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818Y1 -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 Google Patents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818Y1
KR200289818Y1 KR2020020017107U KR20020017107U KR200289818Y1 KR 200289818 Y1 KR200289818 Y1 KR 200289818Y1 KR 2020020017107 U KR2020020017107 U KR 2020020017107U KR 20020017107 U KR20020017107 U KR 20020017107U KR 200289818 Y1 KR200289818 Y1 KR 200289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noodles
frui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로
Original Assignee
이장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로 filed Critical 이장로
Priority to KR2020020017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818Y1/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식탁에 오르기 전 물에 의해 씻어낸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이 원활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공간을 작게 차지하고 흘러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더러워지지 않는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을 담아내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바닥면에 복수개가 천공되는 물빠짐을 위한 작은구멍들과;
상기 바닥면보다 조금 높은 상부위치로 상기 용기본체의 원주면을 따라 직경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턱부에 닿아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낙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두도록 형성되는 용기받침대; 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Filtering container for fruits and noodles}
본 고안은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을 위해 사용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추등을 비롯한 야채류는 노지에서 수확하여 식탁에 오르기 전 농약이나 흙등을 씻어내기 위해 흐르는 물에 씻어낸후 용기나 쟁반에 담아 식탁에 올려놓게 된다.
그런데 야채류등은 표면에 물기가 많이 묻어 있으면 이들을 섭취시 식탁주변에 물방울이 흩뿌려지게 되어 즐거워야할 식사 기분을 해치게 되므로 통상 물기가 빠지도록 다공성의 용기로 된 소쿠리등에 담아 식탁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소쿠리만을 사용하게 되면 빠져나온 물이 식탁표면에 흐르게 되므로 반드시 물을 받아낼 수 있도록 별도의 쟁반에 야채를 담은 소쿠리를 받쳐 담아내고 있다.
그러나 소쿠리를 별도 쟁반에 담아내는 것도 번거로운 일이고 또 소쿠리를 빠져나온 물이 식탁을 더럽히지 않고 쟁반내에만 머므르게 된다고 하더라도 쟁반전체로 물이 퍼져나가는 모습을 보게되는 것은 그리 유쾌한 일이 아닐뿐 아니라 쟁반과 소쿠리가 통상 언밸런스하여 미관상 좋지않고 큰 쟁반이 식탁을 협소하게 만들뿐 아니라 소쿠리의 바닥면과 쟁반이 밀착하고 있어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식탁에 오르기 전 물에 의해 씻어낸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이 원활하고, 외관이 미려하며 공간을 작게 차지하고 흘러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더러워지지 않는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는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을 담아내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바닥면에 복수개가 천공되는 물빠짐을 위한 작은구멍들과;
상기 바닥면보다 조금 높은 상부위치로 상기 용기본체의 원주면을 따라 직경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턱부에 닿아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낙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두도록 형성되는 용기받침대;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물빠짐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물빠짐용 용기의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빠짐용 용기 2 : 용기본체
3 : 용기받침대 4 : 바닥면
5 : 작은구멍 6 : 수직면
7 : 지지턱부 8 : 원형의 바닥부
9 : 측벽부 10 : 공간
11 : 야채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동상 물빠짐용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물빠짐용 용기는 부호 1로 나타내었으며,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을 담아내는 용기본체(2)와, 그 용기본체(2)를 밑에서 받혀 지지하는 용기받침대(3)로 구성되어 있다.
