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633Y1 -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 Google Patents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633Y1
KR200268633Y1 KR2020010037233U KR20010037233U KR200268633Y1 KR 200268633 Y1 KR200268633 Y1 KR 200268633Y1 KR 2020010037233 U KR2020010037233 U KR 2020010037233U KR 20010037233 U KR20010037233 U KR 20010037233U KR 200268633 Y1 KR200268633 Y1 KR 200268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drying
drying rack
dishes
sc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화자
Original Assignee
동유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유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유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7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6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633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건조대와 수세미 보관통이 구비되는 싱크대가 개시된다. 그러한 싱크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걸림대가 돌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하방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며, 식기 등을 적치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와, 그리고 상기 걸림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개수대에 장착되는 수세미 보관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DRYING DECK OF KITCHEN SINK}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개수대 내측에 건조대를 배치함으로써 용기 등을 적치하여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건조할 수 있으며 또한 수세미 보관통를 배치하여 수세미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일반 가정의 주방에는 설거지나 채소를 씻기 위하여 싱크대가 구비된다.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그에 맞도록 제작 설치되는데, 통상적인 싱크대의 구조는 양념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조리대의 역할을 하는 상판과, 이 상판에 형성되며 일정한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개수대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상기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 혹은 채소 등을 세척하는 경우, 개수대의 내부공간에서 식기, 채소등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식기 등을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으로 이동하여 적치하게 된다.
그리고, 식기 세척 등에 사용된 수세미 등은 싱크대 주위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싱크대에 있어서, 물기 제거를 위하여 식기, 채소 등을 개수대로부터 별도의 건조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번거로우며, 이 경우, 식기 등으로부터 물기가 떨어져 싱크대가 어지럽혀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에 식기 등을 적치하는 경우, 수용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식기 등을 싱크대 주위에 임으로 적치하게 됨으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세미 등을 사용한 후, 적당한 보관장소가 구비되지 않아 싱크대 주위에 적당하게 배열하게 됨으로 미관상 좋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수대의 내부공간에 건조대를 배치하고, 식기, 채소 등을 건조대에 적치함으로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싱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기, 채소 등을 적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경우, 건조대를 구비하여 건조대의 상면에 적치할 수 있음으로 건조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싱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세미 보관통을 구비함으로서 수세미를 미관상 보기좋게 보관할 수 있는 싱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싱크대의 개수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개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개수대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건조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수세미 보관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수세미 보관통용 걸림대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걸림대가 돌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하방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며, 식기 등을 적치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와; 그리고 상기 걸림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개수대에 장착되는 수세미 보관통을 포함하는 싱크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고, 그 상면에 식기 등이 적치되는 망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대는 다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세미 건조통은 상, 중, 하단 프레임과,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걸림대에 걸리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대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절곡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상판에 체결나사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건조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안하는 싱크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장착되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상판(3)과, 이 상판(3)에 대하여 하방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개수대(5)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개수대(5)의 내부에는 식기 등을 적치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건조대(7)와, 수세미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세미 보관통(9)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개수대(5)는 식기 등을 세척할 때 외부로 물이 튀지 않도록 상판(3)의 하부로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수대(5)의 내부측면에는 지지턱(11)이 각각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건조대(7)가 적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를 갖으며, 그 상면에 식기 등이 적치된다. 따라서, 건조대(7)에 적치된 식기로부터 물기가 하방으로 낙하되며 건조대(7)의 사이를 통과하여 개수대(5) 하부의 배출구(11;도3)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건조대(7)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15)과, 상기 프레임(15)의 내부에 장착된 망(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5)은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수대(5;도3)의 지지턱(11;도3)에 얹혀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건조대(7)의 망(21)은 상기 프레임(15)의 내측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다수의 가로 및 세로 와이어(17,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로 및 세로 와이어(17,19)들은 서로 일정 간격씩 떨어져 교차됨으로써 일정 크기의 눈 크기를 갖는다. 이때, 눈 크기는 식기 등이 빠지지 않고, 물기가 낙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와이어(17,19)는 가로 와이어(17)만 설치되거나 혹은 세로 와이어(19)만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직교방향이 아닌 사선방향으로도 와이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달리 다수개의 와이어를 대신하여 평판(도시안됨)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물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홈(도시안됨)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5)과 망(21)은 바람직하게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혹은 다른 금속 재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건조대(7)는 일측에 다리부(23)가 하방으로 장착된다. 상기 다리부(23)는 "V" 자 형상의 와이어를 용접등에 의하여 건조대(7)에 일체로 부착하게 된다. 물론 기타 다른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대(7)를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대(5)의 내측 지지턱(11)에 얹게 되면, 상기 다리부(23)가 개수대(5)의 내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건조대(7)가 지지된다.
