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938A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9938A KR20160029938A KR1020140118868A KR20140118868A KR20160029938A KR 20160029938 A KR20160029938 A KR 20160029938A KR 1020140118868 A KR1020140118868 A KR 1020140118868A KR 20140118868 A KR20140118868 A KR 20140118868A KR 20160029938 A KR20160029938 A KR 201600299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astening
- connection
- support
- ho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3—Supports therefor, e.g. trip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수평재 간의 체결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410);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410);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이들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재 간의 체결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축조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 슬라브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동바리가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동바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건축물의 천장 구조를 이루며 수평 상태로 시공되는 슬라브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상기 수직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와, 상기 수직재와 수평재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동바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020061호에 개시된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내관(30)과 외관(20)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서포트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수평재(70)와,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수평재(70)를 상호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1)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30)의 상단에는 거푸집(6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 받침판(32)이 구비되고, 내관(30)에는 상하로 이격된 다수 개의 고정핀 삽입홀(34)이 형성된다. 상기 내관(30)은 본체관(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관(10)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에는 외관(20)의 상단이 걸림 결합된다. 상기 외관(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20)의 외측에는 상기 나사부(24)와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4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40)에는 돌출편(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관(30)과 외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내관(30)을 승강시켜 외관(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고, 외관(20)에 형성된 핀 안내홈(26)과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고정핀 삽입공(34)에 고정핀(50)을 삽입한 후에, 돌출편(42)을 잡고 조절나사(40)를 회전시켜 고정핀(50)이 조절나사(40)의 상단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승강 조절함으로써, 내관(30)과 외관(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직재의 높낮이 조절이 고정핀 삽입공(34)이 상하로 이격된 간격 단위로 제한되므로 높낮이의 정밀한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평재(70)를 본체관(10)에 체결하는 경우, 수평재(70)의 양측단에 결합된 브라켓(71)에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 상부 지지부(71a)와 하부 지지부(71b) 사이에 본체관(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체결구(11)를 위치시킨 후에, 상기 브라켓(71)에 형성된 삽입공(미도시됨)과 체결구(11)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됨)을 관통하여 끼움핀(80)을 억지끼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평재(70)의 양측단에 결합된 브라켓(71)에 형성된 상부 지지부(71a)와 하부 지지부(71b) 사이에,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본체관(10)에 형성된 체결구(11)가 각각 정위치되도록 수평재(70)를 수평방향으로 정확하게 이동시켜야 하므로, 이러한 조정 작업을 작업자가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조정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수평재(70)의 길이조절을 위한 구성이 미비하여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직재 사이의 간격이 수평재(70)의 길이와 상이할 경우에는 수평재(70)를 정위치에 결합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대상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와 수평재 간의 체결 및 해체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재와 수평재 간의 체결강도를 증대시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큰 힘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전도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재가 수직재에 체결되는 높낮이의 조절이 자유롭고, 수직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수평재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410);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기 제2고정홀(421a)은,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접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4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일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타측면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411,414)에는, 상기 체결단부(42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지지홀(411a,414a)이 상기 받침부(412,415)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42)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막힌 지지부(411b,414b)가 상기 받침부(412,41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홀(411a,414a)의 내측으로 삽입된 체결단부(421)의 끝단면은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체결단부(421)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홀(411a,414a)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몸체(411,414)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12,415)와 지지홀(411a,414a)은 상기 몸체(411,41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410a)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일측단에 힌지부(410c)를 통해 일측단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몸체부(410b)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과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부(410d)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410d)는,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부(413)와,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 외측면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상하로 