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고층 건물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대형 구조물인 갱폼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갱폼은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스틸폼과, 작업발판 및 핸드레일 등이 설치된 케이지와, 외벽의 내측 유로폼과, 상기 스틸폼을 고정하는 타이 볼트로 이루어진다.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갱폼이 사용되며, 아파트 한개 동의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대략 20 내지 30개 정도의 갱폼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갱폼 한 세트의 무게는 대략 3 내지 4톤 정도이고, 높이가 9M 정도에 이른다.
건물의 층별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갱폼에서 타이 볼트를 풀어내고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갱폼을 한 세트씩 상부로 인양한 후에 타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내측 갱폼과 외측 갱폼 사이의 공간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외벽을 시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갱폼을 인양하는 작업은 인양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 와이어를 타워 크레인에 걸어서 들어올리기 때문에, 숙련공이 인양작업에 임하더라도 갱폼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다음 층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인양된 갱폼을 타워 크레인에 와이어가 걸린 상태에서 수평상태가 되도록 맞추어서 타이 볼트의 체결 위치를 잡아주는 레벨 조정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갱폼의 레벨 조정작업에는 한개 동을 시공하는데 5 내지 6명이 한 조가 되어 통상 4 내지 6시간 동안 갱폼의 레벨 조정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갱폼의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갱폼을 고정시킨 타이 볼트만을 해체하고, 측면에 설치된 갱폼의 타이 볼트를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양하여야 하는데 작업자들이 작업의 편의성만을 앞세워 모든 타이 볼트를 해체시킨 상태에서 갱폼의 인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든 타이 볼트를 해체시키게 되면 3 내지 4톤의 갱폼이 시공된 외벽 콘크리트에 접착력만으로 붙어 있게 되기 때문에 인양작업 도중에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량이 3 내지 4톤에 이르는 갱폼이 떨어지면 재산상의 손해는 물론 인명 피해도 수반한다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갱폼이 떨어질 때에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직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건설 현장 인근 지역으로 추락할 경우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인사 사고 또는 주위의 건물 파손 등을 유발하여 경제적인 손실도 입게 되고, 그에 따라 시공 시간도 과도하게 지체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갱폼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가 설치된 갱폼에 대해 직각되게 설치된 갱폼을 인양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전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갱폼을 상부로 인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하부 지지부재, 와이어, 작동레버, 고정브라켓 및 코일 스프링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서 A부분을 상부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는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앵글(150a)에 결합고정되는 하부 지지브라켓(10)과, 상기 갱폼(150)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앵글(150a)에 고착된 상부 지지브라켓(20)과,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관통공(10a) 및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에 양단부측이 각각 끼워지는 와이어(30)와, 상기 와이어(30)가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으로부터 상기 와이어(3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지지부재(50,40)와, 상기 와이어(30)의 인양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30)의 상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관통공(6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부(60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지지부재(5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지는 원통체(6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상부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텐션을 조정하는 텐션조정 너트(70)와,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관통공(20a) 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져서 수평을 조정하는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 사이의 상기 원통체(60) 외주면에 나합되어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 너트(90)와, 상기 와이어(30)가 삽입되는 관통공(100a)이 선단부에 형성되며, 기단부에 레버(1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작동부재(100)와, 기단부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15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끼워지도록 선단부에 관통공(110b)이 형성됨과 동시에 기단부에 대해 선단부가 30도 내지 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고정브라켓(110)과, 상기 갱폼(150)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떨어지게 할 때에 유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20)과,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코일 스프링(120)의 기단부측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이트(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재(50)는 나사공(51a) 내에 상기 와이어(30)를 삽입하여 상기 와이어(30)의 외주면을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도록 상기 나사공(51a)이 형성된 제1 클램퍼(51)와, 상기 와이어(30)를 관통공(52a) 내에 삽입한 후에 외주면을 압착하는 제2 클램퍼(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클램퍼(52)의 관통공(52a)에 삽입되는 상기 와이어(30)는 압착함과 동시에, 용접에 의해서 고착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 지지부재(40)는 그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40a) 내에 상기 와이어(30)를 삽입한 후에 상기 하부 지지부재(40)를 압착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착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수평레벨 조정봉(80)은 상기 상부 지지부재(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수평레벨을 조정하도록 내주면에 나사공(8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설정 너트(90)는 상기 상부 지지부재(20)의 관통공(20a)내에 끼워진 상기 원통체(60)의 나사부(60b)에 나합되어 상기 원통체(60) 내에 고정설치된 상기 와이어(3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나사공(9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는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01)에 고착된 금속판재(12)에 설치된 체결 볼트(13a)를 상기 하부 지 지브라켓(10)의 평판(11)에 형성된 관통공(11a)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끼운 후에 너트(13b)로 체결하여 금속판재(12)에 고정설치할 수 있으나, 상기 하부 지지브라켓(10)의 평판(11) 및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평판(21)을 갱폼(150)에 설치된 앵글(150a)에 직접 용접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31a는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외감되는 코일 스프링(1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이트(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레버(101)에 형성된 관통공(101a)에 끼워지는 볼트이고, 상기 볼트(131a)의 선단부에는 너트(131b)가 나합되어 있다.
