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51U - 생명선 설치용 지주 - Google Patents

생명선 설치용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51U
KR20160003751U KR2020150002578U KR20150002578U KR20160003751U KR 20160003751 U KR20160003751 U KR 20160003751U KR 2020150002578 U KR2020150002578 U KR 2020150002578U KR 20150002578 U KR20150002578 U KR 20150002578U KR 20160003751 U KR20160003751 U KR 201600037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late
lifeline
slo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03Y1 (ko
Inventor
장문석
장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주식회사 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주식회사 장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Priority to KR2020150002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03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7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B63B9/0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명선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대형선박의 건조, 대형공장의 외부구조물 보수 등과 같은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생명선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된 H-빔 또는 야외건축물의 난간 등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충격 발생시 H-빔 또는 난간 등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생명선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구조물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구조물과 맞닿는 면이 구조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일면에 구비되되, 한 쌍의 수직판이 결합판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의 외측단부를 잇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결합슬롯과, 상기 결합판의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절곡되어 구조물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볼트와, 상기 결합슬롯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며 상단에 생명선이 결합되는 수직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생명선 설치용 지주{Lifeline mounting pole}
본 고안은 생명선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현장, 대형선박의 건조, 대형공장의 외부구조물 보수 등과 같은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생명선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된 H-빔 또는 야외건축물의 난간 등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충격 발생시 H-빔 또는 난간 등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생명선 설치용 지주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 대형선박의 건조, 대형공장의 외부구조물 등과 같은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가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올라간 위치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야외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로프 또는 생명로프 등이 구비되고, 작업자의 허리나 등에는 상기 안전로프 또는 생명로프와 결합되는 카라비너(Carabiner)가 구비된다.
상기 카라비너는, 일명 스냅링(snap link) 또는 크랩(crab)로도 불리우는 것으로, 장비와 장비 또는 장비와 로프를 연결해주는 것이며, 형태 및 구조에 따라 O형, D형, 변형D형, 벤트게이트 등으로 구분된다.
고층 건물의 건축공사 현장이나 대형선박 건조현장에서는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작업에 방해가 되는 안전난간 지주를 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임시 안전난간 지주를 설치하고, 여기에 안전로프를 연결하여 작업자와 안전로프를 생명줄과 생명줄의 끝단에 구비되는 카라비너를 통해 연결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안전로프를 설치하는 안전난간 지주는 작업자가 순간적으로 추락하는 충격하중을 흡수 또는 지지하여 구조물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러한 안전난간 지주의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461101호(2012년06월15일.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과도한 외부 충격이나 하중 부가에도 그 고정 설치상태가 해체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나, 구조물의 일측면에만 고정되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질 때 안전 난간대 자체가 일측방향으로 넘어지거나 구조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건설현장에 설치된 H-빔 또는 야외건축물의 난간 등과 같은 구조물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물의 수평방향으로 대칭되는 양면에 맞닿아 고정됨으로써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충격하중에 의해서도 구조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생명선 설치용 지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조물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구조물과 맞닿는 면이 구조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의 일면에 구비되되, 한 쌍의 수직판이 결합판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의 외측단부를 잇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결합슬롯과, 상기 결합판의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절곡되어 구조물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볼트와, 상기 결합슬롯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며 상단에 생명선이 결합되는 수직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슬롯은, 상기 전면판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는 고정나사가 결합되어 삽입된 수직기둥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슬롯에는, 한 쌍의 수직판 하단을 잇는 걸림판이 더 구비되어, 삽입된 수직기둥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판에 맞닿아 하부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후크볼트는, 상기 결합판의 결합공에 관통 삽입되며 구조물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부에서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구조물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건설현장, 대형선박의 건조 또는 야외건축물의 보수 등과 같이 고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물의 좌우 및 상하로 결합됨으로써 추락시 발생하는 추락충격에 의해서도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1)는, 결합판(10)과, 결합슬롯(20)과, 후크볼트(30) 및 수직기둥(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판(10)은, 