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21U -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 Google Patents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21U
KR20120001521U KR2020100008862U KR20100008862U KR20120001521U KR 20120001521 U KR20120001521 U KR 20120001521U KR 2020100008862 U KR2020100008862 U KR 2020100008862U KR 20100008862 U KR20100008862 U KR 20100008862U KR 20120001521 U KR20120001521 U KR 20120001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mall
clamping body
lifelin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101Y1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01Y1/ko
Priority to PCT/KR2011/004540 priority patent/WO2012026673A2/ko
Publication of KR20120001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6Horizontal life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4Means for working on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19Means supported by the building wall, e.g. security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3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 E04G21/3242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using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5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profiles, e.g. I or H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의 추락 발생 시와 같이 강력한 잡아당김이 발생되어도 그것이 고정 설치된 H-빔과 같은 철 구조물에 대한 고정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도 극대화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SAFETY BALUSTRADE POLE FOR EXCLUSIVE USE OF LIFESAVING ROPE}
본 고안은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추락 발생 시와 같이 강력한 잡아당김이 발생되어도 그것이 고정 설치된 H-빔과 같은 철 구조물에 대한 고정 설치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극대화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난간대는 각종 건축 및 토목 현장에서 영구 구조물을 축조하기 전에 가설 용도로 설치하는 건축용 안전 시설재이면서, 안전용품이고, 또한 공사자재의 일종인 물품이다.
예컨대, 철골구조의 건축물을 축조 시에 안전난간대는 H-빔(beam), 강판 등의 철 구조물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며, 설치된 안전 난간대들에 걸쳐지도록 밧줄 형태인 생명줄이 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설된다.
그리고, 배설된 생명줄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자신의 안전벨트나 안전벨트에 연결된 구명줄을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러한 안전난간대는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고소(高所) 작업에 따른 추락을 방지하여 산업재해를 차단한다.
도 1은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를 나타내고, 도 2는 그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안전난간대(100)는 강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그것은 하단부 측의 클램핑부(130)를 통해 H-빔, 강판 등의 철 구조물(30)에 클램핑되어 고정 설치되고, 그 수직 지주(110) 상의 고리형 걸이부(120)를 통해 생명줄(10)이 거치되도록 한다.
그 구성은, 상하로 수직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지주(110)와, 해당 수직지주(110)의 일정 높이에 결합 구비되며 생명줄(10)이 거치되도록 이용되는 고리형 걸이부(120)와, 해당 수직지주(110)의 하단부 측에 좌우 한 쌍으로 결합 구비되는 클램퍼(132)를 포함하고 각 클램퍼(132)는 디귿자("⊃" 유사) 또는 그 유사 형태로 되는 클램핑 몸체(132a)의 상부측 선단부에 구비되는 너트(132b)에 수직 방향으로 클램핑 볼트(132c)가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클램핑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직지주(110)는 바람직하게 각 관 또는 각 빔으로 이루어진다.
고리형 걸이부(120)는 수직지주(110)의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측부에 결합 구비되며, 그것은 수직지주(110)의 가로 폭보다 넓은 가로 폭을 가져 수직지주(110)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에 두개의 고리 구멍을 형성한다.
해당 고리형 걸이부(120)는 상하로 적정 간격 이격되도록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클램핑부(130)는 수직지주(110)의 하단부측에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지주(110)를 중앙에 두고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는 두개의 클램퍼(132)를 포함한다.
각 클램퍼(132)는 디귿자 또는 그 유사 형태의 클램핑 몸체(132a)와, 클램핑 몸체(132a)의 상부측 선단부에 결합 구비되는 너트(132b)와, 너트(132b)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나사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그 회전 조작에 이용되는 머리부(132c-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누름부(132c-2)가 형성되는 클램핑 볼트(132c)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램핑 몸체(132a)는 디귿자 또는 그 유사 형태임에 따라 상부 수평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는 각기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U"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편으로 구현되어 그 강도가 증대된다.
그리고, 수직부는 판 형태의 판 부재로 구현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클램퍼(132)의 수직부가 공통되는 한 장의 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핑 볼트(132c)의 머리부(132c-1)는 바람직하게 끼움 관통공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설치 및 이용 방법은, 안전난간대(100)가 수직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측의 양측 클램퍼(132)의 클램핑 몸체(132a) 내부로 H-빔이나 강판 등의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30a)가 삽입되어 클램핑 몸체(132a)의 하부 수평부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클램핑 볼트들(132c)을 조이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30a)가 클램핑 볼트들(132c)과 하부 수평부 사이에 긴박되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방식을 반복하여 철 구조물(30)의 측부에 횡 방향을 따라서 적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난간대(100)를 고정 설치한다.