중첩되는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이 형성된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 및 상기 후크부(413)가 상기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체결핀(4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는 나사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420-1)는, 상기 체결단부(421)의 일단에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422a)이 형성된 연장부(422); 상기 연장부(422)의 일측 하부를 감싸며 상기 연장부(422)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결합지지부(424); 및 상기 결합지지부(424)의 상부에 일측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나사산(422a)에 대응되는 나사탭(425b)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4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용 동바리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 상기 제1연결부(41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 상기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410); 및 상기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410a)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일측단에 힌지부(410c)를 통해 일측단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몸체부(410b)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과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부(410d)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재(200)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4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재(2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재(30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직재(20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420,420-1)에 양단이 고정지지되며,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는 나사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체결함에 있어서, 제1연결부에 형성된 받침부 상에 제2연결부의 체결단부를 안착시키고, 체결단부에 형성된 제2고정홀과 받침부에 형성된 제1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핀을 억지끼움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의 체결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에는 받침부의 상측으로 지지홀을 형성하고, 받침부의 하측으로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연결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정핀의 횡방향 지지력을 향상시켜 큰 힘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전도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를 일측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구성하고,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의 타측단은 체결핀에 의해 억지끼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재가 수직재에 체결되는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평재와 제2연결부가 나사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수평재와 제2연결부의 상대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직재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수평재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를 연장부의 일측 하부를 감싸며 연장부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결합지지부와, 결합지지부의 상부에 일측부가 힌지 연결되고 연장부와 나사방식으로 연결되는 나사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수평재와 제2연결부 간의 길이 조절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제2연결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2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가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 선을 따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제2연결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2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100)는, 베이스 상에 세워져 거푸집 등의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와,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와, 상기 수직재(200)와 수평재(300)를 결합하는 연결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400)는, 수직재(200)의 외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410)와, 수평재(300)를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연결부(41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제1연결부(410)는,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410a)와,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몸체부(41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부(410a)의 일측단과 제2몸체부(410b)의 일측단은 힌지부(410c)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부(410b)는 힌지부(410c)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과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은 체결부(410d)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몸체부(410a)는,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몸체(411)와, 상기 몸체(411)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받침부(4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11)는 수직재(2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수직재(200)는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411)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412)는 몸체(41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몸체(411)의 중간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412)에는 고정핀(424)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412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홀(412a)의 일측 단부(412a')는 상기 몸체(411)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접선(L)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고정핀(424)의 체결 강도 향상을 위한 구성으로, 그 작용은 후술한다.
