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64B1 -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64B1
KR102139864B1 KR1020180119742A KR20180119742A KR102139864B1 KR 102139864 B1 KR102139864 B1 KR 102139864B1 KR 1020180119742 A KR1020180119742 A KR 1020180119742A KR 20180119742 A KR20180119742 A KR 20180119742A KR 102139864 B1 KR102139864 B1 KR 10213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pipe
tub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023A (ko
Inventor
장윤근
Original Assignee
장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근 filed Critical 장윤근
Priority to KR102018011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8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서포트 사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도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 현장에서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서포트 결합공에 핀 결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각 결합구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구와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서포트 상부관체에 접속되는 접속관, 상기 접속관을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접속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선반홈 및 상기 선반홈의 수평부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수직부 내측 테두리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일측에 형성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내부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하부의 조절면이 걸리는 걸림쇠가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브라켓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의 접속관은 소정 길이의 관체로서 서포트 상부관에 접속되고, 접속관의 내경은 서포트 상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결합핀이 접속공을 관통하여 서포트의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고, 접속관의 내측 테두리에는 마주보며 형성된 간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홈은 상기 접속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서포트 상부관의 외경보다 더욱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A lateral coupling device for concrete mold Support}
본 발명은 각 거푸집 서포트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서포트 사이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도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 현장에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라브 축조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 슬라브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 서포트가 설치된다.
상기한 거푸집 서포트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건축물의 천장 구조를 이루며 수평 상태로 시공되는 슬라브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형상의 서포트와, 상기 각각의 서포트 사이를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대로 구성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78254호에 개시된 종래 거푸집 서포트의 수평연결장치를 살펴본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봉 형상의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사이에 형성된 장력조절부와, 상기 연장부재 양쪽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되 거푸집 서포트의 둘레를 따라 턱이 형성되어 있는 선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기술은 거푸집 서포트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선반홈에 결합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각 거푸집 서포트를 연결하는 수평연결장치의 설치 각도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상기 종래기술은 'ㄱ'자 형상의 결합부가 'ㄴ'자 형상의 선반홈에 물리고 이러한 결합을 고정용 핀을 끼워 결합하는 방식이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서포트와 수평연결장치의 설치 각도가 90도 각도로 제한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거푸집 서포트 상부에는 수평연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존재하는데, 거푸집 서포트가 설치되는 건축 현장의 바닥면은 평탄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설치된 각각의 거푸집 서포트의 수직 길이는 제각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포트의 수직 길이 조절은 상기 결합공이 상하로 이격된 간격 단위로 제한되므로, 각 거푸집 서포트의 결합공 위치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수평에서 어긋나고, 이러한 상태의 작업 현장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평연결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장력조절장치가 나사식으로 형성되어 건축 현장에서의 사용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를 살펴보면, 건축 현장에서 거푸집 서포트 및 수평연결장치를 취급할 때, 별도의 보호장치를 사용하거나 취급시 주의를 기울여 취급하지 않고 이동 또는 적재시 던지는 사례가 빈번하다. 이에 따라 실제 견축 현장에서의 거푸집 서포트 및 수평연결장치는 적재 하중 및 이동 충격에 무방비로 노출된다.
상기한 상황에 의해 거푸집 서포트 및 수평연결장치에 형성된 나사는 나사산이 뭉개지거나 나사산에 이물질 등이 고착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사고에 의해 수평연결장치는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14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포트와 가로 연결대의 연결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는 상황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 하중 및 이동 충격에 강하고, 가혹한 건축 현장에서 작동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는, 각각의 서포트 결합공에 핀 결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각 결합구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구와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서포트 상부관체에 접속되는 접속관, 상기 접속관을 서포트에 고정시키는 결합핀, 상기 접속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선반홈 및 상기 선반홈의 수평부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수직부 내측 테두리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일측에 형성된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관 및 상기 외,내부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하부의 조절면이 걸리는 걸림쇠가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브라켓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의 접속관은 소정 길이의 관체로서 서포트 상부관에 접속되고, 접속관의 내경은 서포트 상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결합핀이 접속공을 관통하여 서포트의 결합공에 관통 결합되고, 접속관의 내측 테두리에는 마주보며 형성된 간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홈은 상기 접속공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서포트 상부관의 외경보다 더욱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포트와 가로 연결대의 연결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는 상황에서도 용이한 설치 및 견고한 결합 상태 유지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우수하고, 이러한 작업 효율성 향상은 건축 현장 안전 사고 예방 효과 및 건축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로 연결대의 길이 조절방식이 충격 및 오염에 강한 2중관 및 쐐기 고정 방식이어서 건축 현장에서 작동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구를 예시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구 일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대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대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은 도 2에 도시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대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대는 각각의 서포트(300)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결합구(100)와, 상기 각 결합구(1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구(100)와 결합되는 연결대(200)를 포함한다.
결합구(100)는 서포트(300) 상부관체에 접속되는 접속관(110)과, 상기 접속관(110)을 서포트(300)에 고정시키는 결합핀(112)과, 상기 접속관(1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선반홈(120)을 포함한다.