그 후, 설치된 다수개의 안전 난간대들(100) 상의 동일 높이에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120)를 통과하도록 생명줄(10)을 횡설한다.
이로써, 안전난간대(100) 및 생명줄(10)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후 작업자는 자신의 안전벨트나 안전벨트에 연결된 구명줄(20)을 설치된 생명줄(10)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덧붙여, 안전난간대(100)는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생명줄(10)을 중간 중간에서 거치하여 지지함으로써, 생명줄(10)의 늘어짐이 최소화되어 최대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추락 발생 시에 추락하는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생명줄(10)이 중간에서 하방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짐에 따라서 설치된 안전난간대(100)가 쉽게 방향이 틀어지면서 결국 철 구조물(30)에 대해 고정 해체 및 이탈되어, 낙하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의 추락 발생 시에 추락하는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작용되는 순간적인 하중은 몸무게의 약 25배에 달하는 순간 하중이 작용함에 따라 수직지주(110)의 하부가 순간적으로 꺾여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100)는 작업자의 생명을 전혀 보장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현재 작업자들이 안전기준의 준수를 위해 현장에 종래와 같은 안전난간대(100)를 설치하고는 있으나, 그 안전성이 전혀 담보되지 못함을 인식하고, 그 이용을 회피하거나 작업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추락 발생시에도 철 구조물에 대한 견고한 고정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극대화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지주; 상기 수직지주의 일정 높이에 결합 구비되며 생명줄이 거치되도록 이용되는 고리형 걸이부;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부측에 좌우 한 쌍으로 결합 구비되는 대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상기 각 대형 클램퍼는 디귿자 또는 디귿자 유사 형태의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선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대형 너트에 대해 대형 클램핑 볼트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 상기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의 대형 클램핑 몸체의 좌우 외측에 결합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소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소형 클램퍼는 제1 클램핑 블록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1 클램핑 블록에 형성된 제1 볼트결합공에 대해 제1 소형 클램핑 볼트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 상기 수직지주의 하측부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하중 작용시 수직지주가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찬넬; 및 상기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 지지하여 대형 클램핑 볼트를 통한 조임력 발생시 대형 클램핑 몸체에 있어서의 상하측 간격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철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양 외측에 설치되는 제1 소형 클램퍼의 하측에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양 외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소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소형 클램퍼는 제2 클램핑 블록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2 클램핑 블록에 형성된 제2 볼트결합공에 대해 제2 소형 클램핑 볼트가 상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외측 소형 클램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그 상면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상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과도한 외부 충격이나 하중 부가에도 그 고정 설치상태가 전혀 해체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안전난간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도 극대화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산업재해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철골 안전난간대의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실제품 요부를 촬영한 사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실제품에 대한 추락 재현 실험 상황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200)는, 전체가 강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수직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지주(210)와, 해당 수직지주(210)의 일정 높이에 결합 구비되며 생명줄(10)이 거치되도록 이용되는 고리형 걸이부(220)와, 해당 수직지주(210)의 하단부측에 좌우 한 쌍으로 결합 구비되는 대형 클램퍼(232)를 포함하며 각 대형 클램퍼(232)는 디귿자("⊃" 유사) 또는 그 유사 형태의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상부 수평부)측 선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대형 너트(232b)에 대해 대형 클램핑 볼트(232c)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230)와,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230)의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좌우 외측에 결합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소형 클램퍼(242)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소형 클램퍼(242)는 블록형태의 제1 클램핑 블록(242a)이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1 클램핑 블록(242a)에 형성된 제1 볼트결합공(242a-1)에 대해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240)는 도시한 바와는 반대 위치로 하여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하부 수평부)측 외측에 배치되게 구성할 수 있는 등 선택적인 배치가 가능하다 할 것이며, 이때에는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가 상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수직지주(210)는 바람직하게 각 관 또는 각 빔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지주(210)의 하측부에는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꺾임방지용 보강찬넬(270)을 보호대로 설치하여 안전난간대(200)에 추락에 따른 하중 작용시 수직지주(210)가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리형 걸이부(220)는 수직지주(210)의 일정 높이에 해당하는 측부에 결합 구비되며, 그것은 수직지주(210)의 가로 폭보다 넓은 가로 폭을 가져 수직지주(210)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에 두개의 고리 구멍을 형성한다.
