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378Y1 -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 Google Patents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378Y1
KR200380378Y1 KR20-2004-0037750U KR20040037750U KR200380378Y1 KR 200380378 Y1 KR200380378 Y1 KR 200380378Y1 KR 20040037750 U KR20040037750 U KR 20040037750U KR 200380378 Y1 KR200380378 Y1 KR 200380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rip tray
water
support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철기
Original Assignee
민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철기 filed Critical 민철기
Priority to KR20-2004-0037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B65D81/262Rigid containers having false bottoms provided with passages for draining and receiv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이 걸어지는 걸이구의 하부에 수용부를 더 형성하고, 이 수용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를 더 구비함으로써, 컵을 직립되게 거꾸로 세워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컵의 입구측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보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컵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흘러 내리는 과정에서 상기 물받이의 내측에 고이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이나 선반 등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 없이 항상 깔끔하게 정리정돈 될 수 있도록 한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하단측에 교차되게 형성된 2개의 받침봉을 갖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바닥부와 지지부간에 용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체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하단측이 용착되고 상측단이 외향지게 절곡형성된 다수개의 직립형 걸이부들과, 상기 바닥부와 지지부간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양측이 각각 용착된 장형의 손잡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과, 상기 손잡이의 상측단은 호형지게 형성되고 둘레부에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것과,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지지부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또한,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는 이 물받이로부터 연장된 파지부가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직립되게 구비된 다수개의 걸이부에 머그컵이나 물컵 등을 거꾸로 뒤집어 걸어 보관함에 따라,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보관됨에 따라,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컵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받이의 내측에 고임으로써,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이 항상 깔끔하고 깨끗하게 정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CUP HANGER WITH WATER CATCH BOWL}
본 고안은 머그컵이나 물컵 등과 같은 컵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컵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 입설된 걸이부의 하단측에 물받이를 더 구성하여 보관되는 컵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던 물이 상기 물받이 내측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주변이 깔끔하게 정리정돈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외관에 의해 주방 등의 인테리어에 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그컵이나 물컵 등과 같은 컵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엔, 주방의 테이블 바닥이나 또는 선반의 상단에 올려놓고 보관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컵을 세척후에 컵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가 흘러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컵을 거꾸로 뒤집어 올려놓아 보관한다.
이와 같이 컵을 거꾸로 뒤집어 올려놓을 경우,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 또는 선반의 바닥에 닿기 때문에,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컵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가 흘러 내려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이 젖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물론, 컵을 건조기에 넣고 완전하게 건조시킨 상태에서 보관함으로써, 물기가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에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하고는 있으나, 일반 가정에서 건조기를 구비하여 사용하기에는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물기를 제거한다 하더라도 컵 입구측이 항상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면에 접하고 있기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컵을 컵걸이구에 걸어 보관하는 컵 걸이구들이 다양하게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서, 실용신안출원 제1983-1925호인 컵 걸이구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개된 공개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중앙에 손잡이봉이 직립되게 상하에 교호로 작동간을 형성하고 각 선단에는 컵 걸이봉을 직립시키되 상측작동간에는 이면에 하측작동간 선단에는 상면에 각각 연결간을 설하여 그 결합단부에 또다른 컵 걸이봉을 직립시키며 각 컵 걸이봉과 손잡이봉 상단에는 윤판을 끼워 구성된다.
따라서, 직립된 컵 걸이봉에 컵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걸어 보관함으로써, 컵의 입구측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여 컵이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컵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가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더라도 컵의 입구측이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컵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직립된 컵 걸이봉에 의해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보관된다 하더라도, 이 보관되는 컵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물기가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에 떨어져 고이게 됨으로써, 바닥이 깨끗하지 못하게 되고 항상 행주 등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아 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특허등록 제215320호인 스템 컵 보관대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된 공고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여러개의 스템 컵을 동시에 보관하기 위한 보관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봉상의 지지축을 포함하는 좌대와 상기 좌대의 지지축에 삽설되는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둘레 주변으로 배열 고정되고 적어도 수납되는 컵의 두 군데 정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적정간격을 두고 상, 하 대응되게 이격 설치되어진 다수의 제1 및 제 2 홀더로 이루어져 컵을 동시에 수납 지지하기 위한 컵 홀더체 및 운반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로 구성된다.
