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568Y1 -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568Y1
KR200314568Y1 KR20-2003-0002095U KR20030002095U KR200314568Y1 KR 200314568 Y1 KR200314568 Y1 KR 200314568Y1 KR 20030002095 U KR20030002095 U KR 20030002095U KR 200314568 Y1 KR200314568 Y1 KR 2003145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lamp
safety
fastening bolt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록
Original Assignee
이강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록 filed Critical 이강록
Priority to KR20-2003-0002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5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5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장의 철판을 이용하여 중앙과 상, 하에 각각 중앙 삽치부와 상, 하부 지지부를 형성하여 "ㄷ"자로 밴딩하여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중앙의 삽치부에는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과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 돌조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의 너트 체결홈 선단에는 걸림턱을 기립 돌설시킨 클램프 수단과; 상기 클램프의 중앙 삽치부에 형성된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과 삽치 결합되는 4각 삽치부를 헤드하부에 형성한 체결볼트수단 및; 체결공을 형성한 수직 지지폴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여서 되는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수직 지지폴상에 수평안전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클램프를 수직 지지폴상에 용접하여 부착하는 용접 작업없이 너트 체결하여 견고하고 확실하게 체결하여 줌으로서 수평안전난간의 가설작업 및 해체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함과 동시에 갱폼이나 수평난간 해체 작업 후 수직 지지폴에 체결된 클램프를 전부 파손 사례없이 해체, 회수하고, 회수된 클램프를 그대로 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서 클램프 등 갱폼 설치에 필요한 소모품의 낭비를 줄여 갱폼 설치에 소요되는 경비는 물론 갱폼 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기를 대폭 저감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A clamping device for safety porch of gang form of construct}
본 고안은 고층아파트 또는 다층의 건물 등 비교적 고층의 건축물 건설현장에서 건축물의 외벽체를 콘크리트 타설하기 위해 설치되는 건축용 갱폼(gang form)에 있어서, 신축되는 건물의 외벽을 따라 상승하는 갱폼의 외측에 갱폼과 일체로 조립 설치되어 건축물 벽체 외측에 작업발판이나 안전망 등을 설치하기 위한 수직지지폴상에 수평안전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클램프를 수직 지지폴상에 용접하여 부착하는 용접 작업없이 너트 체결하여 견고하고 확실하게 체결하여 줌으로서 수평안전난간의 가설작업 및 해체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 함과 동시에 갱폼이나 수평난간 해체 작업 후 수직 지지폴에 체결된 클램프를 전부 파손 사례없이 해체, 회수하고, 회수된 클램프를 그대로 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서 클램프 등 갱폼 설치에 필요한 소모품의 낭비를 줄여 갱폼 설치에 소요되는 경비는 물론 갱폼설치 및 해체에 따른 공기를 대폭 저감시켜 줄 수 있게 한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작업용 비계 등을 설치하지 않고 안전작업발판과 안전난간을 외측에 일체로 취부하여 콘크리트 타설 및 외장 작업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는 대형화된 외벽 건축용 거푸집인 갱폼(이하 건축용 갱폼이라 함)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용 갱폼은 대체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0)의 외측벽(101)을 타설하기 위한 내, 외측 주형틀(102)(103)과, 외측 주형틀(103)의 외측부에 연장 조립식 수직 지지폴(104)을 수평지지간(105)으로 연설하여 가설한 다음, 수평지지간(105) 사이의 임의 위치에 안전작업발판(106)을 가설하여 작업자가 건축용 갱폼 결합 및 해체작업을 수행하게 하고, 안전작업발판(106)을 가설하는 수직 지지폴(104) 사이에 작업자의 추락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난간 (105)을 횡설하여 가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갱폼의 수직 지지폴(104)에 수평안전난간(105)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클램프(C)를 사용하여 수직 지지폴(104)에 안전난간(105)을 고정,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직 지지폴에 안전난간을 고정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본인의 