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270Y1 -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 Google Patents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270Y1
KR200331270Y1 KR20-2003-0022980U KR20030022980U KR200331270Y1 KR 200331270 Y1 KR200331270 Y1 KR 200331270Y1 KR 20030022980 U KR20030022980 U KR 20030022980U KR 200331270 Y1 KR200331270 Y1 KR 200331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ink
support container
receptacle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to KR20-2003-0022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Landscapes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통상의 씽크(1)의 세척실(3)(3') 일측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조(6)와 이 받침돌조 사이마다 다수의 누수용통공(7)을 뚫고 주연턱(4)을 구성한 식기받침용기(5)를 형성하고 이 식기받침용기(5)의 측면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다수의 누수용 소공(11)을 뚫고 주연턱(9)과 걸이편(10)을 형성한 수저통(8)을 걸쳐지도록함을 특징으로한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Description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omitted}
본고안은 씽크대의 세척실에 걸쳐놓고 세척한 과일, 야채, 식기등을 올려놓고 물을 빼게하고 동시에 주걱이나 포크, 나이프, 수저등을 별도로 올려놓아서 물을 뺄수있도록 구성한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식기나 야채, 과일등을 씽크대의 세척실에서 세척한 다음 별도의 망판에 얹어놓거나 식기의 경우에는 씽크의 일측 받침판에 뒤집어 놓아서 물을빼거나 건조하였고, 과일이나 야채의 경우에는 별도의 바구니 또는 함지박(일명: 바가지) 등에 담아서 물을 빼기때문에 세척물의 물이 주위를 오염시키고 규격화되지 않은 바구니등을 별도로 준비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랐던 것이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결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및 보완하고자 장기간동안 각종실험과 연구를 거듭한 결과 씽크의 세척실에 걸칠수있도록 규격화한 받침용기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수 있도록하고 이 받침용기에 티스픈, 포크, 나이프, 수저등을 세척후 별도록 분리하여 받쳐지게 하여 세척한 잔여 수분을 뺄수있도록 취급,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함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횡단면도
도 3은 본고안의 사용상태의 예시 평면도
세척실(3)(3') 일측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조(6)와 이 받침돌조 사이마다 다수의 누수용통공(7)을 뚫고 주연턱(4)을 구성한 식기 받침용기(5)를 형성하고 이 식기받침용기(5) 측면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다수의 누수용 소공(11)을 뚫고 주연턱(9)과 걸이편(10)을 형성한 수저통(8)을 걸치도록함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의 예시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받침용기(5)를 씽크(1)의 세척실(3)(3')후향쪽에 끼우면 받침용기(5)의 주연턱(9)이 세척실(3)의 주연에 걸쳐지게된다
이렇게 한다음 세척실(3) 또는 (3')에서 세척한 세척물인 야채, 과일, 또는 식기등을 받침용기(5)에 얹어주면 이들 야채, 과일또는 식기등에 묻어있는 잔여물기가 통공(7)으로 누수되여 배출되며, 또 티스픈, 포크, 나이프, 수저등을 세척할 경우에는 수저통(8)을 받침용기(5) 측면에 끼워서 주연턱(9)이 받침용기(5)의 주연에 걸쳐지도록 끼워주며, 수저통(8)의 걸이편(10)은 받침용기(5)의 주연턱(4)에 걸쳐서 지지하는 역할도 하고 분리시킬 때 손잡이 역할도 하게된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씽크의 세척실에 걸쳐지도록 규격화 하였으므로 무거운 접시나 식기등을 얹어주어도 유동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지지되며 수저통 역시 받침용기에 걸쳐지도록 규격화 하였기 때문에 사용도중 빠지거나 기울어지는 폐단이없고, 특히 세척한 세척물의 잔여물기를 주위에 오염시키지 않게 자연탈수토록 하는 효과적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씽크(1)의 세척실(3)(3') 일측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다수의 받침돌조(6)와 이 받침돌조 사이마다 다수의 누수용 통공(7)을 뚫고 주연턱(4)을 구성한 식기 받침용기(5)를 형성하고 이 식기받침용기(5)의 측면에 걸쳐지도록 저면에 누수용 소공(11)을 뚫고 주연턱(9)과 걸이편(10)을 형성한 수저통(8)을 걸쳐지도록함을 특징으로한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KR20-2003-0022980U 2003-07-12 2003-07-12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KR200331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80U KR200331270Y1 (ko) 2003-07-12 2003-07-12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980U KR200331270Y1 (ko) 2003-07-12 2003-07-12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270Y1 true KR200331270Y1 (ko) 2003-10-23

Family

ID=4933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980U KR200331270Y1 (ko) 2003-07-12 2003-07-12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2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913B1 (ko) * 2012-08-12 2013-03-12 성부경 세척용기
KR101410228B1 (ko) * 2013-05-21 2014-06-26 도예림 수저용 개수대를 갖는 싱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913B1 (ko) * 2012-08-12 2013-03-12 성부경 세척용기
KR101410228B1 (ko) * 2013-05-21 2014-06-26 도예림 수저용 개수대를 갖는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5927A (en) Draining and drying device for utensils
US20150216365A1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3091339A (en) Food cleaner type strainer pan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KR200331270Y1 (ko) 씽크대 착탈용 세척물의 받침용기
JP2599249B2 (ja) 厨房用の板状体
JP3361015B2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JPH09192031A (ja) 回転式水切りざる及びその回転式水切りざるを固定する受け皿
JP2509792B2 (ja) 流し台装置
JP3041253U (ja) ホルダー付きまな板およびまな板ホルダー
KR200284176Y1 (ko) 씽크대용 다용도 개수대
KR200475911Y1 (ko) 식기 건조망용 위생덮개
JP2004008728A (ja) 食器用水きりカゴ
CN211341021U (zh) 一种多功能水槽
KR950003605Y1 (ko) 물받이홈을 갖는 접시
RU2209025C2 (ru) Картофелемойка
JPH0354212Y2 (ko)
KR200238488Y1 (ko) 분리가능한 이동식 다기능조리대
JP3124767U (ja) 水切り食器収納器具
KR200388149Y1 (ko) 도마 겸용 세탁판
BR202020001449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a escorredor
JP3008514U (ja) 豆腐の水切り具
JPS6326067Y2 (ko)
KR200183439Y1 (ko) 주방용품 보관구
KR200289818Y1 (ko)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