해당 고리형 걸이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정 간격 이격되도록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230)는 수직지주(210)의 하단부측에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수직지주(210)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대형 클램퍼(232)를 포함하며, 대형 클램퍼(232)는 상부측과 하부측에 대응되게 위치하되 간격 배치된 상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각 대형 클램퍼(232)는 디귿자 또는 그 유사 형태의 대형 클램핑 몸체(232a)와, 해당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측 선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 구비되는 대형 너트(232b)와, 대형 너트(232b)에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는 그 회전 조작에 이용되는 머리부(232c-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누름부(232c-2)가 형성되는 대형 클램핑 볼트(232c)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형 클램핑 몸체(232a)는 디귿자 또는 그 유사 형태임에 따라 상부 수평부, 수직부 및 하부 수평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는 각기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U"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편으로 구현하여 그 강도가 증대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각 대형 클램핑 몸체(232a)에는 상하 위치하여 간격 배치된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철판(260)을 설치하여 대형 클램핑 볼트(232c)를 통한 조임시 대형 클램핑 몸체(232a)에 있어서의 상하측 간격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직부는 판 형태의 판 부재로 구현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대형 클램퍼(232)의 수직부가 공통되는 한 장의 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관련하여,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대형 클램퍼(232) 간은 그 전면측에 대해 전면측 부착판(234)이 부착되어 보강될 수 있다.
그리고, 대형 클램핑 볼트(232c)의 머리부(232c-1)는 바람직하게 끼움 관통공을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240)는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230)를 구성하는 양측 대형 클램퍼(232)의 각 외측에 결합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소형 클램퍼(242)를 포함한다.
각 제1 소형 클램퍼(242)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제1 볼트결합공(242a-1)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제1 고정브래킷(242a)과, 제1 볼트결합공(242a-1)에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그 회전 조작에 이용되는 머리부(242b-1)가 형성되는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를 포함한다.
따라서, 그 설치 방법은, 안전난간대(200)가 수직된 상태에서 대형 클램핑 몸체(232a) 내부로, 즉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의 사이로, H-빔이나 강판 등의 철 구조물(30)에 대해 일측 플랜지부가 삽입되어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대형 클램핑 볼트들(232c)을 조이고, 또한 제1 소형 클램퍼(242)의 제1 소형 클램핑 볼트들(242b)을 조인다.
물론, 대형 클램핑 볼트(232c)는 조임에 따라 하향 이동되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 상면을 누름부(232c-2)를 통하여 누르며,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 또한 조임에 따라 하향 이동되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 상면을 누른다.
이로써,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가 대형 클램핑 볼트들(232c)과 그에 대향되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 사이에 긴박됨과 아울러, 또한 작은 크기의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에 의해 긴박되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240)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측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일 경우에는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가 대형 클램핑 볼트들(232c)과 그에 대향되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 사이에 긴박됨과 아울러, 또한 다른 위치에서 작용되는 작은 크기의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의 조임력에 의해 긴박되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상의 방식을 반복하여 철 구조물(30)의 측부에 횡 방향을 따라서 적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 난간대(200)를 고정 설치하면 된다.
그 후, 설치된 다수개의 안전 난간대들(200) 상의 동일 높이에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220)를 통과하도록 생명줄(10)을 횡설한다.
이로써, 안전 난간대(200) 및 생명줄(10)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후 작업자는 자신의 안전벨트나 안전벨트에 연결된 구명줄(20)을 설치된 생명줄(10)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난간대(200)는 다중으로 클램핑되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작은 크기의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가 또한 긴박되게 지지 고정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의 추락 발생 시의 경우 추락하는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생명줄(10)이 중간에서 하방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지더라도 설치된 안전난간대(200)는 전혀 방향이 틀어지거나 하방으로 넘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그 견고한 고정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대(2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더하여,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 수평부의 양 외측에 설치되는 제1 소형 클램퍼(242)의 하측에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의 양 외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소형 클램퍼(252)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소형 클램퍼(252)는 블록형태의 제2 클램핑 블록(252a)이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2 클램핑 블록(252a)에 형성된 제2 볼트결합공(252a-1)에 대해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가 상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외측 소형 클램핑부(2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소형 클램퍼(252)는 제1 소형 클램퍼(242)와 동일한 구성이되, 대향방향으로 하여 제1 소형 클램퍼(242)와 서로 마주하게 대응 배치되는 것이다.
각 제1 소형 클램퍼(252)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하부 수평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제2 볼트결합공(252a-1)이 형성된 블록형태의 제2 클램핑 블록(252a)과, 제2 볼트결합공(252a-1)에 상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그 회전 조작에 이용되는 머리부(252b-1)가 형성되는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를 포함한다.
