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47Y1 -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547Y1
KR200418547Y1 KR2020060008299U KR20060008299U KR200418547Y1 KR 200418547 Y1 KR200418547 Y1 KR 200418547Y1 KR 2020060008299 U KR2020060008299 U KR 2020060008299U KR 20060008299 U KR20060008299 U KR 20060008299U KR 200418547 Y1 KR200418547 Y1 KR 200418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coupling
mounting
scaffold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우
노경윤
Original Assignee
신승우
노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승우, 노경윤 filed Critical 신승우
Priority to KR2020060008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5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4Flexible elements, with or without brackets, e.g. ropes, cables,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에 관통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이 장착부재의 타단부는 강선의 일단부가 고착된 체결부재와 더불어 인장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체결되고, 이 인장부재의 회전으로 강선의 인장력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종래의 수평 강관이 강선으로 대체되면서 그 작업의 결합 및 해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보관 및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강선과 지주의 체결 및 해제가 결합부재와 장착부재 및 인장부재에 의해 간편히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이렇게 설치된 비계는 강선의 인장력에 의해 작업자의 낙상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더욱 안전하도록 안전망이 설치되는데 편리하도록 된 것이다.
안전난간, 비계, 클램프, 강선, 와이어

Description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Scaffolding of steel wire type having multi-function}
도 1은 종래의 강관형 비계에서 강관의 교차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강관형 비계에서 강관의 교차부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주요 구성요소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의 다른 사용 실시 예가 도시된 측면도,
도 7a 내지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강선형 비계 200...지주,
210,500...제1,2결합부재 212...안내부,
214...결합부 220...위치조정부재,
300...강선 310,600,700..제1,2,3장착부재,
312,610,710...몸체 314...고리부,
316...걸림부 620...장착홀,
630...핀 720...고정부,
730...회동부.
본 고안은 비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들 사이에 강선(鋼線)이 설치되어 비계의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안전망등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하는 건축현장에서는 벽체나 난간이 미처 설치되지 않은 슬라브의 주변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계를 설치하게 되고, 종래의 비계는 작업자의 추락 위험이 있는 곳에 쇠파이프등의 강관(鋼管)들이 수직 및 수평으로 위치되어 소정의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어 이루어졌다.
이렇듯 종래의 강관형 비계는 수평 및 수직의 강관이 클램프(10)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이루어졌고, 상기 클램프(10)는 도 1에서와 같이, 수평 및 수직의 강관(20,30)이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위치에 수평 및 수직의 강관(20,30)과 체결되 는 수평부(12) 및 수직부(14)로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다소 무거우면서도 긴 길이의 강관(12,14)들을 상호 교차시킨 상태에서의 클램프(10) 체결작업은 다수의 작업원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강관(12,14)의 자중때문에 체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이와 같은 체결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도 2에서와 같은 수직의 강관(30)에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재(40)가 고착되고, 이 결합부재(40)와 수평의 강관(20) 단부에 장착된 장착부재(50)가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 장착부재(50)는 수직강관(30)의 단부에 용접등이 이용되어 고착된 것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장착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졌다.
상기 장착부재(50)에 결합부재(40)의 소정부위가 개재되면서 상기 결합홀과 장착홀이 동심을 이루면 쐐기등과 같은 보조부재(60)가 관통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40)와 장착부재(50)가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재(40) 및 장착부재(50)의 결합으로 상기 클램프(10)에 의한 체결작업이 다소 개선되었지만 자중이 무거운 수평 및 수직의 강관(20,30)이 계속 이용되어 작업자의 불편함은 개선되지 않았고, 이러한 강관(20,30)에 결합부재(40) 및 장착부재(50)를 고정하기 위한 용접등 별도의 작업공정이 요구되었으며, 해체 후 다수의 강관(20,30)의 보관 및 보조부재(60)의 분실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관의 지주들 사이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 다수의 강선이 설치되고, 상기 지주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결합부재와 상기 강선의 단부에 연계 장착되는 장착부재가 간단하게 장착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체결됨으로써, 종래의 수평의 지주가 강선으로 대체되어 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면서 간단히 해체된 후 보관 및 재사용이 용이하고, 강선에 의해 작업자의 낙상이 방지되면서 안전망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는, 일정 간격으로 지주들이 설치되어 통행 가능한 일정 공간이 확보되도록 이루어진 비계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이 장착부재의 타단부는 강선의 일단부가 고착된 체결부재와 더불어 인장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체결되고, 이 인장부재의 회전으로 강선의 인장력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재는 지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ㆍ하 이동되는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어 높이가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면서 지주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진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서 외향돌출되면서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수직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연장된 후크형상의 고리부와, 고리부와 결합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고리부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도록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걸림부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은 고리부와 밀착되도록 내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면서 지주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진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서 외향돌출되면서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수평의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는 체결부와 접촉되면서 장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장착홀과 결합홀이 동심을 이루어 위치되면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재의 다른 실시 예로는,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에서 연장되어 지주를 일부 감싸도록 이루어진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주의 잔여부위를 감싸면서 그 끝단부가 몸체와 볼팅체결되도록 이루어진 회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이 통과되는 통과홀에 강선과의 마찰을 회피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간주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를 참조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주요 구성요소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100)는 건설 현장등의 소정의 장소에 작업자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1결합부재(210)가 장착된 지주(支柱,200)가 설치되고, 이 제1결합부재(21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장착부재(310)와 상기 강선(300)의 단부에 설치된 체결부재(320)가 인장부재(330)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체결되며, 이 인장부재(330)의 회전으로 강선(300)의 인장력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2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ㆍ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조정부재(220)가 체결되며, 이 위치조정부재(220)에 안착되도록 제1결합부재(210)가 지주(200)에 관통되어 장착된다.