구조물(H)의 외면에 맞닿아 배치되도록 구조물(H)과 맞닿는 면이 구조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볼트(30)가 결합되는 결합공(11)이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 중 결합판(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1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져 구조물(H)의 상하 길이에 따라 후크볼트(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도면 중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결합판(10)에서 구조물(H)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구조물(H)의 상면에 배치되는 돌출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슬롯(20)은, 상기 결합판(1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기둥(40)의 하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한 쌍의 수직판(21)이 결합판(10)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21)의 외측단부를 잇는 전면판(22)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상단을 통해 수직기둥(40)이 삽입되며, 상기 수직판(21)의 하단부에는 양단부가 각각 수직판(21)에 맞닿도록 배치된 걸림판(23)이 구비되어 삽입된 수직기둥(40)의 하단부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22)에는 삽입된 수직기둥(40)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는 고정나사(221)가 결합되는 고정공(222)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슬롯(20)은, 수직기둥(40)의 형상에 상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직기둥(40)이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전면판(22)을 반원형으로 형성한 뒤 양단이 수직판(21)의 외측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판(21)과 전면판(22)을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공(222)이 방사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직판(21)과 전면판(22)은 용접을 통해서 일체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판(21)은 결합판(1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볼트(30)는, 결합판(10)을 구조물(H)에 고정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판(10)의 결합공(11)에 관통 삽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선단부에서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구조물(H)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31)는, 결합판(10)에 관통 삽입되되 일단이 결합판(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뒤 결합너트(33)를 통해 결합판(10)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너트(33)가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1)는 외주면이 구조물(H)의 외면과 맞닿아 배치되어 고정부와 구조물이 밀착되기 때문에 외부충격이 발생시 고정부(31)가 구조물(H)에서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32)는, 고정부(31)의 일단을 경사지게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 절곡하는 경사각은 구조물(H)의 두께 및 폭에 따라 설정하되, 상기 고정부(31)의 양단을 잇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하여 20~40°사이로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0°사이로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후크볼트(30)는, 복수개가 결합판(10)에 결합되되 상기 구조물(H)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결합되며 이때 결합되는 방향은 후크볼트(30)의 걸이부(32)가 구조물(H)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회전시켜 결합된다.
상기 수직기둥(40)은, 상기 결합슬롯(20)에 삽입되어 것으로, 결합슬롯(2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되고, 하단부가 결합슬롯(20)의 걸림판(23)에 맞닿아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결합슬롯(20)의 전면판(22)에 결합되는 고정나사(221)에 의해 외주면이 가압된다.
이때, 상기 수직기둥(40)은 내단(41)과 외단(42)으로 이루어지며 내단(41)이 외단(42)의 내측으로 출입하면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내단(41)은 외단(42)의 일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되어 내단(41)을 통과한 뒤 외단(42)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나사(43)를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단(41)과 외단(42)에는 각각 상하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관통공(44)이 형성되며, 외단(42)에는 체결나사(43)의 결합시 외단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421)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설치 상태 및 사용 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결합판(10)이 구조물(H)의 일면에 맞닿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후크볼트(30)가 결합판(10)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어 상기 구조물(H)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밀착된 뒤 후크볼트(30)의 일단에 형성된 걸이부(32)가 구조물(H)의 테두리에 걸린 후 상기 결합판(10)과 결합너트(33)를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수직기둥(40)은, 결합슬롯(20)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슬롯(20)의 전면 외측으로부터 관통 삽입된 고정나사(221)를 통해 외주면이 가압되며 동시에 결합슬롯(20)의 하단부에 구비된 걸림판(23)에 하단부가 맞닿아 하부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수직기둥(40)은, 내단(41)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한 뒤 외단(42)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체결나사(43)를 통해 조절된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생명선 설치용 지주(1)가 건설현장의 H-빔 또는 야외건축물의 난간 등과 같은 구조물(H)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생명선 설치용 지주(1)에 생명선(LR)이 결합되되, 상기 생명선(LR)은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작업자가 허리나 등에 카라비너(CA)와 연결된 로프를 구비한 뒤 상기 카라비너(CA)를 생명선(LR)에 결합한 뒤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건설현장, 대형선박의 건조 또는 야외건축물의 보수 등과 같이 고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구조물의 좌우 및 상하로 결합됨으로써 추락시 발생하는 추락충격에 의해서도 구조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안전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지주 H : 구조물 LR : 생명선
10 : 결합판 11 : 결합공
20 : 결합슬롯 21 : 수직판 22 : 전면판
23 : 걸림판 221 : 고정나사 222 : 고정공
30 : 후크볼트 31 : 고정부 32 : 걸이부
33 : 결합너트
40 : 수직기둥 41 : 내단 42 : 외단
44 : 관통공 43 : 체결나사 421 : 보강판

