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941B1 -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941B1
KR101101941B1 KR1020090076022A KR20090076022A KR101101941B1 KR 101101941 B1 KR101101941 B1 KR 101101941B1 KR 1020090076022 A KR1020090076022 A KR 1020090076022A KR 20090076022 A KR20090076022 A KR 20090076022A KR 101101941 B1 KR101101941 B1 KR 10110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hole
support bracket
wire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423A (ko
Inventor
최재주
Original Assignee
최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주 filed Critical 최재주
Priority to KR102009007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9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6Members, e.g. consoles, for attachment to the wall to support girders, beams, or the like carrying forms or moulds for floors, lintel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연결되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갱폼의 인양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갱폼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설치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갱폼, 인양 레벨 유지, 추락방지장치

Description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 FALL AND FOR MAINTENING FOR FULLING LEVEL OF GANG FORM}
본 발명은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연결되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갱폼의 인양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갱폼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고층 건물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구조물인 갱폼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갱폼은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스틸폼과,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케이지와, 외벽의 내측 유로폼과, 상기 스틸폼을 고정하는 타이 볼트로 이루어진다.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갱폼이 사용되며, 아파트 한개 동의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략 20 내지 30개 정도의 갱폼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갱폼 한 세트의 무게는 대략 3 내지 4톤 정도이고, 높이가 9M 정도에 이른다.
건물의 층별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갱폼에서 타이 볼트를 풀어내고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을 한 세트씩 상부로 인양한 후에 타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내측 갱폼과 외측 갱폼 사이의 공간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외벽을 시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갱폼을 인양하는 작업은 인양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타워 크레인에 걸어서 들어올리기 때문에, 숙련공이 인양작업에 임하더라도 갱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다음 층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인양된 갱폼을 타워 크레인에 와이어가 걸린 상태에서 수평상태가 되도록 맞추어서 타이 볼트의 체결 위치를 잡아주는 레벨 조정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갱폼의 레벨 조정작업에는 한개 동을 시공하는데 5 내지 6명이 한 조가 되어 통상 4 내지 6시간 동안 갱폼의 레벨 조정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갱폼의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갱폼을 고정시킨 타이 볼트만을 해체하고, 측면에 설치된 갱폼의 타이 볼트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양하여야 하는데 작업자들이 작업의 편의성만을 앞세워 모든 타이 볼트를 해체시킨 상태에서 갱폼의 인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든 타이 볼트를 해체시키게 되면 3 내지 4톤의 갱폼이 시공된 외벽 콘크리트에 접착력만으로 붙어 있게 되기 때문에 인양작업 도중에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량이 3 내지 4톤에 이르는 갱폼이 떨어지면 재산상의 손해는 물론 인명 피해도 수반한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갱폼이 떨어질 때에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직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건설 현장 인근 지역으로 추락할 경우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인사 사고 또는 주위의 건물 파손 등을 유발하여 경제적인 손실도 입게 되고, 그에 따라 시공 시간도 과도하게 지체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연결되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갱폼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갱폼의 설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는 갱폼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앵글에 결합고정되는 하부 지지브라켓과, 상기 갱폼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앵글에 고착된 상부 지지브라켓과,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의 관통공 및 상부 지지브라켓의 관통공에 양단부측이 각각 끼워지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부재와, 상기 와이어의 인양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지지부재의 관통공 내에 끼워지는 원통체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의 관통공 내에 끼워진 원통체의 상부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너트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의 관통공 내에 끼워진 원통체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수평을 조정하는 수평레벨 조정봉과,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 사이의 상기 원통체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 너트와,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기단부에 레버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부재와, 기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레버가 끼워지도록 선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단부에 대해 선단부가 특정 각도를 이루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갱폼을 시공 벽체로부터 떨어지게 할 때에 유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작동부재의 레버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의하면, 서로 연결되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갱폼의 인양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갱폼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설치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갱폼에 대해 직각되게 설치된 갱폼을 인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전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하부 지지부재, 와이어, 작동레버, 고정브라켓 및 코일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서 A부분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는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앵글(150a)에 결합고정되는 하부 지지브라켓(10)과, 상기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앵글(150a)에 고착된 상부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관통공(10a) 및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에 양단부측이 각각 끼워지는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가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으로부터 상기 와이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부재(50,40)와, 상기 와이어(30)의 인양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관통공(6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60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지지부재(5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지는 