상기 위치조정부재(220)는 지주(200)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지주(200)에 상호 치합된 위치조정부재(220)의 위치 이동을 위한 회전을 위해 손잡이부(222)가 외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210)는 지주(200)에 관통되어 위치되면서 위치조정부재(2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 안내부(212)와, 이 안내부(212)에서 외향 돌출되면서 상기 제1장착부재(310)와 결합되도록 수직의 제1결합홀(214a)이 형성된 제1결합부(214)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212)는 지주(200)를 따라 이동되는 제1결합부재(210)의 이동성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 높이로 지주(200)의 외면과 심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성형되고, 상기 제1결합부(214)는 안내부(210)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홀(214a)은 후술될 제1장착부재(310)의 고리부(314)와의 결합 및 밀착이 용이하도록 수직방향의 내면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장착부재(310)는 인장부재(330)와 나사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312)와, 이 몸체(312)로부터 연장되어 제1결합부재(210)의 제1결합홀(214a)과 체결되는 후크형상의 고리부(314)와, 이 고리부(314)와 제1결합홀(214a)과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고리부(314)의 개방부위가 선택적으로 폐쇄되도록 몸체(312)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걸림부(316)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장착부재(310)와 제1결합부재(210)의 체결은 상기 제1장착부재(310)의 고리부(314)가 제1결합홀(214a)에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부(316)가 회동되었다가 원위치됨으로써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320)는 강선(300)의 단부가 수용되어 죄임으로 결합되거나 용접등으로 결합되고, 상기 인장부재(330)의 일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장부재(330)는 양단부에 각각 제1장착부재(310)의 나사부와 체결부 재(320)의 나사부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지고, 이 인장부재(330)는 제1장착부재(310)와 체결부재(320)에 역나사체결되어 일방향 회전함으로써 강선(300)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턴버클인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의 다른 사용 실시 예가 도시된 것으로, 도 6a는 지주(200)들 사이에 간주(間柱,400)가 설치된 예로서, 보다 넓은 간격으로 고정된 지주(200)들 사이에 간주(400)가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지주(200)가 설치됨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간주(400)는 강선(300)이 통과되도록 형성된 통과홀에 강선(300)과 통과홀 내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회피되도록 보조부재(410)가 끼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조부재(410)는 강선(300)의 단부에 설치된 체결부재(320)가 통과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b는 지주(200)들 사이의 강선(300)이 수평으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대각선으로도 설치되어 작업자의 낙하방지에 좀 더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보호망등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것으로,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200)에 장착되면서 위치조정부재(220)에 안착되는 제2결합부재(500)는 도 4의 제1결합부재(21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안 내부(212)로부터 외향 돌출된 결합부(214)에 돌기가 형성되고, 이 돌기에 수평의 제2결합홀(5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의 제1장착부재(310)의 다른 실시 예인 제2장착부재(600)는 상기 인장부재(330)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부(214)의 돌기가 개재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장착홀(620)이 형성된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에 결합부(214)의 돌기가 개재되도록 위치되면서 상기 장착홀(620)과 제2결합홀(510)이 동심을 이루면 관통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장착부재(600)와 제2결합부재(500)를 체결시키는 핀(6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7b는 도 7a의 제2결합부재(500)의 다른 실시 예로 결합부(214)의 돌기가 다수 형성된 것이 도시된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제3장착부재(700)는 인장부재(330)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710)와, 이 몸체(710)에서 연장되어 지주(200)를 일부 감싸도록 이루어진 고정부(720)와, 이 고정부(7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고정부(720)와 더불어 지주(200)를 완전 감싸면서 그 끝단부가 몸체(710)와 볼팅체결되도록 이루어진 회동부(7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장착부재(700)은 유연하면서 강도가 높은 가죽등이 포함된 다야한 재질이 이용되어 몸체(710),고정부(720), 회동부(730)이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장착부재(700)가 사용되는 경우, 지주(200)에 제1,2결합부재(210,500)와 위치조정부재(220)의 장착이 불필요하게 되면서 지주(2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 역시 불필요하며, 단지 상기 지주(200)를 고정부(720)와 회동부(730)가 감싸도록 위치되게 설치되면 인장부재(330)의 회전에 의해 강선(300)이 인장되어 지주(200)와 제3장착부재(700)의 체결은 견고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를 조립순서에 의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위치조정부재(220)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1결합부재(210) 또는 제2결합부재(500)가 장착된 지주(200)가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면, 강선(300)의 일단부에 설치된 체결부재(320)가 인장부재(330)와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1,2장착부재(310,600)의 나사부가 인장부재(330)에 체결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제1장착부재(310) 또는 제2장착부재(600)가 제1,2결합부재(210,500)의 제1결합홀(214a) 또는 제2결합홀(510)에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인장부재(330)가 회전되어 강선(300)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되면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간주(400)가 설치되는 경우 강선(300)이 간주(400)를 통과하도록 위치된 다음 제1,2결합부재(210,500)와 제1,2장착부재(310,600)와 인장부재(330) 및 체결부재(320)의 결합은 상기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제3장착부재(700)는, 상기 강선(300)의 일단부에 장착된 체결부재(320)의 나사부와 더불어 제3장착부재(700)의 나사부가 인장부재(330)에 체결되고, 고정부(720)와 회동부(730)에 의해 결합부재(210,500)가 미장착된 지주(200)를 감싸도록 설치된 다음, 인장부재(330)가 회전되어 강선(300)에 소정의 인장력이 부여된다. 