이때, 제2 클램핑 블록(252a)은 그 상면이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측 상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함이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를 통한 고정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는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와 동일직선 배치가 아닌 대형 클램핑 몸체(232a)에 더 근접하도록 좀 더 내측방향으로 배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긴박감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설치 방법은, 안전난간대(200)가 수직된 상태에서 대형 클램핑 몸체(232a) 내부로, 즉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 수평부와 하부 수평부의 사이로, H-빔이나 강판 등의 철 구조물(30)에 대해 일측 플랜지부(30a)가 삽입되어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대형 클램핑 볼트들(232c)을 조이고, 또한 제1 소형 클램퍼(242)와 제2 소형 클램퍼(252)의 제1 소형 클램핑 볼트들(242b)과 제2 소형 클램핑 볼트들(252b)을 모두 조인다.
그에 따라, 대형 클램핑 볼트(232c)는 조임에 따라 하향 이동되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30a) 상면을 누름부(232c-2)를 통하여 누르며,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는 조임에 따라 하향 이동되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30a) 상면을 누르며,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는 조임에 따라 상향 이동되어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30a) 하면을 누른다.
이로써, 철 구조물(30)의 일측 플랜지부가 대형 클램핑 볼트들(232c)과 그에 대향되는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하부 수평부 사이, 그리고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제1 소형 클램핑 볼트들(242b)과 제2 소형 클램핑 볼트들(252b)에 의해 철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이상의 방식을 반복하여 철 구조물(30)의 측부에 횡 방향을 따라서 적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전난간대(200)를 고정 설치한다.
그 후, 설치된 다수개의 안전 난간대들(200) 상의 동일 높이에 형성된 고리형 걸이부(220)를 통과하도록 생명줄(10)을 횡설한다.
이로써, 안전난간대(200) 및 생명줄(10)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후 작업자는 자신의 안전벨트나 안전벨트에 연결된 구명줄(20)을 설치된 생명줄(10)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안전난간대(200)는 다중으로 클램핑되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제1 소형 클램핑 볼트(242b)와 제2 소형 클램핑 볼트(252b)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철 구조물(30)을 긴밀히 가압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반대편 방향으로 추락 시의 경우에 있어 추락하는 작업자의 무게에 의해 생명줄(10)이 중간에서 반대편 하방으로 강하게 잡아 당겨지더라도 설치된 안전 난간대(200)는 전혀 방향이 틀어지거나 하방으로 넘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고 그 견고한 고정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주(210)의 하측부에 결합된 보강찬넬(270)의 보강 지지력에 의해 안전난간대(200)에 추락에 따른 하중이 작용되더라도 수직지주(210)가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각 대형 클램핑 몸체(232a)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하는 보강철판(260)을 통해서 대형 클램핑 볼트(232c)를 통한 조임력 발생시 대형 클램핑 몸체(232a)에 있어서의 상하측 간격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반대편 방향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대해서까지 완벽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9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의 실제품 요부를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본 고안자는 도 10의 사진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200)의 실제품에 대한 추락 재현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때 작업자를 대신하여 100㎏ 중량의 쌀 포대를 매달아 낙하시켰음에도 안전 난간대(200)는 전혀 그 설치 상태가 변동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 "대형", "소형"이라는 용어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고 작음을 의미한다.
이상, 상기한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200 : 안전 난간대
210 : 수직지주 220 : 고리형 걸이부
230 :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 232 : 대형 클램퍼
232a : 대형 클램핑 몸체 232b : 대형 너트
232c : 대형 클램핑 볼트 232c-1 : 머리부
232c-2 : 누름부 234 : 전면측 부착판
240 :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 242: 제1 소형 클램퍼
242a : 제1 클램핑 블록 242a-1 : 제1 볼트결합공
242b : 제1 소형 클램핑 볼트 242b-1 : 머리부
250 : 제2 외측 소형 클램핑부 252 : 제2 소형 클램퍼
252a : 제2 클램핑 블록 252a-1 : 제2 볼트결합공
252b : 제2 소형 클램핑 볼트 252b-1 : 머리부
260: 보강철판 270: 보강찬넬
10 : 생명줄 20 : 구명줄
30 : 철 구조물 30a : 플랜지부

Claims (2)

  1. 상하 방향으로 수직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지주;
    상기 수직지주의 일정 높이에 결합 구비되며 생명줄이 거치되도록 이용되는 고리형 걸이부;
    상기 수직지주의 하단부측에 좌우 한 쌍으로 결합 구비되는 대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상기 각 대형 클램퍼는 디귿자 또는 디귿자 유사 형태의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선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대형 너트에 대해 대형 클램핑 볼트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
    상기 중앙측 대형 클램핑부의 대형 클램핑 몸체의 좌우 외측에 결합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소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소형 클램퍼는 제1 클램핑 블록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1 클램핑 블록에 형성된 제1 볼트결합공에 대해 제1 소형 클램핑 볼트가 하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 외측 소형 클램핑부;
    상기 수직지주의 하측부 외면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하중 작용시 수직지주가 꺾이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찬넬; 및
    상기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 지지하여 대형 클램핑 볼트를 통한 조임력 발생시 대형 클램핑 몸체에 있어서의 상하측 간격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철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클램핑 몸체의 상부측 양 외측에 설치되는 제1 소형 클램퍼의 하측에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양 외측에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소형 클램퍼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소형 클램퍼는 제2 클램핑 블록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제2 클램핑 블록에 형성된 제2 볼트결합공에 대해 제2 소형 클램핑 볼트가 상향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2 외측 소형 클램핑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클램핑 블록은 그 상면이 대형 클램핑 몸체의 하부측 상면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줄 전용 안전난간대.
