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117A -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117A
KR20210078117A KR1020190169863A KR20190169863A KR20210078117A KR 20210078117 A KR20210078117 A KR 20210078117A KR 1020190169863 A KR1020190169863 A KR 1020190169863A KR 20190169863 A KR20190169863 A KR 20190169863A KR 20210078117 A KR20210078117 A KR 2021007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horizontal
fastening
members
horizon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8089B1 (ko
Inventor
유선상
최수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최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최수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Priority to KR102019016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제 1 클램프부재(1)와, 동일 형상의 제 2 클램프부재(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은 서로 결합될 때 수평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관통공(3)이 형성된 두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형상의 관형체를 형성하고, 일단부는 힌지핀(4)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체결볼트(5)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고정홀(61)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지지부(6)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서포터(7)에 제 1, 2 클램핑부재(1,2)들이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5)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를 체결단부(81)를 쐐기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수평재를 간편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성도 개선될 뿐만 아니라 간편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수평재(8)가 수직서포터(7)에 대하여 수평재의 단부가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CLAMP FOR SCAFFOLD PIPES}
본 발명은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서포터에 대하여 수평재를 체결하거나 수직서포터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게 복수의 수평재들을 체결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구조로 간편하게 수평재들을 수직서포터에 체결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축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안정되게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동바리를 부품화하여 간편하게 조립하여 설치하고 분해하기 쉽고, 작용하중은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시스템동바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동바리는 거푸집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장선을 지지하고, 상부하중을 동바리에 전달하기 위하여 장선과 직각방향으로 설치하는 부재인 멍에를 서포트의 상단에 제공되는 "U-헤드 잭"으로 불리우는 멍에 지지구에 배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된 가설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시스템동바리의 서포트들에는 예를들어 수평으로 설치하는 파이프로 된 수평재들을 연결하여 측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수직서포터에 직각으로 파이프로 된 수평재를 클램프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또한, 이러한 클램프는 비계 설치에서 수직서포터에 대하여 수평재들을 결합하기 위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비계의 코너부분에서는 수직 서포터에 대해 수평재들이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결합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에 대한 수평재의 연결을 위한 클램프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3355호(등록일자 2014년04월02일)에는 거푸집 동바리 수평보강재용 클램프는, 양측에 각각 상호 직교하게 설치된 지지부재,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재, 및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과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을 밀착 체결하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거푸집 동바리의 외관과 내관에 수평보강재를 수평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거푸집 동바리 수평보강재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핀삽입공이 타단에 천공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이 밀착될 때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을 관통하는 체결봉; 및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과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봉의 핀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 밀착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개의 직교되게 지지부재들이 설치되는 구조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736호(공개일자 1998년06월25일)에서 이미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두개의 지지부재들이 직교되는 구조는 두개의 클램프들을 서로 직교되게 결합한 구조로 복잡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고, 수평재 고정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15736호(공개일자 1998년06월25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3355호(등록일자 2014년04월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서포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평재들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고, 하나의 클램프 구조를 수직 서포터에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수평재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순화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수평재 클램핑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의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제 1 클램프부재와, 동일 형상의 제 2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들 각각은 서로 결합될 때 수평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두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형상의 관형체로 형성하고, 일단부는 