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14U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1414U KR20180001414U KR2020160006423U KR20160006423U KR20180001414U KR 20180001414 U KR20180001414 U KR 20180001414U KR 2020160006423 U KR2020160006423 U KR 2020160006423U KR 20160006423 U KR20160006423 U KR 20160006423U KR 20180001414 U KR20180001414 U KR 2018000141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hook
- fixing
- hanger
- fixing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거치용 선반, 렉 선반 및 주방의 싱크대 등에 각종 물품을 거치하여 사용성을 우수하게 향상시켜서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선반 걸이구에 있어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 걸이부(12)를 구비하는 행거부(102)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 전단 상면에 고정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방 고정 걸이부(104)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의 후단 상면에 고정되어 후단부가 처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후방 고정 걸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반 걸이구에 있어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 걸이부(12)를 구비하는 행거부(102)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 전단 상면에 고정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방 고정 걸이부(104)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의 후단 상면에 고정되어 후단부가 처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후방 고정 걸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 거치용 선반, 렉 선반 및 주방의 싱크대 등에 각종 물품을 거치하여 사용성을 우수하게 향상시켜서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는 물품, 즉 그릇이나 주방용품 또는 기타 양념통을 수납하는 수납부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좁은 주방공간에서는 싱크대가 설치됨에 따라 주방용품을 제대로 정리하지 않으면 싱크대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고 물품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그릇을 세척하는 설거지를 하기 위해서는 수세미를 사용해서 이물질을 닦아내고 설거지 후에 행주를 이용하여 그릇을 닦거나 싱크대의 물기를 닦은 후, 물기를 말리기 위해서 싱크대의 상면에 놓아두거나 의자, 도어 등에 걸어서 말리게 된다.
그리고 행주의 경우에는 물기를 손으로 짠 후, 싱크대 위에 방치하여 말리는 경우가 빈번하였는바, 이러한 건조방법은 위생상 매우 좋지 않았으며, 이들로 인하여 싱크대의 주변환경이 더러워지고 습기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거나 벌레들이 꼬이는 등의 주방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방을 청소한 후, 타월과 같은 수건을 이용하여 손에 묻어 있는 물을 닦게 되는데 주방용 수건 역시 물기를 닦은 다음 싱크대에 널어 놓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므로 수건의 위생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리나 걸이구를 사용하여 고리나 걸이구에 수건을 걸어서 보관하게 되는데, 수건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골고루 펼쳐지지 않고 모여있는 상태에서 건조됨에 따라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온도와 습도가 적당하여 유해한 균이 수건이나 행주에 번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위생적으로 매우 불결하였다.
한편, 주방용 물품들 중 국자, 스푼, 뒤집개, 거품기 등은 싱크대의 수납서랍에 넣어두거나 보관함에 넣어 두고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고 있었는바, 필요할 때마다 꺼내서 사용하는 경우 오랜 시간이 경과되어 곰팡이의 번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재사용시에는 일일이 찾아야 했으므로 주방용 물품을 찾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주방용 물품을 걸어놓는 스탠드형의 걸이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스탠드형 걸이구의 경우에는 좁은 싱크대에 장소를 차지하게 됨으로써 공간활용이 불편하였고 싱크대에서 움직이다가 스탠드형 걸이구를 건드려서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주방에서 일하는 사용자가 다치거나 주방용 물품이 떨어져서 훼손되어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선반용 거치대는 선반의 앞쪽만 거치가 이루어져서 거치대의 뒤쪽부분이 하향으로 쳐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 거치용 선반, 렉선반과 싱크대 등 주방에서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싱크대 서랍장의 하부에 부착하거나 선반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를 여러 개 연결하여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반 걸이구에 있어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 걸이부(12)를 구비하는 행거부(102)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 전단 상면에 고정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방 고정 걸이부(104)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의 후단 상면에 고정되어 후단부가 처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후방 고정 걸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하부 고정편(18)과 상부 고정편(20)을 구비하는 전방 고정편(105)과; 상기 전방 고정편(10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걸이부의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교차되도록 고정되는는 직사각형상의 고정대(14)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고정 걸이부(104)는, 원판형상의 후방 고정편(107)과; 상기 후방 고정편(107)의 하부에 고정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걸이부(1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교차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행거부가 나란히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전방 고정편과 후방 고정편에 의해 상부면이 고정되고 선반의 하부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걸이부는 전방향으로 두 갈래로 갈라져서 하부 걸이부가 각각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경사대가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폐곡선을 가지며 양측부가 상방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선반에 하나의 걸이대를 이웃하여 연속 설치하여 다양한 물품을 