다른 작업은 상기된 바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은, 종래의 수평 강관이 강선으로 대체되어 그 작업의 결합 및 해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보관 및 재사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강선과 지주의 체결 및 해제가 결합부재와 장착부재 및 인장부재에 의해 간편히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이렇게 설치된 비계는 강선에 의해 작업자의 낙상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더욱 안전하도록 안전망이 설치되는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정 간격으로 지주들이 설치되어 통행 가능한 일정 공간이 확보되도록 이루어진 비계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관통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며, 이 장착부재의 타단부는 강선의 일단부가 고착된 체결부재와 더불어 인장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나사체결되고, 이 인장부재의 회전으로 강선의 인장력이 조정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지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어 상ㆍ하 이동되는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어 높이가 조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면서 지주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진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서 외향돌출되면서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수직의 결 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로부터 연장된 후크형상의 고리부와, 고리부와 결합홀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고리부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도록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걸림부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고리부와 밀착되도록 내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위치조정부재에 안착되면서 지주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진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서 외향돌출되면서 상기 장착부재와 결합되는 수평의 결 합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체결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면서 장착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장착홀과 결합홀이 동심을 이루어 위치되면 관통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핀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일단부에 인장부재와 체결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이 몸체에서 연장되어 지주를 일부 감싸도록 이루어진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주의 잔여부위를 감싸면서 그 끝단부가 몸체와 볼팅체결되도록 이루어진 회동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강선이 통과되는 통과홀에 강선과의 마 찰을 회피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간주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2020060008299U 2006-03-29 2006-03-29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200418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99U KR200418547Y1 (ko) 2006-03-29 2006-03-29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99U KR200418547Y1 (ko) 2006-03-29 2006-03-29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240A Division KR100757274B1 (ko) 2006-03-29 2006-03-29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547Y1 true KR200418547Y1 (ko) 2006-06-12

Family

ID=4176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99U KR200418547Y1 (ko) 2006-03-29 2006-03-29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5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16B1 (ko) * 2007-02-02 2007-07-18 주식회사 아데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구조
KR20180003241U (ko) * 2017-05-10 2018-11-20 최정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316B1 (ko) * 2007-02-02 2007-07-18 주식회사 아데코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난간구조
KR20180003241U (ko) * 2017-05-10 2018-11-20 최정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KR200489666Y1 (ko) * 2017-05-10 2019-07-19 최정화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146A (en) Safety cable system
US6038829A (en) Adaptable safety rail system for flat roofs and parapets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US5307897A (en) Safety stanchion for fall protection system
JP2010185185A (ja)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0090188751A1 (en) Fall protection device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JP2011032829A (ja) 傾倒式支柱を備えた防護柵
KR200418547Y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100757274B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200400993Y1 (ko) 건축현장용 난간 안전지지대
KR101101941B1 (ko)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EP1160395B1 (en) Assembly of guard rails
KR101270731B1 (ko) 수직 보호망 체결장치
JP2008255689A (ja) 仮設手摺の支柱取付け具及び仮設手摺の形成方法
KR20090057825A (ko) 길이 조절형 안전망 구조물
JP3668475B2 (ja) 屋根作業用安全装置
KR100592714B1 (ko) 난간대용 지주장치
JP5065717B2 (ja) 親綱ガイド装置及び親綱ガイド方法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0246690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JP7488697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02633363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