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047B1 -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047B1
KR101981047B1 KR1020180103514A KR20180103514A KR101981047B1 KR 101981047 B1 KR101981047 B1 KR 101981047B1 KR 1020180103514 A KR1020180103514 A KR 1020180103514A KR 20180103514 A KR20180103514 A KR 20180103514A KR 101981047 B1 KR101981047 B1 KR 10198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horizontal
support portion
vertical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8010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으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하지철물을 용접하지 않고, 접합 부분을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에 따라 단열재와 비계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철물 하나하나 들어 올려 설치하던 방식과 달리, 바닥에서 틀을 완성하여 외벽에 부착만하는 방식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COMPOSITE PANEL FOR BUILDING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으로 건축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구현하는 알루미늄 복합패널(aluminum composite panel, 이하 ‘ACP’라 함)의 하지철물을 용접하지 않고, 결합부재만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게 됨으로써, 시공 현장의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서의 화재사고는 재산피해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로 커져갈 수도 있기 때문에 민감한 주제이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의 화재건수는 매년 증가 추세이며, 이로 인한 재산 및 인명피해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재사고의 가장 큰 원인은 용접 작업방식으로 인해 불똥으로 인해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히, 용접 작업 중 불똥이 단열재에 튀어 구멍이 발생되어 단열 성능이 떨어진다거나, 수직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비계(scaffolding, 발판) 또는 작업자의 옷, 피부에 불똥이 튀어 초고층 작업 중 화재로 인한 추락사고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아울러, 용접 작업을 위해서는 최소 2명 이상의 용접 전문가가 필요하게 되며, 그에 따른 인력낭비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9709호(이하,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766호(이하, 문헌 2),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281473호(이하, 문헌 3)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106호(이하, 문헌 4)가 있다.
문헌 1은 현장용접이 필요 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 장치로 볼트와 너트, 브래킷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 패널 설치 봉들을 고정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시공 장치는 수직, 수평바형의 외장 패널 설치 봉에 브래킷,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벽면과 단순하게 고정만 할 뿐 내진성능이 없어 진동에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외장 패널이 외장 패널 설치 봉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브래킷과 브래킷 사이에 삽입되어 초고층에 적용될 경우 강풍에 의해 외장 패널이 지상으로 떨어져 또 다른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문헌 2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으로 다수 개의 단열재가 지지부재에 빈틈없이 끼움 결합되어 서로 인접한 단열재들 간의 기밀성이 뛰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 단열 효율이 우수해지는 결합구조와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결합구조는 체결부재만을 이용하여 고정부재를 벽면에 고정하고 있어 진동, 지진 또는 이외의 충격에 의해 체결부재가 풀리게 되면, 단열재나 마감패널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문헌 3은 강철 제품 동연의 무도장, 무용접 설치 구조로 설치 측에 볼트를 접합하여 천공을 실시하여도 도금 층에 의한 희생 부식 작용에 의해 도장이 필요 없는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설치 구조는 제1설치 철물과 제2설치 철물을 볼트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볼트만을 이용할 경우 진동에 취약하여 지진이 발생될 경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볼트가 풀려 제1강철 제품 동연과 제2강철 제품 동연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문헌 4는 벽체프레임 이탈 방지용 고정 브래킷으로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벽체프레임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상호 결합시켜 용접 없이 결속력을 높여 이탈이 방지되는 고정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고정 브래킷은 체결공이 수평부재, 수직부재의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 브래킷의 체결공이 밋밋하여 진동에 의해 볼트가 풀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문헌 4의 구성을 초고층 건물에 적용할 경우, 마감재가 수평부재 및 수직부재가 결합된 부재 외측 면에만 부착되어 강한 바람에 의해 마감재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며, 수평 또는 수직부재의 체결공에 공기가 유입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9709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2766호
(문헌 3)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5281473호
