양을 가지는 도자기 재질로 형성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개선된 형태의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상기 본 고안의 받침대는 금속봉을 절곡하여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수납통이 나란히 체결될 수 있는 프레임와, 상기 프레임에 나란히 안착되면서도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3단의 수납통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물받이통을 갖춤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물받이통이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레일상에는 물받이통을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통 이탈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받침대를 이동시에도 물받이통이 빠지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의 기능과 더불어 전체적인 장식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금속봉을 절곡한 프레임에 그 높이가 서로 다른 3개의 수납통을 나란히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장 낮은 높이의 수납통에는 포크, 찻수저 등의 작은 조리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또한 중간 높이의 수납통에는 수저, 해당되는 크기의 국자, 주걱, 가위 등의 조리기구를 수납할 수 있으며, 마지막 가장 큰 높이의 수납통에는 비교적 길이가 긴 국자, 주걱, 가위, 뒤지게, 집게, 거품기 등의 조리기구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저면에 하나의 물받이통을 서랍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수납통에 수납되는 각종 조리기구들의 세척시 이들에게서 발생되는 물을 받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물받이통이 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체결되는 레일상에 물받이통의 이탈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물받이통의 안정된 체결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이동시나 부주위 등으로 인하여 물받이통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각종 무늬가 새겨진 도자기 재질의 손잡이가 설치됨으로써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장식적인 기능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프레임에 물받이통이 안착된 일부측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수납통을 보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손잡이부를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또다른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도 10에서 물받이통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도 10에서의 프레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프레임에 물받이통이 안착된 일부측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수납통을 보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손잡이부를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또다른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 도 10에서 물받이통을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도 10에서의 프레임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상세히 구조를 보인 도면이며, 도 8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 수납통의 받침대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의 받침대(100)는 금속봉체가 대략 직사각형의 절곡되어 골격을 이루어지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세 개의 수납통(20)(21)(22)과,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서랍식으로 체결되어 수납통(20)(21)(22)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아서 저수토록 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굵은 철사와 같은 형태의 봉체가 절곡되어 직사각형으로 용접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골격을 유지토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10)의 구조는 직사각형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봉(11)이 상,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이들의 양측면에는 기둥의 기능을 제공하는 수직지지봉(12)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110)은 다수의 수납통(20)(21)(22)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부측 수평지지봉(11)에는 두 개의 구획봉(12)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수납공간(110)은 세 개의 수납공간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봉(12)은 사방의 모서리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프레임(10)의 전체적인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수직지지봉(13)은 양측의 상부가 전,후 연결되는 형태로 절곡됨과 동시에, 이 수직지지봉(12)의 외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손잡이지지봉(14)이 각각 설치되고, 이들 수직지지봉(13)과 손잡이지지봉(14)의 사이에는 별도의 손잡이(40)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봉(13)과 손잡이지지봉(14)의 사이에는 도 7에서 보듯이 일정한 간격이 형성됨과 동시에 금속 재질이 가지는 특성상 이들 사이에는 탄력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손잡이(40)가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40)는 도자기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동식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양이 새겨지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도자기가 가지는 특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매우 고급스러우면서도 뛰어난 장식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수평지지봉(11)의 하부 양측면에는 레일봉(15)이 각각 설치되어 하부측 수평지지봉(11)과의 사이에 물받이통(30)이 서랍식으로 설치될 수 있는 물받이통 거치공간(120)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물받이통(30)은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부가 개구됨과 동시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수납통(20)(21)(22)에서 배수되는 물을 받아서 버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봉(15)은 역시 금속봉이 절곡되어 하부측 수평지지봉(11)과 수직지지봉(13)에 각각 용접으로 연결설치되는 것이며, 이들 전면의 소정위치에는 각각 물받이통(30)이 서랍식으로 체결되어 그 전면이 걸려져 고정될 수 있는 이탈방지턱(50)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턱(50)은 양측 레일봉(15)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상향 돌출되게 고정설치됨으로써 물받이통(30)이 삽입체결될 시 물받이통(30)의 전단 양측이 각각 걸려져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50)은 용접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의 도8에서 보듯이 레일봉(15)의 일부를 상향 돌출되게 절곡하는 방법에 의해 이탈방지턱(5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9에서 보듯이 레일봉(15)의 물받이통(30)이 안착되는 구간만큼 하부로 절곡되는 안착홈(50b)으로 형성함으로써 물받이통(3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수납공간(110)에 수납되는 상기 수납통(20)(21)(2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세 개가 하나의 세트로 형성되어 구획봉(12)에 의해 구획되는 수납공간(110)에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수납통(20)(21)(22)은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20a)들이 각각 천공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짐에 따라 해당되는 높이에 맞는 조리도구들을 수직으로 수납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수납통(20)(21)(22)들은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이나,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각통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의 수납통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내부에 세 개로 이루어지는 수납공간(110)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수납통(20)(21)(22)들을 나란히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또한 프레임(10)의 저면 물받이통거치공간(120)에는 물받이통(30)을 서랍식으로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수납통(20)(21)(22)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짐에 따라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수납통(20)에는 포크, 찻수저 등 비교적 길이가 짧은 조리도구들을 수납하게 되고, 중간크기의 수납통(21)에는 해당되는 높이에 맞게 수저를 비롯한 소국자, 소주걱, 소집게 등의 조리기구들을 수납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가장 높은 수납통(22)에는 비교적 긴 조리도구인 가위, 뒤지게, 국자, 주걱, 거품기, 집게 등을 수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통(30)은 프레임(10)의 하부에 체결되어 각 수납통(20)(21)(22)에 수납되는 조리기구들에서 떨어지는 물이 배수공(20a)을 통하여 배수되면, 이를 받아서 버리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물받이통(30)을 물받이통거치공간(120)으로 삽입체결하게 되면, 자체가 가지는 자중에 의해 레일봉(15)에 안착됨과동시에 그 전단이 레일봉(15)에 설치된 이탈방지턱(50)에 걸려져 유동없이 안정되게 안착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물받이통(30)을 분리시에는 약간 상향으로 들어올리면서 전면으로 당기면 쉽게 분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프레임(10)과 수납통(20)(21)(22), 그리고 물받이통(30)이 모두 분리가 가능함에 따라 세척 및 건조 등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시에는 간편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며, 특히 물받이통(30)은 이탈방지턱(50)에 의해 유동없이 안정되게 체결되어 핸드링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부의 손잡이(40)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다 고급스러운 장식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나, 프레임(10a)의 양측에 손잡이를 갖지 않는 형태의 단순한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프레임(10a)의 수납공간(110)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수납통(20)(21)(22)을 나란히 설치토록 하고, 하부의 물받이통거치공간(120)에는 역시 동일한 구조의 물받이통(30)을 서랍식으로 설치토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의 실시예의 특징은 고가인 도자기 재질의 손잡이를 배제한 단순한 구성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를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것이다.