걸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후크를 슬라이딩으로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설치 및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걸이구의 후방을 견고하게 밀착 설치함으로써 청결하고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다른 일실시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다른 일실시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기의 본 고안에 대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미리 밝힌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다른 일실시에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100)는, 행거부(102,103)와, 전부에 설치되는 전방 고정 걸이부(104)와, 후부에 설치되는 후방 고정 걸이부(106)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부(102,103)는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이부(10)에서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하부에는 하부 걸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상하부에 각각 수평을 이루면서 두 갈래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이부(10)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걸이부(12)의 끝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우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양 갈래로 갈라져서 형성되고 끝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행거부(102)와 행거부(103)는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행거부(102)와 행거부(103)의 전단부 상면에는 전방 고정 걸이부(104)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행거부(102)와 행거부(103)의 후단부 상면에는 후방 고정 걸이부(106)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전방 고정편(105)을 구비한다.
상기 후방 고정 걸이부(106)는 후방 고정편(107)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이 전방 고정편(105)은 미도시된 선반의 앞부분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방 고정편(105)은 볼트, 피스 등의 고정수단 (26)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먼저, 디귿자(ㄷ)형상의 행거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행거부(102)는 상부에는 두 갈래로 갈라져서 형성되는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하부 걸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전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하부 걸이부(12)는 전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상기 하부 걸이부(12)의 전단부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전단부를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하부 걸이부(12)는 물건을 거는 경우 앞쪽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빠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된 행거부(103)가 상기 행거부(102)와 나란히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102)와 행거부(103)를 연결하도록 상기 행거부(102,103)의 전단 상면부에 전방 고정 걸이부(104)가 고정된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상기 행거부(102,103)의 상부에 융착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행거부(102,103)의 전단부가 흩어지지 않고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행거부(102,103)의 후방 상면에는 후방 고정 걸이부(106)가 고정된다.
상기 후방 고정 걸이부(106)는 행거부(102,103)의 후단부가 흩어지지 않고 일체가 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 및 후방 고정 걸이부(106)는 볼트, 피스 등의 고정수단(26)에 의해 선반의 하면부에 고정된다.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직사각형상의 고정테(14)와 디귿자(ㄷ) 형상의 전방 고정편(10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테(14)는 상기 행거부(102,103)의 상면에 직접 고정되고, 상기 고정테(14)의 상부에는 전방 고정편(10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방 고정편(105)은 후방으로 개구된 형태의 디귿자(ㄷ)형상의 몸체(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6)의 하부에는 하부 고정편(18)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6)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편(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편(20)의 후단부에는 안내편(22)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안내편(22)은 좌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전방 고정편(105)이 선방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안내편(22)에 의해 안내되어 원할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 고정편(18)에는 그 중앙부에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24)에는 볼트, 피스 등의 고정수단(26)이 체결 고정되어 지고, 이때 상기 고정수단(26)은 미도시된 선반에 고정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26)을 이용하여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를 선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행거부(102,103)의 전단부를 선반에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행거부(102,103)의 후단 상면에는 후방 고정 걸이부(106)가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후방 고정 걸이부(106)는 고정대(28)와 후방 고정편(10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28)는 본 고안에서는 가늘고 긴 봉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사각형, 다각형 봉 및 띠형상 지그재그형상, 파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어서, 상기 고정대(28)의 상부에는 후방 고정편(107)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방 고정편(107)은 고정대의 상부에 융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고정편(107)은 원판형상의 몸체(30)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3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0)의 상부면에는 접착면(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면(34)에는 이형지(36)가 부착 형성되어 진다.