(문헌 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0106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CP의 하지철물을 용접하지 않고, 결합부재만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용접 작업 중 불똥이 단열재에 튀어 단열 성능이 떨어진다거나, 단열재에 불똥이 튀어 수직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계 또는 작업자의 옷, 피부에 불똥이 튀어 초고층 작업 중 화재로 인한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과 하지철물 이음부를 볼팅(bolting) 처리하여 진동, 지진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건축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하지철물 하나하나 들어 올려 설치하던 방식과 달리, 바닥에서 틀을 완성하여 외벽에 부착만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부를 설치하기 위해 수평 레일부(21)를 포함하는 수평 지지부(20);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2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부를 설치하기 위해 수직 레일부(31)를 포함하는 수직 지지부(30);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40); 및 판을 직각으로 접은 형상으로 수평 지지부(20) 측면과 수직 지지부(30)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2고정부(50)를 포함하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고정부(40)는 수평 레일부(21) 또는 수직 레일부(31)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고정지지부(41) 및 제1고정지지부(41)와 결합되며,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결합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고정부(40)는 제1고정지지부(41)에서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미끄럼 방지부(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고정부(50)는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일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고정하는 제1지지부(51);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타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고정하는 제2지지부(52); 제1고정지지부(41)를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1지지부(51) 또는 제2지지부(52)에 형성되는 체결공(53); 및 제1지지부(51) 또는 제2지지부(52)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미끄럼 방지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 벽(10)과 결합하기 위해 제3고정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 지지부(30)를 설치하여 연결되는 단계(S110); 수평 레일부(21)와 수직 레일부(31)에 제1고정지지부(41) 각각 끼워 넣어 1차로 고정하는 단계(S120); 1차 고정 후, 제1고정지지부(41)에 제2고정부(50)의 체결공(53)을 끼워 넣어 2차로 고정하는 단계(S130); 2차 고정 후, 체결공(43)이 설치된 제1고정지지부(41)에 제1결합부(43)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하는 단계(S140)는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미끄럼 방지부(42)가 더 포함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10)에 고정하기 위해 수직 지지부들(30) 사이 수평 지지부(20)의 수평 레일부(21)에 제1고정부(40)로 제2고정부(50)의 일 측을 고정하는 단계(S150); 제3고정부(60)를 이용하여 제2고정부(50)의 타 측과 벽(10)을 고정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으로 설치되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CP의 하지철물을 용접하지 않고, 결합부재만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으로써 시공 현장의 화재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용접 작업 중 불똥이 단열재에 튀어 단열 성능이 떨어진다거나, 단열재에 불똥이 튀어 수직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계 또는 작업자의 옷, 피부에 불똥이 튀어 초고층 작업 중 화재로 인한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과 하지철물 이음부를 볼팅 처리하여 고정력과 결속력이 향상되어 진동, 지진 등 외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어 매우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철물 하나하나 들어 올려 설치하던 방식과 달리, 바닥에서 틀을 완성하여 외벽에 부착만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접 작업이 없어 비나 습기로 인해 녹이 발생되지 않아 도장을 위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에 설치함에 따라 소형 또는 대형 건물, 공장 등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리모델링 또는 보강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수평 지지부과 수직 지지부 사이에 단열재를 삽입하여 시공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되며, 바람에 의해 단열재가 지상으로 떨어짐으로써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이 시공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이 시공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고정부의 상세도,
도 5는 제2고정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1차로 고정하는 단계(S120)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2차로 고정하는 단계(S130)를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고정하는 단계(S140)를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설치가 완료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배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고정부재가 더 포함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우측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4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평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단면 형상의 하나이다.
도 16은 또 다른 단면 형상의 하나이다.
<부호의 설명>
10: 벽;
20: 수평 지지부; 21: 수평 레일부;
30: 수직 지지부; 31: 수직 레일부;
40: 제1고정부; 41: 제1고정지지부; 42: 제1미끄럼 방지부; 43: 제1결합부;
50: 제2고정부; 51: 제1지지부; 52: 제2지지부; 53: 체결공; 54: 제2미끄럼 방지부;
60: 제3고정부;
70: 제2결합부;
80: 기밀부;
90: 고정부재; 91: 지탱부; 92: 이음부; 93: 고리부;
100: 패널;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은 수평 지지부(20); 수직 지지부(30); 제1고정부(40) 및 제2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평 지지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수평 지지부(20)가 설치되며, 제1고정부(40)를 설치하기 위해 수평 레일부(2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지지부(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5 또는 도 16의 형상으로 사출될 수 있다.
수평 레일부(21)는 후단에 설명하는 제1고정지지부(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가 포함될 수 있다.
수직 지지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2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부(40)를 설치하기 위해 수직 레일부(3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수직 지지부(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15의 형상으로 사출될 수 있다.
