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506B1 -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506B1
KR100905506B1 KR1020070087725A KR20070087725A KR100905506B1 KR 100905506 B1 KR100905506 B1 KR 100905506B1 KR 1020070087725 A KR1020070087725 A KR 1020070087725A KR 20070087725 A KR20070087725 A KR 20070087725A KR 100905506 B1 KR100905506 B1 KR 10090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clamp
hull block
bracket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402A (ko
Inventor
박영경
Original Assignee
(주)삼화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기업 filed Critical (주)삼화기업
Priority to KR102007008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55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선박의 선체를 여러 블록단위로 나누어 제작할 때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의 가설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브래킷에 장착된 나사봉을 선체블록의 난간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부재 및 나사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조임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주대 본체를 포함하여 선체블록의 난간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 브래킷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나사봉을 수용하며, 이 나사봉의 일측에는 편심캠을 가지는 클램핑부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의 조임력이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선체블록, 난간, 클램프, 브래킷, 나사봉

Description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HULL BLOCK EDGE CLAMP}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선체블록에 가설되는 난간 지주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이용하여 안전레일이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측면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대 본체 11: 클램프
12a: ㄷ자형 몸체 12b: 고정편
13: 클램핑 볼트 14: 난간
15: 홀딩부재 16: 안전레일
20: 클램프 21: 지주대 본체
22: 브래킷 22a: 관통공
22b: 미끄럼방지편 23: 나사봉
23a: 나사산 24: 클램핑부재
24a: 고정축 24b: 편심캠
24c: 레버 24d: 나사산
25: 가이드판
26a: 홀딩부재 26b: 테이퍼핀
27a,27b: 안전레일 28 : 난간
29a: 플랜지 29b: 지지편
29c: 삽입공 30: 손잡이봉
본 발명은 대형 선박(船舶)의 선체를 여러 블록단위로 나누어 제작할 때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의 가설(假設)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브래킷에 장착된 나사봉을 선체블록의 난간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부재 및 나사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조임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 여러 블록형태로 제작된 다수의 철판을 용접으로 결합하여 선박의 기본 형태를 완성한 후 초기 단계에서 제작된 선체 에 각종 설비를 설치하여 선박을 제작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각종 형태의 안전레일을 설치하거나 혹은 선박 건조물에 용접이나 도색 등의 제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용 발판 등을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선체블록에 체결되는 클램프는 통상의 볼트 체결방식으로 구성되어 선체블록의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돌출되는 난간 부위에 고정시킨 후, 이 클램프에 설치되어 있는 지주(支柱)를 개재하여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을 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예컨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313899호나 제377767호 공보에서와 같이 지주대 본체(10)의 하단부에 클램프(11)를 구성하는 ㄷ자형 몸체 (12a) 및 고정편(12b)을 통해 클램핑 볼트(13)를 체결함에 따라 클램프(11)를 선체블록의 난간(14)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주대 본체(1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홀딩부재(15)에 의해 안전레일(16)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선체블록 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은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0032981호(2006.12.29. 출원)에서, 선체블록의 난간에 장착되는 클램프의 브래킷 상에 조립되어 있는 나사봉을 수직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약간의 회전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쐐기부재에 의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의 체결 및 해체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한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방식을 이용하여 선체블록에 안전레일을 가설하고자 할 경우, 먼저 선체블록의 끝단부에 ㄷ자형 몸체를 끼우고 클램핑 볼트를 작업자가 일일이 조여서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상당히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후자의 경우에는 브래킷 상에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쐐기부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다소 번잡스러운 것이었다.