상기 이형지(36)를 떼어낸 후 접착면(34)을 선반의 하부면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또는 몸체(30)에 형성된 체결공(34)에 고정수단(26)을 이용하여 선반에 고정 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편(107)은 본 고안에서는 원형판의 형상으로 몸체(30)를 형성하였으나 선반의 위치와 형상에 따라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행거부(101)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행거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행거부(101)는 전방 고정편(105) 및 후방 고정편(107)을 포함한다.
상기 행거부(101)는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이부(10)에서 연속적으로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하부에는 하부 걸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상하부에 각각 수평을 이루면서 두 갈래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이부(10)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걸이부(12)의 끝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며 우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걸이부(10)는 양 갈래로 갈라져서 형성되고 끝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10)의 전단 상부면에는 전방 고정편(105)이 융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행거부(101)의 후방부에는 고정대(38)가 융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8)는 사각형상의 테두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좌우측부의 테두리가 상기 상부 걸이부(10)의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측부에 각각 융착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의 행거부(200)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먼저,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횡방향으로 길게 뻗은 상부 걸이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걸이부(40)의 전단부는 개구되고, 상기 상부 걸이부의 후단부는 아치형상으로 연결되어서 폐쇄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40)의 전단 상부에는 전술된 전방 고정편(105)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40)의 하부에는 하부 걸이부(42,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걸이부(42,43)는 후부는 폐곡선을 이루면서 사다리꼴 모양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 걸이부(42,43)의 후부 상면에는 상부 걸이부(40)의 후단부가 융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걸이부(42,43)의 전단부에는 두 갈래로 분기되고 전부 끝단에는 경사대(44)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대(44)의 끝단에는 볼(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는 좌우측부의 양변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방으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걸이부(42,43)의 상면부에는 후방 고정편(107)이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걸이구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우선,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300)는 디귿자(ㄷ) 형상이고 상부에는 상부 걸이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부 걸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걸이부(5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걸이부(50)의 전단 상부에는 전방 고정편(105)이 좌우에 각각 부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걸이부(50)의 후부 상면에는 고정대(28)가 가로방향으로 융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28)의 상면부에는 후방 고정편(107)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방 고정편(107)은 전방 고정편(105)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설치되고, 후방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전방 고정편(10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에 결합 고정되고, 하부 걸이부(52)에는 다수의 물품들이 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실시도로서, 선반(400)에 본 고안의 다용도 선반 걸이구(100)가 결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다용도 선반 걸이구(100)에 형성된 하부 걸이부(12,13)에는 다양한 물품, 즉 수건, 국자, 뒤집개 등이 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상부 걸이부
12 : 하부 걸이부
14 : 고정대 16 : 몸체
18 : 하부 고정편 20 : 상부 고정편
22 : 안내편 24 : 체결공
26 : 고정수단 28 : 고정대
30 : 몸체 32 : 체결공
34 : 접착면 36 : 이형지
100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102,103 : 행거부
104 : 전방 고정 걸이부 106 : 후방 고정 걸이부
105 : 전방 고정편 107 : 후방 고정편
14 : 고정대 16 : 몸체
18 : 하부 고정편 20 : 상부 고정편
22 : 안내편 24 : 체결공
26 : 고정수단 28 : 고정대
30 : 몸체 32 : 체결공
34 : 접착면 36 : 이형지
100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102,103 : 행거부
104 : 전방 고정 걸이부 106 : 후방 고정 걸이부
105 : 전방 고정편 107 : 후방 고정편
Claims (5)
- 선반 걸이구에 있어서,
디귿자(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부 걸이부(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부 걸이부(12)를 구비하는 행거부(102)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 전단 상면에 고정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전방 고정 걸이부(104)와;