상기 몸체(411)에는 받침부(412)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받침부(412)의 상측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홀(411a)이 형성되고, 받침부(412)의 하측에는 반경반향으로 막힌 지지부(4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홀(411a)은 후술되는 제2연결부(420)의 체결단부(42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11b)는 받침부(412)의 하측에 위치하는 몸체(411)의 일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고정핀(424)과 접촉되어 고정핀(424)를 지지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몸체(411)의 일측단은 힌지부(410c)에 결합되고, 몸체(411)의 타측단 외측면에는 체결부(410d)를 구성하는 후크부(4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부(410b)는,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몸체(414)와, 상기 몸체(414)의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받침부(41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414)는 수직재(2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415)는 몸체(41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고, 몸체(414)의 중간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415)에는 고정핀(424)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415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성된 위치는 전술한 제1고정홀(412a)과 마찬가지로 그 일측 단부가 몸체(414)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접선(L)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414)에는 받침부(415)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받침부(415)의 상측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지지홀(414a)이 형성되고, 받침부(415)의 하측에는 반경반향으로 막힌 지지부(4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414)의 일측단은 힌지부(410c)에 결합되고, 몸체(414)의 타측단 외측면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가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부(416)에는 제1체결홀(416a)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부(417)에는 제2체결홀(417a)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은 상하로 중첩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10d)는, 제1몸체부(410a)에 구비된 후크부(413)와, 상기 제2몸체부(410b)에 구비된 제1체결홀(416a)이 형성된 제1돌출부(416)와, 제2체결홀(417a)이 형성된 제2돌출부(417), 및 상기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에 삽입되어 억지끼움되는 체결핀(4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핀(418)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은 수직면으로, 타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410)를 수직재(200)에 결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410b)를 힌지부(410c)를 중심으로 그 타측단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위치시킨 후에, 상기 후크부(413)가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410b)를 힌지부(410c)를 중심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체결핀(418)을 상기 제1체결홀(416a)와 제2체결홀(417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하게 되면, 체결핀(418)은 쐐기작용에 의해 제1체결홀(416a)와 제2체결홀(417a)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동시에, 체결핀(418)의 타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은 후크부(413)를 가압하게 되므로,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부(410b)는 수직재(20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연결부(410)를 일측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단은 체결부(410d)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부(410b)로 구성함으로써, 수직재(200)의 외측면에 제1연결부(410)가 체결되는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412,415)가 제1연결부(410)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410a)와 제2몸체부(410b)의 외주면에 90°간격을 두고 4개소에 형성되어 복수의 수평재(300)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상기 받침부(412,415) 간의 이격된 각도 간격과 설치되는 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달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연결부(410)와 수평재(300)를 연결하기 위한 제2연결부(420)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제2연결부(420)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체결단부(421)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422a)이 형성된 연장부(422)와, 상기 연장부(422)가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422a)에 대응되는 나사탭(423a)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재(300)의 일측단에 결합되는 결합부(423)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간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연결부(410)에 형성된 받침부(412,415) 상에 제2연결부(420)의 체결단부(421)를 안착시킨다. 이 경우, 체결단부(421)의 끝단부가 지지홀(414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체결단부(421)의 끝단부의 끝단면(421')은 수직재(2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체결단부(421)의 끝단부의 양측면(421")은 지지홀(411a,414a)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몸체(411,414)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체결단부(421)가 안착되면, 체결단부(421)에 형성된 제2고정홀(421a)과, 받침부(412,415)에 형성된 제1고정홀(412a,415a)은 상하로 중첩되어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고정핀(424)을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4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일측면(424')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타측면(424")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424)이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면, 상기 고정핀(424)은 쐐기작용에 의해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인 지지부(411b,414b)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의 결합 시, 제1연결부(410)의 받침부(412,415) 상에 제2연결부(420)의 체결단부(421)를 안착시킨 후, 고정핀(424)을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끼움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간의 체결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410)에는 받침부(412,415)의 상측으로 지지홀(411a,414a)을 형성하고, 받침부(412,415)의 하측으로는 지지부(411b,414b)를 형성함으로써, 제2연결부(420)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정핀(424)의 횡방향 지지력을 향상시켜 큰 힘의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전도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는 나사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직재(200) 간의 간격이 상이할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여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재(300)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제2연결부(420-1)는, 상기 체결단부(421)의 일단에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422a)이 형성된 연장부(422)와, 상기 연장부(422)의 일측 하부를 감싸며 상기 연장부(422)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결합지지부(424), 및 상기 결합지지부(424)의 상부에 일측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나사산(422a)에 대응되는 나사탭(425b)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4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부(424)의 내주면(424a)은 나사산을 포함하지 않은 매끄러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결합부(425)를 힌지(425a)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결합지지부(424) 상에 안착된 연장부(422)를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켜 대략적인 길이 조절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결합부(425)를 힌지(425a)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시켜 연장부(422)의 나사산(422a)과 나사결합부(42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탭(425b)이 나사결합된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수평재(300)를 회전시켜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1)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240-1)의 구성에 의하면,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1)의 수평거리 조절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1 : 수평재 연결캡