선 고안(실용신안등록 제219475호)을 위시한 대부분의 클램프가 구조상 클램프 자체를 수직 지지폴의 전면에 미리 건축물의 건축조건에 따라 클램프의 부착위치를 결정하여 용접, 설치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서, 클램프 설치 작업시 수직 지지폴상에 많은 수의 클램프를 일일이 용접, 부착하여 주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러움이 있어 클램프의 설치작업에 많은 노고와 인력이 요구되는 한편, 갱폼의 수직 지지폴상에 클램프를 용착하는 용접작업을 실행함에 있어서는 갱폼 설치작업과 같이 수행하지 못하고, 미리 지상에서 용접작업에 의하여 클램프를 수직 지지폴상에 용착한 후, 이를 갱폼에 설치하여 안전난간을 가설하게 되어 있음으로서, 오용접 작업에 의하여 클램프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난간의 설치에 많은 애로점이 발생하여 안전 설비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할 위험이 있으며, 클램프가 수직 지지폴과 접촉하는 외부 면만이 선용접(Line welding)상태로 용접하고 있음으로서 용접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의하여 클램프가 쉽게 탈락되어 안전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용접 구조의 클램프는 건축공사 특성상 공사마다 조건이 상이하여 동일 조건의 공사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체된 갱폼의 수평 지지폴을 사용할 수가 없고, 용접된 클램프를 일일이 해체하여 재 사용하기도 번거러워 해체된 갱폼의 수직 지지폴이나 클램프를 그대로 폐기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원자재의 낭비가 심하고 이에 따라 공사비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용접작업을 전혀 시행하지 않고 건축용 갱폼의 수직 지지폴상에 파이프상의 안전난간을 간편하고 용이하며 신속하게 가설하거나 해체할 수 있게 하여 건축용 갱폼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능률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수직 지지폴에 안전난간을 체결, 가설함에 있어 클램프를 체결 볼트로 간단하게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서 갱폼설치 후에도 클램프의 설치위치를 조건에 대응하여 간단하게 변경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안전난간을 안정되게 가설할 수 있게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갱폼 해체 후 수직 지지폴과 클램프를 간단하게 완전히 해체하여 수직 지지폴과 클램프 등의 부자재를 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시공비나 클램프 등의 부자재 부담을 크게 줄여 줄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장의 철판을 이용하여 중앙과 상, 하에 각각 중앙 삽치부와 상, 하부 지지부를 형성하여 "ㄷ"자로 밴딩하여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중앙의 삽치부에는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과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돌조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의 너트 체결홈 선단에는 걸림턱을 기립 돌설시킨 클램프 수단과;
상기 클램프의 중앙 삽치부에 형성된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과 삽치 결합되는 4각 삽치부를 헤드하부에 형성한 체결볼트수단 및;
체결공을 형성한 수직 지지폴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체결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체결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건축용 갱폼의 설치상태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취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체결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체결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1의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전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장의 철판(S)을 이용하여 중앙과 상, 하에 각각 중앙 삽치부(1)와 상, 하부 지지부(2),(3)를 형성하여 "ㄷ"자로 밴딩하여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를 구성하되, 중앙의 안전난간용 파이프 삽치부 (1)에는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5)과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돌조(6a),(6b)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2)의 너트삽치홈(7)의 선단에는 걸림턱(7a),(7b)을 기립 돌설함과 동시에 보강돌조(2a),(2b)를 외향 돌설하고, 하부 지지부(3)에는 체결공(8a),(8b)을 천공한 지지편(8c),(8d)을 입설하여 체결용 볼트(9) 일단의 회동부(9a)를 핀(10)으로 유설한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와; 상기한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의 체결볼트 고정용 4각 체결공(5)에 삽치 결합되는 4각 삽치부(11)를 