힌지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체결볼트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지지부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서포터에 제 1, 2 클램핑부재들이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에 수평재를 체결단부를 쐐기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볼트는 제 1 클램프부재의 타단부에서 이격되어 돌출되고 홀이 형성된 지지부들에 체결볼트 하단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핀부분이 끼워져 체결볼트가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 2 클램핑부재의 타단부에는 두개의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제 1 클램핑부재의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제 2 클램핑부재의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한 체결볼트의 단부에 너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2 클램핑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부에 수평재의 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단부를 삽입하고, 체결단부에 형성된 수직의 관통홀과 수평지지부의 고정홀에 쐐기를 관통시켜 수평재를 수직서포터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들은 제 1, 2 클램프부재들 각각의 외측면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부에 결합되는 수평재의 단부가 수평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의 제 1, 2 클램프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제 1 클램프부재(1)의 타단부에서 이격되어 돌출되고 홀이 형성된 지지부(11)들에 핀부분(51)이 끼워진 체결볼트(5)를 회동시켜 제 2 클램핑부재(2)의 타단부에 형성된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21)들 사이에 배치한 다음, 단부에 너트(52)로 체결함으로써 수평재를 간편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안전성도 개선될 뿐만 아니라 간편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제 1 또는 제 2 클램핑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의 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단부(81)를 삽입하고, 체결단부(81)에 형성된 수직의 관통홀(82)과 수평지지부(6)의 고정홀(61)에 쐐기(9)를 관통시킴으로써 수평재(8)가 수직서포터(7)에 대하여 수평재의 단부가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로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클램프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를 수직서포터에 체결하기 위해 제 1, 2 클램핑부재의 타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수직 서포터에 클램를 체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를 사용하여 수직의 서포터에 대하여 수평재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클램프의 수평지지부에 수평재를 쐐기로 체결하여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의 변형예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제 1 클램프부재(1)와, 동일 형상의 제 2 클램프부재(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은 서로 결합될 때 수평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관통공(3)이 형성된 관형체를 이루도록 두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형상으로 되고, 일단부는 힌지핀(4)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체결볼트(5)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볼트(5)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램프부재(1)의 타단부에서 이격되어 돌출되고 홀이 형성된 지지부(11)들에 체결볼트(5) 하단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핀부분(51)이 끼워져 체결볼트(5)가 회동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제 2 클램핑부재(2)의 타단부에는 두개의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21)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클램핑부재(1)의 체결볼트(5)를 회전시켜 제 2 클램핑부재(2)의 돌출부(21)들 사이에 배치한 다음, 상기 돌출부(21)들 사이에 배치된 체결볼트의 단부에 너트(52)로 체결함으로써 수평재를 간편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지지부(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지지부(6)들 각각에는 수평재의 단부를 쐐기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를 사용하여 파이프로 된 수직서포터에 수평재를 결합하는 작업을 도 3 내지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직서포터(7)에 파이프와 같은 수평재(8)를 설치할 위치에 본 발명의 클램프를 체결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클램프의 제 1, 2 클램핑부재(1,2)들의 단부에서 체결볼트(5)와 너트(52)를 풀어 도 3과 같이 벌린 상태로 수직서포터(7)의 외측면에 제 1,2 클램핑부재(1,2)들을 배치하고, 제 1 클램핑부재(1)의 체결볼트(5)를 회전시켜 제 2 클램핑부재(2)에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도 4와 같이 수직서포터(7)에 클램프가 간편하게 장착된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클램핑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의 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단부(81)를 삽입하고, 체결단부(81)에 형성된 수직의 관통홀(82)과 수평지지부(6)의 고정홀(61)에 쐐기(9)를 관통시킴으로써 수평재(8)가 수직서포터(7)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부(6)들은 상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관형체로 형성된다. 이로써, 도 6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지지부(6)에 쐐기로 결합되는 수평재(8)의 단부가 수평지지부(6)의 상측과 하측의 제 1, 2 클램프(1,2)의 외측면과 밀착되므로, 수평재에 작용하는 충격에 대하여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변형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6)는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에서 상단의 외측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두개의 클램핑부재(1,2)들로 분할되어 일측 단부가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한편 타측 단부는 체결볼트와 너트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수직서포터에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고, 또한 제 1,2 클램핑부재(1,2)들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의 체결단부(81)를 쐐기로 간편하고 안정되게 체결함으로써 거푸집동바리와 비계용 수평재들의 설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단순화된 구조로 수직서포터에 대하여 수평재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을 종래 클램프와 비교하여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는 수직서포터에 수평재를 안정되고 간편하게 가설하도록 이용될 이용될 수 있다.