연결대(200)는 일측에 형성된 외부관(210)과, 상기 외부관(210)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관(220)과, 상기 외부관(210), 내부관(22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브라켓(230)를 포함한다. 결합브라켓(230)은 결합구(100)의 선반홈(120)과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결합구(100)의 접속관(110)은 소정 길이의 관체로서 서포트(300) 상부관에 접속되고, 결합핀(112)이 접속공(113)을 관통하여 서포트(300)의 결합공(310)에 관통 결합된다. 접속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마주보며 형성된 간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홈(111)은 상기 접속공(113)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접속관(110)의 내경은 서포트(300) 상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간격홈(111)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서포트(300) 상부관의 외경보다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는 서포트(300) 상부관의 찌그러짐 및 이물질 고착 또는 서포트(300) 결합공(310)에 형성된 버어(Burr)에 의해 접속관(110)의 상,하 방향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때, 간격홈(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의해 접속관(11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선반홈(120)은 접속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121)와, 상기 수평부(121)의 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수직부(123)와, 상기 경사수직부(123)의 내측 테두리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4)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수직부(123)는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내경 및 외경이 좁아진다. 걸림턱(124)은 경사수직부(123)의 내측 테두리 상단부에서 접속관(1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124)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브라켓(230)의 걸림쇠(231)의 조절면(232)과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듯 접촉되어 걸림쇠(231)가 선반홈(120)의 외부로 이탈되는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경사수직부(123)는 결합구(100)의 조절면(232)과 접촉되어 조절면(232)을 중심으로 걸림쇠(231)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쇠(231)가 선반홈(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
연결대(200)의 외부관(2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외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대쐐기홈(213)과, 상기 연결대쐐기홈(213)에 접속되는 연결대쐐기(212)와, 내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서 외부관(2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키(211)를 포함한다. 연결대쐐기홈(213)이 형성되는 위치는 외부관(210)의 내측 방향 단부에 가까운 위치이다.
내부관(22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외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 내부관(22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키홈(221)를 포함한다. 키홈(221)의 위치는 외부관(210)의 키(211)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내부관(220)의 외경은 외부관(2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내부관(220)은 외부관(210)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입 또는 인출되며 연결대(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한 인입 또는 인출 과정에서 외부관(210)의 키(211)는 내부관(220)의 키홈(221)에 접속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관(220) 및 외부관(210)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대쐐기홈(213)은 외부관(210)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외부관(2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쐐기홈(213)에 연결대쐐기(212)가 접속되면 내부관(220)과 외부관(210)의 고정되어 연결대(200)의 길이 조절이 완료된다.
결합브라켓(230)는 선반홈(120)과 맞물리듯 결합되는 걸림쇠(231)와, 상기 걸림쇠(231)의 내측 방향에 형성된 결합브라켓쐐기홈(233)과, 상기 결합브라켓쐐기홈(233)에 접속되는 결합브라켓쐐기(234)를 포함한다. 걸림쇠(231)는 내측 방향 하부에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조절면(232)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면(232)의 상단부는 선반홈(120)의 걸림턱(124)과 접촉되고, 조절면(232)의 볼록한 부분은 선반홈(120)의 경사수직부(123)와 내면과 접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200)와 결합구(100)의 결합 각도가 90도 일 경우에는 조절면(232)의 가장 볼록한 부분이 경사조절면(232)과 접촉한다. 걸림턱(124)은 결합브라켓(230)의 걸림쇠(231)와 상,하 방향으로 맞물리듯 접촉되어 걸림쇠(231)가 선반홈(120)의 외부로 이탈되는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고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한다. 경사수직부(123)는 결합구(100)의 조절면(232)과 접촉되어 조절면(232)을 중심으로 걸림쇠(231)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쇠(231)가 선반홈(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도면상 오른쪽 상부 방향으로 연결대(200)가 회전한 상태로 결합구(100)와 연결대(200)가 결합되면, 조절면(232)의 가장 볼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하부면이 경사수직부(123) 내면과 접촉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도면상 오른쪽 하부 방향으로 연결대(200)가 회전한 상태로 결합구(100)와 연결대(200)가 결합되면, 조절면(232)의 가장 볼록한 부분을 기준으로 상부면이 경사수직부(123) 내면과 접촉한다.
조절면(232)의 형상에 의해 연결대(200)는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한 2가지 결합 상황에서 조절면(232)은 형상에 의해 연결대(200)와 결합구(100)의 결합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도록 하며, 결합브라켓(230)의 조절면(232) 상단부와 경사수직부(123)의 걸림턱(124)은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선반홈(120)과 걸림쇠(231)의 분리를 방지하고, 경사조절면(232)은 상부로 갈수록 접속관(110)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져 선반홈(120)과 걸림쇠(231)의 분리를 2차로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은 결합구(100)와 연결대(200)의 연결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는 상황에서도 결합구(100)와 연결대(200)의 결합이 견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대(200)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200)의 다른 구성은 먼저 설명한 연결대(200)의 구성과 동일하되, 내부관(220) 키홈(221)은 키홈요철(222)을 더욱 포함하고, 외부관(210) 키(211)는 키요철(214)을 더욱 포함한다.