이러한 건조대(7)는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개수대(5;도2)의 내부 일측에만 배치될 수 있고, 타측에 다른 건조대(2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망구조를 갖는 건조대(7)를 개수대(5)에 배치함으로써 식기 등을 적치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수대(5)의 일측에는 수세미 보관통(9)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수세미 보관통(9)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수세미 보관통(9)은 상, 중, 하단 프레임(31,33,35)과,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31,33,35)을 서로 연결하는 세로 프레임(37)과, 손잡이부(39)를 포함한다.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31,33,35)은 타원형상을 가지며, 수세미가 그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37)은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31,33,35)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어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31,33,35)을 세로방향으로 감싸므로써 내부에 보관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세로 프레임(37) 중 일단부에 부착된 세로 프레임(41)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폐곡선을 형성한 후, 다시 상기 수세미 보관통(9)의 반대편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수세미 보관통(9)의 상부에는 이러한 세로 프레임(37)에 의하여 손잡이부(39)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부(39)는 싱크대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대(43;도7)에 걸림으로써 상기 수세미 보관통(9)이 싱크대에 고정된다.
상기 걸림대(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상판의 일측에 장착된다. 즉, 상기 걸림대(43)는 수평부(47) 및 수직부(48)로 이루어진 "∩"자 형상을 가지며, 수직부(48)의 저면에는 체결홈(49)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체결홈(49)에는 패킹(51), 평와셔(53), 그리고 스프링 와셔(55)를 관통하여 체결나사(57)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대(43)는 싱크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수세미 보관통(9)의 손잡이부(39)가 상기 걸림대(43)에 걸림으로서 상기 수세미 보관통(9)이 싱크대에 고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개수대의 내측에 건조대를 배치함으로써, 식기 등을 이 건조대에 적치하여 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둘째, 건조대를 개수대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선택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개수대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식기 세척후,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으로 이동하기에 앞서 상기 건조대에서 일차적으로 물기를 제거하여 이동시킴으로, 이동시 물기가 떨어져서 주위가 어지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별도로 마련된 건조공간의 수용면적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건조대에도 식기 등을 적치하여 건조할 수 있다.
다섯째, 수세미 보관통을 장착함으로써 수세미, 행주 등을 사용한 후, 보관통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며 일측에 걸림대가 돌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하방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으며, 그 내측에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개수대와;
    상기 개수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턱에 의하여 지지되며, 식기 등을 적치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와; 그리고
    상기 걸림대에 걸림으로써 상기 개수대에 장착되는 수세미 보관통을 포함하는 싱크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를 서로 연결하고, 그 상면에 식기 등이 적치되는 망을 포함하는 싱크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 건조통은 상, 중, 하단 프레임과, 상기 상, 중, 하단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걸림대에 걸리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대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절곡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상판에 체결나사에 의하여 고정되는 싱크대.
KR2020010037233U 2001-12-03 2001-12-03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KR2002686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33U KR200268633Y1 (ko) 2001-12-03 2001-12-03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233U KR200268633Y1 (ko) 2001-12-03 2001-12-03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633Y1 true KR200268633Y1 (ko) 2002-03-16

Family

ID=7311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233U KR200268633Y1 (ko) 2001-12-03 2001-12-03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6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7694844B2 (en) Spoon basket structure of dish washer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KR20110092320A (ko) 컵 지지부를 갖춘 식기세척기 바스켓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20060100702A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JP2013127195A (ja) 流し台用シンク
KR200268633Y1 (ko) 건조대 및 수세미 보관통이 장착된 싱크대
KR20180001414U (ko)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KR20100006522U (ko) 식기건조대
KR20110099350A (ko) 식기 건조대, 식기 건조대 사용방법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CN208550943U (zh) 筷子盒和消毒柜
KR200496552Y1 (ko)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KR200265916Y1 (ko) 싱크대용 건조대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CN211270611U (zh) 置物架和具有其的清洗机
KR200405509Y1 (ko) 손빨래 세탁대
CN217852861U (zh) 一种清洗篮组件及其清洗机
KR200474776Y1 (ko) 식기 건조대
CN211093896U (zh) 一种洗碗机的托架
KR200341870Y1 (ko) 현가식 식기건조대
CN211355336U (zh) 一种洗碗机搁架及洗碗机
KR100679647B1 (ko) 씽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