헤드(12) 하부에 형성한 체결볼트(13) 및; 체결공(14)을 관통시켜 형성한 수직 지지폴(15)의 구성을 포함하여서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a,2b 및 3a는 상, 하부 지지편(2),(3)의 보강돌조이고, 16은 안전난간, 17은 체결볼트(13)과 결합하는 체결너트, 18은 볼트(9) 체결용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클램프(4)를 갱폼의 수직 지지폴(15)에 안전난간(16)을 가설하여 클램핑 함에 있어, 먼저 상기한 클램프(4)의 취부 위치에 대응하여 수직 지지폴(15)에 미리 체결공(14)를 관통시켜 천공하여 안전난간(16)의 취부 위치를 결정한 후, 클램프(4)의 중앙 삽치부(1)에 형성된 4각 고정공(5)에 체결볼트 (13)를 삽치하되, 체결볼트(13)의 헤드(12) 하부에 형성된 4각 삽치부(11)가 4각 고정공(5)내에 안치되게 결합하는 상태로 삽치한 후, 체결볼트(13)의 선단 나사봉을 수직 지지폴(15)의 체결공(14)에 관통시켜 체결너트(17)로 체결하면 클램프(4)를 갱폼의 수직 지지폴(15)에 체결시키게 되는데, 이때 갱폼의 수직 지지폴(15)에 체결볼트(13)과 체결너트(17)의 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는 클램프(4) 중앙 삽치부(1)의 4각 고정공(5)내에는 체결볼트(13)의 헤드(12) 하부의 4각 삽치부(11)이 삽치되어 있음으로서 체결볼트(13)과 체결너트(15)가 수직 지지폴(15)에 완전히 조여져 결착되면 갱폼의 수직 지지폴(15)에 체결되는 클램프(4)는 회전되어 위치가 변화되는 상태 없이 수직 지지폴(15)상에 수평상태로 결합되어 복수의 서로 인접하는 수직 지지폴(15)상에 결합되는 모든 클램프(4)를 수평되게 일직선상으로 정렬된 상태로 취부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용접 등의 수단 없이 취부하게 되며, 이때 클램프(4)를 수직 지지폴(15)에 취부하는 체결볼트(13)의 헤드(12)는 중앙 삽치부(1)의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돌조(6a),(6b)사이에 매입되게 안치하므로서클램프(4)의 중앙삽치부(1)의 전방측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직지지폴(15)에 클램프(4)를 체결하여 결착시킨 다음, 클램프(4)의 중앙삽치부(1)의 전방 개구부를 통하여 안전난간(16)을 삽치시켜 안치한 다음 하부지지부(3)의 지지편(8c),(8d)에 핀(10)으로 유설된 체결용 볼트(9)를 기립하되, 이에 나착된 너트(18)를 클램프(4)의 상부지지부(3)에 형성된 너트 걸림턱(7a),(7b)을 돌설한 너트 삽치홈(7)상부로 위치하게 기립하여 삽치한 후 너트(18)를 체결하면 너트(18)의 하부 와샤가 상부지지부(2)의 너트 걸림턱(7a),(7b)에 걸리면서 체결되게 되어 너트(18)체결 후 체결용 볼트(9)가 외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클램프(4)의 너트 삽치홈(7)외부로 이탈되는 사례 없이 견고하고 확실하게 결합되게 하여 안전난간(16)을 설치하게 되며, 해체시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너트(9)의 하부 와샤가 상부지지부(2)의 너트 걸림턱(7a),(7b)상부로 상승하는 높이만큼 너트(9)를 해체하여 주면 체결용 볼트(9)를 너트 삽치홈(7)로 부터 해체 가능하게 되어 너트(18)가 체결용 볼트(9)로 부터 이탈하는 현상없이 안전난간(16)을 해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시행한 후 공사가 종료되어 갱폼과 수직지지폴(15), 안전난간(16)을 해체할 때에는 클램프(4)로 부터 상기와 같이 안전난간(16)을 해체하여 분리한 다음, 체결볼트(13)와 체결너트(17)를 해체하면 클램프(4)를 간단하게 수직지지폴 (15)로 부터 분리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체결볼트(13)는 헤드(12)의 하방에 형성된 4각삽치부(11)가 클램프(4)의 중앙삽치부(1)의 4각고정공(5)내에 삽치되어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한손으로 클램프(4)를 잡고 체결너트(17)를 회전시키면 체결볼트(13)과 공회전하는 사례없이 해체되어 수직지지폴(15)이나 클램프(4)가 파손되는 현상없이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되어 수직지지폴(15)이나 클램프(4)등을 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한장의 철판을 이용하여 중앙과 상, 하에 각각 중앙 삽치부와 상, 하부 지지부를 형성하여 "ㄷ"자로 밴딩하여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를 구성하되, 중앙의 삽치부에는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과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돌조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의 너트체결홈 선단에는 걸림턱을 기립 돌설시킨 클램프 수단과; 상기 클램프의 중앙 삽치부에 형성된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응 형성하여 종래와 같은 용접작업을 전혀 시행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과정으로 클램핑할 수 있게 하여 건축용 갱폼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능률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갱폼설치 후에도 클램프의 설치위치를 조건에 대응하여 안전난간을 안정되게 가설할 수 있어 안전성이 탁월하며, 갱폼 해체후 수직지지폴과 클램프를 간단하게 완전히 해체하여 수직지지폴과 클램프 등의 부자재를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시공비나 클램프 등의 부자재 부담을 크게 줄여 줄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지닌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한장의 철판(S)을 이용하여 중앙과 상, 하에 각각 중앙 삽치부(1)와 상, 하부 지지부(2),(3)를 형성하여 "ㄷ"자로 밴딩하여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를 구성하되, 중앙의 안전난간용 파이프 삽치부 (1)에는 체결볼트 고정용 4각 고정공(5)과 체결볼트머리 지지용 보강돌조(6a),(6b)를 형성하고, 상부 지지부(2)의 너트 삽치홈(7)의 선단에는 걸림턱(7a),(7b)을 기립돌설하고, 하부 지지부(3)에는 체결공 (8a),(8b)을 천공한 지지편(8c),(8d)을 입설하여 체결용 볼트(9) 일단의 회동부 (9a)를 핀(10)으로 유설한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와;