수직 레일부(31) 역시 제1고정지지부(4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날개가 포함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알루미늄 복합 소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강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알루미늄은 산화 시 그 자체로 치밀한 산화알루미늄(Al2O3) 막을 형성하여 부식의 침하를 방지하여 금속 부식에 대한 내식성이 좋다.
또한, 알루미늄은 열전도율이 낮고, 샌드위치 구조에 의한 높은 열관류 저항으로 단열 효과가 뛰어나다.
제1고정부(40)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2고정부(5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40) 역시 수평 지지부(20), 수직 지지부(30)와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40)는 제1고정지지부(41) 및 제1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지지부(41)는 수평 레일부(21) 및 수직 레일부(31)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50)의 체결공(53)과 결합되어 제2고정부(5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고정지지부(41)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머리 부분이 T자 모양으로 된 볼트 즉, 티(T) 볼트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티 볼트를 사용할 경우 수평 레일부(21), 수직 레일부(31)의 날개에 티 볼트의 머리 부분이 걸려 진동, 지진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제1결합부(43)는 제1고정지지부(41)와 결합되어 제2고정부(50)를 고정할 수 있다.
제1결합부(43)는 너트(nu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결합부(43)가 제1고정지지부(4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풀림 방지 링(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풀림 방지 링은 압력을 분산하는 와셔를 사용할 수 있다.
와셔는 평 와셔, 잠금 와셔, 바깥이 붙이 와셔 또는 안쪽이 붙이 와셔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와셔, 바깥이 붙이 와셔 또는 안쪽이 붙이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부(50)는 판을 직각으로 접은 형상으로 수평 지지부(20) 측면과 수직 지지부(30)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수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50) 역시 수평 지지부(20), 수직 지지부(30)와 같은 재질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부(50)는 제1지지부(51); 제2지지부(52); 체결공(53) 및 제2미끄럼 방지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는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일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수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제2지지부(52)는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타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수직으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2)의 길이는 1 대 1~3의 비율로 구성 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대 1.5~2.5의 비율, 더 바람직하게는 1 대 2 비율로 구성될 수 있으나,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의 길이에 따라 그 비율을 조절될 수 있다.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2)의 길이 비율이 1 대 1로 구성될 경우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으나, 고층에 적용할 경우 하중이 감당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2)의 길이 비율이 1 대 3으로 구성될 경우 결합력은 향상되나, 저층에 적용할 경우 시공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력, 결합력이 향상되면서 시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2)의 길이 비율이 1 대 1.5~2.5 또는 1 대 2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체결공(53)은 제1고정지지부(41)를 제2고정부(50)에 삽입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1지지부(51) 및 제2지지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공(53)은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미끄럼 방지부(54)는 제1결합부(43)가 맞닿는 제1지지부(51) 및 제2지지부(52)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고정부(50)는 날개가 포함되지 않아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의 크기와 두께에 상관없이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건축물의 벽(10)에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 지지부(30)를 일정간격마다 수직방향으로 설치하여 연결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그 후, 1차로 고정하는 단계(S120)는 수평 레일부(21)와 수직 레일부(31)에 제1고정지지부(41)를 각각 끼워 넣어 1차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수평 레일부(21)와 수직 레일부(31) 날개에 의해 제1고정지지부(41)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고정 단계(S120) 후, 제1고정지지부(41)에 제2고정부(50)의 체결공(53)을 끼워 넣어 2차로 고정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 때, 제1지지부(51)는 수평 지지부(20)와 맞닿아 결합되며, 제2지지부(52)는 수직 지지부(30)와 맞닿아 결합될 수 있으나, 제1지지부(51)와 제2지지부(52)가 맞닿는 지지부(20, 30)는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에서는 수직 지지부(30)보다 수평 지지부(20)가 좀 더 두껍게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직 지지부(30)에 제2지지부(52)가 맞닿도록 설치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고정 단계(S130) 후, 체결공(43)이 설치된 제1고정지지부(41)에 제1결합부(43)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 때, 제1결합부(43)는 제2고정부(50)의 제2미끄럼 방지부(54)와 맞닿게 되어 제1고정지지부(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43)로 결합하기 전에 풀림 방지 링을 설치하여 제1결합부(43)가 제1고정지지부(41)에서 풀림 방지 효과가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의 바닥에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조립, 완성함에 따라 기존의 용접 설치 방법에 의한 화재 위험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원천 배제하여 매우 큰 시공안정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용접하지 않고, 볼팅 처리함에 따라 철거 후,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제1미끄럼 방지부(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미끄럼 방지부(42)는 제1고정지지부(41)와 제1결합부(43)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제1미끄럼 방지부(42)는 제1고정지지부(41)에서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일 측면에 톱니와 같은 뾰족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미끄럼 방지부(42)의 돌기는 제2미끄럼 방지부(54)와 맞닿아 고정력과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켜 진동에 취약하였던 구조가 개선될 수 있다.
