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690Y1 -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690Y1
KR200246690Y1 KR2020010018930U KR20010018930U KR200246690Y1 KR 200246690 Y1 KR200246690 Y1 KR 200246690Y1 KR 2020010018930 U KR2020010018930 U KR 2020010018930U KR 20010018930 U KR20010018930 U KR 20010018930U KR 200246690 Y1 KR200246690 Y1 KR 20024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clamp
post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하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종하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하,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종하
Priority to KR2020010018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690Y1/ko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을 건조 시에 블록 단위로 건조되는 선박의 블록 건조물 단부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에 있어서, 다양한 각도에 호환성을 가지면서 난간용 파이프 및 로프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성 등도 우수하여 설치작업의 편의성 등을 일층 배가시킨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파이프 또는 로프로 이루어지는 핸드레일(2)을 횡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핸드레일클램프(4a)를 하나 이상 고정한 포스트(3)와, 상기 포스트(3)를 선박고정부(20)상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4)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레일클램프(4a)는 상하로 결합장공(16,17)을 갖는 고정브라켓(15)상에 핸드레일(2) 결합 개구를 두고 상하로 이탈방지돌기(18a,18b)를 갖고 상부 결합장공(16)에 설치되는 테이퍼형의 고정부재(18)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 결합장공(17)은 고정부재(18)에 형성된 하부 이탈방지돌기(18b)가 경유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고정부재(18)가 출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클램프(4)는 수평고정클램프(5)와 수직고정클램프(6)의 조합형 또는 각도조절클램프(9)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핸드레일클램프(4a)는 결속공(19a)을 갖는 결속편(19)으로 대체구성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서, 본 고안은 포스트(3)의 클램핑, 언클램핑 작업이 클램프(4) 및 각도조절클램프(9)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포스트(3)를 선박고정부(20) 상에 고정후 포스트(3) 상에 설치하는 파이프 또는 로프가 선택사용될 수 있는 핸드레일(2) 역시 포스트(3) 상에 고정된 핸드레일클램프(4a)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작업시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인력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고, 포스트(3)를 설치위치에 따라 각도조절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어 다양한 선박 건조조건에 부응하여 핸드레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A post jig for the hand rail}
본 고안은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handrail post ji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선박을 건조 시에 블록 단위로 건조되는 선박의 블록 건조물 단부에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에 있어서, 다양한 각도에 호환성을 가지면서 난간용 파이프 또는 로프를 선택설치할 수 있으며, 조립성 등도 우수하여 설치작업의 편의성 등을 일층 배가시킨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선박을 건조 시에는 블록 단위로 금속 판재를 용접하여 선박을 건조하며, 블록 단위로 선박 축조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 단위로 건조된 선박의 외단부에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고정하고, 상기 포스트 지그 상간에는 파이프 또는 로프 등이 사용되는 핸드레일을 용접고정 또는 결속고정하는 방법으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선박용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는 블록 단위로 건조된 선박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포스트를 상부에 구비한 개략()형의 클램프상에 고정볼트를 사용하여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선박에 고정토록 하고, 상기 포스트 상부에 핸드레일을 횡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파이프는 포스트와 용접고정하는 방법을 취하여 옴으로서 설치 및 분리가 극히 까다롭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으며, 로프는 로프를 결속할 수 있는 U형 볼트 등에 끼움시켜 결속하는 방법을 취하여 왔는바, 이러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는 별개의 제품으로 제작되어 왔고,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설치하는 방향, 즉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호환성이 부재하여 설치위치에 따라 별개의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의 개발은 절실한 당면 과제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선박 건조시에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집중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특히 핸드레일을 설치하는 방향에 대하여 호환성을 갖고 설치될 수 있으며, 곡각지점과 각도조절이 필요한 지점 등에도 동시에 조절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핸드레일의 조립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클램프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클램프의 일부 다른 실시예가 작용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클램프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발췌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클램프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핸드레일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2:핸드레일(파이프 또는 로프)