원통체(6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상부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너트(7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수평을 조정하는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 사이의 상기 원통체(60)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 너트(90)와, 상기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관통공(100a)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기단부에 레버(1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부재(100)와, 기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15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끼워지도록 선단부에 관통공(110b)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단부에 대해 선단부가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갱폼(150)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떨어지게 할 때에 유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20)과,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기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이트(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50)는 나사공(51a) 내에 상기 와이어(30)를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외주면을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도록 상기 나사공(51a)이 형성된 제1 클램퍼(51)와, 상기 와이어(30)를 관통공(52a) 내에 삽입한 후에 외주면을 압착하는 제2 클램퍼(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클램퍼(52)의 관통공(52a)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30)는 압착함과 동시에, 용접에 의해서 고착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40a) 내에 상기 와이어(30)를 삽입한 후에 상기 하부 지지부재(40)를 압착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은 상기 상부 지지부재(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수평레벨을 조정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공(8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설정 너트(90)는 상기 상부 지지부재(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상기 원통체(60) 내에 고정설치된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나사공(9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는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01)에 고착된 금속판재(12)에 설치된 체결 볼트(13a)를 상기 하부 지 지브라켓(10)의 평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끼운 후에 너트(13b)로 체결하여 금속판재(12)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평판(11)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을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50a)에 직접 용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31a는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이트(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버(101)에 형성된 관통공(101a)에 끼워지는 볼트이고, 상기 볼트(131a)의 선단부에는 너트(131b)가 나합되어 있다.
또한 110a은 볼트공이고, 151은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인양고리이고, 152는 인양고리(151)에 결합된 인양 와이어이고, 153은 상기 인양 와이어(152)를 끌어당기는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클램퍼(또는 인양 고리)이고, 154는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타이 볼트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갱폼(15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내측용 갱폼과 외측용 갱폼(150) 사이에 콘크리트용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양생시킨 다음에,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인양고리(151) 또는 상기 인양고리(151)에 현가되어 있는 인양 와이어(152)를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클램퍼(153)에 의해 걸고 나 서 타이 볼트(154)를 풀어낸다.
다음에,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 이탈되어도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고정 브래킷(110)에 형성된 관통공(110b) 내에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 스프링(120)이 외감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을 분리시킬 때에 발생되는 유격 또는 진동을 상기 고정 브래킷(110)에 기다랗게 형성된 관통공(110b)에 의해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 스프링(120)이 수축되면서 흡수되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을 분리시킨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에 의해 클램퍼(153)를 끌어올리면, 상기 작동부재(100)에 형성된 관통공(100a) 내에 와이어(30)가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와이어(30)의 하부가 하부 지지브라켓(1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의 상부가 상부 지지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0a) 내에 원통체(6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원통체(60)의 관통공(60a) 내에 상기 와이어(30)가 삽입되어서 상기 원통체(60)와 상기 와이어(30)가 견고하게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상기 작동부재(10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레벨 조정너트(80)의 하단부에 접촉할 때 인양력을 해제하여 정지시켜서 상기 갱폼(150)을 다음 층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인양시킨다.
한편, 상기 와이어(30)의 텐션이 느슨해졌을 경우, 상기 수평레벨 조정너트(80) 및 위치설정너트(90)를 풀르고, 상기 원통체(60)를 상부로 끌어올려서 텐션을 타이트게 조정한 후에 상기 원통체(6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0b)와 텐션 조정너트(70)에 형성된 나사공(71a)을 나합시킨 후에 텐션 조정너트(70)를 조여서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면 텐션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며 그 후에 상기 수평레벨 조정너트(80) 및 상기 위치설정너트(90)를 조여서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하부면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갱폼(150)의 앵글(150a)에 금속판체(12)를 개재하여 상기 작동부재(10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15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10)의 관통공(110b) 내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갱폼(150)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상기 갱폼(150)을 인양할 시에 상기 갱폼(15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갱폼(150)의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150)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갱폼(150)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갱폼에 대해 직각되게 설치된 갱폼을 인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전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하부 지지부재, 와이어, 작동레버, 고정브라켓 및 코일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A부분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부 지지브라켓 10a : 관통공
11 : 평판 11a : 관통공
12 : 금속판재 13a : 체결 볼트
13b : 너트 20 : 상부 지지브라켓
20a : 관통공 21 : 평판
21a : 관통공 30 : 와이어
40 : 하부 지지부재 40a : 관통공
50 : 상부 지지부재 51 : 제1 클램퍼
51a : 나사공 52 : 제2 클램퍼
60 : 원통체 60a : 관통공
60b : 나사부 70 : 텐션조정 너트
80 : 수평레벨 조정봉 80a : 나사공
90 : 위치설정 너트 90a : 나사공
100 : 작동부재 100a : 관통공
101 : 레버 110 : 고정브라켓
110a : 볼트공 110b : 관통공
120 : 코일 스프링 130 : 스프링 시이트
131a : 볼트 131b : 너트
150 : 갱폼 150a : 앵글
151 : 인양고리 152 : 인양 와이어
153 : 클램프 154 : 타이 볼트
160 : 시공 벽체

