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859Y1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Google Patents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859Y1 KR200383859Y1 KR20-2005-0003963U KR20050003963U KR200383859Y1 KR 200383859 Y1 KR200383859 Y1 KR 200383859Y1 KR 20050003963 U KR20050003963 U KR 20050003963U KR 200383859 Y1 KR200383859 Y1 KR 2003838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utlery
- upright
- drip tray
- pedest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이 주방용품이 직립되게 수용되는 직립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 수용체가 받침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받침체의 내측으로부터 물받이체가 자유로인 인/출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받이체에 고인 물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부가가치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받침대는,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1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1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110)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고정돌기부(113)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안착부(121)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물받이 인/출입부(122)가 형성된 받침체(120)와; 상기 받침체(120)의 인/출입부(122)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1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132)가 일체로 돌설형성된 물받이체(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2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2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2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210)와; 상기 수저 수용체(210)의 고정돌기부(213)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부(221)가 상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21)의 하단측에 이 제1지지부(22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지지부(222)가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의 외측단에 각각 용착되는 3개의 지지편(223)을 갖는 받침체(220)와;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로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2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232)가 일체로 돌설 형성된 물받이체(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저나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이 주방용품이 직립되게 수용되는 직립수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수저 수용체가 받침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받침체의 내측으로부터 물받이체가 자유로인 인/출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받이체에 고인 물이 외부로 쏟아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각각의 구성요소의 미려한 외관에 의해 부가가치의 상승을 도모할 수 있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 젓가락 또는 포크 등과 같은 주방용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수저통은, 식탕 등에 세워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직립형 수저통과, 식탁 등에 눕혀 놓을 수 있으며 덮개가 있는 박스형 수저통으로 대별된다.
상기 박스형 수저통은, 대부분 덮개가 구비되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이 눕혀진 상태로 보관되어 한 벌의 수저만을 잡아 인출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직립형 수저통의 경우,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직립된 상태로 보관됨에 따라 한 벌의 수저만을 잡아 인출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직립형 수저통이 대개 바닥면이 막힌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숟가락과 젓가락의 세척 후, 이들로부터 흘러내리는 물이 바닥에 고이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직립형 수저통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세척 후, 보관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묻어있는 물기를 완전하게 건조시킨 상태에서 보관해야 하는 바, 이들을 세척할 때마나 건조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직립형 수저통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바닥면에 물 배출공이 통공된 직립형 수저통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등록실용신안 제344034호인 '수저통'에 의하면, 수저가 세워진 상태로 수납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저면에 바닥면 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는 한편 동심원을 이루게 되는 환형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수납통과, 낮은 높이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내주면에 환형돌기의 외주면이 끼움되어 고정되고 바닥면의 중앙에 배수구멍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걸림돌기 2개가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는 받침통과,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수직홈과 수평홈이 연속되어 "L"자 형상으로 이루는 걸림홈 2개가 마주보면서 대칭되게 형성되며 받침통의 걸림돌기가 수직홈을 통해 수평홈에 걸림되어 착탈되는 받침판으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46932호인 '기립형 수저통'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등록공고된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분할대가 설치되며 그 바닥면에는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기립형태로 수용되는 수용부의 하부에 물받이거치부가 마련되는 거치대 및 상기 물받이 거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며 전방에 인출손잡이가 돌출형성되는 물받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직립형 수저통은,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을 수저통에 세워 보관함으로써, 꺼내 쓰기에 용이하고 또한, 하부에 별도의 물받이가 구비되어 있어 보관되는 수저를 통해 흘러 내리는 물이 외부로 퍼지지 않고 모아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등록실용신안 제344034호의 경우(종래 설명에 있어 부호와 명칭은 종래 표기된 것을 그대로 인용하여 설명한다), 본체(110)의 하부에 구성되고 받침판(130)의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부터 내려오는 물을 받는 받침통(120)의 탈/착을 위해서는 상기 받침통(120)의 외주연에 돌설된 걸림돌기(121)와 이 걸림돌기(121)가 체결되는 상기 받침판(130)의 내측 걸림홈(131)이 서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짐으로써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이 고인 받침통(120)과 받침판(13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받침통(120)에 고인 물이 쏟아지거나 하여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46932호의 경우, 거치대(4)의 하부에 형성된 물받이거치부(42)에 본체(2)의 내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을 받는 물받이(5)가 슬라이딩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보다 