100:받침대 10,10a:프레임
11:수평지지봉 12:구획봉
13:수직지지봉 14:손잡이지지봉
15:레일봉 20,21,22:수납통
20a;배수공 30:물받이통
40:손잡이 50,50a:이탈방지턱
50b:안착홈 110:수납공간
120:물받이통거치공간
11:수평지지봉 12:구획봉
13:수직지지봉 14:손잡이지지봉
15:레일봉 20,21,22:수납통
20a;배수공 30:물받이통
40:손잡이 50,50a:이탈방지턱
50b:안착홈 110:수납공간
120:물받이통거치공간
Claims (4)
- 금속 재질의 봉체가 절곡되어 상부로 개구되는 다수의 수납공간(110)과 하부에는 전면으로 개구되는 물받이통거치공간(120)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통(20)(21)(22)과, 상기 물받이통거치공간에 삽입체결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봉(15)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되게 용접으로 연결고정되어 서랍식으로 체결되는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턱(5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지지봉(13)과 이의 외측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손잡이지지봉(14)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다양한 문양이 새겨지는 도자기 재질의 손잡이(40);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금속 재질의 봉체가 절곡되어 상부로 개구되는 다수의 수납공간(110)과 하부에는 전면으로 개구되는 물받이통거치공간(120)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의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통(20)(21)(22)과, 상기 물받이통거치공간에 삽입체결되는 물받이통(3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레일봉(15)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향 돌출되게 용접으로 연결고정되어 서랍식으로 체결되는 물받이통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는 이탈방지턱(5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제1항 및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봉(15)은 전면의 소정위치에 상향 돌출되게 절곡되는 이탈방지턱(50a)이 형성되어 물받이통(30)의 이탈을 방지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제1항 및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봉(15)은 하향 절곡되어 물받이통(30)이 안착되는 안착홈(50b)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269U KR20130006278U (ko) | 2012-04-23 | 2012-04-23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3269U KR20130006278U (ko) | 2012-04-23 | 2012-04-23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278U true KR20130006278U (ko) | 2013-10-31 |
Family
ID=5243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3269U KR20130006278U (ko) | 2012-04-23 | 2012-04-23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6278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88099A (zh) * | 2015-03-23 | 2015-06-10 | 黑龙江省柱福科技发展有限公司 | 多功能厨具放置装置 |
CN115813310A (zh) * | 2022-10-31 | 2023-03-21 | 厦门市振鑫盛五金制品有限公司 | 刀叉勺组合放置架及应用其的储存柜 |
-
2012
- 2012-04-23 KR KR2020120003269U patent/KR2013000627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88099A (zh) * | 2015-03-23 | 2015-06-10 | 黑龙江省柱福科技发展有限公司 | 多功能厨具放置装置 |
CN115813310A (zh) * | 2022-10-31 | 2023-03-21 | 厦门市振鑫盛五金制品有限公司 | 刀叉勺组合放置架及应用其的储存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84192B1 (en) | Caddy for holding and draining washing tools | |
US20120266377A1 (en) | Rack system for a sink | |
US20180049590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 |
US7857147B2 (en) | Dish rack with splash guard and dish towel drying handles | |
KR20130006278U (ko) | 주방 조리도구 수납통의 받침대 | |
CN208988794U (zh) | 一种新型洗碗机下碗篮 | |
CN208927155U (zh) | 消毒柜拉篮和消毒柜 | |
KR20210001373A (ko) | 주방용품 정리대 | |
KR20100006522U (ko) | 식기건조대 | |
KR102220131B1 (ko) | 벽면 고정식 상판과 인출식 하부 수납장을 포함하는 싱크대 | |
JP2014019543A (ja) | 五徳状台付三角コーナー | |
CN207613744U (zh) | 一种洗碗机用碗篮 | |
JP5432327B2 (ja) | 鍋蓋スタンド | |
KR102644789B1 (ko)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
JP3013606U (ja) | 籠 棚 | |
CN215424287U (zh) | 一种临时置物架 | |
KR20110007297U (ko) | 냄비뚜껑 걸이 | |
KR200400460Y1 (ko) | 식기건조기 | |
KR200467639Y1 (ko) | 주방용 다목적 테이블 | |
CN208339441U (zh) | 一种餐具收纳装置 | |
KR200496552Y1 (ko) |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 |
CN213850354U (zh) | 一种多功能厨房收纳架 | |
KR101323635B1 (ko) | 다용도 용기구조 | |
CN212213135U (zh) | 一种橱柜拉篮 | |
KR200469894Y1 (ko) | 메밀국수용 그릇의 메밀국수 받침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