더구나, 상기 선체블록의 용접이나 도색 등의 제반 작업으로 인해 비산되는 분진이 클램핑 볼트나 쐐기부재의 결속 부분에 쌓여 굳어짐에 따라 해체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해체 후의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블록의 난간에 장착되는 클램프의 나사봉을 하향 이동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부재 및 나사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의 체결 및 해체작업이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주대 본체를 포함하여 선체블록의 난간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 브래킷의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나사봉을 수용하며, 이 나사봉의 일측에는 편심캠을 가지는 클램핑부재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의 조임력이 유지되도록 구성있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편심캠 및 이 편심캠의 일측에 부착된 레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레버의 회동시에 편심캠과 나사봉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는 가이드판이 장착되어 나사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편심캠 및 이 편심캠의 일측에 부착된 레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레버의 회동시에 편심캠과 나사봉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이며, 또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는 가이드판이 장착되어 나사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20)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품은 지주대 본체(21)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브래킷(22)과, 이 브래킷(22)의 상단에 조립되는 나사봉(23)과, 이 나사봉(23)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클램핑부재(24) 및 가이드판(2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주대 본체(21)는 통상의 사각 파이프체나 H 형강 등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그 일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홀딩부재(26a) 및 테이퍼핀(26b)에 의해 안전레일(27a,27b)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작업용 발판이 장착되는 통상의 지지대(도시생략) 등을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22)은 선체블록의 난간(28)에 끼워질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브래킷(22)의 상단 중앙에는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나사봉(23)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나사봉(23)의 상하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나사봉(23)을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으며, 하단 브래킷(22)의 상면에는 통상의 미끄럼방지편(22b)이 부착되어 있다.
이 나사봉(23)의 외주면에는 통상의 삼각 혹은 사각형상의 나사산(23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 하부에는 원통형상의 플랜지(29a) 및 지지편(29b)이 장착되어 있고, 이 플랜지(29a) 내에는 상호 교차하는 삽입공(29c)이 형성되어 손잡이봉(30)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2)의 상단면에는 나사봉(23)의 일측 전면부에 통상의 너트를 대략 절반으로 절개한 형상의 가이드판(25)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판(25)에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축(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클램핑부재(24)가 탑재된다.
이 클램핑부재(24)는 고정축(24a)으로 조립되어 회동하는 편심캠(24b) 및 이 편심캠(24b)에 일체로 설치된 레버(24c)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편심캠(24b)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4d)이 형성되어 클램핑부재(24)의 회동 조작시에 상기 나사봉 (23)의 조임력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재(24) 및 가이드판(25)은 나사봉(23)을 사이에 두고 상단 브래킷(22)의 밑면에 각각 장착하거나 그 어느 하나만을 밑면에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주대 본체 (21)에 장착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브래킷(22)을 선체블록의 난간(28)에 끼워넣은 상태에서 나사봉(23)을 밀어 내리게 되면, 이 나사봉(23)은 브래킷(22) 상단의 관통공(22a)을 통해 신속하게 하향 이동하면서 난간(28)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클램핑부재(24)를 구성하는 레버(24c)를 반시계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편심캠(24b)이 고정축(24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편심캠(24b)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24d)이 나사봉(23)의 나사산(23a)에 맞물려짐에 따라 나사봉(23)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 때 상기 나사봉(23)은 브래킷(22)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판(2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 나사봉(2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9a)의 삽입공(29c)으로 손잡이봉(30)을 끼워넣어 약간만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봉(23)을 선체블록의 난간 (28)에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일정 간격으로 인접하는 클램프(20)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선체블록의 난간(28)에 체결한 후, 지주대 본체(21)에 설치되어 있는 홀딩부재(26a) 및 테이퍼핀(26b)을 이용하여 안전레일(27a,27b)을 가설하거나 또는 작업용 발판이 설치되는 지지대 등을 