용이하게 물받이(5)를 거치대(4)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본체(2)의 내부에 분할대(3)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격 상승요인이 되고, 상기 물받이(5)가 인출입되는 거치대(4)의 물받이 거치부(42)에 상기 인입되는 물받이(5)의 지지수단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물받이(5)가 거치대(4)의 하부 타측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고인 물이 밖으로 흘러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저가 수용되어 보관되는 본체(2)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부피가 큰 본체(2)를 세척하고자 하기 위해 본체(2)를 거치대(4)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손이나 또는 상기 본체(2)의 외주면에 물기 등이 묻어 있을 경우, 이 물기에 의해 본체(2)가 미끄러짐으로써 심할 경우, 본체(2)가 파손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직립형 수저통이 지닌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저 수용체에 수용된 수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물을 물받이체를 통해 안전하게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물받이체가 받침체로부터 인/출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받이체를 인/출입하는 과정에서 받은 물이 쏟아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에 의해 부가가치의 상승을 꾀할 수있으며, 받침체의 타측방향으로 물받이체가 빠져나가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는,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와; 상기 수저 수용체의 고정돌기부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안착부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물받이 인/출입부가 형성된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의 인/출입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 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가 일체로 돌설형성된 물받이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와; 상기 수저 수용체의 고정돌기부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부가 상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측에 이 제1지지부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지지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외측단에 각각 용착되는 3개의 지지편을 갖는 받침체와; 상기 받침체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로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가 일체로 돌설형성된 물받이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구성 및 작용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진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는, 본 고안은,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1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1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110)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고정돌기부(113)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안착부(121)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물받이 인/출입부(122)가 형성된 받침체(120)와, 상기 받침체(120)의 인/출입부(122)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1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132)가 일체로 돌설 형성된 물받이체(130)로 구성된다.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의 수저가 수용되는 수저 수용체(110)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상기 받침체(120) 그리고, 상기 받침체(120)의 내측으로 인/출입되는 상기 물받이체(13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도자기 재질, 고령토 재질 또는 도금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는,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내부에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구성되는 수저를 세워 직립형으로 수용하여 보관함으로써, 수저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수저를 세척하고 난 이후에 수저에 묻은 물기가 자연스럽게 수저 수용체(110)의 내부 바닥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내부 바닥면으로 흘려 내려온 수저의 물기는, 이 수저 수용체(110)의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통공된 배수공(112)을 통해 수저 수용체(110)의 바닥부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게 되고, 떨어지는 물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하부가 끼워진 받침체(120)의 내측으로 떨어지게 되어 이 받침체(120)의 내측에 인입된 물받이체(130)의 내측 물받이부(131)에 고이게 된다.
또한, 물이 상기 물받이체(130)의 내측 물받이부(131)에 고이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받이체(130)의 일측 파지부(132)를 잡고, 물받이체(130)를 상기 받침체(120)의 내부로부터 꺼내어 고인 물을 버린 후, 다시 상기 물받이체(130)를 상기 받침체(1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물받이체(130)가 상기 받침체(12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인/출입부(122)를 통해 상기 받침체(120)의 내측으로 자유롭게 인/출입될 수 있음으로써, 물받이체(130)를 받침체(120)의 내부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고인 물이 쏟아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더욱이, 상기 물받이체(130)가 인/출입되는 받침체(120)가 상기 일측이 개방된 물받이 인/출입부(122)를 제외한 나머지부분이 막혀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항상 물받이체(130)의 위치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하부측과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받이체(130)가 상기 받침체(120)의 타측방향으로 이탈되어 상기 받침체(120)의 상부 안착부(121)에 안착되는 수저 수용체(110)로부터 위치가 벗어나 수저 수용체(110)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제대로 물받이체(130)의 내측 물받이부(131)로 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는, 상기 받침체(120)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저 수용체(110)의 하부에 고정돌기부(113)이 더 돌설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돌기부(113)가 상기 받침체(120)의 상단측에 형성된 안착부(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저 수용체(11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어, 수저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저 수용체(110)가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도 4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로서, 상기 받침체(120)의 하단 바닥면에 슬립방지부재(123)가 더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슬립방지부재(123)는 고무재질이나 천 재질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슬립방지부재(123)의 부착에 의해 상기 받침체(120)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받침체(120)의 상부에 안착고정된 수저 수용체(110)가 쓰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더욱 사라지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체(120)의 하단에 별도의 지지다리부재(124)가 더 결합된다.