제1미끄럼 방지부(42)가 포함된 경우, 풀림 방지 링을 생략하거나, 제1미끄럼 방지부(42)와 제1결합부(43) 사이에 포함시켜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고정하는 단계(S140)를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S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미끄럼 방지부(42)가 더 포함됨에 따라 제1미끄럼 방지부(42)를 설치하여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미끄럼 방지부(42)를 설치한 후,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풀림 방지 링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무용접 볼팅공법을 실시함에 따라 숙련공만으로 공정을 수행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예산을 15% 이상 절약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을 35% 이상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벽(10)과 결합하기 위해 제3고정부(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부(60)는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고정하는 단계(S160, S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연결되는 단계(S110), 1차 고정 단계(S120), 2차 고정 단계(S130) 및 고정하는 단계(S140)가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고정하는 단계(S160, S170)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S160)는 건축물의 벽(10)에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수직 지지부들(30) 사이에 있는 수평 지지부(20)의 수평 레일부(21)에 제1고정부(40)로 제2고정부(50)의 일 측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고정부(50)는 제2지지부(52)가 수평 레일부(21)에 맞닿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지지부(41)를 수평 레일부(21)에 끼운 후, 그 위에 제2지지부(52) 끼우고, 제1미끄럼 방지부(42) 및 제1결합부(43)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 결합하여 수행된다.
특히, 고정하는 단계(S160)는 건축물의 벽(10)에 고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단계로 벽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 지지부(20) 위, 아래에 포함된 수평 레일부(21)에 위치가 대칭되도록 제2고정부(50)를 고정 결합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 후, 고정하는 단계(S170)는 제3고정부(60)를 이용하여 제2고정부(50)의 타 측과 벽(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제2고정부(50)의 타 측인 제1지지부(51)가 벽(10)에 맞닿아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부(51)에 위치한 체결공(53)에 제3고정부(60)인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벽(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현장의 바닥에서 조립, 완성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해야할 곳을 위치시켜 수행됨에 따라 용접에 따른 화재사고와 그에 따른 인명사고 등을 원천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 또는 대형 건물, 공장 등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리모델링 또는 보강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중 어느 하나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결합부(70)와 고정부재(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가 제1고정부(40) 및 제2고정부(50)에 의해 고정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배면에 제2결합부(70)와 고정부재(90)를 이용하여 내진 및 내충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결합부(70)는 드릴링(drilling) 기능을 갖고 있어 스스로 구멍을 뚫고 들어가 체결되는 나사로 직결나사를 사용하여 시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직결나사는 나팔머리, 트러스머리, 접시머리, 팬 머리, 와퍼머리, 육각와셔 붙이머리, 장볼트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잘 뚫으며,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나팔머리, 접시머리, 육각와셔 붙이머리, 장볼트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90)는 지진 및 충격에 보상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 로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재(90)는 지탱부(91), 이음부(92) 및 고리부(93)로 구성되어 있다.