    상기한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프(4)의 체결볼트 고정용 4각 체결공(5)에 삽치 결합되는 4각삽치부(11)를 헤드(12) 하부에 형성한 체결볼트(13) 및;
    체결공(14)을 관통시켜 형성한 수직지지폴(15)의 구성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20-2003-0002095U 2003-01-23 2003-01-23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KR200314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95U KR200314568Y1 (ko) 2003-01-23 2003-01-23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095U KR200314568Y1 (ko) 2003-01-23 2003-01-23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568Y1 true KR200314568Y1 (ko) 2003-05-27

Family

ID=4933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095U KR200314568Y1 (ko) 2003-01-23 2003-01-23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56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51B1 (ko) 2010-01-29 2010-05-04 우병태 스틸박스 교량의 상판슬래브 거푸집설치용 클램프
KR101292617B1 (ko) * 2011-08-23 2013-08-02 주식회사 창건 가설계단용 안전난간 체결장치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200473329Y1 (ko) * 2012-05-09 2014-06-27 이광호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102574486B1 (ko) * 2022-12-28 2023-09-06 장공익 유로폼용 결착 구조형 파이프 고정 클램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851B1 (ko) 2010-01-29 2010-05-04 우병태 스틸박스 교량의 상판슬래브 거푸집설치용 클램프
KR101292617B1 (ko) * 2011-08-23 2013-08-02 주식회사 창건 가설계단용 안전난간 체결장치
KR200473329Y1 (ko) * 2012-05-09 2014-06-27 이광호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101353753B1 (ko) * 2013-05-07 2014-01-23 남명선 교량 및 도로의 가설인도
KR102266237B1 (ko) * 2020-03-09 2021-06-16 노상철 콘크리트 거푸집과 단관파이프의 고정용 클램프 조립체
KR102574486B1 (ko) * 2022-12-28 2023-09-06 장공익 유로폼용 결착 구조형 파이프 고정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08683A1 (en) Anchoring system
KR20090119504A (ko) 버팀부재 지지용 스크류잭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JP5789606B2 (ja) 方杖付つなぎ材および仮設足場
KR100737841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KR100946192B1 (ko) 거푸집 결합 및 해체장치
JP2008255689A (ja) 仮設手摺の支柱取付け具及び仮設手摺の形成方法
KR200435422Y1 (ko) 교량 안전 난간 설치용 지주 보조대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KR200219475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크램프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200460577Y1 (ko) 난간 지주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102370425B1 (ko) 보거푸집의 안전난간대
KR200420412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210078117A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H0972096A (ja) 仮設手摺りユニット
KR100760332B1 (ko) 캔틸레버형 가설재, 이를 이용한 구조물 축조방법 및 이의해체방법
CN218815140U (zh) 可周转的外附式外架附墙装置
KR100834771B1 (ko) 공사 현장용 안전난간
JP4067091B2 (ja) 型枠用残存多孔枠、コンクリート躯体およびコンクリート躯体の施工方法
KR20070102503A (ko) 건설공사에 쓰이는 일체형 안전 시스템
KR200267827Y1 (ko) 난간파이프 체결용 크램프
KR100458945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JP2009162044A (ja) 仮小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