KR2020100008862U 2010-08-25 2010-08-25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200461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62U KR200461101Y1 (ko) 2010-08-25 2010-08-25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PCT/KR2011/004540 WO2012026673A2 (ko) 2010-08-25 2011-06-22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62U KR200461101Y1 (ko) 2010-08-25 2010-08-25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21U true KR20120001521U (ko) 2012-03-06
KR200461101Y1 KR200461101Y1 (ko) 2012-06-22

Family

ID=45723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62U KR200461101Y1 (ko) 2010-08-25 2010-08-25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1101Y1 (ko)
WO (1) WO201202667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71Y1 (ko) * 2014-10-15 2015-07-07 주식회사 한길이엔지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KR20160003751U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생명선 설치용 지주
CN113833289A (zh) * 2021-09-29 2021-12-24 中国建筑工程(香港)有限公司 一种棚架防堕系统及其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8544B2 (ja) * 2013-11-06 2017-08-30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支柱支持器具
US11220829B2 (en) * 2018-09-26 2022-01-11 Ronald Fontes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KR102465258B1 (ko) 2022-03-16 2022-11-09 박세현 안전 난간대
CN114893009A (zh) * 2022-05-24 2022-08-1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生命线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9144U (ko) 1980-12-25 1982-07-06
JPH0337341Y2 (ko) 1984-10-08 1991-08-07
JP2789517B2 (ja) * 1995-03-30 1998-08-20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親綱支柱
JP3881649B2 (ja) 2002-12-05 2007-02-14 義徳 深田 親綱支柱
JP4086710B2 (ja) * 2003-05-08 2008-05-14 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仮設用手摺
JP5070009B2 (ja) * 2007-11-13 2012-11-07 アルインコ株式会社 親綱支柱
KR101005071B1 (ko) 2010-05-10 2010-12-30 김영주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71Y1 (ko) * 2014-10-15 2015-07-07 주식회사 한길이엔지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KR20160003751U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장우이엔지 생명선 설치용 지주
CN113833289A (zh) * 2021-09-29 2021-12-24 中国建筑工程(香港)有限公司 一种棚架防堕系统及其施工方法
CN113833289B (zh) * 2021-09-29 2022-12-23 中国建筑工程(香港)有限公司 一种棚架防堕系统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101Y1 (ko) 2012-06-22
WO2012026673A2 (ko) 2012-03-01
WO2012026673A3 (ko)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US7048090B2 (en) Safety apparatus for arresting the fall of a worker
JP6210453B2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KR101005071B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JP5863578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5070009B2 (ja) 親綱支柱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KR101101941B1 (ko)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JP5773469B1 (ja) 吊足場
CN110965797A (zh) 一种钢梁临边防护装置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CN211524150U (zh) 一种钢梁临边防护装置
KR20120001132A (ko) 가설 안전 난간대
KR20090057825A (ko)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KR200418547Y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200465300Y1 (ko) 생명줄 설치용 안전난간 지주
JP2021075967A (ja) 吊り足場
KR101134360B1 (ko) 충돌회피 낙하물 방지망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101459343B1 (ko) 연속 빌레이에 사용되는 와이어 고정브라켓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KR0119386Y1 (ko) 철골기둥용 안전로프
KR200145486Y1 (ko) 철골구조물의 안전로프걸이
KR102610538B1 (ko) 추락방지용 안전고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