Claims (5)

  1.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앵글(150a)에 결합고정되는 하부 지지브라켓(10)과,
    상기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앵글(150a)에 고착된 상부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관통공(10a) 및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에 양단부측이 각각 끼워지는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가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으로부터 상기 와이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부재(50,40)와,
    상기 와이어(30)의 인양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관통공(6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60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지지부재(5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지는 원통체(6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상부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너트(7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수평을 조정하는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 사이의 상기 원통체(60)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 너트(90)와,
    상기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관통공(100a)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기단부에 레버(1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부재(100)와,
    기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15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끼워지도록 선단부에 관통공(110b)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단부에 대해 선단부가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갱폼(150)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떨어지게 할 때에 유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20)과,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기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이트(13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재(50)는 나사공(51a) 내에 상기 와이어(30)를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외주면을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도록 상기 나사공(51a)이 형성된 제1 클램퍼(51)와, 상기 와이어(30)를 관통공(52a) 내에 삽입한 후에 외주면을 압착하는 제2 클램퍼(5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은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50a)에 고착된 금속판재(12)에 설치된 체결 볼트(13a)를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평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끼운 후에 너트(13b)로 체결하여 갱폼(150)의 앵글(150a)에 고착된 금속판재(12)에 고정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평판(11)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을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50a)에 직접 용접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수평레벨을 조정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공(8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설정 너트(90)는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상기 원통체(60) 내에 고정설치된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나사공(9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KR1020090076022A 2009-08-18 2009-08-18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KR10110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22A KR101101941B1 (ko) 2009-08-18 2009-08-18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022A KR101101941B1 (ko) 2009-08-18 2009-08-18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423A KR20090094423A (ko) 2009-09-07
KR101101941B1 true KR101101941B1 (ko) 2012-01-02

Family

ID=4129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022A KR101101941B1 (ko) 2009-08-18 2009-08-18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94B1 (ko)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추락방지용 갱폼 조립체와 그 시공방법
KR20200012337A (ko) 2018-07-27 2020-02-05 추광수 추락 방지용 갱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54B1 (ko) * 2012-11-06 2014-02-25 지종연 거푸집인상기의 인상높이 조절장치
KR102567228B1 (ko) * 2021-07-01 2023-08-14 송병호 갱폼
KR102637285B1 (ko) * 2022-05-10 2024-02-15 고창균 갱폼 인양 가이드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27A (ko) * 2002-08-07 2004-02-14 고부래 기능간소화형 휴대폰
KR20040028173A (ko) *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시간 설정이 가능한 자동응답 방법
KR200413527Y1 (ko) 2006-01-13 2006-04-07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28173Y1 (ko)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0760286B1 (ko) * 2007-06-04 2007-09-19 (주)대성폼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0866412B1 (ko) * 2008-07-25 2008-11-03 임세완 갱폼 추락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527A (ko) * 2002-08-07 2004-02-14 고부래 기능간소화형 휴대폰
KR20040028173A (ko) * 2002-09-30 2004-04-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시간 설정이 가능한 자동응답 방법
KR200413527Y1 (ko) 2006-01-13 2006-04-07 박춘오 갱폼 추락방지구
KR200428173Y1 (ko) 2006-07-18 2006-10-11 권택철 갱폼 추락방지장치
KR100760286B1 (ko) * 2007-06-04 2007-09-19 (주)대성폼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100866412B1 (ko) * 2008-07-25 2008-11-03 임세완 갱폼 추락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294B1 (ko) 2018-03-26 2019-05-02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추락방지용 갱폼 조립체와 그 시공방법
KR20200012337A (ko) 2018-07-27 2020-02-05 추광수 추락 방지용 갱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423A (ko) 2009-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941B1 (ko)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US20090120718A1 (en) Multi-level safety net support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US7896132B2 (en) Multi-level fall protection system for high-rise construction
KR100976562B1 (ko) 갱폼 안전 인양 장치
CA3030895A1 (en) Concrete form brace with multi-depth rebar positioning
JP7262277B2 (ja) アンカ部材を用いた治具の設置方法
JP5589183B2 (ja) 円筒状構築物の足場装置及びその移動方法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GB2112440A (en) Scaffolding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200445310Y1 (ko) 상승식 가설대 발판 고정용 클램프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5773469B1 (ja) 吊足場
KR200412991Y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2327935B1 (ko) 갱폼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0835613B1 (ko) 매립형 갱폼 추락 방지 장치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78686B1 (ko) 슬래브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120133013A (ko) 건축물 공사용 안전 난간대
KR101157588B1 (ko) 슬라브 폼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철골조 건축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KR200418547Y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JP3452816B2 (ja) 塔状構造物の作業足場の仮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