지탱부(91)는 수직 지지부(30)와 수평 지지부(20)가 수직으로 결합되었을 경우 진동,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결합 구조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 힘을 분산하여 결합력과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이음부(92)는 지탱부(91)가 고리부(93)를 형성하기 위해 지탱부(91)와 지탱부(91)를 연결하여 고리부(9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리부(93)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에 형성된 제2결합부(70)에 걸려 결합력과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진 및 내충격성을 높여 진동에 취약한 구조를 개선할 수 있다.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고정하는 단계(S140) 후에 내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부재(90)를 이용한 고정하는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S150)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 후면에 고정부재(90)를 대고, 제2결합부(70)를 이용하여 고리부(93)에 끼워 고정 결합하여 내진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고정하는 단계(S150) 후, <실시예 3>의 고정하는 단계(S160, S170)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의 바닥에서 조립, 완성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설치해야할 곳을 위치시켜 수행됨에 따라 용접에 따른 단열재 또는 비계에 불이 붙는 등의 화재사고를 사전에 원천 배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옷, 피부에 불이 붙어 화상이나 추락사고 등의 인명사고 또한 사전에 원천 배제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정부재(90)를 더 포함함에 따라 내진성능이 없어 진동에 취약한 점을 개선하여 지진 및 충격에 보상작용을 구현하여 내진 및 내충격성을 높여 내진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중 어느 하나의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기밀부(80) 및 패널(1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은 제2결합부(70)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패널(100)은 ACP 패널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CP 패널은 자기소화성이 탁원한 불연 무기질 충전재로 제조된 패널을 사용하여 건축물의 안전성과 견고성이 강화되며, 우수한 평활도를 유지하고 강도가 높으면서 가벼워 동등한 강성의 알루미늄 시트보다 건축물의 하중을 15~20% 줄여줄 수 있다.
또한, ACP 패널은 색상 균일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과 패턴을 구현하여 건축물의 심미성을 향상할 수 있다.
기밀부(80)는 제2결합부(70)에 의해 발생되는 틈으로 바람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란트(sealant)를 이용하여 틈새를 메울 수 있다.
상기 실란트는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폴리 설파이드(poly sulfide) 수지, 아크릴(acrylic)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리콘 수지는 곰팡이가 잘 생기지 않으며, 탄성이 좋아 균열에 잘 견디고, 항균 작용과 열에 강한 장점이 있어 가장 좋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이음부에 사용될 때 좋으며, 폴리설파이드 수지는 수밀성이 좋고, 아크릴 수지는 방화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은 고정하는 단계(S170) 후,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S180)가 수행될 수 있다.
패널(100)을 결합하는 단계(S180)는 제2결합부(70)를 이용하여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에 패널(100) 날개 부분을 고정 결합하고, 제2결합부(70)에 의해 발생되는 틈을 바람이나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부(80)에 실란트를 이용하여 틈새를 메운다.
패널(100)을 설치함에 따라 건축물의 심미성을 향상하고, 주기적인 외관을 변경하여하는 업종에 적용할 경우 외관 변경 비용을 일부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밀부(80)가 포함됨에 따라 건축물의 방열, 방수 등을 해결하고 바람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패널(100) 또는 단열재가 지상으로 추락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으로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하지철물을 용접하지 않고, 접합 부분을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함에 따라 단열재와 비계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1. 건축물의 벽에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있어서,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부(40)를 설치하기 위해 수평레일부(21)를 포함하는 수평 지지부(20);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20)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제1고정부(40)를 설치하기 위해 수직 레일부(31)를 포함하는 수직 지지부(30);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40);
    판을 직각으로 접은 형상으로 수평 지지부(20) 측면과 수직 지지부(30)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연결하는 제2고정부(50);
    건축물 벽(10)과 결합하기 위해 제3고정부(60);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에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결합부(70) 및 고정부재(90)를 포함하며,
    제1고정부(40)는 수평 레일부(21) 또는 수직 레일부(31)에 삽입되어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고정지지부(41)와 제1고정지지부(41)에서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제1미끄럼 방지부(42) 및 제1고정지지부(41)와 결합되며, 제2고정부(50)를 고정하는 제1결합부(43)를 포함하고,