물빠짐용 용기(1)는 금속재인 스테인레스나 또는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용기본체(2)의 경우 바닥면(4)에는 물빠짐을 위한 많은 작은구멍(5)들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2)의 경우 바닥면(4)에서 상부로 갈수록 용기가 넓게 확장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바닥면(4)으로부터 대략 수직상방으로 수직면(6)이5~10mm 높이까지 연장되고, 그 수직면(6)의 상단부에서 바깥측으로, 즉 수평방향으로의 확장에 의해 용기의 직경이 급격히 증가하여 형성된 지지턱부(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기받침대(3)는 원형의 바닥부(8)와 측벽부(9)로 구성되어, 상기 측벽부(9)의 상단이 상기 용기본체(2)의 지지턱부(7)에 닿아 용기본체(2)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받침대(3)는 상기 용기본체(2)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용기본체(2)의 바닥면(4)과 원형의 바닥부(8) 사이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1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상추등의 야채를 씻은 후 또는 삶아낸 국수를 물에 헹구어낸 후 그 야채나 국수등을 용기본체(2)에 담고 용기본체(2) 밑에 용기받침대(3)를 위치시켜 지지토록 하면, 이들 야채(11)등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용기본체(2) 바닥면(4)에 형성된 작은구멍(5)들을 통해 밑으로 낙하되게 되며, 이 낙하된 물은 용기받침대(3)에 의해 간직되어져 외부로 방출되는 일이 없으며, 용기받침대(3)가 용기본체(2)를 지지하는 상태에서는 하나의 몸체처럼 보여져 미관을 해치거나 장소를 크게 차지하는 일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후에는 용기받침대(3)를 용기본체(2) 안에 담아 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용적을 걱정하지 아니하여도 되며, 용기받침대(3)는 다른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바닥면에 물이 빠지도록 작은구멍들을 형성하고 있는 용기본체의 하부로 급격한 직경의 확장에 의한 지지턱부를 형성하고 그 지지턱부를 통해 용기본체를 지지토록 하는 용기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용기받침대가 용기본체와 한 세트를 이루게 되므로써 야채나 국수등을 담아낼 때 흘러나오게 되는 물을 용기받침대가 받아내게 되어 별도의 쟁반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외관이 미려하고 용기본체와의 사이에 공간확보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며, 식탁주변이 배수된 물로 오염되는 일이 없고, 식탁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을 담아내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바닥면에 복수개가 천공되는 물빠짐을 위한 작은구멍들과;
    상기 바닥면보다 조금 높은 상부위치로 상기 용기본체의 원주면을 따라 직경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형성되는 지지턱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그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턱부에 닿아 상기 용기본체를 지지하며, 상기 바닥면과의 사이에 낙하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두도록 형성되는 용기받침대;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KR2020020017107U 2002-06-04 2002-06-04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KR200289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07U KR200289818Y1 (ko) 2002-06-04 2002-06-04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07U KR200289818Y1 (ko) 2002-06-04 2002-06-04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818Y1 true KR200289818Y1 (ko) 2002-09-19

Family

ID=7308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07U KR200289818Y1 (ko) 2002-06-04 2002-06-04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62Y1 (ko) 2008-08-07 2010-11-30 정의봉 야채 그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62Y1 (ko) 2008-08-07 2010-11-30 정의봉 야채 그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248B1 (ko) 접이식 채반 및 그릇
US5485927A (en) Draining and drying device for utensils
US5012934A (en) Drainer for drying and storing kitchen and other utensils
US4023305A (en) Device to remove excess water from plant containers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WO2006053932A1 (es) Sarten perfeccionada
US20100065517A1 (en) Dish drainer
KR200289818Y1 (ko)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US20090242558A1 (en) Receptacle cover device
JP6967052B2 (ja) コーヒーパーコレータ
US2632568A (en) Dish draining and drying rack
KR200289819Y1 (ko) 야채나 과일 및 국수류등의 물빠짐용 용기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JP2002045298A (ja)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KR101533070B1 (ko) 돌솥 뚜껑
CN2815233Y (zh) 一种厨房用洗菜筐
KR200268633Y1 (ko)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KR200265916Y1 (ko) 싱크대용 건조대
KR200266665Y1 (ko) 체반용기
KR200469894Y1 (ko) 메밀국수용 그릇의 메밀국수 받침판
JP3055830U (ja) 水切り容器
KR200402661Y1 (ko) 그릇 건조기의 수분 배출장치
KR200230914Y1 (ko) 채반
KR950003605Y1 (ko) 물받이홈을 갖는 접시
CN207544796U (zh) 一种沥水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