따라서, 여러개의 스템 컵을 동시에 걸거나 또는 똑바로 세워지게 받침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컵 홀더체가 회전됨에 따라 스템 컵의 인출 및 받침이 보다 간편 용이하며, 스템 컵의 운반시 유동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으로 운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탬컵(stem glass)은, 용도상 유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술집이나 또는 가정에서 주로 양주를 마시는데 사용되고 있는 술잔으로서, 이러한 스템 컵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를 받침하기 위한 받침부와 이들 사이를 상호 연결 지지하기 위한 봉상의 받침다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스템 컵은 수용부의 외주연 둘레 직경에 비하여 받침부의 외주연 둘레 직경이 안정적인 받침을 위해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스템 컵 보관대는, 이와 같은 스탬컵을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다른 컵 예컨대, 머그컵이나 물컵 등과 같이 하단부에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일반적인 컵 들은 보관하기에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69632호인 자석 부착식 컵 및 그 컵걸이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그 자석 또는 자성체가 소정의 지지체에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에 자력으로 부착되어 상기 지지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매달리도록 구성된 것으로, 벽체나 컵걸이와 같은 지지체에 구비된 자석 또는 자성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 또는 자성체를 구비함으로써 컵의 사용과 보관을 위해 지지체에 탈부착시키는 것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석 부착식 컵 및 그 컵걸이는 컵에 자석이나 자성체가 컵바닥이나 컵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컵입구의 반대쪽에서 컵의 측벽에 구비됨으로써 컵을 지지체에 부착시키면 항상 컵입구가 하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매달리게 되어 컵의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고 내부가 건조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경우, 구비되는 컵에 구비된 자석이 상기 컵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물기에 노출될 수 밖에는 없고, 또한, 물기에 의해 부식되거나 또는 물기가 묻어진 자석 부분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그대로 묻어지게 될 경우, 컵의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 컵 걸이에 컵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항상 컵에 자석이나 자성체 등이 구비되어 있어야 함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머그컵이나 물컵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컵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걸어 보관하는 직립형 걸이부가 구비된 컵 걸이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걸이구의 하부에 수용부를 더 형성하고, 이 수용부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를 더 구비함으로써, 컵을 직립되게 거꾸로 세워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컵의 입구측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보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컵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흘러 내리는 과정에서 상기 물받이의 내측에 고이도록 함으로써, 테이블이나 선반 등의 바닥에 물이 고이는 현상 없이 항상 깔끔하게 정리정돈 될 수 있도록 한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하단측에 교차되게 형성된 2개의 받침봉을 갖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바닥부와 지지부간에 용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체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하단측이 용착되고 상측단이 외향지게 절곡형성된 다수개의 직립형 걸이부들과, 상기 바닥부와 지지부간에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양측이 각각 용착된 장형의 손잡이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상측단은 호형지게 형성되고 둘레부에 스프링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 또는 지지부는 원형, 사각형, 오각형, 삼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받이의 일측에는 이 물받이로부터 연장된 파지부가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직립되게 구비된 다수개의 걸이부에 머그컵이나 물컵 등을 거꾸로 뒤집어 걸어 보관함에 따라,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보관됨에 따라,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컵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받이의 내측에 고임으로써,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이 항상 깔끔하고 깨끗하게 정리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하단측에 교차되게 형성된 2개의 받침봉(11)을 갖는 바닥부(10)와, 이 바닥부(10)로부터 소정거리이격되어 상기 바닥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10)간에 용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체(12)와, 상기 지지부(10)의 내측에 하단측이 용착되고 상측단이 외향지게 절곡형성된 다수개의 직립형 걸이부(30)들과,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20)간에 형성된 수용부(40)와, 상기 수용부(40)의 내측으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50)와, 상기 지지부(20)의 내측에 양측이 각각 용착된 장형의 손잡이(6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의 상측단은 호형지게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스프링(61)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컵(a)이나 머그컵(b) 등과 같은 컵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30)에 걸어 보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 걸이부(30)에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서 걸어 보관되는 컵은,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보관됨에 따라, 컵의 입구측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묻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관되는 상기 컵의 내측에 이 컵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묻어진 물기가 흘러내리더라도,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된 수용부(40)에 수용된 물받이(50)에 의해 흘러내리는 물이 테이블이나 또는 선반의 바닥에 고이지 않는 것으로, 상기 흘러내리는 물이 물받이(50)의 내측(51)에 고임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물받이(50)는 이 물받이(50)가 수용된 수용부(40)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 가능한 것으로, 이에 따라 물받이(50)의 내측(51)에 물이 다 고일 경우 물받이(50)를 상기 수용부(40)로부터 꺼낸 후, 고인 물을 버리고 다시 수용부(40)의 내측으로 인입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이 물이 고임이 없이 항상 깔끔하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20)의 형상을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상기 바닥부(10) 또는 지지부(2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 형성될 경우, 미려한 외관에 의해 테이블이나 또는 선반 뿐만 아니라, 이들이 차지하고 있는 실내공간에 인테리어 효과도 연출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0) 또는 지지부(20)의 형상을 달리하여도 본 고안의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받이(50)의 일측에는 이 물받이로부터 연장된 파지부(52)가 더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 파지부(52)에 의해 물받이(50)를 상기 수용부(4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입 하기에 더욱 용이하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에 의하면, 직립되게 구비된 다수개의 걸이부에 머그컵이나 물컵 등을 거꾸로 뒤집어 걸어 보관함에 따라, 컵의 입구측이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보관됨에 따라, 컵을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고, 또한 컵으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수용부에 수용되는 물받이의 내측에 고임으로써, 테이블이나 선반의 바닥이 항상 깔끔하고 깨끗하게 정리될 수 있다.