3:포스트 4:클램프
4a:핸드레일클램프 5:수평고정클램프
5a:끼움개구 5b:지지면부
6:수직고정클램프 6a:끼움개구
6b:지지면부 7:아이볼트
8:암나사공 9:각도조절클램프
9a:끼움개구 9b:고정브라켓
9c:각도조절공 9d:지지면부
10:연결브라켓 10a:각도고정공
11:핀볼트 12:고정핀
13:아이볼트 14:암나사공
15:고정브라켓 16,17:결합장공
18:고정부재 18a,18b:이탈방지돌기
19:결속편 19a:결속공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파이프나 로프와 같은 핸드레일(2)을 설치하기 위한 포스트(3) 하부에 포스트(3)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4)가 일체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 포스트(3)에는 상부와 중단부 정도에 핸드레일(2)을 횡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핸드레일클램프(4a)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4)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포스트(3)를 고정설치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 끼움개구(5a)를 갖는 수평고정클램프(5)와 수직방향 끼움개구(6a)를 갖는 수직고정클램프(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고정클램프(5)와 수직고정클램프(6)는 각각 선박 고정설치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는 지지면부(5b,6b)를 가지며, 이의 대응부에는 아이볼트(7)를 각각 암나사공(8)을 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4)는 필요에 따라 도 3의 정면도 및 도 4의 발췌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클램프(9)가 사용될 수도 있는바, 이는 일측에 끼움개구(9a)를 갖는 고정브라켓(9b)상에 포스트(3)를 연결브라켓(10)을 사용하여 핀볼트(11)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연결브라켓(10)에는 각도고정공(10a)을 형성하여 고정브라켓(9b)상에 동일한 회전반경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각도조절공(9c)과 고정핀(12)으로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상기한 고정브라켓(9b)의 끼움개구(9a)상에는 선박 고정설치면에 지지고정될 수 있는 지지면부(9d)가 형성되고, 이의 대응부에는 아이볼트(13)가 암나사공(14)을 통하여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3)상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핸드레일클램프(4a)는 핸드레일(2)의 종류에 따라 호환성있게 설치될 수 있는바, 핸드레일(2)이 파이프일 경우는 도 5와 같이 개략()형의 고정브라켓(15)의 상에 상하로 결합장공(16,17)을 형성하여 테이퍼형의 고정부재(18)가 이탈이 불가하면서도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8)는 상부에 이탈방지돌기(18a)가 형성되고 하부에도 이탈방지돌기(18b)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부재(18)는 상부 결합장공(16)상에서 이탈방지돌기(18a,18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반면에 파이프를 고정할 시에는 고정부재(18)의 하부가 브라켓(15)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장공(17)상으로 진입되면서 하부 이탈방지돌기(18b)도 동시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부 결합장공(17)은 그 전후 폭(t1)이 넓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장공(17)은 좌우 폭(t2)은 상부의 결합장공(16)의 좌우폭(t3)보다는 좁게 형성되어 테이퍼형의 고정부재(18)를 상부에서 하부로 햄머 등으로 타격했을 때 고정부재(18)의 테이퍼면과 상호 대응하여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3)상에 설치되는 핸드레일(2)이 파이프가 아닌 로프인 경우의 핸드레일클램프(4a)는 도 6과 같이 개략 링형으로 밴딩하여 형성된 결속공(19a)을 갖는 결속편(19)을 포스트(3)상에 고정하여 사용토록 한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20은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설치하는 선박고정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선박을 건조할 시에 블록 단위로 건조되는 선박구조물 상에서 작업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단부, 즉 도시한 도면상에서는 간략하게 선박고정부(20)로 도시한 부분상에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포스트(3) 하부의 클램프(4)를 사용하여 설치사용하게 되는 바, 클램프(4)는 본 고안의 경우 선박고정부(20)가 도 1의 실선과 같이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는 수직고정클램프(6)를 사용하여 고정하며, 가상선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는 수평고정클램프(5)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수직고정클램프(6) 또는 수평고정클램프(5)의 끼움개구(6a,5a)를 선박고정부(20)상으로 끼움시킨 후 아이볼트(7)를 암나사공(8)을 통하여 나사조임하면 지지면부(6b,5b)와 아이볼트(7) 상간에서 선박고정부(20)에 클램프(4)가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포스트(3) 상에 형성된 핸드레일클램프(4a) 상에는 핸드레일(2)을 설치하면 된다.