Claims (4)

  1. 구조물(H)의 외면에 맞닿게 배치되도록 구조물(H)과 맞닿는 면이 구조물의 외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결합공(11)이 형성된 결합판(10)과;
    상기 결합판(10)의 일면에 구비되되, 한 쌍의 수직판(21)이 결합판(10)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수직판(21)의 외측단부를 잇는 전면판(22)으로 이루어진 결합슬롯(20)과;
    상기 결합판(10)의 결합공(11)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이 경사지게 절곡되어 구조물(H)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볼트(30)와;
    상기 결합슬롯(20)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며 상단에 생명선(LR)이 결합되는 수직기둥(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명선 설치용 지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20)은,
    상기 전면판(22)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공(22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222)에는 고정나사(221)가 결합되어 삽입된 수직기둥(40)의 외주면을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선 설치용 지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20)에는,
    한 쌍의 수직판(21) 하단을 잇는 걸림판(23)이 더 구비되어, 삽입된 수직기둥(40)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판(23)에 맞닿아 하부로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선 설치용 지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볼트(30)는,
    상기 결합판(10)의 결합공(11)에 관통 삽입되며 구조물(H)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선단부에서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구조물(H)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이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20150002578U 2015-04-21 2015-04-21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0482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78U KR200482903Y1 (ko) 2015-04-21 2015-04-21 생명선 설치용 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78U KR200482903Y1 (ko) 2015-04-21 2015-04-21 생명선 설치용 지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51U true KR20160003751U (ko) 2016-10-31
KR200482903Y1 KR200482903Y1 (ko) 2017-03-15

Family

ID=5723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78U KR200482903Y1 (ko) 2015-04-21 2015-04-21 생명선 설치용 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2330A (zh) * 2018-06-25 2018-10-02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钢结构高空作业安全绳支架及其安装施工方法
KR20190000480U (ko) * 2017-08-11 2019-02-20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 난간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036A (ja) * 1996-11-18 1998-06-02 Fujita Corp 手摺支柱・巾木取付金具
KR20090109991A (ko) * 2008-04-17 2009-10-21 윤종철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120001521U (ko) * 2010-08-25 2012-03-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8036A (ja) * 1996-11-18 1998-06-02 Fujita Corp 手摺支柱・巾木取付金具
KR20090109991A (ko) * 2008-04-17 2009-10-21 윤종철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20120001521U (ko) * 2010-08-25 2012-03-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80U (ko) * 2017-08-11 2019-02-20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시스템 난간대
CN108612330A (zh) * 2018-06-25 2018-10-02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钢结构高空作业安全绳支架及其安装施工方法
CN108612330B (zh) * 2018-06-25 2023-11-28 宁波建工工程集团有限公司 钢结构高空作业安全绳支架及其安装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03Y1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7290C (en) Safety scaffolding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US11851900B2 (en) Temporary safety railing system and method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CN110593544A (zh)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160019717A (ko) 가설구조물용 수직재와 횡재의 연결구조
CN210888012U (zh)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KR101607665B1 (ko) 갱폼 고정장치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KR20090057825A (ko)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CN209099807U (zh) 一种建筑楼梯临时护栏
CN210483117U (zh) 一种彩钢瓦屋面檐口临边防护装置
JP6313553B2 (ja) 屋根用仮設てすり及び屋根用仮設てすりの取付方法
KR101851505B1 (ko) 철골용 안전 난간대
KR102291060B1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KR101596939B1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CN210086869U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带悬挂装置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CN104975707A (zh) 棚架和其三角形支撑架体
CN216239690U (zh) 带护栏的脚手架踏板单元及脚手架工作平台
JP2006144414A (ja) 転落防止材設置用支柱
CN216022754U (zh) 具有高空作业安全带挂点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