    제2고정부(50)는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일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고정하는 제1지지부(51); 수평 지지부(20) 또는 수직 지지부(30) 타 측면에 설치되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를 고정하는 제2지지부(52); 제1고정지지부(41)를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1지지부(51) 또는 제2지지부(52)에 형성되는 체결공(53); 및 제1지지부(51) 또는 제2지지부(52)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제2미끄럼 방지부(54)를 포함하며,
    고정부재(90)는 지탱부(91), 이음부(92) 및 고리부(93)를 포함하고,
    고리부(93)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 배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70)에 걸려 결합력과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진 및 내충격성을 높여 진동, 외부 충격으로부터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을 건축물의 벽에 시공하기 위한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에 있어서,
    일정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부(20)와 수평 지지부들(20) 사이에 수직 지지부(30)를 설치하여 연결되는 단계(S110);
    수평 레일부(21)와 수직 레일부(31)에 제1고정지지부(41)를 각각 끼워 넣어, 수평 레일부(21)와 수직 레일부(31) 날개에 의해 제1고정지지부(41)가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력이 향상되어 1차로 고정하는 단계(S120);
    1차 고정 후, 제1고정지지부(41)에 제2고정부(50)의 체결공(53)을 끼워 넣어 2차로 고정하는 단계(S130);
    2차 고정 후, 체결공(43)이 설치된 제1고정지지부(41)에 제1결합부(43)로 결합하며, 제1결합부(4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미끄럼 방지부(42)로 고정하는 단계(S140);
    내진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결합부(70) 및 고정부재(90)를 이용한 고정하는 단계(S150);
    건축물의 벽(10)에 고정하기 위해 수직 지지부들(30) 사이 수평 지지부(20)의 수평 레일부(21)에 제1고정부(40)로 제2고정부(50)의 일 측을 고정하는 단계(S160); 및
    제3고정부(60)를 이용하여 제2고정부(50)의 타 측과 벽(10)을 고정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며,
    고정부재(90)는 지탱부(91), 이음부(92) 및 고리부(93)를 포함하고,
    고리부(93)는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 배면에 형성된 제2결합부(70)에 걸려 결합력과 고정력을 향상시켜 내진 및 내충격성을 높여 진동, 외부 충격으로부터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하는 단계(S150)는 내진설계를 위해 수평 지지부(20)와 수직 지지부(30) 후면에 고정부재(90)를 대고, 제2결합부(70)를 이용하여 고리부(93)에 끼워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설치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03514A 2018-08-31 2018-08-31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KR10198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14A KR101981047B1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14A KR101981047B1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047B1 true KR101981047B1 (ko) 2019-05-22

Family

ID=6667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514A KR101981047B1 (ko) 2018-08-31 2018-08-31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KR102231305B1 (ko) * 2020-04-29 2021-03-23 (주)비피판넬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KR102345019B1 (ko) * 2021-02-03 2021-12-29 건승 주식회사 프로파일과 이단 헤드형 볼트를 통한 무용접 브라켓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709B1 (ko) * 2009-11-09 2010-03-29 김조경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110084697A (ko) *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709B1 (ko) * 2009-11-09 2010-03-29 김조경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20110084697A (ko) * 2010-01-18 2011-07-26 도준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775B1 (ko) * 2019-09-30 2020-06-19 (주)미성이앤씨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KR102231305B1 (ko) * 2020-04-29 2021-03-23 (주)비피판넬 칸막이 벽체의 내진 브래킷
KR102345019B1 (ko) * 2021-02-03 2021-12-29 건승 주식회사 프로파일과 이단 헤드형 볼트를 통한 무용접 브라켓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047B1 (ko) 건축물 재생용 복합패널 및 그 설치방법
CN105507539A (zh) 一种轻质外墙点挂保温装饰板组合锚接体系及其施工方法
CN213268827U (zh) 大跨度高空钢结构连廊下悬式承插型装饰操作平台
CN212453744U (zh) 便于拆装的电梯井防护栏
CN216091950U (zh) H型钢梁门栓式安全带悬挂装置
CN214462463U (zh) 一种用于剪力墙外脚手架搭设的组合式连墙件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CN114059656A (zh) 大跨度悬吊式型钢混凝土多层组合连廊一体化施工方法
KR20020049414A (ko) 교각 점검대
TWI724491B (zh) 絞合扣固型鋼板
CN112854894A (zh) 一种高层建筑临边、洞口围护防坠物施工方法
KR102020875B1 (ko)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KR102291060B1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CN209129226U (zh) 一种新型角码结构
KR20160003751U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CN216304962U (zh) 一种安全式钢结构节点构件
CN211499183U (zh) 绿色建筑用防火钢结构
KR20080045595A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CN216553266U (zh) 一种装配式外围护系统节点
CN210659352U (zh) 一种建筑用临边洞口防护栏杆混凝土基面固定件
CN218091928U (zh) 新型对角悬挑梁
CN213710475U (zh) 一种可调节式踢脚板自闭电梯井防护门
CN215565339U (zh) 一种隐框窗外平开型门窗
CN216893291U (zh) 一种固定性强的铝单板
CN210152009U (zh) 一种背栓式石材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