상기 핸드레일(2)은 파이프 또는 로프 형태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바, 우선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는 고정부재(18)를 결합장공(16)의 상부로 인출하여 상하 결합장공(16,17) 상간에 개구가 형성되도록 한 후 파이프를 개구 상간으로 인입시킨 후 고정부재(18)의 하부가 결합장공(17)상으로 결합되도록 햄머 등을 사용하여 고정부재(18) 상부에서 타격하면 고정부재(18)의 하부도 동시에 결합장공(17)으로 진입하면서 고정부재(18)의 진입에 따라 테이퍼부가 상하 결합장공(16,17)에 긴박하게 밀착되면서 임의이탈이 불가하게 파이프가 핸드레일클램프(4a)상에 결합이 되어 순차적으로 파이프를 이웃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의 핸드레일클램프(4a)상에 상기와 같이 조립하면 핸드레일(2)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핸드레일(2)을 로프를 사용할 경우는 결속편(19)의 결속공(19a)을 통하여 로프를 끼움결속하여 핸드레일(2)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한 핸드레일(2)을 해체코자 할 시는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는 핸드레일클램프(4)의 고정부재(18)를 하부에서 햄머 등으로 상부로 타격하면 긴박하게 끼움고정되어 있던 고정부재(18)가 타격압력에 의하여 상부로 분리되고 이때 하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8b)는 고정부재(18)가 상부 결합장공(16)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이탈방지돌기(18a) 역시 고정부재(18)가 상부 결합장공(16)에서 이탈하는 것을 각각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고정부재(18)가 긴박한 끼움결합상태에서 해제되면 작업자가 파이프를 전후또는 좌우로 가볍게 인출하면 파이프는 핸드레일클램프(4a)로부터 해체가 가능하게 되고, 로프를 사용할 경우는 결속편(19)의 결속공(19a)을 통하여 결속된 로프의 결속부위만 풀어서 인출하면 간단히 해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선박고정부(20)에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하부 클램프(4)의 아이볼트(7)만 나사분리하면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선박고정부(20)에서 간단히 분리가 되어 해체작업 역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클램프(4) 체결고정수단으로 아이볼트(7)를 사용함으로서 렌치 등이 없어도 아이볼트(7)의 구멍상으로 진입할 수 있는 간단한 도구만 있으면 아이볼트(7)를 나사결합 및 분리할 수 있어 작업상의 편의성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이점이 주어진다.
한편, 상기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수직이나 수평이 아닌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설치코자 할 시는 도 3,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각도조절클램프(9)를 포스트(3) 하부에 설치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를 사용하면 되는바, 이러한 경우 각도조절클램프(9) 상에 포스트(3)가 연결브라켓(10)에 의해 핀볼트(11)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각도로 포스트(3)를 각도조절한 후 수개의 각도조절공(9c)중 일치하는 각도로 포스트(3)를 각도조절 후 각도고정공(10a)과 조절된 각도조절공(9c) 상간으로 고정핀(12)을 끼움조립하면 간단히 포스트(3)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각도조절클램프(9)를 선박고정부(20)에 고정할 경우도 끼움개구(9a)를 선박고정부(20) 상간으로 끼운 후 아이볼트(13)를 나사조임하면 각도조절클램프(9)의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선박용 핸드레일 설치를 위한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우선 포스트(3)의 클램핑, 언클램핑 작업이 클램프(4) 및 각도조절클램프(9)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포스트(3)를 선박고정부(20) 상에 고정 후 포스트(3) 상에 설치하는 파이프 또는 로프가 선택사용될 수 있는 핸드레일(2) 역시 포스트(3) 상에 고정된 핸드레일클램프(4a)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 및 해체작업시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인력절감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포스트(3)를 설치위치에 따라 각도조절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어 다양한 선박 건조조건에 부응하여 핸드레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각종 선박을 건조 시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난간용 파이프 또는 로프로 이루어지는 핸드레일(2) 설치용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1)는 핸드레일(2)을 횡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핸드레일클램프(4a)를 하나 이상 고정한 포스트(3)와,