10 : 본체관
11 : 체결구 20 : 외관
24 : 나사부 26 : 핀 안내홈
30 : 내관 32 : 상부 받침판
34 : 고정핀 삽입공 40 : 조절나사
42 : 돌출편 50 : 고정핀
60 : 거푸집 70 : 수평재
71 : 브라켓 80 : 끼움핀
100 : 건축용 동바리 200 : 수직재
300 : 수평재 400 : 연결장치
410 : 제1연결부 410a : 제1몸체부
410b : 제2몸체부 410c : 힌지부
410d : 체결부 411 : 몸체
411a : 지지홀 411b : 지지부
412 : 받침부 412a : 제1고정홀
413 : 후크부 414 : 몸체
414a : 지지홀 414b : 지지부
415 : 받침부 415a : 제1고정홀
416 : 제1돌출부 416a : 제1체결홀
417 : 제2돌출부 417a : 제2체결홀
420 : 제2연결부 421 : 체결단부
421a : 제2고정홀 422 : 연장부
422a : 나사산 423 : 결합부
423a : 나사탭 424 : 고정핀
420-1 : 제2연결부 424 : 결합지지부
424a : 결합지지부의 내주면 425 : 나사결합부
425a : 힌지 425b : 나사탭
11 : 체결구 20 : 외관
24 : 나사부 26 : 핀 안내홈
30 : 내관 32 : 상부 받침판
34 : 고정핀 삽입공 40 : 조절나사
42 : 돌출편 50 : 고정핀
60 : 거푸집 70 : 수평재
71 : 브라켓 80 : 끼움핀
100 : 건축용 동바리 200 : 수직재
300 : 수평재 400 : 연결장치
410 : 제1연결부 410a : 제1몸체부
410b : 제2몸체부 410c : 힌지부
410d : 체결부 411 : 몸체
411a : 지지홀 411b : 지지부
412 : 받침부 412a : 제1고정홀
413 : 후크부 414 : 몸체
414a : 지지홀 414b : 지지부
415 : 받침부 415a : 제1고정홀
416 : 제1돌출부 416a : 제1체결홀
417 : 제2돌출부 417a : 제2체결홀
420 : 제2연결부 421 : 체결단부
421a : 제2고정홀 422 : 연장부
422a : 나사산 423 : 결합부
423a : 나사탭 424 : 고정핀
420-1 : 제2연결부 424 : 결합지지부
424a : 결합지지부의 내주면 425 : 나사결합부
425a : 힌지 425b : 나사탭
Claims (12)
-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410);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기 제2고정홀(421a)은,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일측 단부가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접선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4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축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일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일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412a,415a)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고정홀(421a)의 타측 단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핀(424)의 타측면은 수직면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11,414)에는, 상기 체결단부(42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지지홀(411a,414a)이 상기 받침부(412,415)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핀(242)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막힌 지지부(411b,414b)가 상기 받침부(412,415)의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411a,414a)의 내측으로 삽입된 체결단부(421)의 끝단면은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상기 체결단부(421)의 양측면은 상기 지지홀(411a,414a)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몸체(411,414)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12,415)와 지지홀(411a,414a)은 상기 몸체(411,414)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410a)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일측단에 힌지부(410c)를 통해 일측단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몸체부(410b)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과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부(410d)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410d)는,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부(413)와,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 외측면에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상하로 중첩되는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이 형성된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 및 상기 후크부(413)가 상기 제1돌출부(416)와 제2돌출부(417)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416a)과 제2체결홀(417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체결핀(418)을 포함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는 나사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420-1)는,
상기 체결단부(421)의 일단에 연장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422a)이 형성된 연장부(422);
상기 연장부(422)의 일측 하부를 감싸며 상기 연장부(422)가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결합지지부(424); 및
상기 결합지지부(424)의 상부에 일측부가 힌지 연결되고, 상기 나사산(422a)에 대응되는 나사탭(425b)이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결합부(425);를 포함하는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 베이스 상에 세워져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재(200);
상기 수직재(200)와 교차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재(300);
상기 수직재(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제1연결부(410); 및