상기 지지다리부재(124)는 상기 받침체(120)의 하단측과 용착되거나 또는 받침체(120)의 하단측과 일체로 연장되거나 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지지다리부재(124)에 의해 받침체(120)의 높이가 연장되어 상기 물받이체(130)를 받침체(120)로부터 인/출입 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다리부재(124)에 의해 본 고안의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어 본 고안의 부가가치의 상승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부재(124)는 도시한 것과 같이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원형상이나 꽃무늬 형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저 수용체(110)가 안착되어, 이 수저 수용체(1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받는 물받이체(130)의 형상을 달리한 것으로, 상기 물받이체(130)의 선단에 형성된 파지부의 형상을 반원형상으로 적게 형성하여 물받이체(130)의 외관을 달리함으로써,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전체 미감에 심미감을 더 갖도록 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에 형성된 파지부(132)의 양측단으로부터 연결된 사선방향의 스토퍼부(133)가 더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스토퍼부(133)는, 상기 물받이체(130)가 받침체(120)의 내측으로 인입된 후, 상기 물받이체(130)의 파지부(132)의 회동범위를 간섭하도록 하여 이 파지부(132)가 상기 물받이체(1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부(132)의 양측선단에 사선방향으로 절삭된 스토퍼부(133)가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이 스토퍼부(133)가 상기 받침체(120)의 선단 인/출입부(122)의 양측면에 접하기 때문에, 상기 파지부(132)의 회동이 간섭을 받음에 따라, 파지부(132)가 상기 인/출입부(122)를 벗어나게 회동되어 받침체(1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가 물받이체(130)를 꺼내는 과정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는,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2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2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2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210)와, 상기 수저 수용체(210)의 고정돌기부(213)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부(221)가 상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21)의 하단측에 이 제1지지부(22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지지부(222)가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의 외측단에 각각 용착되는 3개의 지지편(223)을 갖는 받침체(220)와,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로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2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232)가 일체로 돌설 형성된 물받이체(2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체(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제1지지부(221)와 이 제1지지부(221)보다 큰 크기를 갖는 링형상의 제2지지부(222)와 이들을 연결하는 지지편(223)들로 구성되는 바,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사방측이 개방된 공간부(220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220a)로 인입되는 상기 물받이체(230)이 타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지지편(223)들이 적어도 120°의 각도 범위내로 배열시키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공간부(220a)측으로 인입되는 상기 물받이체(230)가 인입되는 측의 타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물받이체(230)가 인입되는 타측 공간부를 막는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편(223)이 위치되어 연결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에 인입된 물받이체(230)의 하단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222)의 내측에는 별도의 받침편(224)들이 횡방향으로 더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는 지지편(223)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225)가 더 용착된다.
상기 걸림부재(225)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223)들의 내측에 일측면이 용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이 걸림부재(225)의 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이유는,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에 물받이체(230)가 인/출입되는 부분을 갖고자 함이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체(230)는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반원형상으로 더 형성된 걸림부재(225)의 개방된 부분 즉, 걸림부재(225)의 간섭이 없는 부분측으로 인/출입되고, 또한 인입된 물받이체(230)는 상기 걸림부재(225)에 의해 타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그 위치가 항상 상기 제1지지부(221)의 상측에 하단측이 안착되고 고정돌기부(213)이 끼움 고정되는 수저 수용체(210)와 수직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이 수저 수용체(210)의 배수공(212)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상기 물받이체(230)의 상단 물받이부(231)에 고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편(223)의 하단측에 이 지지편(223)들로부터 연장된 다리(226)가 더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체(220)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에 상기 물받이체(230)의 인/출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받침체(220)의 하단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다리(227)가 별도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227)는 상기 받침체(220)의 하단측에 구비된 제2지지부(222)의 내측에 상기 제2지지부(222)와 일체로 연장형성되거나 또는 용착되거나 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형상 역시 도시된 것과 같은 호형상은 물론, 꽃 형상이나 원형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3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고 미려한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지지편(228)들이 더 구성된다.