상기 행거부(102)의 상부 걸이부의 후단 상면에 고정되어 후단부가 처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후방 고정 걸이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고정 걸이부(104)는,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반에 결합되도록 하부 고정편(18)과 상부 고정편(20)을 구비하는 전방 고정편(105)과;
상기 전방 고정편(10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걸이부의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교차되도록 고정되는는 직사각형상의 고정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고정 걸이부(104)는,
원판형상의 후방 고정편(107)과;
상기 후방 고정편(107)의 하부에 고정되고,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걸이부(1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서 교차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행거부가 나란히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됨과 동시에 상기 전방 고정편과 후방 고정편에 의해 상부면이 고정되고 선반의 하부에는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걸이부는 전방향으로 두 갈래로 갈라져서 하부 걸이부가 각각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경사대가 구비되고, 후단부는 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폐곡선을 가지며 양측부가 상방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423U KR20180001414U (ko) | 2016-11-03 | 2016-11-03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423U KR20180001414U (ko) | 2016-11-03 | 2016-11-03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414U true KR20180001414U (ko) | 2018-05-11 |
Family
ID=6216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423U KR20180001414U (ko) | 2016-11-03 | 2016-11-03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01414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2085A (ko) * | 2018-08-22 | 2020-03-03 | 유혜정 | 접이식·걸이식 트랜스포머형 식기 건조대 |
KR20200001086U (ko) * | 2018-11-19 | 2020-05-27 | 김기옥 | 수납장 거치용 선반 |
KR102181001B1 (ko) * | 2020-04-28 | 2020-11-19 | 주식회사 기재 | 주방용 선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9131A (ko) | 2003-03-06 | 2004-09-14 | (주)이오시스템 |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간 투시 장치 |
KR20070000891U (ko) | 2007-07-23 | 2007-08-10 | 명진실업 주식회사 | 주방용 티슈 걸이대 |
-
2016
- 2016-11-03 KR KR2020160006423U patent/KR2018000141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9131A (ko) | 2003-03-06 | 2004-09-14 | (주)이오시스템 |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야간 투시 장치 |
KR20070000891U (ko) | 2007-07-23 | 2007-08-10 | 명진실업 주식회사 | 주방용 티슈 걸이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2085A (ko) * | 2018-08-22 | 2020-03-03 | 유혜정 | 접이식·걸이식 트랜스포머형 식기 건조대 |
KR20200001086U (ko) * | 2018-11-19 | 2020-05-27 | 김기옥 | 수납장 거치용 선반 |
KR102181001B1 (ko) * | 2020-04-28 | 2020-11-19 | 주식회사 기재 | 주방용 선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7059B2 (en) | Drying storage rack | |
US7854030B2 (en) | Utility tub with removable rack | |
US20120306333A1 (en) | Accessory for dishwasher | |
US20140259381A1 (en) |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s Silverware Basket | |
US8714371B2 (en) | Dishwasher basket with a cup support | |
US8377227B2 (en) | Utensil holder for a dishwasher | |
US20140246445A1 (en) |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 |
KR20180001414U (ko) | 다용도 선반용 걸이구 | |
US20040099617A1 (en) | Over-the-sink organizer | |
US20110198462A1 (en) | Handi-Hanger | |
KR101044403B1 (ko) | 주방용 다용도 걸이구 | |
WO2016192797A1 (en) | Dishwasher comprising a multipurpose stackable tray | |
US20160088967A1 (en) | Storage Device for Sinks | |
WO2016192792A1 (en) | Foldable stemware hold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 |
KR200484814Y1 (ko) | 식기건조대 | |
US20230000307A1 (en) | Dish rack | |
KR20180003077U (ko) | 싱크대용 인출식 다용도 선반 | |
KR200465013Y1 (ko) |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 |
KR200436341Y1 (ko) | 도마 거치대를 갖춘 식기 건조대 | |
JP5795878B2 (ja) | シンク及び該シンクに固定する収納ラック | |
CN210158519U (zh) | 一种可拆卸的多功能置物架 | |
KR200496552Y1 (ko) |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 |
KR101195661B1 (ko) | 싱크대용 설거지 보조대 | |
JP2009011394A (ja) | 小物類の収納装置 | |
KR102644789B1 (ko) |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