결속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체블록의 난간(28)으로부터 클램프(20)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클램핑부재(24)의 레버(24c)를 시계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편심캠(24b)과 나사봉(23)의 나사산(24d,23a)에 의한 맞물림이 해제되므로, 손쉽게 클램프(20)를 선체 블록의 난간(28)으로부터 해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브래킷(22)의 밑면에 나사봉(23)을 사이에 두고 클램핑부재(24) 및 가이드판(25)을 장착시키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클램핑부재(24)나 가이드판(25) 중의 어느 하나만을 밑면에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삭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에 의하면, 브래킷의 관통공으로 조립되어 있는 나사봉을 하향 이동시켜 선체블록의 난간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클램핑부재의 레버 및 나사봉의 회동 조작만으로 클램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선체블록에 가설되는 안전레일이나 혹은 작업용 발판 등의 체결 및 해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안전레일이나 작업용 발판을 가설하기 위한 지주대 본체를 포함하여 선체블록의 난간에 체결되는 클램프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 브래킷(22)의 중앙에 관통공(22a)이 형성되어 나사봉(23)을 수용하며, 이 나사봉(23)의 일측에는 편심캠(24b)을 가지는 클램핑부재(24)가 고정축(24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나사봉(23)의 조임력이 유지되도록 구성있고, 상기 클램핑부재(24)는 외주면에 나사산(24d)이 형성된 편심캠(24b) 및 이 편심캠(24b)의 일측에 부착된 레버(24c)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레버(24c)의 회동시에 편심캠(24b)과 나사봉(23)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24d,23a)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2)의 일측에는 가이드판(25)이 장착되어 나사봉(23)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20070087725A 2007-08-30 2007-08-30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10090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25A KR100905506B1 (ko) 2007-08-30 2007-08-30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725A KR100905506B1 (ko) 2007-08-30 2007-08-30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02A KR20090022402A (ko) 2009-03-04
KR100905506B1 true KR100905506B1 (ko) 2009-07-01

Family

ID=4069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725A KR100905506B1 (ko) 2007-08-30 2007-08-30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5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752A (zh) * 2012-05-08 2012-09-19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用于船舶建造过程中的简易护栏架
KR101635348B1 (ko) * 2015-11-30 2016-06-30 김창수 스탠션 바
KR101635349B1 (ko) * 2015-12-07 2016-06-30 김창수 스탠션 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03Y1 (ko) * 1992-04-10 1995-05-13 최수환 난간설치를 겸한 비계(飛階) 파이프 고정구
KR950014491U (ko) * 1993-11-30 1995-06-16 발코니용 브라켓
KR200397246Y1 (ko) 2005-07-05 2005-09-29 홍종화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703Y1 (ko) * 1992-04-10 1995-05-13 최수환 난간설치를 겸한 비계(飛階) 파이프 고정구
KR950014491U (ko) * 1993-11-30 1995-06-16 발코니용 브라켓
KR200397246Y1 (ko) 2005-07-05 2005-09-29 홍종화 높이조절식 거푸집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402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8472A1 (en) Gripping ribs fastening system for concrete forming panels
JP2010185185A (ja)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696677B1 (ko) 피시빔 작업로 구축용 설치구
KR100905506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5824226B2 (ja) 先行手摺
KR200439786Y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20110010248A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브래킷장치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JPH08270207A (ja) 親綱支柱
KR100924522B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KR20090109991A (ko) 난간 가설용 지지구
KR100465194B1 (ko) 안전난간 및 안전대걸이 지주의 고정설비
KR200314568Y1 (ko) 건축용 갱폼의 안전난간 체결용 클램핑 구조
JP2014043678A (ja) 安全支柱用の型枠取付け金具
KR200284897Y1 (ko) 선박용 가설난간기둥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0358782Y1 (ko)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KR200246690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KR200295909Y1 (ko) 안전난간 및 안전대걸이 지주의 고정설비
KR101477503B1 (ko) 난간파이프용 난간지주 연결구
KR20070119843A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2059081B1 (ko)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JP5254758B2 (ja) 開口部用巾木の支持装置
KR200308992Y1 (ko) 선박블록용 가설 난간기둥 고정장치
JPH071426Y2 (ja) 中空足場の支持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