1 : 제 1 클램프부재 2 : 제 2 클램프부재
3 : 관통공 4 : 힌지핀
5 : 체결볼트 6 ; 수평지지부
7 : 수직서포터 8 : 수평재
9 : 쐐기 11 : 지지부
21 : 돌출부 51 : 핀부분
52 : 너트 61 : 고정홀
81 : 체결단부

Claims (4)

  1. 제 1 클램프부재(1)와, 동일 형상의 제 2 클램프부재(2)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은 서로 결합될 때 수평재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관통공(3)이 형성된 두개의 부분으로 분할된 형상의 관형체를 형성하고, 일단부는 힌지핀(4)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체결볼트(5)로 분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의 외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고정홀(61)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지지부(6)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서포터(7)에 제 1, 2 클램핑부재(1,2)들이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볼트(5)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를 체결단부(81)를 쐐기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5)는 제 1 클램프부재(1)의 타단부에서 이격되어 돌출되고 홀이 형성된 지지부(11)들에 체결볼트(5) 하단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핀부분(51)이 끼워져 체결볼트(5)가 회동가능하도록 제공되고, 이에 대응되게 제 2 클램핑부재(2)의 타단부에는 두개의 이격되어 돌출된 돌출부(21)들이 형성되어 제 1 클램핑부재(1)의 체결볼트(5)를 회전시켜 제 2 클램핑부재(2)의 돌출부(21)들 사이에 배치한 체결볼트의 단부에 너트(52)로 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클램핑부재(1,2)의 측면에 형성된 수평지지부(6)에 수평재(8)의 단부에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단부(81)를 삽입하고, 체결단부(81)에 형성된 수직의 관통홀(82)과 수평지지부(6)의 고정홀(61)에 쐐기(9)를 관통시켜 수평재(8)를 수직서포터(7)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6)들은 제 1, 2 클램프부재(1,2)들 각각의 외측면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부(6)에 결합되는 수평재(8)의 단부가 수평지지부(6)의 상측과 하측의 제 1, 2 클램프(1,2)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KR1020190169863A 2019-12-18 2019-12-18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KR10230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63A KR102308089B1 (ko) 2019-12-18 2019-12-18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63A KR102308089B1 (ko) 2019-12-18 2019-12-18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117A true KR20210078117A (ko) 2021-06-28
KR102308089B1 KR102308089B1 (ko) 2021-10-05

Family

ID=7660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63A KR102308089B1 (ko) 2019-12-18 2019-12-18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8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977A (zh) * 2022-07-28 2022-10-25 广东腾越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梁快拆支撑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36A (ko) 1996-08-23 1998-05-25 김광호 화학증폭형 베이스 수지
JP2001164744A (ja) * 1999-12-06 2001-06-19 Yuko Maintenance:Kk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と構築用接続金具
KR101383355B1 (ko) 2013-05-03 2014-04-10 김용철 거푸집 동바리 수평보강재용 클램프
KR20160029938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JP2017110421A (ja) * 2015-12-17 2017-06-22 鹿島建設株式会社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736A (ko) 1996-08-23 1998-05-25 김광호 화학증폭형 베이스 수지
JP2001164744A (ja) * 1999-12-06 2001-06-19 Yuko Maintenance:Kk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と構築用接続金具
KR101383355B1 (ko) 2013-05-03 2014-04-10 김용철 거푸집 동바리 수평보강재용 클램프
KR20160029938A (ko) * 2014-09-05 2016-03-16 주식회사 세원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JP2017110421A (ja) * 2015-12-17 2017-06-22 鹿島建設株式会社 仮設構造物組立用接続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3977A (zh) * 2022-07-28 2022-10-25 广东腾越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梁快拆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8089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245B2 (en) Scaffold mount bracket
KR1023080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JP2007031934A (ja) 住宅の傾斜矯正工法
JP2018138717A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20160142928A (ko) 시스템 비계
KR102361789B1 (ko)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가설 지지구
JP3839921B2 (ja) 足場板支持フレーム及びその取付・撤去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方法
KR102397240B1 (ko) 거푸집 체결 클램프
JP5877573B1 (ja) 支柱固定具
CN211081084U (zh) 一种工具式抱柱安全防护装置
KR20190108739A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086599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JPH0450352Y2 (ko)
CN111332964A (zh) 钢骨柱附墙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433700B1 (ko)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200322141Y1 (ko) 교각 코핑 시공을 위한 가시설 하부 받침틀 구조
JP6689073B2 (ja) 足場板の固定装置
KR20180060437A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JP7424694B1 (ja) 仮設ステージ
CN214996308U (zh) 一种便于调节高度的建筑施工用支撑架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CN220080325U (zh) 一种可调节梁柱节点结构
CN216042861U (zh) 一种装配式柱间支撑
JP2014190070A (ja) 高さ調整部材および仮設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