키홈요철(222)은 키홈(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키요철(214)은 키(21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키(211)의 일측면은 키홈(221)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키홈요철(222) 및 키요철(214)은 외부관(210)과 내부관(2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에서는 식별의 용이함을 키홈요철(222)과 키요철(214)을 크게 도시하였지만, 키홈요철(222)과 키요철(214)은 도면 예시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결합구 110:접속관
111:간격홈 112:결합핀
113:접속공 120:선반홈
121:수평부 123:경사수직부
124:걸림턱 200연결대
210:외부관 211:키
212:연결대쐐기 213:연결대쐐기홈
214:키요철 220:내부관
221:키홈 222:키홈요철
230:결합브라켓 231:걸림쇠
232:조절면 233:결합브라켓쐐기홈
234:결합브라켓쐐기 300:서포트
310:결합공

Claims (2)

  1. 각각의 서포트(300) 결합공(310)에 핀 결합되는 결합구(100) 및 상기 각 결합구(1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구(100)와 결합되는 연결대(200)를 포함하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100)는 서포트(300) 상부관체에 접속되는 접속관(110), 상기 접속관(110)을 서포트(300)에 고정시키는 결합핀(112), 상기 접속관(1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선반홈(120) 및 상기 선반홈(120)의 수평부(121)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사수직부(123) 내측 테두리의 걸림턱(1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200)는 일측에 형성된 외부관(210), 상기 외부관(210)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관(220) 및 상기 외,내부관(210)(22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4)에 하부의 조절면(232)이 걸리는 걸림쇠(231)가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브라켓(23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구(100)의 접속관(110)은 소정 길이의 관체로서 서포트(300) 상부관에 접속되고, 접속관(110)의 내경은 서포트(300) 상부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결합핀(112)이 접속공(113)을 관통하여 서포트(300)의 결합공(310)에 관통 결합되고, 접속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마주보며 형성된 간격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홈(111)은 상기 접속공(113)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간격홈(111)이 형성된 부분의 내경은 서포트(300) 상부관의 외경보다 더욱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대(200)의 외부관(210)은 외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대쐐기홈(213)과, 상기 연결대쐐기홈(213)에 접속되는 연결대쐐기(212)와, 내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서 외부관(2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키(211)를 포함하되,
    연결대쐐기홈(213)은 외부관(210)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외부관(21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쐐기홈(213)에 연결대쐐기(212)가 접속되면 내부관(220)과 외부관(210)의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내부관(220)은 외측 테두리 소정 위치에 내부관(220)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키홈(221)를 포함하되, 키홈(221)의 위치는 외부관(210)의 키(211)와 대응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KR1020180119742A 2018-10-08 2018-10-08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KR10213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42A KR102139864B1 (ko) 2018-10-08 2018-10-08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42A KR102139864B1 (ko) 2018-10-08 2018-10-08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23A KR20200040023A (ko) 2020-04-17
KR102139864B1 true KR102139864B1 (ko) 2020-07-30

Family

ID=7046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742A KR102139864B1 (ko) 2018-10-08 2018-10-08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8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0Y1 (ko) * 2005-10-27 2006-01-11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파이프 써포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1333C2 (de) * 1992-09-18 1995-05-24 Hans Kuehl Rohrsystem für Rohrkonstruktionen
JP2593791B2 (ja) * 1993-11-25 1997-03-26 辰雄 小野 支柱の長さ調整装置
KR200378254Y1 (ko) 2004-12-14 2005-03-16 한국산업안전공단 거푸집 동바리의 수평연결장치, 및 거푸집 동바리의결합구조
KR101671423B1 (ko) 2014-09-05 2016-11-02 주식회사 세원 건축용 동바리의 연결장치 및 건축용 동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0Y1 (ko) * 2005-10-27 2006-01-11 주식회사 거산시스템 파이프 써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23A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4591B2 (en) Adjustable vertical pipe support
KR102336055B1 (ko) 시공성과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킨 천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100181790A1 (en) Lifting tool for prefabricated dwelling modules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KR20210001002U (ko) 토목공사용 보강구
KR101815825B1 (ko) 처짐방지구조를 갖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KR102139864B1 (ko) 거푸집 서포트의 가로 연결장치
KR102497770B1 (ko) 시스템 서포트용 유 헤드 잭
KR101974725B1 (ko) 시스템 동바리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101310846B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 장치
CN204626454U (zh) 一种沉管节段接头装配式剪力键模板
KR101438674B1 (ko) 조적벽 내진 보강을 위한 보강용 선형부재의 크로스 연결장치
JP5827183B2 (ja) 天井補強構造及び接続金具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102168466B1 (ko) 교량 받침 결합구조
KR20200133403A (ko) 연결부가 강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
KR200492207Y1 (ko) 유로폼 지지 구조
KR102549583B1 (ko)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KR102415011B1 (ko) 건축 비계용 수평재
KR102260523B1 (ko) 멍에재 결속 및 전도방지용 핀 구멍을 구비하는 받침 철물
KR102136596B1 (ko) 시스템 비계 보호캡
CN217840834U (zh) 钢结构外脚手架连墙结构及外脚手架
JP5743214B2 (ja) 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