상기 보조지지편(228)은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일측이 용착되거나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그 형상은 도시한 바와 같은 하트 형상이거나 또는 별모양이거나 또는 꽃 무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편(228)은,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에 인입되는 상기 물받이체(230)가 타측방향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으로써, 미려한 외관에 의해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부가가치를 한 층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실시 예를들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도시된 수저 수용체의 형상이 원형이거나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으로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저 수용체가 안착되는 받침체의 형상 역시, 원형이거나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각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는,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구성되는 수저를 직립형으로 세워 보관함으로써 수저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수저의 세척시에 묻어나는 물기가 아래로 빠져 나감에 있어, 별도의 물받이체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수저통의 외부로 흘러 나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체가 받침체의 내부측으로 용이하게 인/출입되고, 받침체의 일부가 막히거나 또는 개방된 받침체의 외주연에 지지편과 같은 별도의 스토퍼 수단이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받침체의 내부측으로 인입된 물받이체가 타측으로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수저 수용체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물받이체의 물받이부로 고이도록 하여 수저통의 외부로 물이 흘러 나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받침체의 외관과 이 받침체에 더 구비되는 다리 및 지지편들의 외관에 의해 수저통 전체의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어 부가가치가 상승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인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수저 수용체 111,211 : 손잡이
112,212 : 배수공 113,213 : 고정돌기부
120,220 : 물받이체 121 : 안착부
122 : 인/출입부 221 : 제1지지부
222 : 제2지지부 223 : 지지편
224 : 받침편 225 : 걸림부재
226,227 : 다리 228 : 보조지지편
130,230 : 물받이체 131,231 : 물받이부
132,232 : 손잡이
Claims (9)
-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1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1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1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110)와; 상기 수저 수용체(110)의 고정돌기부(113)가 인입되어 끼워지는 안착부(121)가 상단부에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물받이 인/출입부(122)가 형성된 받침체(120)와; 상기 받침체(120)의 인/출입부(122)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1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132)가 일체로 돌설형성된 물받이체(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외주면 일측에 손잡이(21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배수공(212)이 통공되며 외부 바닥면에 고정돌기부(213)가 형성된 수저 수용체(210)와; 상기 수저 수용체(210)의 고정돌기부(213)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제1지지부(221)가 상단부에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221)의 하단측에 이 제1지지부(221)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는 제2지지부(222)가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의 외측단에 각각 용착되는 3개의 지지편(223)을 갖는 받침체(220)와; 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20a)로 자유로이 인/출입되고 내측에 요입된 물받이부(231)가 형성되며 일측에 파지부(232)가 일체로 돌설 형성된 물받이체(2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체(120)의 하단 바닥면에 일면이 부착된 슬립방지부재(123)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체(120)의 하단에는 별도의 지지다리부재(124)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물받이체(130)의 선단측에 형성된 파지부(132)의 양측선단에는 사선방향으로 절삭된 스토퍼부(133)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는 지지편(223)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재(225)가 더 용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받침체(220)의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편(223)의 하단측에는,상기 지지편(223)들로부터 연장된 다리(226)가 더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받침체(220)의 하단측에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다리(227)가 더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받침체(220)의 외측부에는, 상기 제1지지부(221)와 제2지지부(222)를 연결하고 미려한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보조지지편(228)들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963U KR200383859Y1 (ko) | 2005-02-15 | 2005-02-15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963U KR200383859Y1 (ko) | 2005-02-15 | 2005-02-15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11973A Division KR100678511B1 (ko) | 2005-02-14 | 2005-02-14 |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859Y1 true KR200383859Y1 (ko) | 2005-05-10 |
Family
ID=4368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3963U KR200383859Y1 (ko) | 2005-02-15 | 2005-02-15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859Y1 (ko) |
-
2005
- 2005-02-15 KR KR20-2005-0003963U patent/KR2003838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07059B2 (en) | Drying storage rack | |
US8342341B2 (en) | Utensil storage stand | |
US7267308B1 (en) | Kitchen utensil and pot lid holder | |
US8684192B1 (en) | Caddy for holding and draining washing tools | |
US6405638B1 (en) | Hot drink steeping pot with pivoting strainer | |
US8127942B2 (en) | Sanitizing rack | |
US8973763B2 (en) | Dish drying rack and tray assembly | |
US20140246445A1 (en) |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 |
US7857147B2 (en) | Dish rack with splash guard and dish towel drying handles | |
JP2005500217A (ja) | ドリップトレイアセンブリを備える飲料ディスペンサおよび方法 | |
CA2150083C (en) | Domestic drainage container | |
US20060175228A1 (en) | Kitchen utensil with interchangeable heads | |
KR100678511B1 (ko) |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KR200383859Y1 (ko) |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 |
KR200410282Y1 (ko) | 받침구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KR200406797Y1 (ko) | 물받이부가 형성된 받침구를 갖는 직립형 수저통 | |
KR200484814Y1 (ko) | 식기건조대 | |
US7121415B1 (en) | Utensil receptacle | |
KR200411374Y1 (ko) | 배수가이드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 |
KR200380378Y1 (ko) |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 |
CA2658209A1 (en) | Drinking vessel with receptacle for drippings | |
KR200386822Y1 (ko) |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 |
KR200340352Y1 (ko) | 음식용구통 받침대 | |
KR200496552Y1 (ko) |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 | |
JP2018196647A (ja) | 上部開口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