상기 수평재(300)를 상기 제1연결부(410)에 체결시켜 고정하는 제2연결부(420,4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제1고정홀(412a,415a)이 형성된 받침부(412,4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420,420-1)는, 상기 받침부(412,415) 상에 안착되며 상기 제1고정홀(412a,415a)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고정홀(421a)이 형성된 체결단부(421)와,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하여 억지끼움되는 고정핀(424)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홀(421a)과 제1고정홀(412a,415a)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424)의 하단부는 상기 몸체(411,414)의 외측면에 맞닿아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고정핀(424)이 수직방향으로 억지끼움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수직재(200)의 일측면을 감싸는 제1몸체부(410a)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일측단에 힌지부(410c)를 통해 일측단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재(200)의 타측면을 감싸는 제2몸체부(410b)와, 상기 제1몸체부(410a)의 타측단과 상기 제2몸체부(410b)의 타측단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체결부(410d)를 포함하여, 상기 수직재(200)에 체결되는 제1연결부(41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재(2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수평재(300)는 상기 복수개의 수직재(20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420,420-1)에 양단이 고정지지되며,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는 나사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 간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수평재(300)와 제2연결부(420,420-1)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8868A KR101671423B1 (ko) | 2014-09-05 | 2014-09-05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8868A KR101671423B1 (ko) | 2014-09-05 | 2014-09-05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9938A true KR20160029938A (ko) | 2016-03-16 |
KR101671423B1 KR101671423B1 (ko) | 2016-11-02 |
Family
ID=55649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8868A KR101671423B1 (ko) | 2014-09-05 | 2014-09-05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1423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4394A (zh) * | 2016-04-28 | 2016-07-27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
KR101692499B1 (ko) | 2016-07-28 | 2017-01-03 |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동바리 |
KR20180127066A (ko) * | 2017-05-19 | 2018-11-28 | (주)동은에프앤씨 | 시스템 동바리 |
DE102018125702A1 (de) * | 2018-10-17 | 2020-04-23 |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 Stütze |
CN111946060A (zh) * | 2020-08-20 | 2020-11-17 |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模板浇筑装置 |
KR102215637B1 (ko) * | 2019-09-19 | 2021-02-16 | (주)장원피앤에이치 | 가변 횡지지대를 구비한 파이프 서포팅장치 |
CN112727076A (zh) * | 2020-12-24 | 2021-04-30 | 中建五局华东建设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可调节式支模架 |
KR20210078117A (ko) * | 2019-12-18 | 2021-06-28 |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864B1 (ko) | 2018-10-08 | 2020-07-30 | 장윤근 |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
KR102277159B1 (ko) * | 2019-07-08 | 2021-07-14 | 주식회사 폼웍스 | 철근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서포트 유닛 |
KR102316745B1 (ko) | 2020-02-26 | 2021-10-26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수평재 일체형 스마트 h형 동바리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
KR102490413B1 (ko) | 2022-01-28 | 2023-01-19 | 조기환 | 건축물 외장용 파이프 연결 브래킷 |
KR102451321B1 (ko) | 2022-02-07 | 2022-10-06 | 조기환 | 건축물 외장판넬 지지프레임 고정용 기능성브래킷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787Y1 (ko) * | 2004-04-28 | 2004-07-08 | 홍춘희 | 거푸집 체결구조 |
KR20140055081A (ko) * | 2012-10-30 | 2014-05-09 | 이세원 |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
2014
- 2014-09-05 KR KR1020140118868A patent/KR1016714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5787Y1 (ko) * | 2004-04-28 | 2004-07-08 | 홍춘희 | 거푸집 체결구조 |
KR20140055081A (ko) * | 2012-10-30 | 2014-05-09 | 이세원 |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립식 동바리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04394A (zh) * | 2016-04-28 | 2016-07-27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
CN105804394B (zh) * | 2016-04-28 | 2017-12-22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
KR101692499B1 (ko) | 2016-07-28 | 2017-01-03 | (주)에이프러스 씨엠 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동바리 |
KR20180127066A (ko) * | 2017-05-19 | 2018-11-28 | (주)동은에프앤씨 | 시스템 동바리 |
DE102018125702A1 (de) * | 2018-10-17 | 2020-04-23 | Wilhelm Layher Verwaltungs-Gmbh | Stütze |
KR102215637B1 (ko) * | 2019-09-19 | 2021-02-16 | (주)장원피앤에이치 | 가변 횡지지대를 구비한 파이프 서포팅장치 |
KR20210078117A (ko) * | 2019-12-18 | 2021-06-28 | 주식회사 선우가설산업 | 시스템동바리용 수평재 체결용 클램프 |
CN111946060A (zh) * | 2020-08-20 | 2020-11-17 |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模板浇筑装置 |
CN112727076A (zh) * | 2020-12-24 | 2021-04-30 | 中建五局华东建设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可调节式支模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1423B1 (ko) | 2016-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1423B1 (ko) |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 |
US10309557B2 (en) |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 |
US9359756B2 (en) | Steel beam support embed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KR101358242B1 (ko) | 입상관 고정장치 | |
KR101564442B1 (ko) | 방수턱 거푸집 고정구 | |
GB2520163A (en) | Fall prevention apparatus | |
JP2016056639A (ja) | 壁つなぎ取付構造 | |
EP3121349A1 (en) | Formwork structure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 slabs | |
KR20160000331U (ko) | 고정블럭 클램프장치용 클램핑볼트 조립체 | |
KR20140000706U (ko) | 건축용 비계의 지지프레임 | |
KR101048643B1 (ko) | 천장 패널 고정 장치 | |
US20100132516A1 (en) | Plumbing tool | |
KR101983079B1 (ko) | 배관 고정구 | |
KR200480637Y1 (ko) | 통폼 연결 브래킷 | |
KR101702816B1 (ko) | 핸드레일 고정부재 | |
US20080001049A1 (en) | Bracing Structure, Fastener and Method for Bracing a Support Structure Having Props for Ceiling Formworks | |
KR200480076Y1 (ko) | 가설구조물용 길이조절식 수평재 | |
JP5940322B2 (ja) | 柱の据え付け具 | |
JP6534346B2 (ja) | 浴室部材の締結構造 | |
KR101779063B1 (ko) | 거푸집용 클램프 | |
EP3431674A1 (en) | Installation device for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and use thereof in a method of installation of a sanitary appliance mounting structure | |
KR20190007231A (ko) | 방수턱 거푸집 | |
KR101611088B1 (ko) | 길이조절식 후크가 구비된 안전발판 | |
RU2790150C2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прикрепления рамы | |
JP7532106B2 (ja) | 配管保持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