또한 110a은 볼트공이고, 151은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인양고리이고, 152는 인양고리(151)에 결합된 인양 와이어이고, 153은 상기 인양 와이어(152)를 끌어당기는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클램퍼(또는 인양 고리)이고, 154는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타이 볼트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를 갱폼(15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한 후에 도시하지 않은 내측용 갱폼과 외측용 갱폼(150) 사이에 콘크리트용 모르타르를 타설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양생시킨 다음에, 상기 갱폼(150)에 설치된 인양고리(151) 또는 상기 인양고리(151)에 현가되어 있는 인양 와이어(152)를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의 클램퍼(153)에 의해 걸고 나 서 타이 볼트(154)를 풀어낸다.
다음에,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 이탈되어도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고정 브래킷(110)에 형성된 관통공(110b) 내에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 스프링(120)이 외감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시공된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을 분리시킬 때에 발생되는 유격 또는 진동을 상기 고정 브래킷(110)에 기다랗게 형성된 관통공(110b)에 의해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코일 스프링(120)이 수축되면서 흡수되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벽체(160)로부터 상기 갱폼(150)을 분리시킨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크레인에 의해 클램퍼(153)를 끌어올리면, 상기 작동부재(100)에 형성된 관통공(100a) 내에 와이어(30)가 끼워져 있고, 또한 상기 와이어(30)의 하부가 하부 지지브라켓(1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의 상부가 상부 지지브라켓(20)에 의해 지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에 형성된 관통공(20a) 내에 원통체(6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원통체(60)의 관통공(60a) 내에 상기 와이어(30)가 삽입되어서 상기 원통체(60)와 상기 와이어(30)가 견고하게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30)를 따라 상기 작동부재(10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하부에 설치된 수평레벨 조정너트(80)의 하단부에 접촉할 때 인양력을 해제하여 정지시켜서 상기 갱폼(150)을 다음 층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인양시킨다.
한편, 상기 와이어(30)의 텐션이 느슨해졌을 경우, 상기 수평레벨 조정너트(80) 및 위치설정너트(90)를 풀르고, 상기 원통체(60)를 상부로 끌어올려서 텐션을 타이트게 조정한 후에 상기 원통체(6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60b)와 텐션 조정너트(70)에 형성된 나사공(71a)을 나합시킨 후에 텐션 조정너트(70)를 조여서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상부면에 접촉시키면 텐션이 타이트하게 조여지며 그 후에 상기 수평레벨 조정너트(80) 및 상기 위치설정너트(90)를 조여서 상기 상부 지지브라켓(20)의 하부면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갱폼(150)의 앵글(150a)에 금속판체(12)를 개재하여 상기 작동부재(100)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00)의 레버(101)가 인접하는 또 다른 갱폼(15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10)의 관통공(110b) 내에 끼워져서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갱폼(150)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상기 갱폼(150)을 인양할 시에 상기 갱폼(15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갱폼(150)의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150)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갱폼(150)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