또한, 미려한 외관에 의해 컵 걸이구가 위치되는 테이블이나 선반의 인테리어적인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이된 컵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부 11 : 받침부
12 : 연결체 20 : 지지부
30 : 걸이부 40 : 수용부
50 : 물받이 51 : 물받이 내측
52 : 파지부 60 : 손잡이

Claims (4)

  1. 하단측에 교차되게 형성된 2개의 받침봉(11)을 갖는 바닥부(10)와; 이 바닥부(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10)간에 용착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체(12)와; 상기 지지부(10)의 내측에 하단측이 용착되고 상측단이 외향지게 절곡형성된 다수개의 직립형 걸이부(30)들과; 상기 바닥부(10)와 지지부(20)간에 형성된 수용부(40)와; 상기 수용부(40)의 내측으로부터 자유로이 인/출입되는 물받이(50)와; 상기 지지부(20)의 내측에 양측이 각각 용착된 장형의 손잡이(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측단은 호형지게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스프링(61)이 더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 또는 지지부(20)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50)의 일측에는 이 물받이로부터 연장된 파지부(52)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KR20-2004-0037750U 2004-12-31 2004-12-31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KR200380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50U KR200380378Y1 (ko) 2004-12-31 2004-12-31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750U KR200380378Y1 (ko) 2004-12-31 2004-12-31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378Y1 true KR200380378Y1 (ko) 2005-03-29

Family

ID=4368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750U KR200380378Y1 (ko) 2004-12-31 2004-12-31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3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91A2 (ko) * 2010-06-29 2012-01-05 Lee Jin Young 음식 보관용기 건조 장치
CN103349472A (zh) * 2013-04-03 2013-10-16 苏州市鼎尚海珍品有限公司 方便收纳的餐具组件
KR200472910Y1 (ko) 2012-06-04 2014-05-30 (주) 프렉코 조리용 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2691A2 (ko) * 2010-06-29 2012-01-05 Lee Jin Young 음식 보관용기 건조 장치
WO2012002691A3 (ko) * 2010-06-29 2012-04-12 Lee Jin Young 음식 보관용기 건조 장치
KR200472910Y1 (ko) 2012-06-04 2014-05-30 (주) 프렉코 조리용 틀
CN103349472A (zh) * 2013-04-03 2013-10-16 苏州市鼎尚海珍品有限公司 方便收纳的餐具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92B1 (en) Caddy for holding and draining washing tools
US20120112018A1 (en) Magnetic-electric toothbrush holder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US9138108B2 (en) Bar soap holder having self-cleaning characteristics
KR200380378Y1 (ko) 물받이가 구비된 컵 걸이구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KR200471944Y1 (ko) 식기건조대
KR20020056885A (ko) 경사도립가능한 컵과 경사도립용 컵의 지지구
JP5043055B2 (ja) コップ類スタンド
CN211213030U (zh) 一种洗碗机置物架
EP1836937A1 (en) Bottle Holder
KR200467805Y1 (ko) 욕실용품 거치대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340352Y1 (ko) 음식용구통 받침대
JP3150122U (ja) コップ類スタンド
KR200386822Y1 (ko) 구획판이 구비된 수저통
KR102644789B1 (ko) 자석 고정 방식의 수저 세트 행거
KR100678511B1 (ko) 받침대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KR200383859Y1 (ko) 직립형 수저통 및 그 받침대
CN219047993U (zh) 儿童餐具组合及其儿童餐盒
KR200410282Y1 (ko) 받침구가 구비된 직립형 수저통
CN215532575U (zh) 一种可调节防磕碰茶几
KR200183440Y1 (ko) 주방용품 보관구
KR200400460Y1 (ko) 식기건조기
JP3215923U (ja) 曲げ筒型スタンド
JP3078261U (ja) 食器洗い用スポンジ収納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