    상기 포스트(3)를 선박고정부(20)상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4)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드레일클램프(4a)는 상하로 결합장공(16,17)을 갖는 고정브라켓(15)상에 핸드레일(2) 결합 개구를 두고 상하로 이탈방지돌기(18a,18b)를 갖고 상부 결합장공(16)에 설치되는 테이퍼형의 고정부재(18)를 결합하며,
    상기 하부 결합장공(17)은 고정부재(18)에 형성된 하부 이탈방지돌기(18b)가 경유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고정부재(18)가 출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는 수평방향 끼움개구(5a)와 지지면부(5b)를 갖고, 상기 대응면부에 형성된 암나사공(8)에 아이볼트(7)를 나사결합한 수평고정클램프(5)와, 수직방향 끼움개구(6a)와 지지면부(6b)를 갖고, 상기 대응면부에 형성된 암나사공(8)에 아이볼트(7)를 나사결합한 수직고정클램프(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4)는 고정브라켓(9b)상에 연결브라켓(10)이 하단부에 고정된 포스트(3)를 핀볼트(11)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브라켓(10)에는 각도고정공(10a)을 형성하여 대응하는 고정브라켓(9b)의 수개의 각도조절공(9c)에 선택적으로 고정핀(12)을 사용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각도조절클램프(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3)에 하나 이상 고정되는 핸드레일클램프(4a)는 결속공(19a)을 가진 결속편(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KR2020010018930U 2001-06-23 2001-06-23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KR20024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930U KR200246690Y1 (ko) 2001-06-23 2001-06-23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930U KR200246690Y1 (ko) 2001-06-23 2001-06-23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690Y1 true KR200246690Y1 (ko) 2001-10-17

Family

ID=7310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930U KR200246690Y1 (ko) 2001-06-23 2001-06-23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6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522B1 (ko) * 2007-09-10 2009-11-02 (주)삼화기업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1082666B1 (ko) 2011-01-24 2011-11-15 임종준 안전 난간대 장치
KR101140555B1 (ko) * 2009-10-12 2012-05-02 (주)대한정공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KR200472187Y1 (ko) 2012-06-07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522B1 (ko) * 2007-09-10 2009-11-02 (주)삼화기업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1140555B1 (ko) * 2009-10-12 2012-05-02 (주)대한정공 선박블록 운반용 지지장치
KR101082666B1 (ko) 2011-01-24 2011-11-15 임종준 안전 난간대 장치
KR200472187Y1 (ko) 2012-06-07 2014-04-08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67B1 (ko) 블록 서포트 클램프
KR200246690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CA2116555A1 (en) Guard rail fittings
JP2005120572A (ja) 吊り足場用朝顔とその組立て施工法
EP0338142B1 (en) Stanchion or post
KR200205940Y1 (ko) 거푸집 작업용 발판지지대
GB2291920A (en) Safety rail mounting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KR200439786Y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EP1160395B1 (en) Assembly of guard rails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JP6314279B1 (ja) 仮設用朝顔装置
JP2006152686A (ja) 固定金具及び筋交部材
JP2011106125A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0905506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2008255689A (ja) 仮設手摺の支柱取付け具及び仮設手摺の形成方法
KR200292597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JP2011106126A (ja) 補充パネル付き作業足場
KR200418547Y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KR100878312B1 (ko) 산업용 클램프
JP3888593B2 (ja) 斜面足場用ブラケット
JP3232919U (ja) 仮設防護柵用固定バンドおよび仮設防護柵用固定バンドを用いた仮設防護柵
JPH07197646A (ja) 鉄骨建て方における梯子取付け装置と梯子及びその架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